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832B1 -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 Google Patents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832B1
KR102345832B1 KR1020210096590A KR20210096590A KR102345832B1 KR 102345832 B1 KR102345832 B1 KR 102345832B1 KR 1020210096590 A KR1020210096590 A KR 1020210096590A KR 20210096590 A KR20210096590 A KR 20210096590A KR 102345832 B1 KR102345832 B1 KR 10234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centrifugal
hybrid
fluid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미
허면
Original Assignee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1009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와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는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중앙에 관통형성된 백 쉬라우드부,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상기 백 쉬라우드의 둘레까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원심베인, 상기 각 원심베인에서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전방을 일부 덮어 가리는 프론트 쉬라우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원심베인의 사이 마다 위치하며 상기 프론트 쉬라우드부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백 쉬라우드부에서 돌출형성되고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복수 개의 백 볼텍스베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물질 걸림을 최소화하고, 펌프양정 및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Hybrid type impeller that minimizes foreign matter jamming and submersible/centrifugal pump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와류와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동모터에 의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회전시켜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한다.
오폐수조에 설치되는 펌프는 유체에 이물질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통상 와류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볼류트 펌프를 설치하는 데, 볼류트 펌프의 특성상 이물질은 그대로 토출할 수 있다.
일례의 볼류트 펌프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1662호(2013.2.8.공고)에 "양정효율 및 토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임펠러가 구비된 펌프"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펌프는 유입구 및 토출구와, 수용부를 포함하는 펌프하우징; 및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원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파이럴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중심체 및 상기 회전날개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날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하우징의 수용부에 내장되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펌프는 임펠러의 회전날개들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날개의 길이가 증대되고, 동시에 각 회전날개의 높이를 높여 각 회전날개와 유체와의 마찰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펌프의 토출압을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펌프의 양정효율과 토출량을 향상시켜 펌프의 성능을 개선하며, 아울러 각 회전날개에는 원판 형상의 보강부재가 연결되어 각 회전날개와 중심체와의 연결부위에서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회전날개의 파단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펌프는 회전날개의 변형만으로 양정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어 양정의 증가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펌프는 임펠러와 케이싱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펌프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4545호(2010.4.21.공고)의 "개선된 임펠러를 구비한 원심펌프"에 날개 깃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고형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흡입되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부분도 필요한 데, 흡입력과 배출력이 서로 상충되면서 난류가 발생하여 펌프케이싱과 임펠러의 사이에 이물질의 배출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텍스베인과 원심베인을 함께 구성하여 와류와 함께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함으로써,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하고 유체의 토출력을 향상시켜 양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심베인에 프론트 쉬라우드부가 형성되어 원심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쉬라우드부와 백 쉬라우드부의 사이 간격이 둘레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토출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볼텍스베인이 이너 볼텍스베인, 아웃터 볼텍스베인, 백 볼텍스베인으로 구성됨에 따라 와류의 발생성능을 향상시켜 토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너 볼텍스베인과 백 볼텍스베인의 높이를 원심베인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에 유입차단베인이 형성되고, 펌프케이싱에는 유입차단베인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공간 및 유체공급관이 구성되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의 회전시 유입차단베인으로 외부의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의 끼임에 의한 펌프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는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중앙에 관통형성된 백 쉬라우드부,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둘레까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원심베인, 상기 각 원심베인에서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전방을 일부 덮어 가리는 프론트 쉬라우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원심베인의 사이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백 쉬라우드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회전 시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백 볼텍스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백 볼텍스베인이 상기 원심베인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론트 쉬라우드부에서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프론트 쉬라우드부에서 상기 백 쉬라우드부를 향해 돌출되는 이너 볼텍스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프론트 쉬라우드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아웃터 볼텍스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볼텍스베인은 상기 원심베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심베인의 높이는 상기 백 볼텍스베인의 높이와 상기 이너 볼텍스베인의 높이를 더한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쉬라우드부와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사이 간격은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높이도록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펌프케이싱, 및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동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는 상기 백 쉬라우드부에서 상기 펌프케이싱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유입차단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케이싱은 상기 백 쉬라우드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펌프케이싱의 외부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공간, 및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의 회전 시 상기 유입차단베인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백 쉬라우드부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유체공급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텍스베인과 원심베인이 함께 구성되어 볼텍스베인의 낮은 토출력을 원심베인이 보완함으로써, 기존의 볼류트펌프와 같이 이물질의 토출성을 가지면서 원심베인에 의해 토출력을 향상시켜 펌프의 양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 볼텍스베인, 아웃터 볼텍스베인 및 백 볼텍스베인이 함께 구성되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의 회전 시 와류의 발생성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토출력을 향상시켜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심베인에 프론트 쉬라우드부가 형성되어 원심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쉬라우드부와 백 쉬라우드부의 사이 간격이 둘레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유체의 토출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 볼텍스베인의 높이와 백 볼텍스베인의 높이의 합이 원심베인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너 볼텍스베인과 백 볼텍스베인의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하여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결합부에 대해 백 쉬라우드부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흡입된 유체가 직교된 방향으로 토출되는 각도를 완화시킴에 따라 유체의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와 펌프케이싱의 사이에 유입차단베인이 위치하고 유입차단베인으로 유체공급공간 및 유체공급관을 통해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와 펌프케이싱의 사이에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비한 수중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비한 원심펌프를 도시한 측단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의 평면도로서, 유입차단베인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구비한 수중·원심펌프의 하이브리드형 임펠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백 쉬라우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쉬라우드부(1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백 쉬라우드부(110)의 중앙에는 펌프모터(230)의 구동축(231)이 결합되는 축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백 쉬라우드부(110)와 축결합부(111)가 만나는 부분은 유체가 유연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곡면을 형성될 수 있다.
백 쉬라우드부(110)는 축결합부(111)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로 갈수록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백 쉬라우드부(1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면, 백 쉬라우드부(110) 중앙에서 둘레로 직교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각도가 완화되면서 유체의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원심베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원심베인(12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원심베인(120)은 백 쉬라우드부(110)의 곡면으로 형성된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원심베인(120)은 축결합부(111)를 중심으로 백 쉬라우드부(11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심베인(120)은 백 쉬라우드부(110)에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심베인(120)의 개수가 3개를 초과할 경우, 베인들(하기에 설명할 백 볼텍스베인(130)과 원심베인(120)을 포함)의 간격이 조밀해져 각 원심베인(120)에 이물질이 걸림 가능성이 높아지며, 원심베인(120)의 개수가 3개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발생하는 원심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이물질은 오니, 슬러리 등의 고형물 또는 협잡물일 수 있다.
원심베인(120)은 백 쉬라우드부(110)를 평면으로 바라봤을 때, 원심베인(120)의 일단은 축결합부(111)에 위치하고, 원심베인(120)의 타단은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으며, 원심베인(120)의 중앙부분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원심베인(120)은 중앙의 볼록한 부분을 중심으로 축결합부(111) 측에 위치하는 원심베인(120)의 부분과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 측에 위치하는 원심베인(120)의 부분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축결합부(111) 측의 위치하는 원심베인(120)의 부분의 곡률보다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 측에 위치하는 곡률이 더 작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심베인(120)은 축결합부(111)에서 백 쉬라우드부(110)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넓어지는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원심베인(120)은 판의 형태로 백 쉬라우드부(110)에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원심베인(120)은 마치 비행기 날개의 단면 형상과 같이, 임펠러(100)의 회전하는 방향과 마주하는 면과 그 반대방향의 면이 서로 다른 곡률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각 원심베인(120)에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평면으로 바라볼 때, 백 쉬라우드부(110)의 일부를 가리도록 판의 형태로 원심베인(1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유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이격되도록 원심베인(120)의 끝단에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원심베인(120)의 축결합부(111)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로 갈수록 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에 위치하는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끝단은 인접한 원심베인(120)과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어느 한 원심베인(120)과 인접한 원심베인(120)을 덮을 경우,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이물질이 걸리며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배출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의 배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끝단과 인접한 원심베인(120)의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원심베인(120)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가 하기에 설명할 볼텍스베인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원심베인(120)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와 볼텍스베인의 와류의 발생에 의한 유체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원심베인(12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유출을 최소화시켜 토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축결합부(111)에 대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일단에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타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측단면도 상에서 볼 때, 백 쉬라우드부(110)와 마찬가지로 축결합부(111) 측에 위치하는 일단보다 백 쉬라우드부(110)에 위치하는 타단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외측 테두리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축결합부(111)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끝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 간격은 유체가 유입되는 축결합부(111)의 부분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로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높여 토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바닥을 향해 설치되는 경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정지 시에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쌓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축결합부(111) 측으로 이동하여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축결합부(111)에 대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기울어진 각도보다 백 쉬라우드부(110)의 기울어진 각도를 더 각도를 더 작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로 갈수록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축결합부(111)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원심베인(120)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부(140)는 결합축에 위치하는 원심베인(120)의 끝단에서 원심베인(120)에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시작되는 끝단의 사이 간격을 이격시키는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가 흡입되는 동시에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쌓인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이물질이 흘러내리는 이물질배출부가 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백 볼텍스베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백 볼텍스베인(13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 시 회전하는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백 볼텍스베인(130)은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원심베인(120)과 마찬가지로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백 쉬라우드부(110)에 복수 개가 백 쉬라우드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백 볼텍스베인(13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중간 부분이 볼록한 곡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백 볼텍스베인(130)은 축결합부(111)에서 이격되어 백 쉬라우드부(110)의 미리 설정된 직경에서부터 백 쉬라우드부(110)의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백 볼텍스베인(130)은 원심베인(120)의 높이(H3) 보다는 낮은 높이(H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백 볼텍스베인(13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에 따라 직접적으로 유체와 접촉되어 와류를 발생하도록 평면상에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백 볼텍스베인(130)은 복수 개의 원심베인(120) 사이마다 위치할 수 있으며, 원심베인(120)의 사이마다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백 볼텍스베인(13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 시 와류를 발생할 수 있으며, 백 볼텍스베인(130)은 축결합부(111) 측에 위치하는 일단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 끝단으로 갈수록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심베인(120)의 사이에 복수 개의 백 볼텍스베인(130)이 형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백 볼텍스베인(130)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가려지지 않고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노출되는 백 쉬라우드부(110)의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하기에 설명할 이너 볼텍스베인(131)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백 볼텍스베인(130)이 유입되는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와류의 발생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이너 볼텍스베인(131)과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백 쉬라우드부(110)와 마주하는 면에서 백 쉬라우드부(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회전함에 따라 와류를 발생시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백 볼텍스베인(130)과 마찬가지로 중앙부분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 시 와류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축결합부(111) 측에 위치하는 일단에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둘레 끝단으로 갈수록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너 볼텍스베인(131)과 백 볼텍스베인(130)은 형성되는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각도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이물질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심베인(120)의 높이(H3)보다 낮은 높이(H1)로 형성되어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너 볼텍스베인(131)의 높이(H2)와 백 볼텍스베인(130)의 높이(H1)를 합하더라도 원심베인(120)의 높이(H3)를 더 높게 형성하여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측면상에서 바라볼 때, 백 볼텍스베인(130)과 이너 볼텍스베인(131)의 사이 간격이 이격됨으로써, 이물질의 토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원심베인(120)이 상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 시에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단부를 따라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백 쉬라우드부(110)의 중앙에 구동축(231)이 결합되는 축결합부(111)가 형성되며, 백 쉬라우드부(110)는 축결합부(111)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백 쉬라우드부(110)의 외측단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백 쉬라우드부(110)에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원심베인(120)이 구성될 수 있다.
원심베인(120)은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면에는 축결합부(111)를 중심으로 백 쉬라우드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원심베인(120)의 끝단에는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이격되는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원심베인(120)은 축결합부(111)에 일단이 위치하며 타단은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으며, 원심베인(120)은 중앙부분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원심베인(120)을 평면상으로 볼 때, 원심베인(120)에 대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백 쉬라우드부(110)를 일부 가리도록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평면상으로 볼 때,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측면상으로 볼 때, 백 쉬라우드부(110)와 마찬가지로 축결합부(111) 측에 위치하는 일단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 측에 위치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 간격은 축결합부(111) 측에서 백 쉬라우드부(110)의 외측 둘레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쉬라우드부(125)는 원심베인(120)에서 축결합부(111)와 이격된 부분에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일단이 이격되어 축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이격된 간격만큼의 반경을 갖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입구(211)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정지 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내측면에 쌓인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려 배출되는 이물질배출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원심베인(120)의 사이에는 와류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백 볼텍스베인(130)이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는 백 쉬라우드부(110)를 향해 돌출되며 백 볼텍스베인(130)과 함께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이너 볼텍스베인(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볼텍스베인(131)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를 따라 전체적 또는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심베인(120)의 높이(H3)는 이너 볼텍스베인(131)의 높이(H1)와 백 볼텍스베인(130)의 높이(H2)의 합보다는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이너 볼텍스베인(131)과 백 볼텍스베인(130)의 사이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유체와 마주하는 전방에 위치한 면에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과 마주하는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단부를 따라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단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면, 원심베인(120)에 의해 흡입부(140)로 유체가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원심베인(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로 진입하여 둘 사이의 둘레로 토출된다.
이때, 원심베인(120)의 원심력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는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의해 주변 유체들과는 구획되어 원심베인(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토출되며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를 지나는 유체는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압력이 증대되어 둘레로 토출되기 때문에 토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심베인(120)에 의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둘 사이의 둘레는 개방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그대로 유입되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서 노출되는 백 볼텍스베인(130)과 아웃터 볼텍스베인(133) 및 이너 볼텍스베인(131)이 함께 회전하면서 와류를 발생하고, 발생하는 와류는 둘레로 토출되어 이물질이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와류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께 흡입 및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적용한 수중펌프 또는 원심펌프일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 펌프케이싱(210), 및 펌프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적용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펌프케이싱(210)은 내부에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210)에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흡입부(14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유체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펌프케이싱(210)의 둘레에는 흡입된 유체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21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둘레 어느 한 지점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케이싱공간이 형성되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유압으로 변경하여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펌프모터(230)는 펌프케이싱(210)에 설치되어 구동축(231)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 결합되는 형태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펌프모터(230)는 구동축(231)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 의해 직결되거나, 축이음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펌프모터(230)는 연료를 소모하는 엔진 또는 전기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펌프모터(230)에 의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원심베인(120)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력이 작용하여 펌프케이싱(210)의 흡입구(211)로 유체가 흡입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는 원심베인(120) 뿐만 아니라, 백 볼텍스베인(130), 이너 볼텍스베인(131), 및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에 의해 유체가 와류가 발생하면서 유체의 흡입력도 함께 작용하여 펌프케이싱(210)의 흡입구(211)로 유체가 흡입된다.
이때,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도 함께 흡입되어 토출되는 데, 일부의 이물질은 백 볼텍스베인(130), 이너 볼텍스베인(131), 및 아웃터 볼텍스베인(133)에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 접촉되지 않고 그대로 토출되며, 나머지 일부의 유체는 원심베인(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백 쉬라우드부(110)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사이를 지나면서 압력이 증대되어 토출된다.
이때, 원심베인(120)측으로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더라도 백 쉬라우드부(110)와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둘레가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함께 토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원심베인(120)의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고, 백 볼텍스베인(130), 아웃터 볼텍스베인(133) 및 이너 볼텍스베인(131)에 의해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기 때문에 원심베인(120)의 높은 양정과 볼텍스베인의 이물질 걸림을 최소할 수 있으며, 볼텍스베인의 낮은 양정을 원심베인(120)이 보완하여 일반적인 볼텍스펌프에 비해 양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심베인(120)에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형성되어 일반적인 볼텍스펌프에 비해 펌프의 토출력을 향상시켜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흡입부(140)가 바닥을 향해 설치되는 경우, 펌프의 정지 시 중력에 의해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에 쌓인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와 백 쉬라우드부(110)의 사이 간격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둘레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토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펌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가 축결합부(111)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흡입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완화시켜 토출함으로써,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쉬라우드부(125)의 백 쉬라우드부(110)의 둘레가 개방되어 원심베인(12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이 걸림 없이 토출하여 이물질에 의한 펌프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심베인(120)의 높이(H3)가 백 볼텍스베인(130)의 높이(H1)와 이너 볼텍스베인(131)의 높이(H2)를 더한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이물질이 걸림을 최소화하여 펌프의 효율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백 볼텍스베인(130) 뿐만 아니라, 아웃터 볼텍스베인(133), 및 이너 볼텍스베인(131)이 형성되어 와류의 발생을 증대시킴으로써, 이물질의 토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와 펌프케이싱(210)의 사이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와, 펌프케이싱(210)에 특징이 있다.
도 6에서는 제2 실시예를 수중펌프에 적용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원심펌프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는 제1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에 유입차단베인(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차단베인(150)은 백 쉬라우드부(110)에서 펌프케이싱(210)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펌프케이싱(210)과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유입차단베인(150)은 원심베인(120)의 형태 또는 볼텍스베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차단베인(150)은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평면상에서 볼 때,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회전 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 내도록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는 방향을 행해 중간 부분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차단베인(150)은 백 쉬라우드부(110)에 축결합부(111)를 중심으로 백 쉬라우드부(110)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210)은 유체공급공간(215) 및 유체공급관(21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공급공간(215)은 유입차단베인(150)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중앙부분과 마주하는 펌프케이싱(21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함에 따라 유입차단베인(150)이 회전하면 유입차단베인(150)부의 중앙 부분 즉 축결합부(111)의 둘레로 유체의 흡입력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유입차단베인(150)부의 둘레에서는 유체의 토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와 펌프케이싱(210)의 사이에 난류가 발생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차단성이 하락된다.
이에 따라 유체공급공간(215)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유입차단베인(150)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여 유입차단베인(150)부의 둘레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펌프케이싱(210)과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공급관(217)은 펌프케이싱(210)의 외부에서 유체공급공간(215)으로 유체를 도입하도록 펌프케이싱(210)의 외부와 유체공급공간(215)을 직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펌프케이싱(210)에는 유체공급관(217)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유체공급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공급구에는 집수조의 외부에서 유체공급공간(215)으로 깨끗한 물을 도입할 수 있는 도입관이 연결되거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유체에서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유체공급공간(215)으로 제공함으로써, 유체공급공간(215)으로 도입되는 유체를 유입차단베인(150)에 의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와 펌프케이싱(210)의 사이로 토출하여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와 펌프케이싱(21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펌프모터(230)에 의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가 회전하면서 유입차단베인(150)에 의해 펌프케이싱(210)과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사이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력이 발생하고, 유입차단베인(150)에서 유체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유체공급공간(215)에서는 유체공급관(217)을 통해 외부에서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차단베인(150)으로 흡입되어 둘레로 토출되는 형태로 펌프케이싱(210)과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200)는 제1 실시예의 효과에 외부의 유체를 유입차단공간으로 공급하여 유입차단베인(150)을 통해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의 둘레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이브리드형 임펠러(100)와 펌프케이싱(210)의 사이로 이물질이 끼임에 따른 펌프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110: 백 쉬라우드부
111: 축결합부 120: 원심베인
125: 프론트 쉬라우드부 130: 백 볼텍스베인
131: 이너 볼텍스베인 133: 아웃터 볼텍스베인
140: 흡입부 150: 유입차단베인
200: 수중·원심펌프 210: 펌프케이싱
211: 흡입구 213: 토출구
215: 유체공급공간 217: 유체공급관
230: 펌프모터 231: 구동축

Claims (9)

  1.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중앙에 관통형성된 백 쉬라우드부,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둘레까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원심베인,
    상기 각 원심베인에서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전방을 일부 덮어 가리는 프론트 쉬라우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원심베인의 사이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백 쉬라우드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회전 시 와류를 발생하여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백 볼텍스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각 프론트 쉬라우드부에서 상기 백 쉬라우드부를 향해 돌출되는 이너 볼텍스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볼텍스베인이 상기 원심베인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론트 쉬라우드부에서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론트 쉬라우드부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아웃터 볼텍스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볼텍스베인은
    상기 원심베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베인의 높이는
    상기 백 볼텍스베인의 높이와 상기 이너 볼텍스베인의 높이를 더한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쉬라우드부와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사이 간격은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높이도록 상기 백 쉬라우드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8. 제1항에 기재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펌프케이싱, 및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동하는 펌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는
    상기 백 쉬라우드부에서 상기 펌프케이싱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유입차단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케이싱은
    상기 백 쉬라우드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펌프케이싱의 외부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공간, 및
    상기 하이브리드형 임펠러의 회전 시 상기 유입차단베인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백 쉬라우드부와 상기 펌프케이싱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펌프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유체공급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KR1020210096590A 2021-07-22 2021-07-22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KR10234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90A KR102345832B1 (ko) 2021-07-22 2021-07-22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90A KR102345832B1 (ko) 2021-07-22 2021-07-22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832B1 true KR102345832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90A KR102345832B1 (ko) 2021-07-22 2021-07-22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73B1 (ko) * 2023-05-02 2024-01-04 (주)정수플로우텍 날개가 분리된 효율형 펌프 임펠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651A (ko) * 2002-01-03 200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원심송풍기
JP2006097470A (ja) * 2004-09-28 2006-04-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KR20130104706A (ko) * 2012-03-15 2013-09-25 한세구 고효율 펌프 임펠러
JP2016065530A (ja) * 2014-09-26 2016-04-28 株式会社久保田鉄工所 インペラを備えたウォーターポンプ
KR101876162B1 (ko) * 2018-04-04 2018-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세레이션 구조가 적용된 원심 펌프 임펠러
JP2019203420A (ja) * 2018-05-22 2019-11-28 古河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ポンプおよび羽根車のバランス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651A (ko) * 2002-01-03 200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원심송풍기
JP2006097470A (ja) * 2004-09-28 2006-04-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KR20130104706A (ko) * 2012-03-15 2013-09-25 한세구 고효율 펌프 임펠러
JP2016065530A (ja) * 2014-09-26 2016-04-28 株式会社久保田鉄工所 インペラを備えたウォーターポンプ
KR101876162B1 (ko) * 2018-04-04 2018-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세레이션 구조가 적용된 원심 펌프 임펠러
JP2019203420A (ja) * 2018-05-22 2019-11-28 古河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ポンプおよび羽根車のバランス調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73B1 (ko) * 2023-05-02 2024-01-04 (주)정수플로우텍 날개가 분리된 효율형 펌프 임펠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876B1 (ko) 수중 분쇄 펌프
KR101148852B1 (ko) 원심 펌프
KR101562027B1 (ko)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EP1284368B1 (en) Diverter for reducing wear in a slurry pump
RU2002107204A (ru) Насос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и и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KR102345832B1 (ko)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원심펌프
US5102297A (en) Centrifugal pump with cavitation reducing propeller
US8182214B2 (en) Pond pump
KR102138825B1 (ko) 경사면이 형성된 날개를 구비한 스프르트 펌프
WO2005050024A1 (en) Multiple diverter for reducing wear in a slurry pump
KR101258091B1 (ko) 수중 그라인더 펌프
CN205823740U (zh) 使泵的吸入性能得以改善的吸入罩以及具备该罩的泵
KR101921266B1 (ko) 선회류 발생날개에 의해 흡입성능을 향상시킨 흡입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JP5654308B2 (ja) 水中ポンプ用羽根車及び水中ポンプ
KR102495315B1 (ko) 밸런싱홈에 의해 자기평형 기능을 갖는 축류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축류펌프
KR101204381B1 (ko) 수중 양수용 보조임펠러
JP3022845B2 (ja) サクションサンドポンプ
KR100526100B1 (ko) 자동차용 연료공급펌프의 임펠러 구조
KR102316724B1 (ko) 원심펌프
KR102574942B1 (ko) 연료 펌프용 임펠러
KR101404578B1 (ko) 원심펌프용 임펠러
JPH05321867A (ja) 混流羽根と遠心羽根を一体化した複合インペラー
WO2023002733A1 (ja) ポンプケーシングおよびポンプ
JP7398405B2 (ja) 立軸ポンプ
KR102431914B1 (ko)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