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14B1 -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 Google Patents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14B1
KR102346014B1 KR1020180090759A KR20180090759A KR102346014B1 KR 102346014 B1 KR102346014 B1 KR 102346014B1 KR 1020180090759 A KR1020180090759 A KR 1020180090759A KR 20180090759 A KR20180090759 A KR 20180090759A KR 102346014 B1 KR102346014 B1 KR 10234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elastic band
extensor
ban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716A (ko
Inventor
박형순
이한길
채상훈
한정석
이현수
변영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는 상부(upper part) 및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 및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에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본 발명은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하의에 관한 것이다.
뇌졸증과 퇴행성 관절염은 치매, 고혈압, 당뇨와 함께 5대 노인성 질환에 속한다. 특히, 국민건강 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국내 퇴행성 관절염 환자 수는 약 350만 명인데, 이는 국내 노인 인구의 약 80%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여가 활동과 스포츠 활동이 증가하면서 40-5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도 퇴행성 관절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관절염, 무릎 연골판 파열 등과 같은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은 물론이고 뇌졸증, 하지 근무력증 등과 같은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 역시도 스포츠 활동을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생활도 어렵게 만든다.
무릎 보조기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무릎 신전근을 보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사용자가 상기 보조 도구를 별도로 준비하고 착용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고, 시각적으로도 좋지 못하며, 보조 도구의 사용이 타인에게 노골적으로 드러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만족할만한 수준이 못되었다.
보조 도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성 밴드가 부착된 기능성 하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제안된 기능성 하의들은, (i) 탄성 밴드들의 부착 위치와 부착 방향이 부적절하고 (ii) 무릎 굽힘 동작(knee bending motion) 및/또는 무릎 폄 동작(knee stretching motion)시 하의가 탄성 밴드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탄성 밴드의 탄성 활용을 극대화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저하된 무릎 신전근 근력을 충분히 보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탄성 밴드의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을 최적화하고 탄성 밴드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하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무릎 신전근 보조를 위한 원동력인 탄성 밴드의 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로서,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를 포함하는 제1 말단을 갖는 상부(upper part); 및 상기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상부의 제2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전면부(front part);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된 배면부(r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제1 기본원단(basic fabric); 무릎영역(knee area)에 배치된 무릎 패드; 허리라인과 평행한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외측 경계(later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된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 및 상기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내측 경계(medi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된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을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가 제공된다.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 각각은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기본원단에 결합된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본원단은 상기 무릎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들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릎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 상기 무릎패드의 변형율(strain)은 0.15 내지 0.2 %일 수 있다.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릎패드는 원단일 수 있다.
상기 무릎패드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릎패드는 중앙홀(center hol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릎패드는 착용자의 무릎에 밀착될 수 있는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본원단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1 전방 종아리 밴드(front calf band); 및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는, 제2 기본원단;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비복근 영역(gastrocnemius area)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1 후방 종아리 밴드(rear calf band); 및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비복근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며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면 테이프(front tape);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rear tape);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 상기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중 하나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됨 -; 및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는 봉제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는,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둔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hip elastic band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는, 상기 둔부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앵커 테이프(anchor tape); 및 상기 제2 말단 상에 배치된 제2 앵커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는 치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앵커 테이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적어도 발의 앞부분(fore-foot)이 통과할 수 있는 풋홀(foot hole)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무릎 신전근 보조 기능을 접목시킴으로써 무릎 보조기와 같은 별도의 도구 사용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도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는, 무릎의 굽힘 및 폄 동작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는 탄성 밴드를 포함함으로써,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무릎 자체에 가해지는 체중을 줄여줌으로써 무릎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로 인한 낙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밴드의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을 최적화함으로써 무릎 폄 동작(대부분의 일상 생활에서 무릎 신전근의 근력이 요구되는 동작: 예를 들어, 계단을 오르거나 의자에 앉았다 일어날 때)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탄성 밴드의 탄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저하된 무릎 신전근 근력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신전근 보조 기능의 저하 없이도 하의에 부착되어야 할 탄성 밴드의 개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능성 하의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밴드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하의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무릎 신전근 보조를 위한 원동력인 탄성 밴드의 탄성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릎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V-V' 라인을 따른 전면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의(1000)는 상부(upper part)(1100)와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1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1100)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1110)를 포함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말단을 갖는다. 상기 허리 앵커 밴드(1110)는 착용자의 허리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착용자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상부(1100)의 제1 말단이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허리 앵커 밴드(1110)는 후술하는 외측 및 내측 탄성 밴드들(1213, 1214)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이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상기 상부(1100)의 제2 말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110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봉제라인(sewing line)(SL)을 따라 봉제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봉제를 통한 결합은 제조 공정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의 이용과 같이 다른 방식을 통해 상기 상부(1100)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110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이 결합되어 있다고 함은 상기 상부(110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 각각은, 적어도 발 앞부분(fore-foot)이 통과할 수 있는 풋홀(foot hole)(FH)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 각각은, 전면부(front part)(1210);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된 배면부(rear part)(12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210)는 제1 기본원단(basic fabric)(1211),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1213), 및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1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은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서 나일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스판덱스 섬유를 혼직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는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무릎 신전근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용자가 무릎을 굽혀 의자에 앉을 때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가 신장됨에 따라 이들의 상기 밴드들(1213, 121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어서, 의자에서 일어나기 위하여 무릎 신전근의 근력이 요구될 때 상기 탄성 밴드들(1213, 1214))의 탄성 에너지가 활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무릎 신전근 근력만으로도 착용자가 용이하게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무릎을 펴는 동작에 필요한 근력을 제공하는 근육(즉, 무릎 신전근) 중 주된 근육은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이며, 그 중에서도 외측 광근(vastus lateralis)과 내측 광근(vastus medialis)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는 개략적으로 외측 광근과 내측 광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
한편, 무릎 신전근의 근력을 보조할 수 있는 상기 탄성 밴드들(1213, 1214)의 탄성 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착용자가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날 때 상기 밴드들(1213, 1214)의 변형율(strain)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밴드들(1213, 1214)이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변형율'이라는 용어는 초기 길이(l0)에 대한 길이 변화량(Δl)의 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밴드들(1213, 1214)의 변형율이 최대가 될 수 있는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이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결정되었다. 즉, 실험용으로 제작한 신축성 하의의 무릎과 엉덩이 부분에 적외선 발광 마커들을 각각 부착한 후 기립 상태와 앉은 상태 각각에서 상기 마커들의 위치들을 파악함으로써, 고관절의 굴곡/신전 및 슬관절의 굴곡/신전 시 밴드들(1213, 1214)의 변형율이 최대가 될 수 있는 방향(즉, 최대 장력 방향)을 예측하여 상기 밴드들(1213, 1214)을 부착할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본 발명의 외측 탄성 밴드(1213)는, 허리라인과 평행한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무릎영역(knee area)으로부터 상기 상부(1100)를 향해 상기 전면부(1210)와 배면부(1220)의 외측 경계(lateral border)(1231)의 제1 지점(1231a)까지 연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내측 탄성 밴드(1214)는, 상기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1100)를 향해 상기 전면부(1210)와 배면부(1220)의 내측 경계(medial border)(1232)의 제1 지점(1232a)까지 연장된다.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는 상기 제1 기본원단(1211)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것인 한 그 재질이나 구조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 각각은 70 내지 90 중량%의 나일론과 10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이거나 고무 밴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 각각은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착 수단이 봉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들(1213, 1214)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접착제를 포함하여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다리부들(1200) 각각의 전면부(1210)는 무릎영역(knee area)에 배치된 무릎 패드(1212)를 더 포함한다. 무릎 폄 동작 시(즉, 슬관절 신전 시) 슬개골은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무릎을 펼 수 있게 해주는데, 이러한 슬개골에 대응하는 상기 무릎영역에 탄성을 갖는 무릎 패드(1212)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내측 탄성 밴드(1214)에 대한 앵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무릎의 안정감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무릎 패드(1212)는 무릎의 곡면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릎 패드(1212)는 무릎의 곡선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앵커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중앙홀(center hole)(CH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내측 탄성 밴드(1214)보다 높은 탄성 계수(예를 들어, 1500 내지 2500 N/m)를 갖고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 0.15 내지 0.2 %의 변형율(strai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제직을 통해 형성된 고탄성계수(1500 내지 2500 N/m)의 원단일 수 있다.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의 외면(outer surface) 상에 부착되어 외부에 노출되거나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의 내면(inner surface) 상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무릎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의 V-V' 라인을 따른 전면부(1210)의 단면도인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은 상기 무릎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들(1211a, 1211b)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무릎패드(1212)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1211a, 12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무릎 패드(1212)가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의도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및 외측 탄성 밴드들(1213, 1214)에 연결되어 앵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면부(1220)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AH)을 갖는다. 상기 배면부(1220)의 앵커홀(AH)이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착용자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다리부들(1200)이 다리를 따라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배면부(1220)의 앵커홀(AH)은 전술한 허리 앵커 밴드(1110) 및 무릎 패드(1212)와 함께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의 최대 변형율을 담보함으로써 탄성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중요한 인자이다.
본 발명의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보조 밴드들을 선택적 구성(optional elements)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210)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1231)의 제2 지점(1231b)까지 연장된 제1 전방 종아리 밴드(front calf band)(1215), 및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1232)의 제2 지점(1232b)까지 연장된 제2 전방 종아리 밴드(121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1220)는, 제2 기본원단(1221), 상기 외측 경계(1231)의 제2 지점(1231b)으로부터 비복근 영역(gastrocnemius area)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1 후방 종아리 밴드(rear calf band)(1222), 및 상기 내측 경계(1232)의 제2 지점(1232b)으로부터 상기 비복근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2 후방 종아리 밴드(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1215, 1216)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밴드일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더불어 무릎 신전근의 근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의 굴곡 시 비복근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다리부들(1200)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앵커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1215, 1216)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동일한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계수(즉, 300 내지 550 N/m)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1215, 1216)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접착제 또는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1211, 1221)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착 수단이 접착제 또는 봉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들(1215, 1216, 1222, 1223)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선택적 구성으로서 탄성 테이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210)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 사이에 위치하며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면 테이프(front tape)(1217), 상기 제1 기본 원단(12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1218a)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1218b)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1218), 및/또는 상기 제2 전면 테이프(1218)의 위 및/또는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121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1220)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rear tape)(1224), 상기 제2 전면 테이프(12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1225),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1219)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배면 테이프(1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면 테이프(1224)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로부터 상기 앵커홀(AH)까지 연장될 수 있다.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제1 전면 테이프(1217)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더불어 무릎 신전근의 근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전면 테이프들(1218, 1219)과 상기 제1 내지 제3 배면 테이프들(1224, 1225, 1226)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의 굴곡 시 상기 다리부들(1200)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앵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면 테이프들(1217, 1218, 1219)과 상기 제1 내지 제3 배면 테이프들(1224, 1225, 1226)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1211, 1221)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착 수단이 접착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의 무릎 신전근 보조 기능 및 앵커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은, 그 재질의 차이로 인해, 상기 기본원단들(1211, 1221)의 탄성계수(예를 들어, 50 내지 150 N/m)보다는 높고 상기 밴드들(1213, 1214, 1215, 1216, 1222, 1223)의 탄성계수(예를 들어, 300 내지 550 N/m)보다는 낮은 탄성계수(예를 들어, 200 내지 400 N/m)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1100)도 탄성 밴드 및/또는 탄성 테이프를 선택적 구성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1100)는, 고관절 신전근의 근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둔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hip elastic bands)(1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관절 굴곡 시 상기 둔부 탄성 밴드들이 늘어나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고, 이 탄성 에너지가 고관절 신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둔부 탄성 밴드들(1120)은 70 내지 90 중량%의 나일론과 10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이거나 고무 밴드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가적 앵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1100)는 상기 둔부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앵커 테이프(anchor tape)(1130) 및 상기 제2 말단 상에 배치된 제2 앵커 테이프들(1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1120)은 상기 다리부들(1200)의 탄성 밴드들(1213, 1214, 1215, 1216, 1222, 1223)과 마찬가지로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은 상기 다리부들(1200)의 탄성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과 마찬가지로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1100)의 둔부 탄성 밴드들(1120)과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은 상기 상부(100)의 기본 원단에 봉제 및 접착제를 통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착 수단이 접착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둔부 탄성 밴드들(1120)과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의 고관절 신전근 보조 기능 및 앵커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탄성 테이프들과 관련하여 일부 상이한 점들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하의(2000)의 상부(2100)는 추가적 앵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치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2 말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앵커 테이프들(215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하의(1000)의 상부(1100)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의(2000)의 다리부들(2200) 각각의 전면부(2210)는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2217)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그 방향 측면에서 제1 실시예의 제1 전면 테이프(1217)와 상이하다. 즉,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실시예의 제1 전면 테이프(2217)와 달리, 제2 실시예의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2217) 중 하나는 외측 탄성 밴드(1213)의 중앙부로부터 내측 경계(1232)에 인접한 다리부(2220) 상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는 내측 탄성 밴드(1214)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경계(1231)에 인접한 다리부(2220) 상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2217)는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 사이에서 크로스됨으로써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의 굴곡 시 상기 다리부들(2200)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강력한 앵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리부(2200)의 전면부(2210) 및 배면부(2220)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제3 전면 테이프(1219) 및 제3 배면 테이프(1226)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앵커 테이프(2150) 및 제1 전면 테이프(2217)는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1100)가 제2 실시예의 다리부들(2200)과 결합되거나, 제2 실시예의 상부(2100)와 제1 실시예의 다리부들(12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1000, 2000: 하의 1100, 2100: 상부
1110: 허리 앵커 밴드 1120: 둔부 탄성 밴드
1130: 제1 앵커 테이프 1140: 제2 앵커 테이프
2150: 제3 앵커 테이프 1200, 2200: 다리부
1210, 2210: 전면부 1211: 제1 기본원단
1212: 무릎 패드 1213: 외측 탄성 밴드
1214: 내측 탄성 밴드 1215: 제1 전방 종아리 밴드
1216: 제2 전방 종아리 밴드 1217, 2217: 제1 전면 테이프
1218: 제2 전면 테이프 1219: 제3 전면 테이프
1220, 2220: 배면부 1221: 제2 기본원단
1222: 제1 후방 종아리 밴드 1223: 제2 후방 종아리 밴드
1224: 제1 배면 테이프 1225: 제2 배면 테이프
1226: 제3 배면 테이프
FH: 풋홀 AH: 앵커홀

Claims (22)

  1.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에 있어서,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를 포함하는 제1 말단을 갖는 상부(upper part); 및
    상기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상부의 제2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전면부(front part);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된 배면부(r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제1 기본원단(basic fabric);
    무릎영역(knee area)에 배치된 무릎 패드;
    허리라인과 평행한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외측 경계(later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됨으로써, 착용자의 외측 광근(vastus lateralis)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배치된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 및
    상기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내측 경계(medi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됨으로써, 착용자의 내측 광근(vastus medialis)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배치된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을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 각각은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기본원단에 결합된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인,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원단은 상기 무릎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들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를 가지며,
    상기 무릎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5. 제1항에 있어서,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 상기 무릎패드의 변형율은 0.15 내지 0.2 %인,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원단인,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중앙홀(center hole)을 갖고,
    상기 무릎패드는 착용자의 무릎에 밀착될 수 있는 곡면부를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원단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지며,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1 전방 종아리 밴드(front calf band); 및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제2 기본원단;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비복근 영역(gastrocnemius area)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1 후방 종아리 밴드(rear calf band); 및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비복근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를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며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면 테이프(front tape);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rear tape);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 상기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중 하나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됨 -; 및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봉제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과 결합된,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둔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hip elastic bands)을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둔부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앵커 테이프(anchor tape); 및
    상기 제2 말단 상에 배치된 제2 앵커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치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앵커 테이프들을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적어도 발의 앞부분(fore-foot)이 통과할 수 있는 풋홀(foot hole)을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KR1020180090759A 2018-03-23 2018-08-03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KR102346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081 2018-03-23
KR20180034081 2018-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716A KR20190111716A (ko) 2019-10-02
KR102346014B1 true KR102346014B1 (ko) 2022-01-03

Family

ID=6842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59A KR102346014B1 (ko) 2018-03-23 2018-08-03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435B1 (ko) * 2020-11-09 2022-10-12 (주)메디위너 코스메틱 섬유가 적용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102625294B1 (ko) * 2021-11-05 2024-0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족지 보행 교정용 컴프레션 팬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523A (ja) * 2006-12-28 2008-07-17 Advancing:Kk インナーウェア
JP2011144484A (ja) * 2010-01-15 2011-07-28 Charle Co Ltd 下肢矯正被服
WO2017177285A1 (en) * 2016-04-14 2017-10-19 Skins International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523A (ja) * 2006-12-28 2008-07-17 Advancing:Kk インナーウェア
JP2011144484A (ja) * 2010-01-15 2011-07-28 Charle Co Ltd 下肢矯正被服
WO2017177285A1 (en) * 2016-04-14 2017-10-19 Skins International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716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797B1 (ko)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JP4294598B2 (ja) タイツ
US4329982A (en) Orthotic foot assist apparatus
US8114042B2 (en) Orthotic lift apparatus
EP3518857A1 (en) Personal augmentation suit and method for assisted human motion
KR102346014B1 (ko)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JP4495674B2 (ja) 股付き衣類
CA2592010A1 (en) Rear balance walking shoes
JP4000254B2 (ja) 腰部負担軽減具
US20210212852A1 (en) Devise for the Support of Movement and Lifting Movement of the Human Body
US20120270708A1 (en) Training brac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CN109152652A (zh) 脊柱侧凸矫形器及其制造方法
CN113195175A (zh) 屈伸动作辅助装置
JP5486842B2 (ja) 衣料
JP6446529B1 (ja) アシストスーツ
WO2020189777A1 (ja) 運動用衣服
US20180078443A1 (en) Mechanical Lower Limb Assistive Device
JP4472577B2 (ja) スパッツ
JP5629807B2 (ja) 衣料
JP2006274510A (ja) 股付き衣類
KR20100125225A (ko) 상반신부용 의류, 하반신부용 의류, 및 연결형 의류
KR200351861Y1 (ko)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JP3213219U (ja) 足首サポーター
US11911331B2 (en) Leg brace and garment covering leg brace
US20240090616A1 (en)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