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449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449B1
KR102346449B1 KR1020200011873A KR20200011873A KR102346449B1 KR 102346449 B1 KR102346449 B1 KR 102346449B1 KR 1020200011873 A KR1020200011873 A KR 1020200011873A KR 20200011873 A KR20200011873 A KR 20200011873A KR 102346449 B1 KR102346449 B1 KR 10234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outer frame
mounting guide
hoo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161A (ko
Inventor
권용우
유정상
진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153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59315A1/ko
Priority to US17/422,672 priority patent/US20220120024A1/en
Publication of KR2020009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3/025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a rotatable imperforate tub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여,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어의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서 충격 등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를 보호하는 장착 가이드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의류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된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며 의류 투입구를 통해 돌출되는 도어 윈도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은 도어의 닫힘 시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과, 본체의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행특허문헌 10-0595180호 (2006년 06월 23일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에는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아우터 윈도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도어 전방으로 돌출된 림(rim)이 구비된다.
림은 아우터 윈도우의 두께와 대응되게 돌출되어, 아우터 윈도우의 외주면을 두께방향으로 전부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아우터 윈도우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림의 돌출 길이가 길면 길수록 림의 강도 보강을 위해 림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도어프레임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문헌 10-1708352호(2017년02월14일 등록; 이하, 특허문헌 2)에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분은 도어 커버의 측면을 덮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장착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장착 가이드는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도어 커버의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 가이드의 하향 경사진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 과다 및 프런트 글라스와 아우터 프레임 사이의 접착력 약화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가 장착 가이드의 하향 경사진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도어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어, 프런트 글라스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의 접착을 위해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도포부와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내측 및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실린트 도포부에서 유출된 실런트를 포집하는 복수의 실런트 포집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실런트 도포부와 실런트 포집부는 아우터 프레임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나, 특허문헌 1에서는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장착 가이드의 크기를 축소하면서도 프런트 글라스를 지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실런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프런트 글라스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착 가이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세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접착제 충전홈으로 인해 취약해진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네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착 가이드의 내측면 구조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섯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틈새는 0.1mm 내지 1.0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새는 0.5mm ~0.7mm 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가이드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가이드의 폭은 1.5mm~6.0mm이고, 상기 장착 가이드의 폭은 상기 장착 가이드의 외주면 직경과 상기 장착 가이드의 내주면 직경의 차이의 절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가이드의 폭은 2.5mm ~4.5mm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최외곽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내주면부; 상기 내주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면부; 상기 전방면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전방면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2.5mm이상이고,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경사면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4.5mm이하이고, 상기 전방면부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라운드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2mm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면부의 반경방향 폭, 상기 라운드부의 원호 길이 및 상기 경사면부의 길이 각각은 서로 다르고, 상기 라운드부의 원호 길이는 상기 전방면부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길고, 상기 경사면부의 길이는 상기 전방면부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길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면부, 상기 라운드부 및 상기 경사면부 각각의 반경방향의 폭은 서로 다르고,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경사면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전방면부의 외주단까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방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 충전홈이 형성되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평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주면부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두께방향으로 전방에 형성된 제1곡선부와, 상기 제1곡선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부는 적어도 상기 직선부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직선부를 모두 덮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곡선부와 대칭되게 연장되는 제2곡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내주면부는 상기 직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를 덮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전면과 후면이 각각 평면인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를 충전하는 접착제 충전부 구비하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충전부는, 상기 접착제가 충전되는 접착제 충전홈; 및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접착제 충전홈을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넘치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후크;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장착 가이드가 돌출되되,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 일부(직선부와 내측 곡선부)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장착 가이드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프런트 글라스를 지지할 수 있다.
만약,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 두께를 전부 덮으면,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더 길어져서, 장착 가이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장착 가이드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프런트 글라스가 두께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제1곡선부(외측 곡선부), 직선부 및 제2곡선부(내측 곡선부)를 구비할 경우에,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직선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가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2/3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런트 글라스의 지지력을 확보하면서도 장착 가이드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둘째, 장착 가이드는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부에서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접착제가 아우터 프레임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수분이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는 프런트 글라스를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장착 가이드를 형성하고, 장착 가이드의 내측면이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프런트 글라스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와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 사이에 접착력이 약화되더라도 프런트 글라스에 대한 아우터 프레임의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장착 가이드의 두께가 프런트 글라스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지점에서 프런트 글라스의 배면으로 갈수록 증가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장착 가이드의 강성을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보강리브 등의 구조물이 아우터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접착제 충전홈과 중첩되도록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접착제 충전홈으로 인해 아우터 프레임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넷째,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은 서로 후크 체결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에 체결홀을 뚫지 않고도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아우터 프레임의 제1후크와 이너 프레임의 제2후크 각각은 쐐기 형상의 후크돌기를 구비하고, 각 후크돌기는 제1후크와 제2후크의 체결 후에 서로 맞닿는 제2경사면의 경사도가 체결 전에 서로 맞닿는 제1경사면의 경사도에 비해 더 가파르게 형성되어, 제2후크가 제1후크의 내측으로 진입하기는 용이하나 제2후크가 제1후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셋째,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탄성홈을 형성하여, 아우터 프레임의 제1후크와 이너 프레임의 제2후크가 서로 체결 시 제1후크로 하여금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경 변형 가능하게 유도함으로써, 제2후크가 제1후크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어서,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압착부는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복수의 압착리브, 연결리브 및 지지리브를 구비하고, 압착리브는 아우터 프레임의 제1후크와 이너 프레임의 제2후크를 서로 체결 시 제2후크를 압착시킴으로써, 프런트 글라스의 중량이 도어의 전체 중량 대비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제2후크가 제1후크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형되거나 중력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막고 제1후크와 제2후크 상호 간의 체결력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연결리브는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복수의 압착리브를 연결하도록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에 대한 아우터 프레임의 지지강도와 복수의 압착리브의 압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여섯째, 복수의 지지리브는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리브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리브 및 압착리브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장착 가이드는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도어의 전방을 향해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고, 장착 가이드의 내주면과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의 플라스틱 사출물 변형으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어의 후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어가 의류 투입구를 닫도록 의류 투입구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VI-V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VII-VI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과 손잡이가 형성된 이너 프레임 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이너 프레임을 전방에서 바라보며, 손잡이에 후크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가이드의 내측에 프런트 글라스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 터브, 드럼 및 도어(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01), 의류처리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의류처리장치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 의류처리장치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 의류처리장치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 패널과 좌우 양측의 측면 패널은 한 개의 직사각형으로 된 플레이트를 "ㄷ"자 형태로 벤딩하여 형성됨으로, 본체(10)의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면 패널(101)에 의류 투입구(102)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의류 투입구(102)는 전면 패널(10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의류가 의류 투입구(106)를 통해 의류수용부에 투입될 수 있다.
의류 투입구(102)는 전면 패널(101)에 리세스부(103)가 의류 투입구(102)를 감싸도록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의류 투입구(102)는 리세스부(103)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
도어(12)는 의류 투입구(102)를 개폐하도록 전면 패널(10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25)로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 의류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구비하거나,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과 함께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의 내부에 터브와 드럼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터브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축이 수평하거나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드럼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터브의 전단부에 가스켓이 의류 투입구(10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본체(10)의 수용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드럼은 터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의 전방부는 개방되어, 의류 투입구(102)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의류 투입구(102)를 통해 드럼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터브의 후면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구동모터는 드럼의 후면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축을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드럼에 전달됨으로,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의 원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세탁수 등과 같은 유체가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드럼의 내부에 출입할 수 있다.
드럼은 내부에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하여,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회전시킴으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본체(10)에 구비되거나 도어(12)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 유닛(11)이 본체(10)의 전면 패널(101) 상측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원형의 노브 및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11)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12)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어(12)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3), 도어 윈도우(23), 프런트 글라스(20), 힌지 유닛(24) 및 로킹 유닛(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아우터 프레임(14; outer frame)과 이너 프레임 (19; inner 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체결구조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명명 이유를 설명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도어(12)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아우터 프레임(14)은 본체(10)의 바깥쪽을 향하고, 이너 프레임(19)은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 명명된 것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제1프레임으로 명명되고, 이너 프레임(19)은 제2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18)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개구부(18)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8)의 중심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외측 직경과 내측 직경(개구부(18) 직경) 사이의 거리(폭)가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의 중심은 본체(10)의 높이 중심(1/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은 회전에 의한 미세한 진동을 차치하고 본체(1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소비자들은 본체(1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세탁기의 동일 용량 및 크기 대비 도어(12)의 크기가 큰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도어(12)를 통해 드럼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가능하면 드럼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선호한다.
상술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 드럼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는 아래 방향으로 커져야 한다.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은 의류 투입구(102) 또는 개구부(18)의 중심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13)은 개구부(18)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도어 윈도우(23)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중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2)의 직경은 리세스부(103)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런트 글라스(20)는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두께가 일정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어디에서 바라보아도 굴곡 없이 형성된다.
이처럼, 유리 재질의 프런트 글라스(20)가 원형 형태로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불완전한 원형 형태로 전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었던 합성수지 재질의 기존의 도어 커버 대비, 도어(12)의 고급감이 향상된다.
불투광 영역(22) 내에는 투광성의 얼라인 마크(221)가 형성된다. 얼라인 마크(221)는 아우터 프레임(14)에 대한 프런트 글라스(20)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도면에서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측(6시 방향)에 원형의 얼라인 마크(221)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얼라인 마크(221)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얼라인 마크(22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다음과 같은 레이어 구조를 통하여 투광 영역(21), 불투광 영역(22) 및 얼라인 마크(221)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글라스 바디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불투광 영역(22)을 형성하는 차폐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은 투광 영역(21)과 얼라인 마크(22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차폐 레이어는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에 초자 인쇄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글라스 바디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투광 영역(21)에 대응하여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투광부, 불투광 영역(22)에 대응하여 불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불투광부, 및 얼라인 마크(221)에 대응하여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글라스 바디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의 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필름이 투광 영역(2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홀, 불투광 영역(22)에 대응하여 불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불투광부, 및 얼라인 마크(22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즉, 상기 필름에서 투광 영역(21)과 얼라인 마크(221)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뚫린 형태를 갖는지에 차이가 있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실런트(sealant)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유리재질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에 체결홀을 뚫으면 깨지기 쉬우므로, 유리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글라스(2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아우터 프레임(14)에 부착된다.
한편,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재질로 도어(12)의 전체 하중 대비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차지한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의 장착을 위한 장착 가이드(34)가 구비된다.
장착 가이드(34)는 다음의 세가지 역할을 한다.
첫째, 장착 가이드(34)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20)를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를 지지할 수 있다.
셋째, 프런트 글라스(20)의 조립 시 프런트 글라스(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장착 가이드(34)의 주된 역할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보호이다.
특히, 프런트 글라스(20)는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강화 유리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면과 후면은 강도가 세지만,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인 원형의 외주면은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가이드(34)의 내측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프레임(14)은 ABS 사출물에 크롬 도금(또는 도장)을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가 장착 가이드(34)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과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 사이에 틈새(G; Gap)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사이의 틈새(G)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플라스틱 사출물 변형에 의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이 깨지는 현상(강화 유리 자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공간이다.
플라스틱과 유리는 재질의 특성 상 열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사출물 변형으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이 깨질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사이의 틈새(G)는 0.1mm~1.0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틈새(G)가 0.1mm보다 작으면, 플라스틱 사출물 변형에 의한 프런트 글라스(20)의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틈새(G)가 1.0mm보다 크면, 도어를 정면에서 봤을 때 틈새(G)가 보이거나 이물이 틈새(G)에 끼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틈새(G)가 너무 지나치게 크면, 프런트 글라스(20)가 장착 가이드(34)의 내측 중심에서 한 쪽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쌈으로,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의 틈새(G)는 0.5mm~0.7mm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쏠림 발생 시 일측이 1mm 이상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틈새의 크기를 1 mm 이내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도어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장착 가이드(34)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 Width)은 도어(12)의 직경 대비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왜냐하면, 도어의 동일한 크기 대비 장착 가이드(34)의 폭(W)이 작을수록 프런트 글라스(20)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장착 가이드(34)는 도어의 직경 대비 3.5% 수준일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이란 아우터 프레임(14)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지나는 반경방향 중심선을 따라 장착 가이드(34)의 외주면 직경(D1; Outer Diameter)과 내주면 직경(D2: Inner Diameter)의 차이의 절반을 의미한다. 즉, 장착 가이드(34)의 폭 W=(D2-D1)/2 이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은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은 1.5mm~6.0mm일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1)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3.2mm)를 고려하여 최소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1)이 너무 지나치게 작으면, 금형의 해상도 관리가 되지 않아 성형하기가 불가능하다.
여기서, 장착 가이드(34)의 폭(W1)의 최소값은 도 10의 단면도에서 장착 가이드(34)의 상부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폭(W1)을 의미한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2)은 최대 6.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가이드(34)의 폭(W2)이 너무 지나치게 크면, 플라스틱 성형 시 수축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장착 가이드(34)의 정확한 치수 관리가 어렵게 된다.
또한. 장착 가이드의 폭이 너무 지나치게 크면, 외관 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여기서, 장착 가이드(34)의 폭(W2)의 최대값은 도 10의 단면도에서 장착 가이드(34)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크(37)의 외주면과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거리)을 의미한다.
장착 가이드(34)는 내주면부(345), 전방면부(342), 라운드부(343) 및 경사면부(344)로 구성되어, 아우터 프레임(14)의 최외곽부를 형성할 수 있다.
내주면부(345)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방면보다 도어의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방면은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방면이 부착되는 평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내주면부(34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다.
내주면부(34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방향으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보다 더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면부(342)는 아우터 프레임(14)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전방면부(342)는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는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전방면부(342)와 경사면부(344)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충격을 분산시킴으로, 외부 충격에 의한 장착 가이드(34)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전방면부(342)보다 아우터 프레임(1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라운드부(343)는 전방면부(342)의 외측 끝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기설정된 곡률을 갖고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343)는 원둘레를 4등분할 때 한 개의 4분 원둘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부(344)는 라운드부(343)에서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부(344)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전방면부(342)에서 경사면부(344)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면부(342), 라운드부(343) 및 경사면부(344)는 하나의 장착 가이드(34)를 형성한다.
전방면부(342), 라운드부(343), 및 경사면부(344) 각각은 반경방향의 폭과 해당 부분 각각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 가이드(34)의 각 부분에서의 반경방향의 폭은 전방면부(342)에서 경사면부(344)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면부(342)의 반경방향의 폭은 전방면부(342)의 외주단과 내주면부(345)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다.
라운드부(343)의 반경방향의 폭은 라운드부(343)의 외주단과 전방면부(342)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다.
경사면부(344)의 반경방향 폭은 경사면부(344)의 외주단과 라운드부(343)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이다.
다만, 도 10에서 장착 가이드(34)의 단면을 참조하면, 라운드부(343)의 원호 길이는 전방면부(342)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또한 경사면부(344)의 경사진 방향의 길이는 전방면부(342)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한편,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부(345)로부터 장착 가이드(34)의 각 부분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전방면부(342)에서 경사면부(344)로 갈수록 더 크다.
즉, 내주면부(345)와 경사면부(344)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은 내주면부(345)와 전방면부(342)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크다.
또한, 내주면부(345)와 라운드부(343)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은 내주면부(345)와 전방면부(342)의 외주단 사이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크다.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 정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는 장착 가이드(34)의 내주면부(345)의 돌출 길이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가 너무 지나치게 짧을 경우에 외부 충격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 가해질 수 있고,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 직선부(202)와 복수의 곡선부(201,203)가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복수의 곡선부(201,203)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방면과 연결되는 제1곡선부(201)와,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방면에 연결되는 제2곡선부(20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곡선부(201,203) 각각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곡선부(201)는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곡면 형태로 연장됨으로써,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 글라스 대비 프런트 글라스(2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 가이드(34)는 제1곡선부(201)를 덮지 않고, 직선부(202) 및 제2곡선부(203)를 덮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도어 프레임(13)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장착 가이드(34)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되게 하면서 도어 프레임(13)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제2곡선부(203)는 제1곡선부(201)와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곡선부(201)와 제2곡선부(203) 중 어느 하나의 곡선부가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방을 향하든지 혹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후방을 향하든지 방향에 상관없이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20)의 설치 및 조립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직선부(202)는 제1 및 제2곡선부(201,203)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곡선부(201,203)와 각각 연결된다. 제1곡선부(201), 직선부(202) 및 제2곡선부(203) 각각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1/3일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제2곡선부(203)와 직선부(202)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테두리부에서 장착 가이드(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링 형태로 연장되어, 내부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 가이드(34)는 기설정된 내경을 가지며, 원형을 이룬다. 장착 가이드(34)의 내경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경에 대응되어,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 영역(21)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21)은 반투광 영역(21)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투광 영역(21)은 아우터 프레임(14)의 개구부(18),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 및 도어 윈도우(23)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광 영역(21)을 통해 의류수용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투광 영역(21)의 중심은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개구부(18)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라 함은 중심의 완전한 일치뿐만 아니라, 중심의 편심방향이 같은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은 일치할 수도 있고, 투광 영역(21)의 편심된 방향이 개구부(18)의 편심된 방향과 같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8)의 중심이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투광 영역(21)의 중심도 프런트 글라스(2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 것을 보여준다. 이때,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은 일치할 수도 있다.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불투광 영역(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유리 자체가 검정색으로 보일 수 있다.
불투광 영역(22)은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 및 도어 프레임(13)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광 영역(21)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22) 사이의 경계선은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투광 영역(21)에서 불투광 영역(22)으로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의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은 투광 영역(2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평면부(15)와 곡면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평면부(1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접촉되며, 평면부(15)의 일부는 불투광 영역(2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5)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프런트 글라스(20)가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 전면에 접착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홈(43)이 평면부(15)의 전면에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접착제 충전홈(43)에 수용되며,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은 접착제에 의해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접착제 충전홈(43)에 충전될 때 접착제 충전홈(43)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넘칠 수 있다. 접착제 충전홈(43)으로부터 넘치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해, 접착제 충전홈(43)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접착제 넘침홈(441,442)이 링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접착제 충전홈(43)과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착제 충전홈(43) 및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평면부(1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은 평면부(15)의 접착제 충전홈(43) 및 접착제 넘침홈(441,44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제1접착제 넘침홈(441)과 제2접착제 넘침홈(4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접착제 넘침홈(441)은 접착제 충전홈(43)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착제 넘침홈(442)은 접착제 충전홈(43)의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은 접착제가 충전홈(43)에서 충전 후 넘칠 때 접착제를 수용된다.
평면부(15)의 하측에 복수의 물빠짐 홀(48)이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 또는 습기가 물빠짐 홀(48)을 통해 도어(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곡면부(16)는 평면부(15)의 내측단에서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 외측 둘레를 향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내측 부분과 곡면부(16)는 투광 영역(2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곡면부(16)의 반경방향 내측에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최외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장착 가이드(34)가 평면부(15)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 테두리가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과 외주면에 도금층(17)이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의 전체 표면에 도금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7)은 은색 광택의 금속 색깔을 아우터 프레임(14)에 입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도금층(17)은 밝은 은색에 의해 원형의 물방울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금층(17)은 육안으로 볼 때 고급감 등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 윈도우(23)를 통해 드럼 등 의류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합성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사이에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과 이너 프레임(19)의 내측단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일부는 리세스부(103)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다른 일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는 리세스부(103)의 외측에 배치되되, 리세스부(103)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부는 리세스부(103)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의 전방부는 리세스부(103)에서 외측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너 프레임(19)의 외주의 후방부는 리세스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리세스부(103)으로부터 외측 전방으로 이격되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2)는 힌지 유닛(24)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 유닛(24)은 힌지(25), 힌지 홀더(28) 및 부시(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부(26)와, 베이스부(26)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힌지 홀더(28)는 도어 프레임(13)에 결합되어 회전 결합부(27)를 지지하여, 회전 결합부(27)가 도어 프레임(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시(29)는 회전 결합부(27)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2)의 일측에 힌지 유닛(24)이 장착되고, 도어(12)의 타측에 로킹 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로킹 유닛(30)은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유닛(30)은 샤프트(31), 도어 래치(32)(; door latch) 및 스프링(3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는 도어 래치(3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33)은 도어 래치(32)의 회전 시 원복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래치(32)는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및 원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도어(12)의 후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어(12)가 의류 투입구(102)를 닫도록 본체(10)의 전면 패널(101)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VI-V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VII-VII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아우터 프레임(14)과 손잡이(35)가 형성된 이너 프레임(19) 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4의 이너 프레임(19)을 전방에서 바라보며, 손잡이(35)에 후크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컨트롤 유닛이 전면 패널(101)의 상측으로부터 제거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손잡이(35)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5)를 잡아당김으로 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은 곡면 형태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12)에 손잡이(35)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손잡이가 도어의 앞쪽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어(12)의 전방면을 덮도록 프런트 글라스(20)가 구비되어 있어서, 프런트 글라스(20)에 손잡이(35)를 설치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손잡이(35)는 프런트 글라스(20)로 인해 도어(12)의 전방면에 구비되지 못하고, 도어(12)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에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12)를 잡아당기기가 용이하도록, 손잡이(35)는 도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손잡이(35)가 도어(12)의 하부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손잡이(35)를 잡아당기기 위해 허리 및 무릎을 더 많이 굽혀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힌지 유닛(24)과 로킹 유닛(30)은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따라 도어 프레임(1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중심선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손잡이(35)는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로킹 유닛(30)보다 더 높게 도어 프레임(1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5)는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로킹 유닛(30)보다 더 높게 오른쪽 상부에, 즉 도어 프레임(13)의 시계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1시에서 3시 방향 사이의 구간에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서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손잡이(35)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고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도어(12) 닫힘 시 본체(10)의 전방에서 볼 때 손잡이(35)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외주부에 비해 전방으로 함몰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손잡이(35)로 집어넣기가 용이하고, 손잡이(35)의 위치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에 각각 후크(37,36)가 형성된다.
후크(37,36)는 아우터 프레임(14)에 구비되는 제1후크(37)와 이너 프레임(19)에 구비되는 제2후크(3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 및 제2후크(36)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는 아우터 프레임(14)에서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장착 가이드(3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후크(37)는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장착 가이드(3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와 제1후크(37)는 연장부(34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연장부(341)는 장착 가이드(34)에서 제1후크(37)로 연장된다. 연장부(341)는 장착 가이드(34)에서 제1후크(37)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연장된다. 연장부(341)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장착 가이드(34), 제1후크(37) 및 연장부(341) 각각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34), 연장부(341) 및 제1후크(37)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면을 하나의 곡면 형태로 형성하고, 이너 프레임(19)을 덮어서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이너 프레임(19)을 가림으로, 도어(12)의 외관이 미려해진다. 장착 가이드(34), 연장부(341) 및 제1후크(37) 각각은 주름 혹은 단차가 없이 장착 가이드(34)에서 제1후크(37)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후크(37)와 제2후크(36)는 서로 반경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후크(37)는 제2후크(36)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2후크(36)는 제1후크(37)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단과 제2후크(36) 사이에 장착홈(19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크(36)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장착홈(191)의 반경방향 높이는 제1후크(37)의 두께 대비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상호 체결 후 제1후크(37)의 외주단과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단 사이에 단차가 없어짐으로 도어(12)의 외관이 미려해진다.
제1후크(37)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에서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후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후크(37)의 내주면에서 후크돌기(371)가 제2후크(36)를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크(36)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에서 아우터 프레임(14)을 향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후크(36)의 외주면에서 후크돌기(361)가 제1후크(37)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1후크(37)와 제2후크(36) 각각의 단부에 후크돌기(371,361)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는 축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후크돌기(371,361)는 제1후크(37)와 제2후크(36)가 서로를 향하여 결합하기는 쉬우나 반대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 각각은 체결 전에 서로 맞닿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반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체결 후에 서로 맞닿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은 후크돌기(371,361) 각각의 정점을 기준으로 후크돌기(371,361)의 기울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바뀐다.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의 기울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체결 전 서로 마주보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1경사면은 체결 후 서로 마주하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2경사면에 비해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체결후 서로 마주하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2경사면은 체결 전 서로 마주하는 각 후크돌기(371,361)의 제1경사면보다 기울기가 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후크(37)와 제2후크(36)는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후크돌기(371,361)끼리 맞물리게 결합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쐐기형 후크돌기(371,361)는 제1후크(37)와 제2후크(36)가 서로를 향하여 결합하기는 쉬우나 제1후크(37) 또는 제2후크(36)의 파손이 없는 한 반대방향으로 서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을 체결하기 위해 제1후크(37)와 제2후크(36)가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체결 전 후크돌기(371,361) 상호간의 이동저항은 줄이고, 제1후크(37)와 제2후크(36)의 체결 후 후크돌기(371,361)가 서로 제2경사면끼리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고하중의 프런트 글라스(20)를 지지하고,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후크 체결 구조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에 탄성홈(38)과 압착부를 구비한다.
압착부는 복수의 압착리브(39), 연결리브(40) 및 지지리브(4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홈(38)은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서제1후크(37)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8)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의 배면에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파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8)은 제1후크(37)의 내측에서 평면부(15)를 두께방향으로 더 파이게 구성하여, 제1후크(37)의 두께가 얇아지게 함으로써, 제1후크(37)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후크(36)가 제1후크(37)의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진입 시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가 서로 맞닿으면서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려짐으로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가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 안쪽으로 진입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가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의 최고정점을 지나면서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 상호 간에 반경방향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제1후크(37)는 변형된 위치에서 본래 위치로 복원되어, 제1후크(37)의 후크돌기(371)와 제2후크(36)의 후크돌기(361)는 서로 맞물리게 체결된다.
평면부(15)의 배면에 복수의 압착리브(39)가 형성될 수 있다. 압착리브(39)는 평면부(15)의 배면에서 제2후크(36)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제1후크(37)와 제2후크(36)의 체결 시 제2후크(36)를 압착하도록 이루어진다. 압착리브(39)는 평면부(15)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착리브(39)는 제1후크(37)와 제2후크(36) 간의 체결 시 제2후크(36)의 내주면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압착한다. 이에 따라, 제2후크(36)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리지 않음으로, 제1후크(37)와 제2후크(36) 각각의 후크돌기(361,371)가 서로 체결된 후 서로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리브(39)는 제2후크(36)를 압착함으로써,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압착리브(39)는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서 탄성홈(38)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압착리브(39)의 후면에 진입안내면(391)이 탄성홈(38)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진입안내면(391)은 제2후크(36)의 이동을 안내하여 압착리브(39)와 제1후크(37) 사이로 제2후크(36)가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입안내면(391)은 제2후크(36)가 제1후크(37) 안쪽으로 진입하기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 연결리브(40)가 후방향으로 돌출되고, 링 형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리브(40)는 복수의 압착리브(39)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리브(40)는 평면부(15)의 배면에서 제1접착제 넘침홈(441)의 반대측으로부터 이너 프레임(19)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리브(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접착제 넘침홈(441)과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리브(40)는 접착제 넘침홈(441)으로 인해 평면부(15) 일측의 두께가 얇아짐으로 강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강해 줄 수 있다.
탄성홈(38)은 연결리브(40)와 제1후크(3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8)은 연결리브(40)로부터 제1후크(37)로 갈수록 평면부(15)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배면에 복수의 지지리브(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사다리꼴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1) 각각의 일측면은 평면부(15)에 배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리브(41)의 일측면에 수직한 외측면이 연결리브(40)에 일체로 연결되어,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연결리브(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리브(41)의 일측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리브(41)의 타측면은 평면부(15)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연결리브(40)의 내측면과 평면부(15)에 수직하게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리브(40)와 압착리브(39)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압착리브(39)와 복수의 지지리브(41)는 연결리브(40)를 사이에 두고 연결리브(40)의 내측과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1)는 평면부(15)의 배면에서 접착제 충전홈(43)과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리브(41)는 접착제 충전홈(43)으로 인해 평면부(15)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평면부(15)의 후면에서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441,442) 중 접착제 충전홈(4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접착제 넘침홈(442)의 반대측에 보강리브(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42)는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제2접착제 넘침홈(44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리브(42)는 접착제 넘침홈으로 인해 평면부(15)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일부분으로서, 이너 프레임(19)의 외곽부 중 손잡이(35)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다. 손잡이(35)가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37)의 외측면을 축방향으로 덮지도 않는다.
이로 인해, 손잡이(35)와 아우터 프레임(14) 간의 후크 체결구조는 이너 프레임(19)과 아우터 프레임(14) 간의 후크 체결구조와 다소 차이가 있다.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손잡이(35)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5)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후크(47) 각각은 원주방향으로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반경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 내측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손잡이(35)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이 서로 체결될 때 손잡이(35)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후크(46)의 일측 모서리에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챔퍼부(461: chamfer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46)의 타측에 접촉부(462)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의 제2후크(47)의 일측 모서리에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챔퍼부(471)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의 제2후크(47)의 타측에 접촉부(472)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이 전후방향(축방향)으로 서로 체결 시, 챔퍼부(461,471)는 서로 맞닿아 손잡이(35)의 제2후크(47)가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의 내측으로 진입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아우터 프레임(14)과 손잡이(35)의 체결 후에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 각각의 접촉부(462,472)가 거의 수직하게 맞닿아 있어서 서로 탈거하기가 불가능하다.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 배면에 탄성홈(38)이 두께방향으로 파여지게 형성되어, 제1후크(46)가 제2후크(47)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 시 제1후크(46)는 탄성홈(38)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2후크(36)는 챔퍼부(461,471)에 의해 제1후크(37)의 내측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게다가, 제1후크(37)와 제2후크(36)는 접촉부(462,472)에 의해 서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35)의 일측에서 보강리브(45)가 제2접착제 넘침홈(442)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42)는 제2접착제 넘침홈(442)의 반대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5)의 보강리브(45)는 제2접착제 넘침홈(442)으로 인해 평면부(15)의 두께가 얇아져서 평면부(15)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42)는 손잡이(35)와 평면부(1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함으로써, 손잡이(35)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보강리브(42)는 손잡이(35)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손잡이(35)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후크(46)의 접촉부(462)와 제2후크(47)의 접촉부(472) 상호 간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프레임(14)의 제1후크(46)와 손잡이(35)의 제2후크(47)의 체결 구조에 의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결합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본체 101 : 의류 투입구
11 : 컨트롤 유닛 12 : 도어
13 : 도어 프레임 14 : 아우터 프레임
15 : 평면부 16 : 곡면부
17 : 도금층 18 : 개구부
19 : 이너 프레임 191 : 장착홈
20 : 프런트 글라스 21 : 투광 영역
22 : 불투광 영역 221 : 얼라인 마크
23 : 도어 윈도우 24 : 힌지 유닛
25 : 힌지 26 : 베이스부
27 : 회전 결합부 28 : 힌지 홀더
29 : 부시 30 : 로킹 유닛
31 : 샤프트 32 : 도어 래치
33 : 스프링 34 : 장착 가이드
341 : 연장부 35 : 손잡이
36 : 제2후크 361 : 후크돌기
37 : 제1후크 371 : 후크돌기
38 : 탄성홈 39 : 압착리브
391 : 진입안내면 40 : 연결리브
41 : 지지리브 42 : 보강리브
43 : 충전홈 44 : 넘침홈
45 : 보강리브 46 : 제1후크
461 : 챔퍼 462 : 제1접촉부
47 : 제2후크 471 : 챔퍼
472 : 제2접촉부 48 : 물빠짐 홀

Claims (20)

  1.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0.1mm 내지 1.0mm 인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0.5mm ~0.7mm 인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의류처리장치.
  5.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의 폭은 1.5mm~6.0mm이고,
    상기 장착 가이드의 폭은 상기 장착 가이드의 외주면 직경과 상기 장착 가이드의 내주면 직경의 차이의 절반인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의 폭은 2.5mm ~4.5mm인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최외곽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내주면부;
    상기 내주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면부;
    상기 전방면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전방면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2.5mm이상이고,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경사면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4.5mm이하이고,
    상기 전방면부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라운드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2mm이하인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의 반경방향 폭, 상기 라운드부의 원호 길이 및 상기 경사면부의 길이 각각은 서로 다르고, 상기 라운드부의 원호 길이는 상기 전방면부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길고,
    상기 경사면부의 길이는 상기 전방면부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긴 의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 상기 라운드부 및 상기 경사면부 각각의 반경방향의 폭은 서로 다르고,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경사면부의 외주단까지의 반경방향 폭은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상기 전방면부의 외주단까지의 폭보다 더 큰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방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 충전홈이 형성되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평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를 덮는 의류처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부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를 덮는 의류처리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두께방향으로 전방에 형성된 제1곡선부와, 상기 제1곡선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부는 적어도 상기 직선부의 일부를 덮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직선부를 모두 덮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직선부에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두께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곡선부와 대칭되게 연장되는 제2곡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곡선부는 상기 내주면부로부터 개방되고,
    상기 내주면부는 상기 직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를 덮도록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전면과 후면이 각각 평면인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를 충전하는 접착제 충전부 구비하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충전부는,
    상기 접착제가 충전되는 접착제 충전홈; 및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접착제 충전홈을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부터 넘치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접착제 넘침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의류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주면과 틈새를 두고 배치되는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상기 이너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후크; 및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에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제2후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11873A 2019-02-01 2020-01-31 의류처리장치 KR10234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1531 WO2020159315A1 (ko) 2019-02-01 2020-01-31 의류처리장치
US17/422,672 US20220120024A1 (en) 2019-02-01 2020-01-31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64 2019-02-01
KR20190014064 2019-02-01
KR1020190058238A KR20200096040A (ko) 2019-02-01 2019-05-17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58238 2019-05-17
KR1020190128703 2019-10-16
KR1020190128703A KR20200096078A (ko) 2019-02-01 2019-10-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161A KR20200096161A (ko) 2020-08-11
KR102346449B1 true KR102346449B1 (ko) 2022-01-03

Family

ID=72048197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38A KR20200096040A (ko) 2019-02-01 2019-05-17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7328A KR102333382B1 (ko) 2019-02-01 2019-10-14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7330A KR102346444B1 (ko) 2019-02-01 2019-10-14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7998A KR102376059B1 (ko) 2019-02-01 2019-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8703A KR20200096078A (ko) 2019-02-01 2019-10-16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11872A KR102333383B1 (ko) 2019-02-01 2020-01-31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11873A KR102346449B1 (ko) 2019-02-01 2020-01-31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90172A KR102450183B1 (ko) 2019-02-01 2021-12-28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38A KR20200096040A (ko) 2019-02-01 2019-05-17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7328A KR102333382B1 (ko) 2019-02-01 2019-10-14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7330A KR102346444B1 (ko) 2019-02-01 2019-10-14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7998A KR102376059B1 (ko) 2019-02-01 2019-10-15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28703A KR20200096078A (ko) 2019-02-01 2019-10-16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11872A KR102333383B1 (ko) 2019-02-01 2020-01-3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172A KR102450183B1 (ko) 2019-02-01 2021-12-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90122B1 (ko)
JP (4) JP6894990B2 (ko)
KR (8) KR20200096040A (ko)
RU (4) RU272668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95189A1 (en) 2020-07-31 2023-09-21 Lg Chem, Ltd. Organozin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Chain Transfer Agent, Block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KR102600993B1 (ko) * 2021-07-19 2023-11-10 (주) 세명유리 유리패널의 장착구조
DE102022205165A1 (de) * 2022-05-24 2023-11-30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zum Pflegen von Gegenstände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206977V0 (it) * 1982-04-16 1982-04-16 Faini Spa Oblo' per macchine lavatrici.
JP2528360Y2 (ja) * 1992-09-30 1997-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987832B2 (ja) * 1996-07-10 1999-12-06 株式会社遠藤製作所 アイアン形ゴルフクラブ
IT241577Y1 (it) * 1996-12-02 2001-05-09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acchina per il lavaggio e/o l'asciugatura di biancheria
JP3995177B2 (ja) * 1998-11-04 2007-10-24 株式会社エーアンドエーマテリアル 無機質成形体及びその積み重ね方法
US7478502B2 (en) * 2003-08-14 2009-01-20 Gemtron Corporation Appliance doors
JP4339098B2 (ja) * 2003-12-05 2009-10-07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ー導入補助具
RU2355836C1 (ru) * 2005-04-15 2009-05-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борки
CN101074531A (zh) * 2006-05-19 2007-11-21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门
EP1860228A1 (en) * 2006-05-24 2007-11-28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fixing a front panel to a washing machine
KR20110013011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어셈블리
EP2718781B2 (en) 2011-06-13 2019-10-23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JP6013932B2 (ja) * 2013-02-12 2016-10-25 三甲株式会社 トレー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04975466B (zh) * 2014-04-09 2019-02-19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门体支撑结构及洗/干衣机
JP6318051B2 (ja) * 2014-08-28 2018-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10815598B2 (en) * 2015-05-22 2020-10-27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Door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JP6553449B2 (ja) * 2015-08-21 2019-07-3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708352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8355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U2015268668A1 (en) * 2015-12-11 2017-06-29 Electrolux Thailand Co., Ltd Lid Assembly
KR101988321B1 (ko) * 2016-04-01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JP2018110645A (ja) * 2017-01-10 2018-07-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WO2018138946A1 (ja) * 2017-01-26 2018-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のドア構造
KR20180089992A (ko) * 2017-02-02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8498B1 (ko) * 2017-06-14 2022-02-2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KR20180136102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KR20180136095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CN208293271U (zh) * 2018-03-07 2018-12-28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用门体组件和衣物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24490A (ja) 2020-08-20
KR20220004610A (ko) 2022-01-11
JP6978526B2 (ja) 2021-12-08
EP3690122A1 (en) 2020-08-05
KR102333383B1 (ko) 2021-12-03
RU2726684C1 (ru) 2020-07-15
KR102376059B1 (ko) 2022-03-21
EP3690122B1 (en) 2022-03-02
KR20200096160A (ko) 2020-08-11
KR20200096040A (ko) 2020-08-11
KR20200096078A (ko) 2020-08-11
KR20200096076A (ko) 2020-08-11
JP7033154B2 (ja) 2022-03-09
RU2723054C1 (ru) 2020-06-08
JP6894990B2 (ja) 2021-06-30
KR102450183B1 (ko) 2022-10-06
KR20200096075A (ko) 2020-08-11
RU2726686C1 (ru) 2020-07-15
JP2020124491A (ja) 2020-08-20
KR20200096077A (ko) 2020-08-11
KR102333382B1 (ko) 2021-12-03
JP2020124488A (ja) 2020-08-20
KR102346444B1 (ko) 2022-01-05
JP2020124489A (ja) 2020-08-20
KR20200096161A (ko) 2020-08-11
JP6906074B2 (ja) 2021-07-21
RU2734357C1 (ru)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44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95594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519412B (zh) 衣物处理装置
KR102333384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120024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2346443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519411B (zh) 衣物处理装置
AU202020054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2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EP4353897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