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459B1 -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 Google Patents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459B1
KR102249459B1 KR1020200127020A KR20200127020A KR102249459B1 KR 102249459 B1 KR102249459 B1 KR 102249459B1 KR 1020200127020 A KR1020200127020 A KR 1020200127020A KR 20200127020 A KR20200127020 A KR 20200127020A KR 102249459 B1 KR102249459 B1 KR 10224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ter
slaked lime
livestock
waste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식
김화영
Original Assignee
김인식
김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김화영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102020012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2Storage places for manure, e.g. cisterns for liquid manure; Installations for fermenting manure
    • A01C3/028Covers, roofs or other structures for covering manure storage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이미 사용된 폐깔짚을 재사용하기 위해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은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축분뇨 등에 오염된 깔짚으로부터 가축에 유해한 미생물 및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기존에 축사에서 한번 사용되고 폐기되는 깔짚을 1회 이상 재사용 가능한 재사용 깔짚으로 제공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하고 축사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을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퇴비 배출 시 문제가 되는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Method for preparing reusing straw using composition comprising slaked lime and reusing straw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축사에서 이미 사용된 폐깔짚을 재사용하기 위해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에 관한 것이다.
축산산업에서는 축사 습도조절 (수분흡수), 위생관리 (가축과 분변의 직접접촉 차단 및 세균증식 억제), 단열효과 등을 위해 계사 또는 소, 돼지 등의 축사 바닥에 깔짚을 도포하여 가축을 사육한다. 한번 사육과정에 이용된 깔짚은 가축분뇨와 함께 섞인 상태로 존재하고, 유해 병원체 상재 및 가스 발생으로 인해 가축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재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폐깔짚을 가축분뇨와 함께 퇴비화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축분뇨의 퇴비화 기준이 강화되면서 그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워, 축산농가에서는 가축분뇨 처리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닭이나 돼지의 분뇨에는 요산과 유기질소 함량이 높아 깔짚 중의 미생물에 의하여 암모늄(NH4+)으로 전환되고, 이 암모늄은 깔짚의 수분함량, 온도, 산성도 등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NH3)로 변한다. 암모니아 가스는 휘산되어 악취로 느껴지며, 이를 제어하여 포집 안정화 시킬 경우 비료의 주요 성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부에서는 깔짚 내 자극적이고 유해한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낮추기 위해 깔짚 관리제 또는 깔짚 처리제를 사용한다. 깔짚 관리제는 크게 산화제와 알칼리제로 구분될 수 있다. 산화제로는 황산수소나트륨(NaHSO4), 황산알루미늄(Al2(SO4)3), 중황산염, 제일황산염, 인산 등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산성제제를 깔짚에 도포할 경우 깔짚 내 세균 증식 및 암모니아 가스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효과가 확인되어 산성제제 성분을 이용한 깔짚 처리제가 상용화되었다 (Sweeney, 1997; Terzich, 1997; 미국공개특허 제2010-0233289호). 그러나 산성제제로 인해 축사 시설이 일부 부식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제일황산염은 가축에게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깔짚에 생석회를 처리할 경우 병원체 증식 억제 및 암모니아 가스 제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농장에서는 주로 소독을 목적으로 계사 주변에 생석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생석회의 경우 물과 반응 시 200 ~ 380℃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농장에서 사용하기엔 위험성이 높고, 사육자와 가축의 건강뿐만 아니라 축사 시설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전체 축사 시설에 효과를 보기 위한 직접적인 도포를 하기에는 비 효율적인 부분으로 직접적인 적용이 쉽지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축사에서 이미 사용된 깔짚을 재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폐깔짚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3744호
본 발명은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재사용 깔짚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의 퇴비 부숙도 기준을 맞추기 위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축산업의 사례를 살펴보면, 각종 난계대 질병 (가금티푸스, 추백리, 마이코플라즈마병 등)이 부재된 강건성 및 우수한 형질을 보유한 종계 (부/모계의 닭)로부터 발생된 종란을, 난계대질병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위생적 시설로부터 부화, 축산농가에 분양 또는 입추 되었을 경우 깔집의 흡수성이 좋은 톱밥 등을 약 7 ~ 10 cm 깊이로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2차 입식 시 국내와 달리 전체 제거가 아닌 일부 고형화되거나 문제되는 부분만 제거하고, 기 사용된 깔짚 위에 새 깔짚을 일정량 추가 도포하여, 수 회 재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 사용된 깔짚에는 가축에서 배출된 분뇨, 타액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된 해충, 세균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새 깔짚을 추가하더라도 가축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고, 추가된 새 깔짚의 오염이 빠르게 진행되어 깔짚의 사용 기간이 짧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 사용된 깔짚을 별도의 처리 없이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은 가축의 위생과 건강을 위해 적절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축사에서 이미 사용된 깔짚을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계사 또는 돈사에서 사용된 깔짚 또는 폐깔짚에 생석회를 물 또는 수증기로 소화하여 제조된 소석회를 수용화 처리한 후 건조하여 무수한 병원성 미생물 증식 억제 및 암모니아 가스 제거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소석회를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a)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b)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폐깔짚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a) 단계는 폐깔짚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깔짚"은 축사 바닥에 까는 짚이나 톱밥으로, 축사의 습도 및 온도 조절, 위생관리, 먼지 발생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바닥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깔짚은 당업계에 공지된 축사에서 이용 가능한 깔짚이라면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 흡수성과 생물 분해능력이 좋아야 하며 청결하고 안락하고 먼지 발생이 적고 부패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특히 병원성 세균, 진균, 해충 등에 오염된 깔짚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축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깔짚 관리는 가축의 건강 및 생산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폐깔짚"은 이미 축사에서 사용된 깔짚으로, 폐깔짚에는 가축으로부터 유래된 분뇨, 타액, 털, 기생충, 세균과 같은 미생물 등이 존재하며, 사료와 물이 뒤섞여 있는 상태의 깔짚을 의미한다.
상기 폐깔짚은 당업계에 공지된 형태의 시설 (축사)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가축을 사육하는데 사용된 깔짚이라면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축의 일례로는, 소, 돼지, 닭, 양, 염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깔짚은 짚, 톱밥, 대팻밥, 왕겨, 목재칩, 종이 및 모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깔짚의 구비조건으로는 수분이 20 ~ 25% 함유된 재료로서 수분의 흡수력이 좋고 통기성이 좋으며 수분의 증발력이 양호해야 하며 값이 싸고 구하기 쉬우며 먼지나 곰팡이 등에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깔짚은 가축에게 푹신하고 안락감을 줄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깔짚은 계사 또는 돈사에서 사용 적합한 왕겨, 톱밥,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밥은 수분 흡수성 및 분해성이 양호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축분처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왕겨는 가격이 낮고 축분처리가 용이하지만 수분 흡수력이 부족하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양돈농가에서는 흡습성이 우수한 톱밥을 주로 사용하며, 양계농가에서는 경제성 대비 효과를 고려했을 때 주로 왕겨를 깔짚으로 사용하고 있다. 왕겨와 톱밥을 혼합 사용할 경우, 왕겨와 톱밥의 혼합 비율은 축사의 형태나 가축의 사육기간을 고려하여 조절 가능하며, 일례로 왕겨 : 톱밥 = 1 : 0.1 ~ 2, 1 : 0.1 ~ 1.5, 1 : 0.1 ~ 1, 1 : 0.1 ~ 0.5, 1 : 0.5 ~ 2, 1 : 0.5 ~ 1.5, 1 : 0.5 ~ 1, 1 : 1 ~ 2, 1 : 1 ~ 1.5, 또는 1 : 1.5 ~ 2의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육계사육에서는 기존에 사육하던 병아리 또는 닭을 출하하면, 사용하던 깔짚을 완전히 제거한 후 전체 축사를 소독하고 신선하며 오염되지 않은 깔짚을 깔아 우수한 품종의 강건한 병아리를 선발하여 입추한다. 깔짚은 계사의 형태나 단열 정도, 사육 기간 등을 고려하여 5 ~ 12 cm의 깊이로 고르게 깔아주며, 콘크리트 바닥일 경우 5 cm 이상, 흙 바닥일 경우 7 ~ 8 cm 이상 두껍게 깔아준다. 일반적으로 육계는 부화된 지 7 ~ 48시간된 병아리를 계사에 입추하여 부화 후 4 ~ 10주령 (평균 체중 0.8 ~ 1.5 kg)까지 사육하여 출하한다. 육계의 사육밀도는 출하 일령, 기후와 계절 및 계사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방계사에서의 수용밀도는 출하시점을 기준으로 15 ~ 30 수/㎡ (50 ~ 100 수/3.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깔짚은 개방계사에서 출하시점을 기준으로 15 ~ 30 수/㎡의 밀도로 부화 후 4 ~ 7주령까지 육계 병아리를 사육하는데 사용된 깔짚인 것일 수 있다.
양돈농가에서는 성장 단계, 시설 형태 등에 따라 마리당 제공해주어야 하는 면적이 다르며,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09-361호에 따르면, 비육을 목적으로 하는 돼지의 마리당 사육시설 최소 소요면적은 자돈 0.2 ~ 0.3 ㎡, 육성돈 (평균 체중 20 ~ 60 kg) 0.45 ㎡, 비육돈 (평균 체중 60 ~ 120 kg) 0.8 ㎡인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깔짚은 돈사의 형태나 단열 정도, 사육 기간 등을 고려하여 5 ~ 15 cm의 깊이로 고르게 깔아준다. 비육돈의 경우, 축사에 깔짚을 깔아 키운다면 깔짚 교체를 2 ~ 3주당 1회 이상 실시하여 근육 성장이 완료되고 지방 축적이 진행되는 생후 22 ~ 26주까지 사육하여 출하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깔짚은 출하시점을 기준으로 0.8 ~ 1.4 ㎡/두의 축사에서 생후 22 ~ 26주까지 비육돈을 사육하는데 사용된 깔짚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폐깔짚은 전체 중량에서 축분(畜糞) 또는 가금분(家禽糞)을 5 ~ 60% 포함하고, 함수율이 30 ~ 60%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폐깔짚은 전체 중량에서 축분 또는 가금분을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또는 60%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폐깔짚의 함수율은 30%, 35%, 45%, 50%, 55%, 또는 6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석회(slaked lime 또는 hydrated lime)"는 수산화칼슘(Ca(OH)2)의 관용명으로, 석회석(CaCO3)을 고온 (1,000 ~ 1,200℃에서 연소시켜 제조된 생석회(quicklime, CaO)를 다시 물과 반응시켜 얻은 생석회 수화물을 의미한다. 소석회는 용도에 따라 식품첨가용, 건축용, 비료용, 공업용 등으로 나누어지며, 주요 조성은 Ca(OH)2로 품위는 원료 석회석의 순도로 지배된다. 각 용도별 (공업용, 비료용 등) 규격이 존재하며, 이중 비료용 소석회에서는 알칼리분 (CaO+MgO) 60% 이상을 보증한다. 대체로 산화칼슘(CaO)이 60 ~ 70% 이상인 것은 화학용, 40 ~ 50% 이상은 토건용, 35% 이상은 비료, 농업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미 사용된 깔짚을 재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석회를 이용한 사례 또는 연구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소석회는 생석회를 물 또는 수증기로 소화(hydration 또는 slaking)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소석회가 용제에 2 ~ 1000배 희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소석회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비활성 물질로서 당업계에서 공지된 용제 또는 희석제라면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물,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희석제는 소석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소석회가 물에 2 ~ 1000배, 2 ~ 100배, 2 ~ 10배, 3 ~ 1000배, 3 ~ 100배, 3 ~ 10배, 4 ~ 1000배, 4 ~ 100배, 4 ~ 10배, 5 ~ 1000배, 5 ~ 100배, 5 ~ 10배, 또는 5배 희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제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액제, 입제, 정제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소석회의 활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첨가제의 종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색소, 안정제, 윤활제, 유화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석회는 강알칼리 (pH 12.5)를 띄는 물질이며, 물과 반응했을 때 세균의 세포막 및 DNA 손상, 단백질 변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Mohammadi 외, 2012). 한편, 가축사료에 포함된 단백질은 질소 함유 유기물로서 가축 성장 및 축산물 생산을 위해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가축이 섭취한 질소의 약 60 ~ 90%는 체내에서 이용되지 못하고 분뇨의 형태로 배설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Rotz, 2010). 분뇨에 함유된 요산과 유기질소는 미생물에 의하여 암모늄(NH4+)으로 전환되고, 축사 또는 깔짚의 수분함량, 온도, 산성도 등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NH3)로 변한다. 이러한 암모니아 가스는 악취를 발생시키며 가축과 사육자의 눈, 피부, 점막, 호흡기 등을 자극하여 가축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깔짚에 소석회 또는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Ca을 모체로 한 알칼리 물질이 되고 공기를 접촉하면서 산화 부식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다 (하기 반응식 1 참조). 또한, 물질적 요인에 의해 전자 구성에 의한 구조의 입단이 신속히 조성되는데, MX(OH)Y, Ca(HCO3)2, CaCO3의 미립자의 세공 속에 흡착되면서 탈취된다. 이때 암모니아(NH3)뿐만 아니라 황화수소(H2S), 트리메칠아민((CH3)3N) 등의 가스 또는 악취 물질이 반응 시 발생된 열에 의해서도 휘산(揮散)된다.
[반응식 1]
Ca(OH)2 → Ca(HCO3)2 → CaCO3
이와 같이 분자구조의 분해에 의한 휘산 또는 화학변화에 의한 칼슘염의 생성에 의해 공기에 접촉한 부패에 의한 악취의 발생은 없어진다. 또 유기물이 산성물질이라 할지라도 유기물 중랑비의 5% 소석회의 사용으로도 화학반응에 의해 Ca(HCO3)2를 생성시켜 완전살균 (알카리)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석회의 사용은 중탄산칼슘(Ca(HCO3)2) 이온을 발생시켜 알카리 살균에 의하여 해충의 발생을 방지하며, 유기물질 내의 수분이 Ca과의 화학반응 (분자이동의 탈수분리)에 의해 외부로 수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깔짚 또는 가축분뇨의 수분건조가 촉진된다. 외부에 인출된 물은 Ca수(水)이기도 한데, 공기와 접하면 신속히 2차 화학반응에 의한 Ca염의 생성을 발생시킴으로써 건조를 촉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사용을 통해 폐깔짚에 존재하는 가축에게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 해충 등의 제거 효과 및 암모니아 가스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폐깔짚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는 과정으로, 폐깔짚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도포, 살포 또는 분무하는 처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1회 도포량 또는 처리량은 축사에서 깔아둔 깔짚의 양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사 면적 (3.3 m2)을 기준으로 깔짚 중량 (kg) 대비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0.1 L, 0.25 L, 0.5 L, 0.75 L, 또는 1 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1 : 0.1 ~ 2의 중량비로 도포하여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폐깔짚과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1 : 0.1 ~ 2, 1 : 0.5 ~ 2, 1 : 1 ~ 2, 1 : 1.5 ~ 2, 1 : 0.1 ~ 1.5, 1 : 0.5 ~ 1.5, 1 : 1 ~ 1.5, 1 : 0.1 ~ 1, 1 : 0.5 ~ 1, 1 : 0.1 ~ 0.5, 1 : 0.5, 또는 1:1의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는 폐깔짚과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깔짚 관리기 또는 트랙터에 부착된 로터베이터를 이용하여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처리된 폐깔짚을 1회 이상 뒤섞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처리 후 0.5 ~ 6시간을 간격으로 1 ~ 4회 폐깔짚을 뒤섞어주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처리 후 0.5시간, 1시간, 2 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또는 6시간 간격으로 1회, 2회, 3회, 또는 4회 폐깔짚을 뒤섞어 줄 수 있으나. 간격 및 횟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단계는 폐깔짚에 도포된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건조 (반응)시켜 살균효과 및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육계농장의 구조상 축사 입구의 반대편 (말단부 등)에 직경 1 m이상의 팬(fan)이 4 ~ 10개 이상 위치하여 축사 내부를 터널 방식으로 환기하게 되는데, 이는 내부 공기 유속을 약 2 ~ 3 m/s로 유지시켜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폐깔짚의 자연적 건조를 보조할 수 있다. 돈사에서는 천장 또는 벽면에 직경 1 m이상의 팬(fan)이상의 팬이 위치하여 축사 내부를 환기하게 되며, 이때도 내부 공기 유속을 약 2 ~ 3 m/s로 유지시켜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폐깔짚의 자연적 건조를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 조건에서 계분(鷄糞) 또는 돈분(豚糞)을 포함하는 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한 후 3일간 건조시키면, 깔짚의 수분율을 약 20% 이하까지 떨어뜨릴 수 있어 폐깔짚 재사용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속이 2 m/s 미만일 경우에는 공기가 거의 정치된 상태이므로 건조가 더디게 일어나 건조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3 m/s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공기 흐름으로 인해 깔짚이 흩날릴 수 있으며 수분 증발이 빠르게 일어나 오히려 살균작용 및 소취작용의 효과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는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 또는 혼합된 폐깔짚을 공기 흐름이 2 ~ 3 m/s인 조건에서 실온 (1 ~ 35℃)에서 0.5 ~ 336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반응) 온도는 1 ~ 35℃, 5 ~ 35℃, 10 ~ 35℃, 15 ~ 35℃, 20 ~ 35℃, 25 ~ 35℃, 30 ~ 35℃, 1 ~ 30℃, 5 ~ 30℃, 10 ~ 30℃, 15 ~ 30℃, 20 ~ 30℃, 25 ~ 30℃, 1 ~ 25℃, 5 ~ 25℃, 10 ~ 25℃, 15 ~ 25℃, 20 ~ 25℃, 1 ~ 20℃, 5 ~ 20℃, 10 ~ 20℃, 15 ~ 20℃, 1 ~ 15℃, 5 ~ 15℃, 10 ~ 15℃, 1 ~ 10℃, 5 ~ 10℃, 또는 1 ~ 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건조 (반응) 시간은 0.5시간, 1시간, 2 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20시간, 144시간, 168시간, 192시간, 216시간, 240시간, 264시간, 288시간, 312시간, 또는 336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사용된 깔짚에 물로 5 ~ 1000배 희석된 소석회수를 1 : 0.5의 중량비 또는 1 : 1의 중량비로 도포하고 1시간 후 골고루 혼합하여 실온에서 6시간 또는 7일 이상 반응시켜 깔짚 내 일반 세균(general bacteria) 및 대장균군(coliform bacteria)의 수가 최소 10배에서 최대 1,000,000배 감소하고, 살모넬라(Salmonella)가 양성에서 음성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및 2 참조). 또한, 이미 사용된 깔짚에 물로 5배 희석된 소석회수를 도포하여 1일간 반응시켜 깔짚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약 1 ~ 5배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참조).
또한, 폐깔짚에 대해 효과적인 소취작용 및 살균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b) 단계 이후, 건조된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추가로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1회 도포량을 나누어 처리하거나, 또는 1회 도포량을 반복 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처리 횟수, 간격 및 처리량은 폐깔짚의 상태 (예컨대, 미생물 수, 해충 수, 수분 함량, 암모니아 가스 농도)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이후,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1차 처리한 지 0.5 ~ 72시간 후 2차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횟수는 2회, 3회, 4회, 또는 5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간격은 0.5시간, 1시간, 2 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 처리량은 1차 처리량 대비 0.1배, 0.5배, 1배, 1.5배, 2배, 2.5배, 3배, 3.5배, 4배, 4.5배, 또는 5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온에서 계사에서 사용된 깔짚에 물로 5 ~ 12배 희석된 소석회수를 1 : 0.25의 중량비로 1차 도포한지 1시간 후 섞어주고 24시간 건조 (반응)시키고, 동일한 비율로 희석된 소석회수를 1 : 0.25의 중량비로 2차 도포하고 1시간 후 섞어주고 24시간 건조 (반응)시켜 1일, 10일 또는 20일간 반응시켜 깔짚 내 일반 세균수가 약 5 ~ 1,000배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1 참조). 또한, 소석회수가 처리된 깔짚의 계사에 육계를 입추하여 7일, 14일간 사육할 경우에도 신선하고 오염되지 않은 새깔짚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수준으로 일반 세균수 및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및 3-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으로부터 제조 또는 생산된 재사용 깔짚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재사용 깔짚"은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처리되어 축사에 사용되지 않거나 오염되지 않은 깔짚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일반 세균 및 암모니아 가스를 포함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깔짚을 의미한다.
상기 재사용 깔짚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축사에 사용되지 않거나 오염되지 않은 깔짚 (새깔짚)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재사용 깔짚과 새깔짚의 혼합 비율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 0.1, 1 : 0.5, 1 : 1, 1 : 1.5, 또는 1 : 2의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재사용 깔짚은 1회 이상 축사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1회, 2회, 3회, 4회, 또는 5회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재사용 깔짚은 기존에 1회만 사용하고 폐기하던 깔짚을 2회 이상 사용하게 되어 축사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을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퇴비 부숙도 기준에 맞추기 위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의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퇴비"는 짚, 낙엽, 가축의 배설물 등을 혼합 또는 퇴적하여 부숙(腐熟)시킨 비료를 의미하며, 분뇨에 함유된 질소, 인산, 칼륨 등에 의해 양질의 비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퇴비 부숙도"는 퇴비, 액비의 원료가 퇴비화, 액비화 과정을 거쳐 식물과 토양에 대해 안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부숙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퇴비를 농경지에 뿌릴 경우 잔존하는 고농도의 암모니아 가스로 인해 작물이 손상되거나 악취, 토양오염, 수질오염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을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퇴비 부숙도 기준에 적합하도록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저감하거나 억제하여 퇴비의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있다.
여기서, 퇴비 부숙도 기준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정한 가축분뇨를 퇴비화하여 배출하는 농가가 준수해야 하는 기준으로, 2020년 3월 25일부터 모든 가축의 축사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을 이용한 퇴비를 대상으로 관능평가 항목 (예컨대, 색깔&형상, 냄새, 수분). 농가기록 항목 (예컨대, 퇴비화 기간, 뒤집기 횟수, 강제통기), 가점항목 (예컨대, 부숙 중 최고 온도, 방선균 생성 여부)에 대해 분석되어야 한다. 퇴비는 5단계 부숙도 판정기준에 따라 부숙후기 또는 부숙완료 (1,500㎡ 이상 배출시설)이거나 부숙중기 (1,500㎡ 미만 배출시설)이고, 함수율이 70% 이하인 경우 배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i)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ii)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비 부숙도 기준을 맞추기 위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i) 단계는 퇴비 부숙도 기준에 적합하도록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의 미생물, 암모니아 가스 및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이다.
상기 가축분뇨는 소, 돼지, 닭 등과 같은 통상적인 가축이 배설한 똥과 오줌을 통칭한다. 상기 가축분뇨의 일례로는 우분(牛糞), 돈분(豚糞), 계분(鷄糞)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가축분뇨는 고형분을 20 ~ 80% 포함하고, 함수율이 30 ~ 80%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축분뇨는 전체 중량에서 고형분을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또는 8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또한, 상기 가축분뇨의 함수율은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또는 8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가축분뇨는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는 분과 뇨가 혼합된 슬러지 형태의 가축분뇨를 액체와 고체로 분리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고액분리 방법 또는 장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폐깔짚은 새깔짚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처리한 재사용 깔짚을 이미 축사에서 사용하여 배출된 깔짚으로, 가축으로부터 유래된 분뇨, 타액, 털, 기생충, 세균과 같은 미생물 등이 존재하며, 더 이상 축사에서 깔짚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의 깔짚을 의미한다.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러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는 과정으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도포, 살포 또는 분무하는 처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1회 도포량 또는 처리량은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의 양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축분뇨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가축분뇨 중량 (kg) 대비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도포량은 0.1 L, 0.25 L, 0.5 L, 0.75 L, 또는 1 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깔짚 중량 (kg) 대비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도포량은 0.1 L, 0.25 L, 0.5 L, 0.75 L, 또는 1 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는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1 : 0.1 ~ 2의 중량비로 도포하여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축분뇨와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1 : 0.1 ~ 2, 1 : 0.5 ~ 2, 1 : 1 ~ 2, 1 : 1.5 ~ 2, 1 : 0.1 ~ 1.5, 1 : 0.5 ~ 1.5, 1 : 1 ~ 1.5, 1 : 0.1 ~ 1, 1 : 0.5 ~ 1, 1 : 0.1 ~ 0.5, 1 : 0.5, 또는 1 : 1의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폐깔짚과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1 : 0.1 ~ 2, 1 : 0.5 ~ 2, 1 : 1 ~ 2, 1 : 1.5 ~ 2, 1 : 0.1 ~ 1.5, 1 : 0.5 ~ 1.5, 1 : 1 ~ 1.5, 1 : 0.1 ~ 1, 1 : 0.5 ~ 1, 1 : 0.1 ~ 0.5, 1 : 0.5, 또는 1 : 1의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는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과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깔짚 관리기, 트랙터에 부착된 로터베이터 또는 교반기를 이용하여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처리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을 1회 이상 뒤섞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는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처리 후 1 ~ 30일 간격으로 3 ~ 10회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을 뒤섞어주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처리 후 1일, 2일,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또는 30일 간격으로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또는 10회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을 뒤섞어 줄 수 있으나. 간격 및 횟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ii) 단계는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에 도포된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건조 (반응)시켜 살균효과 및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는 수분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을 공기 흐름이 2 ~ 3 m/s인 조건에서 실온 (1 ~ 35℃)에서 1 ~ 12개월 동안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반응) 온도는 1 ~ 35℃, 5 ~ 35℃, 10 ~ 35℃, 15 ~ 35℃, 20 ~ 35℃, 25 ~ 35℃, 30 ~ 35℃, 1 ~ 30℃, 5 ~ 30℃, 10 ~ 30℃, 15 ~ 30℃, 20 ~ 30℃, 25 ~ 30℃, 1 ~ 25℃, 5 ~ 25℃, 10 ~ 25℃, 15 ~ 25℃, 20 ~ 25℃, 1 ~ 20℃, 5 ~ 20℃, 10 ~ 20℃, 15 ~ 20℃, 1 ~ 15℃, 5 ~ 15℃, 10 ~ 15℃, 1 ~ 10℃, 5 ~ 10℃, 또는 1 ~ 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건조 (반응) 시간은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또는 12개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이 퇴비 부숙도 기준에 적합하도록 상기 ii) 단계 이후, 건조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추가로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ii) 단계 이후,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1차 처리한 지 0.5 ~ 72시간 후 2차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횟수는 2회, 3회, 4회, 또는 5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간격은 0.5시간, 1시간, 2 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 처리량은 1차 처리량 대비 0.1배, 0.5배, 1배, 1.5배, 2배, 2.5배, 3배, 3.5배, 4배, 4.5배, 또는 5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단계를 거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은 퇴비로 이용 가능하며, 이때 퇴비 부숙도 기준에 적합한 것일 수 있다.
퇴비 부숙도 기준에 적합한 퇴비는, 색깔 및 형상은 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축분의 형상이 약간 남거나 완전히 소멸된 것일 수 있으며, 축분 냄새는 약간 또는 미세한 정도로 나거나 축분 냄새가 완전 소멸하여 일반적인 흙 또는 퇴비 냄새가 날 수 있고, 수분 함량은 퇴비를 손으로 움켜쥐면 손가락 사이로 물기가 약간 나오거나 (약 60%) 스며들지 않고, 손에서 부스러기가 떨어질 정도 (약 50%)이며, 방선균 함량은 퇴비더미의 내부(얕은 층)에서 방선균 생성된 것이 육안으로 관찰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퇴비는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1 ~ 100 ppm이고, 함수율이 10 ~ 60%이고, 방선균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퇴비의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1 ~ 100 ppm, 10 ~ 100 ppm, 25 ~ 100 ppm, 50 ~ 100 ppm, 75 ~ 100 ppm, 1 ~ 75 ppm, 10 ~ 75 ppm, 25 ~ 75 ppm, 50 ~ 75 ppm, 1 ~ 50 ppm, 10 ~ 50 ppm, 25 ~ 50 ppm, 1 ~ 25 ppm, 10 ~ 25 ppm, 또는 1 ~ 10 pp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퇴비의 함수율은 10%, 20%, 30%, 40%, 50%, 또는 6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은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축분뇨 등에 오염된 깔짚으로부터 가축에 유해한 미생물 및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기존에 축사에서 한번 사용되고 폐기되는 깔짚을 1회 이상 재사용 가능한 재사용 깔짚으로 제공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하고 축사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을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퇴비 배출 시 문제가 되는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적인 설명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석회수 농도에 따른 폐깔짚에 대한 살균작용 효능 시험
1-1. 최적의 소석회수 도포농도 확인
육계 사육 농장에서 32일간 사용된 깔짚 (왕겨 100%, 국내산)을 이용하여 최적의 소석회수 도포농도를 확인하였다.
소석회수 제조는, 소석회(Ca(OH)2) (KSL9501, 백광소재, CaO 70%)를 증류수로 5배, 10배, 20배, 100배, 1000배로 충분히 용해하여 제조하였고, 각 배율의 소석회수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기 (pH 58, Milwaukee)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표 1).
시험군으로는 실온에서 깔짚 50 g에 각 배율의 소석회수를 25 ml (깔짚 : 소석회수 = 1 : 0.5의 중량비) 또는 50 ml (깔짚 : 소석회수 = 1 : 1의 중량비)로 도포한 후 1시간 지나서 깔짚을 골고루 섞어주었다. 깔짚과 소석회수의 반응 6시간 후 pH 및 일반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소석회수를 처리하지 않은 깔짚을 사용하였다.
일반 세균수 측정을 위해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깔짚 10 g을 채취하여 PBS(phosphate buffer saline) 90 ml과 혼합 후 균질기 (HBM-400B, ANYLAB)로 섞은 희석액을 PBS를 이용하여 10-1 ~ 10-10배로 10배 희석(10-fol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희석액을 일반세균 필름 (Aerobic Count, 3M)에 분주하고 37℃ 인큐베이터에 20시간 배양한 후 세균수 (CFU/g)를 측정하였다 (표 2).
소석회 희석배수 5 10 20 100 1000
수소이온농도(pH) 14.2 14 13.8 13 12
무처리 깔짚 (대조군)
일반 세균수 8.7X109
pH 6
소석회수 도포 깔짚 (시험군)
소석회수 도포 농도 소석회 희석배수
5 10 20 100 1000
깔짚:소석회수
(1 : 0.5)
일반 세균수 1.5X107 8.8X108 1.0X109 1.2X1010 1.4X1010
도포 후 pH 12.6 11.2 9 7.2 6.3
깔짚:소석회수
(1 : 1)
일반 세균수 2.1X105 2.8X107 9.0X108 8.4X109 1.3X1010
도포 후 pH 12.7 12.4 10.35 7.6 7
그 결과,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석회수의 수소이온농도가 높을수록 알칼리성이 강해져 폐깔짚의 일반 세균수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소석회 희석배수가 5, 10 및 20배일 때 효과적인 살균작용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1-2. 소석회수의 도포시간에 따른 살균 효과 확인
효과적인 살균작용을 보인 소석회 희석배수 5배, 10배 및 20배에 대하여 소석회수 처리 14일 경과 후 깔짚의 일반 세균수 (CFU/g)를 측정하였다 (표 3).
무처리 깔짚 (대조군)
일반 세균수 8.7X109
소석회수 도포 깔짚 (시험군)
소석회 희석배수 5 10 20 5 10 20
도포 후 경과시간 6시간 14일
깔짚:소석회수
(1 : 0.5)
일반 세균수 1.5X107 8.8X108 1.0X109 4.3X107 1.7X109 1.02X109
깔짚:소석회수(1 : 1) 일반 세균수 2.1X105 2.8X107 9.0X108 9.1X103 6.0X103 9.5X108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석회수를 처리한지 14일 경과 후에도 모두 폐깔짚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소석회를 5배 및 10배 희석하여 처리한 시험군에서 우수한 살균작용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폐깔짚에 대한 소석회수의 살균작용 및 소취작용 효능시험 (실험실 조건)
육계를 사육하는 농장 1곳을 선정하여 사용한 지 20일, 25일 된 깔짚 (왕겨 100%, 국내산)을 수거하였다. 이때 계사를 동일한 면적으로 3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 (계사앞, 중간, 뒤)에서 샘플 2개씩을 수거하였다. 총 수거된 깔짚 샘플 6개를 대상으로 하여 소석회수를 처리한 깔짚을 시험군으로, 소석회수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깔짚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의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군은 실온에서 깔짚 50 g에 5배로 희석한 소석회수를 25 ml (깔짚 : 소석회수 = 1 : 0.5의 중량비)를 도포하고 1시간 후 골고루 섞어주었다. 소석회수 처리 7일, 14일 후 시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병원성 세균 (일반세균, 대장균군, 살모넬라)와 암모니아 가스를 측정하였다.
2-1. 살균 효과 확인
병원성 세균수 측정은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깔짚 10 g을 채취하여 PBS 90 ml과 혼합 후 균질기 (HBM-400B, ANYLAB)로 섞은 희석액을 PBS를 이용하여 10-1 ~ 10-10배로 10배 희석(10-fol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희석액을 일반세균 필름 (Aerobic Count, 3M)과 대장균 필름 (E. coli/Coliform Count, 3M)에 분주하고 일반세균 필름은 37℃ 인큐베이터에 20시간, 대장균 필름은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일반 세균수 및 대장균군수 (CFU/g)를 측정하였다. 살모넬라 검사는 깔짚 25 g에 펩톤식염완충액(Buffered Peptone water, BPW) 225 ml를 첨가 후 37℃에서 18 ~ 24시간 배양된 배양액 0.1 ml를 RV(Rappaport Vassiliadis) 배지에 접종하여 42℃에서 20 ~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선택배지 Rambach agar 및 brilliant green agar에 도말하여 37℃에서 20 ~ 24시간 배양한 후 양/음성을 확인하였다.
사용 20일 된 깔짚
샘플명 그룹 측정세균 도포 전 도포 후 경과일
7일 14일
계사앞
깔짚
대조군
(무처리)
일반 세균수 1.18X1010 7.3X109 2.18X109
대장균군수 3.8X103 2.4X104 7.7X103
살모넬라 양성 양성 양성
시험군
(소석회수)
일반 세균수 1.18X1010 3.65X107 5.8X107
대장균군수 3.8X103 1.1X102 3.4X102
살모넬라 양성 음성 음성
계사중간
깔짚
대조군
(무처리)
일반 세균수 1.X1010 1.04X1010 1.44X109
대장균군수 5.2X102 2.5X102 3.3X102
살모넬라 양성 양성 양성
시험군
(소석회수)
일반 세균수 1.10X1010 3.62X107 5.6X107
대장균군수 5.2X102 1.3X10 4.1X10
살모넬라 양성 음성 음성
계사뒤
깔짚
대조군
(무처리)
일반 세균수 1.06X1010 1.05X1010 1.92X107
대장균군수 4.3X102 5.1X102 2.9X103
살모넬라 양성 양성 양성
시험군
(소석회수)
일반 세균수 1.06X1010 3.19X107 7.9X107
대장균군수 4.3X102 2.2X10 6.8X10
살모넬라 양성 음성 음성
사용 25일 된 깔짚
샘플명 그룹 측정세균 도포 전 도포 후 경과일
7일 14일
계사앞
깔짚
대조군
(무처리)
일반 세균수 1.37X109 1.3X109 1.12X109
대장균군수 5.9X102 1.27X104 3.1X103
살모넬라 양성 양성 양성
시험군
(소석회수)
일반 세균수 1.37X109 9.8X108 3.5X108
대장균군수 5.9X102 8.0X102 6.2X102
살모넬라 양성 음성 음성
계사중간
깔짚
대조군
(무처리)
일반 세균수 1.9X109 1.95X109 2.1X109
대장균군수 6.0X102 1.2X104 6.3X103
살모넬라 양성 양성 양성
시험군
(소석회수)
일반 세균수 1.9X109 1.35X107 4.4X107
대장균군수 6.0X102 2.7X102 3.6X102
살모넬라 양성 음성 음성
계사뒤
깔짚
대조군
(무처리)
일반 세균수 2.07X109 1.5X109 2.3X109
대장균군수 2.3X103 9.0X103 4.1X103
살모넬라 양성 양성 양성
시험군
(소석회수)
일반 세균수 2.07X109 7.1X108 5.1X108
대장균군수 2.3X103 9.0X102 8.3X102
살모넬라 양성 음성 음성
그 결과, 표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일 또는 25일 사용된 깔짚은 살모넬라균이 양성으로 확인된 반면, 소석회수를 도포한 깔짚은 도포 후 14일까지 살모넬라균이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일 또는 25일 사용된 깔짚에 소석회수를 도포한 경우에는 소석회수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반 세균수 및 대장균군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2-2. 소취 효과 확인
암모니아 가스 농도 측정은 소석회수를 도포한 후 1일이 경과된 시점에 수거한 깔짚 100 g을 1,100cm3 의 밀폐된 용기에 넣고 1일, 2일, 7일 경과시점에 검지관식 가스측정기 (GV-100, Gastec corporat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 20일 된 깔짚
샘플명 그룹 암모니아 가스 농도 (ppm)
도포 후 경과일
1일 2일 7일
계사앞
깔짚
대조군 (무처리) 140 250 150
시험군 (소석회수) 30 30 50
계사중간 깔짚 대조군 (무처리) 50 90 100
시험군 (소석회수) 30 30 40
계사뒤
깔짚
대조군 (무처리) 70 100 120
시험군 (소석회수) 20 30 50
사용 25일 된 깔짚
샘플명 그룹 암모니아 가스 농도 (ppm)
도포 후 경과일
1일 2일 7일
계사앞
깔짚
대조군 (무처리) 30 80 80
시험군 (소석회수) 20 10 10
계사중간 깔짚 대조군 (무처리) 20 10 20
시험군 (소석회수) 20 10 10
계사뒤
깔짚
대조군 (무처리) 40 50 80
시험군 (소석회수) 20 20 10
그 결과, 표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일 또는 25일 사용된 깔짚은 구역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일부 차이 있었으나, 깔짚에 소석회수를 도포한 경우에는 소석회수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폐깔짚에 대한 소석회수의 살균작용 및 소취작용 효능시험 (육계농장 조건)
실제 야외 육계농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소석회수를 이용한 깔짚 재사용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깔짚으로 왕겨 (국내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1. 육계농장 시험 1
야외 농장에 대한 소석회수 적용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육계 사육에서 깔짚을 사용한 지 33일된 계사 4곳을 선정하였다. 각 계사에서는 팬을 가동시켜 약 2 ~ 3 m/s으로 공기 흐름을 유지하였다. 각 계사 내 사용된 깔짚 무게를 측정한 결과, 평(3.3 m2) 당 20 kg임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1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계사의 깔짚과 소석회수를 1 : 0.5의 중량비로 맞추어 진행하였다.
각 계사에 다른 비율로 희석한 소석회수 (5배, 6배, 8배, 12배)를 실온에서 평당 5리터씩 전체적으로 1차 도포하여 1시간 후 깔짚 관리기 (MFR30AH, 녹원)로 뒤집어 24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완료 후 동일한 방법으로 소석회수 평당 5리터씩 2차 도포하여 1시간 후 깔짚 관리기로 뒤집어 골고루 섞어주고 24시간 건조시켰다. 깔짚 건조 후 1일, 10일, 20일째 시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일반 세균수 (CFU/g)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8).
그룹 일반 세균수
1일 10일 20일
무처리 (대조군) 8.7X109 5.8X109 7.2X109
소석회수
농도별 도포
(시험군)
5 1.8X107 2.8X107 7.5X107
6 3.2X107 1.9X108 8.7X107
8 1.3X108 1.0X109 1.19X109
12 1.1X109 8.7X108 1.87X109
그 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석회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폐깔짚의 일반 세균수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소석회 희석배수가 5배일 때 가장 효과적인 살균작용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야외 육계 농장 시험 2
육계사육에 깔짚을 32일 동안 사용한 농장의 계사 2곳을 선정하였다. 각 계사에서는 팬을 가동시켜 약 2 ~ 3 m/s으로 공기 흐름을 유지하였다. 계사별로 소석회수를 도포한 폐깔짚 시험군과 소석회수를 처리하지 않은 폐깔짚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소석회수 도포는 상기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소석회수의 폐깔짚에 대한 살균작용 및 소취작용을 바탕으로 폐깔짚의 재활용을 통한 가축 사육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기 위해 소석회수 도포 전과 도포 1일, 2일, 3일 후 깔짚을 수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세균수 (표 9)와 암모니아 가스 농도 (표 10)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깔짚에 소석회수를 도포한 후 4일째 538평의 계사에 평당 60수의 육계를 입추한 후 7일, 14일, 21일 및 28일에 깔짚을 수거하여 일반 세균수 및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그룹 소석회수 도포 후 시간경과에 따른 일반 세균수 (CFU/g)
도포 후 육계 입추 후
1일 7일 14일 21일 28일
대조군
(무처리)
2.41X109 3.8X109 6.1X109 1.86X109 7.6X109
시험군
(소석회수)
1.68X107 1.42X107 8.8X108 2.06X108 5.2X108
시험그룹 소석회수 도포 후 시간경과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 농도 (ppm)
도포 후 육계 입추 후
1일 2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
대조군
(무처리)
133 360 270 200 200 100 250
시험군
(소석회수)
80 50 30 40 45 10 50
그 결과, 표 9 및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석회수가 도포된 재사용 깔짚은 육계 입추 후 시간이 지나더라도 소석회수를 처리하지 않은 폐깔짚에 비해 일반 세균수 및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야외 육계 농장 시험 3
육계사육에 깔짚을 31일동안 사용한 농장의 계사 3곳을 선정하였다. 각 계사에서는 팬을 가동시켜 약 2 ~ 3 m/s으로 공기 흐름을 유지하였다. 계사별로 소석회수를 도포한 폐깔짚 시험군과 소석회수를 처리하지 않은 폐깔짚 대조군, 기존 깔짚을 제거 후 신선하고 오염되지 않은 깔짚을 사용한 새깔짚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소석회수 도포는 상기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소석회수의 폐깔짚에 대한 살균작용 및 소취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소석회수 도포 전과 도포 1일, 2일, 3일 후 깔짚을 수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세균수 (표 11)와 암모니아 가스 농도 (표 12)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깔짚에 소석회수를 도포한 후 7일째 160평의 계사에 평당 60수의 육계를 입추한 후 7일, 14일, 21일 및 28일에 깔짚을 수거하여 일반 세균수 및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그룹 소석회수 도포 후 시간경과에 따른 일반 세균수 (CFU/g)
도포 후 육계 입추 후
1일 7일 14일 21일 28일
대조군
(새깔짚)
4.0X107 6.5X107 2.8X107 8.1X108 1.23X109
대조군
(무처리)
5.6X108 1.53X108 1.12X109 1.24X109 8.5X109
시험군
(소석회수)
2.1X107 4.6X107 3.2X107 6.3X108 2.79X109
시험그룹 소석회수 도포 후 시간경과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 농도 (ppm)
도포 후 육계 입추 후
1일 2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
대조군
(새깔짚)
0 0 0 0 5 120 120
대조군
(무처리)
120 180 100 100 120 150 170
시험군
(소석회수)
10 10 5 10 10 60 50
그 결과, 표 11 및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석회수가 도포된 재사용 깔짚은 육계 입추 후 시간이 지나더라도 새깔짚과 유사한 수준으로 일반 세균수 및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폐깔짚의 처리 방법으로서 기 사용된 깔짚을 퇴비화하여 재활용하는 대신,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사용을 통해 폐깔짚을 가축 사육에 이용 가능한 재사용 깔짚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때 기존에 1회만 사용 가능하던 깔짚을 소석회 함유 조성물의 사용으로 인해 2회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a)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1 : 0.1 ~ 2의 중량비로 도포하는 단계; 및
    b)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폐깔짚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폐깔짚은 짚, 톱밥, 대팻밥, 왕겨, 목재칩 및 종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소석회가 물에 2 ~ 10배 희석된 것인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폐깔짚을 공기 흐름이 2 ~ 3 m/s인 조건에서 1 ~ 35℃에서 0.5 ~ 336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인, 방법.
  6.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재사용 깔짚.
  7. i) 가축분뇨 또는 이를 포함하는 폐깔짚에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1 : 0.1 ~ 2의 중량비로 도포하는 단계; 및
    ii) 상기 소석회 함유 조성물이 도포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폐깔짚은 짚, 톱밥, 대팻밥, 왕겨, 목재칩 및 종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소석회 함유 조성물은 소석회가 물에 2 ~ 10배 희석된 것인
    퇴비 부숙도 기준을 맞추기 위한 가축분뇨 또는 폐깔짚의 처리 방법.

KR1020200127020A 2020-09-29 2020-09-29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KR10224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20A KR102249459B1 (ko) 2020-09-29 2020-09-29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020A KR102249459B1 (ko) 2020-09-29 2020-09-29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459B1 true KR102249459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020A KR102249459B1 (ko) 2020-09-29 2020-09-29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10A (ko) * 2021-07-01 2023-01-10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388A (ja) * 2001-10-05 2003-04-22 Aoi Shoji:Kk 厩舎の敷材の乾燥、殺菌および脱臭装置
KR100865979B1 (ko) * 2007-08-08 2008-10-29 강경종 살균소독용 석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27801A (ko) * 2010-09-13 2012-03-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깔짚의 살균소독 방법
KR101183744B1 (ko) 2011-09-02 2012-09-17 (주)지앤엘 원통형 또는 다각형 밀폐형 발효조에 축사 깔짚을 포함한 축사폐기물을 수분조절제로 가축분뇨 폐수 무 방류, 속성발효로 퇴, 액비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KR101727864B1 (ko) * 2016-10-14 2017-04-18 장래영 복합 소취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388A (ja) * 2001-10-05 2003-04-22 Aoi Shoji:Kk 厩舎の敷材の乾燥、殺菌および脱臭装置
KR100865979B1 (ko) * 2007-08-08 2008-10-29 강경종 살균소독용 석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27801A (ko) * 2010-09-13 2012-03-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깔짚의 살균소독 방법
KR101183744B1 (ko) 2011-09-02 2012-09-17 (주)지앤엘 원통형 또는 다각형 밀폐형 발효조에 축사 깔짚을 포함한 축사폐기물을 수분조절제로 가축분뇨 폐수 무 방류, 속성발효로 퇴, 액비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KR101727864B1 (ko) * 2016-10-14 2017-04-18 장래영 복합 소취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10A (ko) * 2021-07-01 2023-01-10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KR102605307B1 (ko) 2021-07-01 2023-11-23 다나농업회사 법인주식회사 축사용 기능성 깔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lile Ammonia in poultry houses: A literature review
US5945333A (en) Biological poultry litter treatment composition and its use
US4034078A (en)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dors
CA2881643C (en) Method of reducing atmospheric ammonia in livestock and poultry confinement facilities
KR102249459B1 (ko) 소석회 함유 조성물을 이용한 재사용 깔짚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재사용 깔짚
US4218233A (en) Method for deodorizing poultry houses
US7393521B2 (en) In situ remediation of waste in farm animal bedding substrates
JP2005126252A (ja) 鶏糞燃焼灰のリン酸処理物からなる肥料およびそれを施用してなる土壌
JP2623055B2 (ja) 発酵健康飼料
Rashid et al. Effect of chemically treated litter on ammonia emmissi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
Mituniewicz et al. Effect of calcium peroxide (CaO2) addition to poultry litter on the parameters of its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fertilising quality
JP2005145785A (ja) 鶏糞燃焼灰の硫酸処理物からなる速緩効性肥料
Mituniewicz et al. Effect of disinfectants on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litter, microbiological quality of poultry house air,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RU2491264C2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животных
Gholap Evaluation of air and litter quality with microbiological fluctuations in commercial broiler facilities using a biological or chemical litter treatment
Tasistro et al. Manipulating bedding materials and PLT™ to reduce NH3 emissions from broiler manure
JP2004091225A (ja) 家畜糞尿の堆肥製造過程における無臭化処理方法
JP3605679B1 (ja) 敷料、堆肥、敷料の製造方法、及び堆肥の製造方法
HU193508B (en) Process for working up waste materials
US7963252B2 (en) Composition to accelerate the exponential growth of lag phase-preserved heterotrophic bacteria
JP2007089429A (ja) 家畜用飼料の製造方法および家畜用飼料
KR20090102378A (ko) 쑥을 주원료로 하는 천연 살균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Fotina et al. IMPROVING THE TECHNIQUE OF PROTECTING CONCRETE FLOORS IN POULTRY HOUSES.
Palii et al. Investigation of the microclimate of poultry hous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oultry litter, depending on the time of its accumulation in the cage batteries
CN106359450A (zh) 一种畜禽养殖场环境改良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