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242B1 - 악취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242B1
KR101807242B1 KR1020150183207A KR20150183207A KR101807242B1 KR 101807242 B1 KR101807242 B1 KR 101807242B1 KR 1020150183207 A KR1020150183207 A KR 1020150183207A KR 20150183207 A KR20150183207 A KR 20150183207A KR 101807242 B1 KR101807242 B1 KR 101807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dor
present
powd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308A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주)누리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에코 filed Critical (주)누리에코
Priority to KR102015018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맥반석, 천매암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혼합 암석 분말; 및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세균 및 방선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배양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가축축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스, 특히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복합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건식 분말 형태로서 공기 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공기 중 냄새를 흡착하여 축사 바닥에 낙하되어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1 내지 3개월간 지속적으로 활성화 미생물에 의한 악취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서 추가의 2차적인 오수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항생제 사용을 크게 감축시킴으로써 축사 내외는 물론 주변 자연환경을 개선 및 정화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 및 증체율을 증가시키고 건강상태 및 육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 제거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removing odorous materials}
본 발명은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맥반석, 천매암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다공성 혼합 암석 분말과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세균 또는 방선균과 같은 배양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가축축사로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복합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은 가축을 사육하여 식육 및 부산물을 공급하는 농업의 한 분야로서 대한민국의 중요한 기간산업이다. 그러나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축산업을 영위하는 동안 발생하는 악취 및 이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악취를 제거하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주로 퇴비화하는 가축 배설물 내의 각종 영양 성분을 미생물이 분해하는 과정 또는 음식물을 섭취한 가축의 장내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가축의 배설물에는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물질 및 각종 영양 성분이 다량 존재하며, 이들이 혐기적 환경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하는 다양한 가스 및 휘발성 물질들에 의해 악취가 유발된다.
우선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축산악취로서, 가축의 생산성 격감, 폐사율 증가, 사료효율 저하 등이 나타나고, 농경지 오염, 하천 오염, 악취로 인한 대기 오염과 주변 민원의 대상으로 증폭되어 왔다. 축산악취는 대부분이 분변과 분뇨로 인한 것으로, 대사원리에 의해 효소분해 처리된 유기물로서,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CODMn, SS(Suspended Solids), TN(Total Nitrogen) 등의 농도가 매우 높은 상태를 가지며,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해 유익 균의 생장억제, 자연 미생물의 활성인자 생장저해, 발효균주 활성억제, 지방산 휘발성 취기물질(VFC)의 악취 발생 증대를 일으킨다. 취기물질로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H2S, 설픽메틸(sulfic methyl), 디설픽 메틸, 트리메틸아민, CH3COOH, 스티렌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물질은 암모니아, 아민류로서 축산악취의 95%를 차지한다. 암모니아는 일차적으로 눈을 따갑게 할 만큼 자극적이며, 특히 호흡기 질병발생과 큰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만성적으로 노출될 경우, 돼지에게는 커다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린 돼지의 경우 성장과 건강상태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의 여러 연구결과에 따르면, 암모니아는 자돈의 성장률을 감소시키고, 돈사 내 암모니아 농도와 호흡기 질병의 발생률 및 돼지 스트레스 질병(porcine stress syndrome)이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돈사 내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질병의 발생률 및 폐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돈사 내 암모니아 농도는 돼지의 성장률 저하는 물론 폐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낳게 되며, 암모니아 농도 증가는 호흡기 질병 발생을 증가시켜 추가적인 약제비용의 지출을 야기한다.
축산악취 저감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동물의약품과 사료첨가제가 사용되고 있다. 악취저감용 약품에는 염소산(ClO2)계, 알칼리제(가성소다 혼합물), 분말효소제, 식물추출물과 광합성물 혼합제, 생리활성제 혼합제, 생균제 혼합제, 산화제, 산ㅇ염기 중화제, 마스킹제 등이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와 아민류의 지속적인 발생상태에 있는 축사와 분변의 악취를 제거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특히 알칼리제는 오히려 악취유발을 증폭시키고 중화제는 취기물질의 제거가 미미하며, 미생물 제제는 미생물의 생장조건과 온도 등의 환경조성 없이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축산악취를 저감한다는 사료첨가제나, 보조사료, 단미사료, 기능성사료, 생균제 등이 많이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산업용, 축산용 염기성 악취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액상탈취제로서, 식물성 잔재물을 원료로 하여 숙성 등의 공정을 거쳐 가공한 유기산계 발효탈취제가 개발되었으며, 천연 식물성 유기산계 액상 발효탈취제(Liquid Type Fermented Deordorant Used Organic Acid Residues)에 대한 국가 품질규격이 제정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418,016호는 일정한 조성의 발효배지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써린지엔시스, 유산균, 광합성세균, 효모균, 그람양성의 방선균 및 곰팡이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미생물을 접종하고 다단계의 발효를 거쳐 제조되며, 동물 사육용 사료, 식물 재배용 비료 및 양액의 첨가제로 유용한 성장촉진제용 미생물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34693호는 바실루스 서린지엔시스 균과 그 첨가균(광합성균, 방선균, 효모균, 고초균, 유산균, 곰팡이균)을 발효한 후, 그 미생물 발효액을 곡물 가공 부산물인 탈지강에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60∼70 ℃에서 수분 함량이 10% 이하가 될 때가지 건조시켜 제조된, 축산 농가에 어려움을 주는 각종 유해한 해충, 특히, 파리ㅇ모기의 생육억제, 사멸효과와 동시에 가축의 생육 및 성장에 유용한 환경친화적인 무공해 미생물 복합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EM(Effective Microorganisms)은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등 80여종의 미생물을 함유하여 악취제거, 수질정화, 금속과 식품의 산화방지, 남은 음식물 발효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212031호에는 '축산분뇨의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신규 미생물 칸디다 글라브라타,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생균제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206346호에는 '악취 제거능을 갖는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SROD 및 이의 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악취가스가 혼합된 복합 악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악취 제거제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맥반석, 천매암 및 제올라이트와 같은 기공이 있는 암석 분말과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과 같은 배양 미생물을 혼합한 제제를 개발함으로써 복합 악취 및 지정 악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가지 악취가 혼합된 복합 악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악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맥반석, 천매암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혼합 암석 분말; 및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세균 및 방선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배양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 암석 분말은 맥반석 분말 10 내지 30 중량%, 천매암 분말 40 내지 70 중량% 및 제올라이트 분말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 암석 분말에 백탄 분말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가축축사로부터 발생하는 복합 악취 및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항생제 사용을 크게 감축시킴으로써 축사 내외는 물론 주변 자연환경을 개선 및 정화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 및 증체율을 증가시키고 건강상태 및 육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건식 분말 형태로서 0.01 내지 1 mm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 mm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건식 분말 형태로서 공기 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공기 중 냄새를 흡착하여 축사내 악취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축사 바닥에 낙하된 후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축사내 악취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적인 악취 제거는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1 내지 3개월간 지속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서 추가적인 오수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혼합 암석은 기공을 다량 함유하는 다공성 암석으로 냄새 흡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맥반석의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은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또한, 1㎤당 3~15만 개의 구멍(기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찜질방ㅇ식기ㅇ의료기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맥반석 분말을 혼합 암석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이 때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혼합 악취 제거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천매암은 매우 세립(細粒)이지만, 편리(片理)는 두드러진다. 때로는 변성 재결정 작용 때에 생긴 줄무늬 구조를 나타내어, 편리를 옆에서 보면 색의 차이로 생기는 줄무늬를 볼 수 있다. 천매암에 들어있는 황산화균은 유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토양 중의 유기물 분해작용, 토양산성 중화작용을 하여 토양을 개량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는 천매암 분말을 혼합 암석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이 때 사용량이 40 중량% 미만일 경우 혼합 악취 제거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7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올라이트는 비석(沸石)이라고도 하며,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올라이트 분말을 혼합 암석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이 때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혼합 악취 제거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40 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 암석 분말로서 백탄을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복합 악취의 흡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백탄은 목탄의 일종으로 탄재를 탄가마 내에서 비교적 저온도로 서서히 탄화하고 마지막에는 고온도로 가열하여 정련해서, 거의 백열 상태가 된 것을 가마 밖으로 꺼내어 소분(消粉)으로 덮고 급속히 냉각하는 동양의 독특한 제탄법. 즉, 가마 밖 소화법으로 제조한 목탄이다. 표면에 부착한 재 때문에 목탄이 회백색을 띠므로 백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또한 탄질이 단단하고 치밀하므로 경탄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백탄은 상기 혼합 암석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 암석 분말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5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배양균은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및 방선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된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모는 단세포의 발아 또는 분열에 의해 증식하는 균류로서 발효조건에 따라 변화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단백질, 핵산, 비타민의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은 낮다. 또한, 효모의 세포벽 성분인 베타글루칸은 여러 동ㅇ식물의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하여 각종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며 백신생성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효모는 반추위 내 pH를 높이고 섬유소 분해균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섬유소의 이용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장내 유해 세균총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반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의 한 종류로서 포유동물의 소화관, 각종 발효 식품과 토양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유산균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유기산(젖산, 초산, 안식향산)은 장내 pH를 산성화하여 병원성 세균을 무력화하며, 장내균총 균형을 정상으로 회복하여 설사와 장염을 예방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바실러스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으로 토양 및 수중환경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바실러스는 여러 가지 효소, 비타민, 항생제, 살충제 생산에 이용되는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균주로서, 전분, 단백질, 셀룰로스, 지방, 자일란 등 고분자 물질을 급속히 가용화 및 분해하고 악취성분을 자화하므로 이를 사료에 사용할 경우 소화율과 성장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바실러스 균주의 예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가 있다.
상기 광합성 세균은 고등식물과 같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세균으로 홍색 비유황 세균, 홍색 황세균, 녹색 황세균 등이 있다. 광합성세균은 그램음성균으로 세포 구성성분 중 65%가 단백질이며, 높은 함량의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사료로 사용할 경우 생존율, 산란율 및 소화율을 향상시키며, 악취원인이 되는 황화수소와 유기산 등을 이용하므로 축사 내 악취제거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도슈도모나스 캡슐라타(rhodopseudomonas capsulat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선균은 세균에 가까운 원핵생물로 균사상으로 생육하는 특성을 지닌 그램양성세균의 일종이다. 방선균은 항생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며, 특히 항생물질은 병원균을 억제하여 다른 유익균들이 살아가는데 좋은 환경을 만들어준다. 따라서 이를 사료로 사용할 경우 유익한 미생물들의 활성과 가축의 면역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세균 및 방선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효모 및 유산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균주의 혼합 균주 사용시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는 상기 배양균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배양균의 영양원으로서 쌀겨를 추가로 첨가시킴으로써 사용 배양균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 내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작용이 있어 2차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쌀겨는 악취 제거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에는 추가의 향미 성분을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벤더 향, 민트 향, 레몬 향 및 아로마 향을 추가로 첨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라벤더 향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가축축사로부터 발생하는 복합 악취 및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건식 분말 형태로서 공기 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공기 중 냄새를 흡착하여 축사내 악취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축사 바닥에 낙하된 후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축사내 악취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적인 악취 제거는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1 내지 3개월간 지속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서 추가적인 오수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항생제 사용을 크게 감축시킴으로써 축사 내외는 물론 주변 자연환경을 개선 및 정화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 및 증체율을 증가시키고 건강상태 및 육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및 5> 악취 제거제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혼합된 맥반석 분말, 천매암 분말 및 제올라이트와 선택적인 백탄 분말로 이루어진 혼합 암석 분말 96 중량%와 선별된 배양균을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배양균 건조 분말을 4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고 쌀겨를 2 중량%로 조합하여 악취 제거제 건식 분말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25453303-pat00001
<시험예 1> 복합 악취 제거효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제의 복합 악취 제거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악취 공정 시험방법에 준하여 복합 악취 및 지정 악취 물질의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악취 제거제 분말을 공기 중에 분사하여 복합 악취 및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지정 악취 제거효율을 측정하여 각각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N.D.(not detected)는 검출 한계 미만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5125453303-pat00002
Figure 112015125453303-pat00003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복합 악취 제거효율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에서 보듯이, 지정 악취인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의 복합 악취 제거효율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암석 분말로서 백탄을 추가로 첨가하고 배양균으로 효모와 유산균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 상승적인 악취 제거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가축축사로부터 발생하는 복합 악취 및 암모니아, 황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탄화수소 및 케톤류와 같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건식 분말 형태로서 공기 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공기 중 냄새를 흡착하여 축사내 악취를 1차적으로 제거하고, 축사 바닥에 낙하된 후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축사내 악취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적인 악취 제거는 활성화 미생물에 의해 1 내지 3개월간 지속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서 추가적인 오수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항생제 사용을 크게 감축시킴으로써 축사 내외는 물론 주변 자연환경을 개선 및 정화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 및 증체율을 증가시키고 건강상태 및 육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가축축사내 악취 제거를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이 맥반석 분말 10 내지 30 중량%, 천매암 분말 40 내지 70 중량% 및 제올라이트 분말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암석 분말 95 내지 99 중량%; 및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세균 및 방선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배양균 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0.01 내지 1 mm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건식 분말 형태로 공기 중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축사용 악취 제거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암석 분말이 백탄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축사용 악취 제거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균이 효모 및 유산균의 혼합 배양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축사용 악취 제거제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제거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양의 쌀겨가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축사용 악취 제거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라벤더 향, 민트 향, 레몬 향 및 아로마 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향이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축사용 악취 제거제 조성물.
  8. 삭제
KR1020150183207A 2015-12-21 2015-12-21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10180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07A KR101807242B1 (ko) 2015-12-21 2015-12-21 악취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07A KR101807242B1 (ko) 2015-12-21 2015-12-21 악취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08A KR20170074308A (ko) 2017-06-30
KR101807242B1 true KR101807242B1 (ko) 2017-12-11

Family

ID=5927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207A KR101807242B1 (ko) 2015-12-21 2015-12-21 악취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30B1 (ko) 2017-12-07 2020-09-01 주식회사 유앤아이미트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KR102154388B1 (ko) * 2018-01-15 2020-09-21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5478B1 (ko) * 2019-12-13 2021-12-29 노도영 축산분뇨 악취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44422B1 (ko) * 2020-09-14 2021-04-28 유화강관(주) 복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탈취제
KR102605307B1 (ko) * 2021-07-01 2023-11-23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415A (ja) 2000-07-14 2002-01-29 Mitsubishi Paper Mills Ltd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
JP3483874B1 (ja) * 2002-08-28 2004-01-06 佐藤 直 建築物構成部材用塗布剤
JP2004041276A (ja) 2002-07-09 2004-02-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空気清浄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415A (ja) 2000-07-14 2002-01-29 Mitsubishi Paper Mills Ltd 空気清浄化フィルター
JP2004041276A (ja) 2002-07-09 2004-02-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空気清浄フィルター
JP3483874B1 (ja) * 2002-08-28 2004-01-06 佐藤 直 建築物構成部材用塗布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08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242B1 (ko) 악취 제거용 조성물
CN104307012B (zh) 一种畜禽养殖场专用除臭剂及其应用
US5876990A (en) Biochemical media system for reducing pollution
KR102177670B1 (ko) 악취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346B1 (ko) 악취가스 감소 및 항균효과를 갖는 복합미생물 발효액 및 그의 사용방법
KR101260872B1 (ko) 미생물 생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축산악취 제거제
US20110117068A1 (en) Probiotic microorganisms for the reduction of manure odor
KR101187731B1 (ko) 탈취 활성 및 뱀장어 양식장의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파라기니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4388363A (zh) 一种有机垃圾除臭、减量复合菌及其制备方法
KR101854277B1 (ko)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750B1 (ko)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35902B (zh) 一种凝结芽孢杆菌及其应用
CN110963655A (zh) 一种宠物粪便处理专用型净味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A2555516A1 (en) Food additive for human and animal and uses thereof
KR101296613B1 (ko) 미생물 탈취제
CN110917376B (zh) 一种环保型薄荷乳酸菌发酵液及其制备方法
US20210284560A1 (en) Treatment of animal and poultry waste to reduce odor
CN111616259A (zh) 一种充分发挥吸附物料作用的发酵型干饲料的生产方法
KR101427187B1 (ko) 미생물 생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친환경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2874A (ko) 악취 제거용 미생물 제제
KR101549191B1 (ko) 악취가스 감소처리제
CN107930337A (zh) 一种去除畜禽粪污臭味的方法
JP3784802B2 (ja) 消臭剤の製造方法
KR101580780B1 (ko)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69429A (ko) 신바이오틱제제를 이용한 축산 악취 저감 및 가축 생산성 향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