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478B1 -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478B1
KR102345478B1 KR1020190166800A KR20190166800A KR102345478B1 KR 102345478 B1 KR102345478 B1 KR 102345478B1 KR 1020190166800 A KR1020190166800 A KR 1020190166800A KR 20190166800 A KR20190166800 A KR 20190166800A KR 102345478 B1 KR102345478 B1 KR 10234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nure
useful microorganisms
loess
diatomaceous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565A (ko
Inventor
노도영
Original Assignee
노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도영 filed Critical 노도영
Priority to KR102019016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해당 분뇨를 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규조토, 황토 및 유용미생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0); 규조토 및 황토를 교반하면서 점성을 갖도록 하고 유용미생물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S200); 혼합된 조성물을 사각 형상으로 압출한 후 건조시키는 압출건조단계(S300); 압출된 조성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시키는 미생물투입단계(S4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removing odor of livestock manure}
본 발명은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해당 분뇨를 비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사농가에서는 필연적으로 분뇨가 발생하기 마련이고 그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생산농가와 주변 주민 사이에 악취 민원을 유발하는 근원일 뿐 아니라 수질 및 토양 오염 등 이차적인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반해 농가들에 보급되는 기술시설은 그 농가의 토양 특성 내지 농주의 노력 정도에 따라 악취처리 능력이 다르게 나타나며, 모든 시설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운영되는 특성상 악취의 완벽한 방지나 획기적인 저감 기술개발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분뇨 악취의 근원은 수분을 머금고 분뇨 내부에 잔존하는 암모니아로 인한 것이 대다수인바, 이를 제거하기 위해 농가들은 정기적으로 청소하거나 종래의 기술인 액상 악취 제거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위 액체형의 제거제는 분사 시 분뇨 내부로 침투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분뇨의 외면에만 잔존하여 악취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분뇨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등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므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아닌 잠시 차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연구가 존재하고 있는데, 가령 등록특허공보 제10-1537774호에 악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황산구리 수용액에 함유된 구리 및 황산이온을 유·무기산으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구리 및 황산이온의 피막형성을 통해 낮은 농도에서도 활성화된 구리 및 황산이온이 각종의 악취와 쉽게 결합하여 악취물질을 무취 성분으로 변화시켜 지속적인 제거에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악취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지 못할 뿐 아니라 결국 액상의 제거제로 구성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7774호 "악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축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의 암모니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해당 분뇨를 비료로 활용 가능한 형태의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규조토, 황토 및 유용미생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0); 규조토 및 황토를 교반하면서 점성을 갖도록 하고 유용미생물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S200); 혼합된 조성물을 사각 형상으로 압출한 후 건조시키는 압출건조단계(S300); 압출된 조성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시키는 미생물투입단계(S400);를 포함한다.
위 재료준비단계(S100)에서 유용미생물은 고초균, 광합성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이 조합된 것을 포함한다.
위 미생물투입단계(S400)는 유용미생물이 내부 수용되고 피막이 수분에 의해 녹는 캡슐을 압출된 조성물에 투입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위 광합성균은 로도박터(Rhodobacter)균으로 구성된다.
위 혼합물제조단계에서 규조토와 황토를 교반 시 죽초액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 캡슐은 압출된 조성물에 다수 개가 투입되되,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으면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축사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에서 악취의 근본적인 이화학적 성분들을 흡착 분해하여 악취를 장기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능 저하 시 비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축사 시설의 경제적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단계적 흐름 및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규조토, 황토 및 유용미생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0); 규조토 및 황토를 교반하면서 점성을 갖도록 하고 유용미생물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S200); 혼합된 조성물을 소형의 사각형태로 압출한 후 건조시키는 압출건조단계(S300); 압출된 조성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시키는 미생물투입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위 재료준비단계(S100)의 규조토는 습도가 높아지면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 상태가 되면 그와 상반되는 작용을 하면서 외부의 급격한 습도 변화를 억제하며 규조토의 미세구멍이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흡착 및 분해하고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흡착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규조토는 강알카리성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곰팡이 서식을 억제하는바, 해당 규조토를 살균 처리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이 제거되도록 하여 가축 사육 및 사육자의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 규조토를 준비한다. 또한, 해당 단계에서는 황토를 더 준비하는데, 황토는 반건조 지역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고 황토 한 스푼에는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순환작용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량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어 해당 탄산칼슘에 의해 황토를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고 수분이 투입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러한 황토는 동, 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면서 해독력, 습도 조절력, 온도 조절력, 통풍력, 흡수력, 항균력이 발휘한다.
위 규조토 및 황토와 함께 혼합될 유용미생물은 고초균, 광합성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이 조합된 것으로서 고초균은 퇴비발효 촉진 및 토양 중 유기물의 질소, 인, 칼륨, 칼슘의 용성 향상, 인산 및 질산 화합물 분해, 유해가스를 제거를, 위 광합성균은 축산 악취 발생 억제와 호기성 혐기성 등 유용 미생물 모두의 생존 증식에 도움 및 아조토박터, 효모, 유산균 등 영양균과 공생하면서 질소의 고정, 천연비료생산자 기능과 공기 중의 질소고정을 유도를, 위 효모군은 식물잔사 분해 능력, 아미노산, 비타민 등 작물성장질 다량 생산을, 위 유산균은 토양 유기물 분해와 각종 효소류와 비타민 등 영양물질 합성 공급으로 작물체질 약화방지, 항병성 인자 생성, 산소가 없이도 유기물 분해를 촉진을, 방선균은 다량의 상생물질 생성, 항진균 물질(탄저균, 잔디팻취균, 잿빛곰팡이) 생성 및 유기물 분해 촉진을 하는 각각의 작용을 한다. 즉, 유용미생물은 위 균들이 조합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상호간 공생하면서 각자 가진 효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특히 위 유산균은 로도박터(Rhodobacter)균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측정시간
(hr)
이산화탄소 감소율(%)
실시예 1 실시예 2
0 100 100
2 95 100
4 86 97.5
6 84 97.1
8 77 96.8
10 74 96
위 표 1의 실시예 1은 로도박터(Rhodobacter)균이 포함된 유용미생물이고 실시예 2는 로도박터가 포함되지 않은 유용미생물로서 로도박터(Rhodobacter)가 포함된 실시예 1은 시간이 경과할 수록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데 약 10시간이 지난 시점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약 25% 이상 감소시켰고, 실시예 2의 유용미생물은 그 효과가 약 4%의 감소에 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광합성균류 중 질소 고정 능력이 뛰어나고 특히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민류 등의 가스물질을 영양원으로 삼는 로도박터(Rhodobacter)균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본 단계에서 유용미생물 중 광합성균을 준비함에 있어 이를 로도박터(Rhodobacter)균으로 구성하여 분뇨의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기체분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위 혼합물제조단계(S200)는 앞서 설명한 규조토 및 황토, 유용미생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규조토와 황토를 교반할 때 황토 60~70 중량%, 규조토 10~20 중량%에 물 10~20 중량%를 투입하여 교반 시킬 수 있고, 분뇨에서 유출되는 대장균 등 유해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황토 60~70 중량%, 규조토 10~20 중량%, 물 5~10 중량%, 죽초액 5~10중량%로 투입하여 교반 시킬 수 있다. 위 죽초액은 숯가마에서 300~400도로 가열하여 대나무의 결정부분을 공기가 없는 상태 또는 제한된 상태에서 불완전 연소시키면 연기가 나오는데 이 연기를 냉각,액화,채취 시킨뒤 얻은 액체로 6개월간 장기 숙성시켜 얻는 것으로 유기산류로서 개미산, 초산, 나산, 페놀류로서 페놀, 크레졸, 카시레놀 등 카르보닐 성분, 벤조피렌, 디엘티에테르, 메틸알콜, 에탄올 등 200여종의 유기산과 미네랄 등 13종의 희유 원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황토 및 규조토, 유용미생물과 더불어 정화작용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혼합 중량 및 죽초액 투입에 대해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규조토 중량(%) 흡수율(%) 압축강도(MPa)
5 6 16
15 14 13
20 18 9
위 표 2와 같이 규조토의 중량%가 높아짐에 따라 혼합물의 흡수율이 높아지고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는 바, 이는 이후 축사시설에 살포되는 조성물이 분뇨를 원활히 흡수하도록 함과 더불어 사육 가축에 의해 파쇄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에 100 중량%를 기준으로 규조토의 중량을 20%로 설정한 다음 그 점성 및 원상을 유지하기 위한 황토 및 물 내지 죽초액을 투입할 수 있다.
측정시간(hr) 대장균(개/ml)
0 300
2 250
6 221
8 215
10 200
12 196
위 표 3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원균인 대장균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이 확인되는데 이는 죽초액이 조성물이 흡수한 분뇨의 그 내용물에 포함된 병원균에 대한 소독 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죽초액에 함유된 200여종의 유기산과 미네랄 등 13종의 희유 원소의 작용으로 병원균인 대장균을 소독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보면, 단순 물만 혼합하는 것보다 죽초액을 혼합하여 정화작용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악취제거 및 2차 오염을 적극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후, 위와 같이 교반된 조성물에 기준비된 유용미생물을 더 혼합하여 유용미생물이 조성물 전체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분뇨 내부와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지 않더라도 분뇨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정화작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조성물 표면에 닿는 분뇨에 유용미생물이 침투될 수 있다.
위 단계를 수행한 조성물은 압출건조단계(S300)에서 소형의 사각형태로 압출되면 잔존하는 수분 증발을 위해 건조를 시키는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는 규조토의 수분흡수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해당 단계를 수행하면 고체의 형태를 갖는 조성물이 제조되고 해당 조성물은 종래의 액체형태의 조성물 보다 장기간 분뇨의 흡수 및 분해 등을 할 수 있다. 이 때, 고체의 조성물 전체적으로 미생물이 분포되어 있으나 압출과정 및 건조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조성물의 표면에는 단위 면적당 유용미생물 분포가 줄어들 수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압출된 조성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시키는 미생물투입단계(S400)가 진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미생물투입단계(S400)는 내부에 유용미생물을 수용되어 이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통해 분사시키거나, 별도로 유용미생물이 내부 수용되고 피막이 수분에 의해 녹는 캡슐을 압출된 조성물에 투입시킬 수 있는 바, 해당 캡슐은 통해 분뇨의 수분 내지 가축 폐수를 조성물이 흡수하면 해당 수분으로 인해 피막이 녹으면서 캡슐에 수용된 미생물이 방출됨에 따라 효과적인 정화작용 및 악취제거를 할 수 있다. 위 캡슐은 조성물 상에 다수 개가 투입될 수 있고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으면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고체 조성물이 분뇨를 흡수할 때 캡슐 피막이 적절히 녹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다수 개의 캡슐이 소정의 간격을 갖으면서 배치됨에 따라 미생물의 순차적 방출이 유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화작용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어 유지·보수 측면에 이점을 가져다준다.
이하, 앞서 설명한 단계적 흐름과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재료준비단계(S100), 혼합물제조단계(S200), 압출건조단계(S300), 미생물투입단계(S400)가 순차적 실시되어 소형의 사각형 고체의 조성물이 제조된다. 소형의 사각형으로 제조됨으로써 사육 가축에 의한 압력이 정확히 가해져 적절히 파쇄될 수 있다. 즉, 해당 조성물은 축사 시설에 살포되어 지면에 안착되는데 이 때, 규조토와 황토의 특성인 흡수성으로 인해 축사 시설 지면에 잔존하는 분뇨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사육 가축이 밟는 압력으로 인해 고체의 조성물이 파쇄되고 파쇄된 조성물이 분뇨와 뒤엉켜 혼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용미생물로 인한 정화작용이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며 정화작용의 기능이 저하되면 비료로 활용될 수 있어 분뇨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위 조성물의 이점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해당 조성물을 축사 시설에 살포시킨 후 돼지분뇨의 흡수를 유도하여 암모니아(NH₃) 저감 능력을 확인해 보았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측정시간(hr) 실시예 1 실시예 2
0 2 2
1 3 7
2 3.4 11
3 3.7 13
4 4 15
5 4.5 16
6 4.5 18
위 표 4의 실시예 1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 2는 황토 및 규조토로만 구성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건대, 실시예 1은 측정시간이 도과함에 따라 암모니아(NH₃) 수치 증가가 급등하지 않았고 실시예 2는 지속적으로 급등하는 수치를 보여줌에 따라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수치 상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일정 시간이 도과한 후 유용미생물 및 황토, 규조토 작용이 더욱 더 활발해짐에 따라 암모니아 수치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황토 및 규조토의 흡수력에 의해 분뇨가 흡수된 다음 황토에 효소에 존재하는 카타라아제, 지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 다수의 물질에 의한 독소제거, 분해, 정확작용이 발현됨과 동시에 규조토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질 흡착 분해 작용이 발현 및 유용미생물의 분해작용 그리고 죽초액에 의한 소독작용, 총 3차례의 소독 및 정화작용이 실시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은 실시예 2에 비해 50% 이상의 저감된 수치를 보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암모니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 실시예 1은 축사 시설 내 악취의 근본적 원인인 암모니아 제거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위와 같이 실시되는 것 외 일반적 돈사에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바, 위 돈사는 개방형으로 되어 가축 돼지의 분뇨가 모이는 공간이 존재하는데 해당 공간에 유용미생물이 내부 수용되고 피막이 수분에 의해 녹는 캡슐이 투입된 조성물을 살포하면 캡슐의 피막이 분뇨에 의해 녹아들면서 유용미생물이 방출된다. 이를 보다 단계적으로 설명하자면, 돈사에 분뇨 배출 공간에 미리 살포되어 있거나 해당 공간에 분뇨가 일정 이상 초과 함집되어 있을 때 조성물을 살포할 수 있다. 미리 살포된 경우라면 상방에서 낙하하는 분뇨가 조성물과 흡착되면서 분뇨의 수분이 황토 및 규조토의 특성으로 흡수되어 조성물에 함유된 유용미생물에 의해 1차 정화작용이 발현된다. 이때 캡슐이 투입된 조성물이 살포될 수 있으며, 이는 위 1차 정화작용과 동시에 조성물에 투입된 캡슐의 피막이 녹아 캡슐의 유용미생물이 방출됨에 따른 2차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은 분뇨의 수분함량에 따라 시간차를 갖고 단계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장기간 정화작용이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분뇨가 함집되어 있을 때 조성물을 살포한다면, 위 캡슐이 다수 개가 투입되되,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갖으면서 배치된 조성물이 살포될 것이다. 즉, 함집된 분뇨들은 상당 시간이 도과함에 따라 수분이 증발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조성물의 흡수하는 수분의 양이 적절하지 않아 캡슐 피막이 녹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등간격으로 다수 개 캡슐이 배치된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위 한계상황을 미연에 제거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순차적 정화작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 개의 캡슐 중 피막이 녹지 않은 일부 캡슐들이 향후 함집될 분뇨의 정화작용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압출건조단계(S300)을 통해 황토, 규조토 및 유용미생물이 혼합된 소형의 고체 형태로 조성물이 제조되는데, 이러한 소형의 고체 형태의 조성물은 부피가 작아 이를 전국의 축사 등에 운송시 운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의 유용미생물 정화작용은 외부 온도에 따라 그 효율성이 달라지고, 외부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해당 미생물들의 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토 및 규조토의 단열, 보온, 보냉 기능에 의해 외부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환경 속에도 유용미생물의 활성 저하를 적극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 정화작용이 실시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이 동시 내지 순차적 정화작용이 진행된 이후에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축사 시설 사육자의 경제적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해당 이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황토 및 규조토는 비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므로 고초균, 광합성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으로 조합된 유용미생물의 정화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료로서 활용되는 경우라도 유용미생물의 활성이 저하될 뿐 활성이 없는 것은 아니므로 약한 정화작용 및 유기물 분해, 공기 중의 질소고정, 퇴비발효 촉진 작용들이 지속되어 사육자가 유지관리를 위해 소모하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는 크나큰 이점이 있다. 종국적으로 본 발명이 제시한 단계를 수행한 조성물은 축사 시설에서 발생하는 분뇨에 관한 경우의 수 모두에 대응할 수 있어 축사 시설 관리의 편의성 및 축사 시설의 환경개선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 재료준비단계 S200 : 혼합물제조단계
S300 : 압출건조단계 S400 : 미생물투입단계

Claims (3)

  1. 규조토, 황토 및 유용미생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0)와, 규조토 및 황토를 교반하면서 점성을 갖도록 하고 유용미생물을 혼합하는 혼합물제조단계(S200)와, 혼합된 조성물을 사각 형상으로 압출한 후 건조시키는 압출건조단계(S300)와, 압출된 조성물에 유용미생물을 투입시키는 미생물투입단계(S400);를 포함하고, 위 재료준비단계(S100)에서 유용미생물은 고초균, 광합성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이 조합된 것을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위 미생물투입단계(S400)는 유용미생물이 내부 수용되고 피막이 수분에 의해 녹는 캡슐을 압출된 조성물에 투입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위 캡슐은 압출된 조성물에 다수 개가 투입되면서 상호 설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광합성균은 로도박터(Rhodobacter)균인 것을 포함하고,
    위 혼합물제조단계(S200)에서 규조토와 황토 교반 시 분뇨에서 유출되는 유해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죽초액이 더 혼합되는 것을 포함하되, 황토 60~70 중량%와 규조토 10~20 중량%와 물 5~10 중량%와 죽초액 5~10중량%로 교반되고, 위 죽초액은 숯가마에서 300~400°로 가열하여 대나무의 결정부분을 공기가 없는 상태 또는 제한된 상태에서 불완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기를 냉각, 액화, 채취한 후 6개월간 장기 숙성시켜 획득된 유기산류인 것을 포함하는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166800A 2019-12-13 2019-12-13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4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00A KR102345478B1 (ko) 2019-12-13 2019-12-13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00A KR102345478B1 (ko) 2019-12-13 2019-12-13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565A KR20210075565A (ko) 2021-06-23
KR102345478B1 true KR102345478B1 (ko) 2021-12-29

Family

ID=7659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800A KR102345478B1 (ko) 2019-12-13 2019-12-13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09B1 (ko) * 2009-07-17 2010-04-07 이재현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용 투척공의 제조방법
KR101375174B1 (ko) * 2011-04-11 2014-03-18 정현옥 마이크로캡슐화된 유용 미생물 발효액 함유 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82274B1 (ko) * 2018-09-03 2019-08-28 (주)지엘팜 축산 분뇨의 분해 및 악취 제거용 친환경 톱밥 발효돈사의 바닥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74B1 (ko) 2014-11-21 2015-07-22 주식회사 소프트아쿠아 악취제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7242B1 (ko) * 2015-12-21 2017-12-11 (주)누리에코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20180060069A (ko) * 2016-11-28 2018-06-07 박스완 고형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8184A (ko) * 2017-08-14 2019-02-22 양향아 바이오차를 이용한 입상형 토양개량제 및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809B1 (ko) * 2009-07-17 2010-04-07 이재현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용 투척공의 제조방법
KR101375174B1 (ko) * 2011-04-11 2014-03-18 정현옥 마이크로캡슐화된 유용 미생물 발효액 함유 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82274B1 (ko) * 2018-09-03 2019-08-28 (주)지엘팜 축산 분뇨의 분해 및 악취 제거용 친환경 톱밥 발효돈사의 바닥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565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383B1 (en) Method for disposal of excrements of animals kept in a stabl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US6793704B2 (en)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from organic waste includ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1433730B (zh) 一种含植醋液的生活垃圾处理剂及其用途
KR102244422B1 (ko) 복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탈취제
KR100378667B1 (ko) 가축분뇨등의 신속한 무취화 및 퇴비화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60001411A (ko) 친환경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및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090417A (zh) 一种利用微生物复合菌群降解畜禽粪污的工艺方法
CN107029535B (zh) 一种用于养殖粪便处理的除臭组合物及其应用
CN110072828A (zh) 有机堆肥肥料的生产方法
KR100436882B1 (ko) 축산분뇨의 발효촉진 및 악취제거용 복합조성물
KR102345478B1 (ko)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US7393521B2 (en) In situ remediation of waste in farm animal bedding substrates
JP3187495U (ja) 脱臭材を利用した堆肥化設備及び畜産設備
JP3696218B2 (ja) 糞尿分解処理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糞尿の分解処理方法
KR102249459B1 (ko)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CN107754579A (zh) 一种用于养殖场的废气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434363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JP4493076B2 (ja) 踏込式豚舎およびそれを用いた養豚排せつ物処理方法
JP2004091225A (ja) 家畜糞尿の堆肥製造過程における無臭化処理方法
KR102513587B1 (ko) 악취저감, 부숙 촉진, 및 해충퇴치에 우수한 기능성 축사 깔개
KR102470774B1 (ko) 가축분 퇴비 제조방법
JP3605679B1 (ja) 敷料、堆肥、敷料の製造方法、及び堆肥の製造方法
KR102421396B1 (ko) 바이오차, 피트모스, 미생물을 활용한 축사깔짚의 제조 방법
ES286342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 fertilizante orgánico enriquecido con nitrógeno así como fertilizante orgánico enriquecido con nitrógeno
Yokoyama et al. Effectiveness of ozonation as a manure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