KR102346460B1 -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460B1
KR102346460B1 KR1020210106740A KR20210106740A KR102346460B1 KR 102346460 B1 KR102346460 B1 KR 102346460B1 KR 1020210106740 A KR1020210106740 A KR 1020210106740A KR 20210106740 A KR20210106740 A KR 20210106740A KR 102346460 B1 KR102346460 B1 KR 10234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microorganisms
weight
parts
liquid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익
송정우
조중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서진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서진바이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서진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0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에 갑각류 껍데기와 유기산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배지를 투입한 후에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단계를 통해 살균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에 미생물을 접종하는 미생물접종단계 및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은 제조방법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칼슘의 함량이 높고, 장기보관시 악취발생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식물병을 억제하는 액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CALCIUM CHITOSAN LIQUID FERTILIZER USING ORGANIC ACID AND MICROORGANISM}
본 발명은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칼슘의 함량이 높고, 장기보관시 악취발생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식물병을 억제하는 액비를 제공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산물은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의 과정에서 다른 농축산물에 비해 폐기되는 부산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만 재활용될 뿐 대부분 사업장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불법투기 및 매립, 방치, 폐수 및 악취 발생 등으로 주위 경관과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여러 가지 환경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특히, 각각류의 껍질은 4%의 질소, 5%의 인산, 20%의 칼슘 및 다양한 회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원으로 재활용되지 못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한편, 게, 가재 또는 새우 등의 갑각류 및 균류나 조류 등의 고등 식물 세포벽에 존재하는 천연 고분자 물질인 키틴은 셀룰로오스 다음으로 풍부한 자원으로, 키토산은 키틴을 탈 아세틸화하여 제조되는 물질인데, 탈 아세틸의 정도에 따라 물에 잘 용해되지 않으나 저농도의 산성 용액에 용해되는 특성을 보이는 물질로 알려지고 있다.
키틴과 키토산은 무독성, 환경친화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여러 의료용 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성장 촉진 및 증산 등의 이유로 농업분야에 새로운 물질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갑각류 껍질의 경우 키틴을 정제하여 식품, 의약, 생필품 등에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에 키틴 정제 공정은 복잡한 생산절차, 강산(염산) 취급시 위험성, 잔류염소 그리고 세척수 처리 비용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친환경적인 액비 생산방법으로 미생물을 활용한 방법이 있겠으나, 수주에서 수개월의 시간이 소요되고, 칼슘 함량이 낮아 고품질의 비료 제품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67143호(2010.06.23.) 한국특허등록 제10-1672928호(2016.10.31.)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칼슘의 함량이 높고, 장기보관시 악취발생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식물병을 억제하는 액비를 제공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에 갑각류 껍데기와 유기산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배지를 투입한 후에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단계를 통해 살균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에 미생물을 접종하는 미생물접종단계 및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 갑각류 껍데기 25 내지 30 중량부 및 유기산 수용액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기산 수용액은 질량농도가 40 내지 45%이며, 상기 유기산은 개미산,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글리실산, 글리콜산, 니코틴산, 레몬산, 말산, 벤조산, 부티르산, 빙초산, 살리실산, 숙신산, 술폰산, 술핀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100 중량부, 호박산 20 내지 30 중량부 및 사과산 2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기산 수용액에는 유기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목초액 20 내지 3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살균단계는 80 내지 100℃의 온도와 10 내지 20rpm의 교반속도로 30 내지 9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는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미생물 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접종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고초균 및 효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 크레모리스균, 초산균 및 비피더스 속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rpm의 속도로 5 내지 7일 동안 발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칼슘의 함량이 높고, 장기보관시 악취발생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식물병을 억제하는 액비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에 갑각류 껍데기와 유기산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1),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배지를 투입한 후에 살균하는 살균단계(S103), 상기 살균단계(S103)를 통해 살균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105), 상기 냉각단계(S105)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에 미생물을 접종하는 미생물접종단계(S107) 및 상기 미생물접종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는 정제수에 갑각류 껍데기와 유기산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정제수 100 중량부, 갑각류 껍데기 25 내지 30 중량부 및 유기산 수용액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20 내지 4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정제수에 갑각류 껍데기 및 유기산 수용액을 혼합하게 되면, 갑각류 껍데기의 세척, 건조 및 분쇄 등과 같은 공정처리 없이 갑각류 껍데기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성분이 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갑각류는 칼슘성분과 키토산 성분이 용출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칼슘성분과 키토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게 또는 새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산 수용액은 질량농도가 40 내지 45%이며, 상기 유기산은 개미산,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글리실산, 글리콜산, 니코틴산, 레몬산, 말산, 벤조산, 부티르산, 빙초산, 살리실산, 숙신산, 술폰산, 술핀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갑각류 껍데기에 함유된 칼슘성분과 키토산의 용출량을 고려했을 때, 구연산 100 중량부, 호박산 20 내지 30 중량부 및 사과산 2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갑각류 껍데기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갑각류 껍데기에서 용출되는 칼슘이나 키토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게 되며, 상기 갑각류 껍데기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갑각류 껍데기의 일부가 유기산에 녹지 않고 잔존하여 상기 발효단계(S109)에서 발효가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산 수용액의 질량농도가 40% 미만이거나, 유기산 수용액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갑각류 껍데기를 제대로 녹이지 못하고, 상기 유기산 수용액의 질량농도가 45%를 초과하거나, 유기산 수용액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혼합물의 pH가 지나치게 낮아져 상기 발효단계(S109)에서 발효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기산 수용액에는 상기 유기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목초액 20 내지 3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목초액은 상기 발효단계(S109)에서 진행되는 발효과정이나, 발효 후 제조되는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악취발생을 억제시켜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목초액은 유기산과 무기산의 중간정도의 성질을 나타내며, 숯을 구울 때 발생하는 숯연기가 자연냉각되어 떨어지는 액체를 회수하여 제조되는데, 초산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살균단계(S103)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배지를 투입한 후에 살균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80 내지 100℃의 온도로 30 내지 90분 동안 가열하여 살균한 후에, 살균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배지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와 같이 살균 후에 배지가 혼합되면 상기 미생물접종단계(S107)를 통해 접종되는 미생물이 빠르게 배양되어 발효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는 당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단계(S105)는 상기 살균단계(S103)를 통해 살균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로, 상기 살균단계(S103)를 통해 살균된 혼합물을 30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은 온도로 냉각된 혼합물은 상기 미생물접종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되었을 때, 미생물이 죽지않고 빠르게 증식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접종단계(S107)는 상기 냉각단계(S105)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에 미생물을 접종하는 단계로, 상기 냉각단계(S105)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미생물 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접종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고초균 및 효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조되는 비료의 악취개선 효과를 위해 유산균, 고초균 및 효모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 크레모리스균, 초산균 및 비피더스 속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의 투입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가 지나치게 더디게 진행되며, 상기 미생물의 투입량이 0.0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지나치게 많은 미생물을 투입하게 되는 것으로 제조비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발효단계(S109)는 상기 미생물접종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미생물접종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rpm의 속도로 5 내지 7일 동안 발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효단계(S109)의 온도가 35℃ 미만이거나 발효시간이 5일 미만이면 발효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발효단계(S109)의 온도가 35℃를 초과하거나 발효시간이 7일을 초과하게 되면 미생물이 사멸하여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거나 발효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기호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발효단계(S109)를 거치면, 유기산과 미생물에 의해 칼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식물병을 방제하는 키틴 분해 미생물이 다량 증식되어 식물병을 방제하는 액비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식물병을 발생시키는 선충의 세포벽은 키틴 성분으로 이루어지져 있는데, 상기의 과정을 통해 키틴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다량 증식되면 미생물에 의해 선충의 세포벽이 파괴되어 선충으로 인한 식물병이 방제되는 원리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표 1에 나타낸 비율(중량%)로 물과 유기산을 혼합하여 유기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21093249161-pat00001
<실시예 1>
갑각류(게) 껍데기에 20kg, 물 70L 및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 10L를 혼합하고 3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여 갑각류 껍데기를 녹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배지(당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9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살균한 후에, 살균된 혼합물을 33℃로 냉각하고, 냉각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미생물(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과 바실러스 벨리젠시스가 1:1의 중량부로 혼합) 0.005 중량부를 접종하고 12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33℃의 온도로 6일 동안 발효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5를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6을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제조예 7을 통해 제조된 유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을 통해 제조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pH, 칼슘의 함량, 질소함량 및 생균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21093249161-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통해 제조된 고칼슘 키토산 액비가 칼슘함량이 높으면서도 pH가 적정수준을 나타내며, 질소의 함량이 가장 많고 우수한 생균수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5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미생물로 고초균(바실러스 벨리젠시스)를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미생물로 고초균(바실러스 벨리젠시스)과 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가 1:1의 중량부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미생물로 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고초균(바실러스 벨리젠시스) 및 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유기산 수용액 100 중량부에 목초액 25 중량부를 더 함유하여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5 및 실시예 8 내지 11을 통해 제조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발효취를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발효취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10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후에 평균값을 반올림하여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발효직후와 40℃의 온도에서 60일 후에 관능평가를 실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3>
Figure 112021093249161-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0 내지 11을 통해 제조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발효취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목초액이 함유된 실시예 11의 액비의 발효취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칼슘의 함량이 높고, 장기보관시 악취발생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식물병을 억제하는 액비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S101 ; 원료혼합단계
S103 ; 살균단계
S105 ; 냉각단계
S107 ; 미생물접종단계
S109 ; 발효단계

Claims (9)

  1. 정제수에 갑각류 껍데기와 유기산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배지를 투입한 후에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단계를 통해 살균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에 미생물을 접종하는 미생물접종단계; 및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단계는 80 내지 100℃의 온도와 10 내지 20rpm의 교반속도로 30 내지 9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 갑각류 껍데기 25 내지 30 중량부 및 유기산 수용액 10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수용액은 질량농도가 40 내지 45%이며,
    상기 유기산은 개미산,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글리실산, 글리콜산, 니코틴산, 레몬산, 말산, 벤조산, 부티르산, 빙초산, 살리실산, 숙신산, 술폰산, 술핀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100 중량부, 호박산 20 내지 30 중량부 및 사과산 2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수용액에는 유기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목초액 20 내지 3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는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냉각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미생물 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접종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고초균 및 효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 크레모리스균, 초산균 및 비피더스 속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미생물접종단계를 통해 미생물이 접종된 혼합물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rpm의 속도로 5 내지 7일 동안 발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KR1020210106740A 2021-08-12 2021-08-12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KR102346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40A KR102346460B1 (ko) 2021-08-12 2021-08-12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40A KR102346460B1 (ko) 2021-08-12 2021-08-12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460B1 true KR102346460B1 (ko) 2022-01-03

Family

ID=7934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40A KR102346460B1 (ko) 2021-08-12 2021-08-12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4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149A (ko) * 2008-03-05 2009-09-09 정홍섭 목초액 함유 비료용 조성물
KR100967143B1 (ko) 2009-05-07 2010-07-05 김의수 식물발육촉진 및 토질개선용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2928B1 (ko) 2014-04-09 2016-11-04 유재원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KR102041263B1 (ko) * 2019-08-28 2019-11-06 장현익 미생물과 유기산을 이용한 불가사리 액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149A (ko) * 2008-03-05 2009-09-09 정홍섭 목초액 함유 비료용 조성물
KR100967143B1 (ko) 2009-05-07 2010-07-05 김의수 식물발육촉진 및 토질개선용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2928B1 (ko) 2014-04-09 2016-11-04 유재원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KR102041263B1 (ko) * 2019-08-28 2019-11-06 장현익 미생물과 유기산을 이용한 불가사리 액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7292B (zh) 一种水产养殖用的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JP6346982B1 (ja) ラウルテラ属の微生物の単離方法及び植物性廃棄物処理剤の製造方法並びに植物性廃棄物処理方法
CN108913626B (zh) 一种禽畜粪便除臭复合菌剂及其制备方法
CN106635902A (zh) 一种凝结芽孢杆菌及其应用
JPH0672788A (ja) 有機質発酵物の製造方法
CN108046858A (zh) 一种利用病死猪无害化生产有机肥的方法
CN104651282A (zh) 一种复合光合细菌制剂的制备方法
KR102346460B1 (ko)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고칼슘 키토산 액비의 제조방법
CN108752065A (zh) 一种微生物发酵处理病死动物的方法
CN108531412A (zh) 一种ecmd高效环控微生物除臭剂的制备方法
CN109943504B (zh) 一种畜禽尸体无害化处理益生菌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970027028A (ko) 음식물 쓰레기와 유효 미생물균군을 주재로 유기질사료, 유기질비료, 유기질 오·폐수정화제를 제조하는 방법
CN103952454A (zh) 一种用餐厨垃圾制造可降解塑料的工艺
CN110550985A (zh) 一种利用微生物发酵虾壳生产有机肥料的方法
JPH03236771A (ja) 有用微生物及びその利用方法
US5567325A (en) Thermophilic digestion of chitin-containing waste
KR102346459B1 (ko) 유기산과 미생물을 이용한 패각 칼슘액비의 제조방법
CN107129947A (zh) 一种用于水产养殖中的专业调节肠道复合菌的发酵工艺
CN109294938B (zh) 一种病死猪静态发酵高温降解菌剂及其应用
CN102757905B (zh) 一种餐厨垃圾消减型酵母菌及其应用
CN112375799A (zh) 一种提高鲍鱼生物制品抗氧化能力的方法
JPH0334905A (ja) 植物用組成物
JP5303543B2 (ja) 分解処理剤及び分解処理方法
CN107050492A (zh) 一种有机垃圾除臭剂
CN105016481A (zh) 一种水产养殖复合植物发酵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