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741B1 -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741B1
KR102343741B1 KR1020210019031A KR20210019031A KR102343741B1 KR 102343741 B1 KR102343741 B1 KR 102343741B1 KR 1020210019031 A KR1020210019031 A KR 1020210019031A KR 20210019031 A KR20210019031 A KR 20210019031A KR 102343741 B1 KR102343741 B1 KR 10234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fall prevention
sensing
prevention member
sen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희승
Original Assignee
(주)하늘정원디자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늘정원디자인그룹 filed Critical (주)하늘정원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21001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741B1/ko
Priority to KR1020210058490A priority patent/KR102351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41Horizontal str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47B2067/025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having safety mean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가구가 외력 등에 의해 기울어질 경우 작동하여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방지장치는,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방지부재,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방지부재 수용부, 상기 가구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재, 상기 가구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감지부재 수용부 및 상기 감지부재의 전방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상기 가구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Fall prevention device and furni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치된 상태의 가구에 외력 등에 의해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작동하여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원하는 설치 장소에 배치되어 인테리어나 수납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배치된 이후에는 지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구들 중 책장, 수납장과 같이 설치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높이가 큰 가구들은 무게중심이 높게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소아가 가구를 잡아 당기거나 전방에 올라타게 되는 경우와 같이 외력이 작용할 경우 가구가 전도되는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의 후면과 벽을 연결하여 고정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벽에 피스나 못과 같은 고정구를 벽에 설치한 후 벽과 가구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벽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고정구 및 가구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가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재배치가 필요하거나 이사를 가게 되는 경우,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구와 벽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없이 가구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작동되어 가구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가구가 외력 등에 의해 기울어질 경우 작동하여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기와 같은 동력공급 없이도 간단한 기계적 구조를 통해 가구가 기울어질 경우 작동하여 작동 신뢰성이 높은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방지장치는,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방지부재,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방지부재 수용부, 상기 가구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재, 상기 가구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감지부재 수용부 및 상기 감지부재의 전방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상기 가구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방지부재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도방지부재에 대하여 전방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평상시에는 상기 전도방지부재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속하고 상기 가구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낙차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회동하며 상기 전도방지부재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전방 이동시 상기 감지부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부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하도록 마련되고 후크 형상을 구비하는 구속부와, 상기 작동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속부사이에 배치되는 회동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방지부재는 평상시 상기 구속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구속하고 상기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가 접촉되며 회동함에 따라 상기 구속부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전방 이동시 상기 감지부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와, 내부에 압축가스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가스를 외부로 분출하도록 마련되는 가스탱크와, 상기 가스탱크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작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는 상기 가구가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3 내지 10°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금속구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장치는 가구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돌출되는 전도방지부재에 의해 가구의 전도가 방지되어 가구 전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장치는 기구적인 구조만으로 이루어져 무전원으로 작동가능하므로, 작동 신뢰성이 높고 전원 공급없이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가구에 장착함에 따른 가구의 원가상승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가 적용된 가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구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방지장치의 내부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도방지장치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가구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도 3의 전도방지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도방지장치가 완전히 작동하여 가구의 전도가 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가 적용된 가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구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도방지장치의 내부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전도방지장치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구(10)는 수납장, 책장, 서랍장 등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가구가 차지하는 설치면적 대비 높이가 상대적으로 커서 전도의 위험성이 높은 가구의 전도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의 전도를 방지할 목적으로 가구(1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가구(10)가 전도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방향으로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가구(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가구(10)와 같이 벽면을 향하는 면을 후면이라 정의하였을때 전후방향의 두께가 벽면과 평행한 방향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10)의 전방으로 전도를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10)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가구(1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전도방지부재(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전도방지부재(110)은 가구(10)의 전면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방지부재(110)와, 전도방지부재(110)를 수용하고 전도방지부재(1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방지부재 수용부(120)와, 가구(10)내에 배치되어 가구(10)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재(130)와, 가구(10)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감지부재(130)가 수용되어 감지부재(13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감지부재 수용부(140)와, 감지부재(130)의 전방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전도방지부재(110)를 가구(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도하여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하는 작동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방지부재(110)는 가구(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방지부재 수용부(120)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가구(10)의 전방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지부재 수용부(120)는 전도방지부재(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도방지부재(1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도방지부재(110)은 방지부재 수용부(120)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동유닛(150)은 전도방지부재(110)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1)은 방지부재 수용부(12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전도방지부재(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도방지부재(110)을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탄성부재(151)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전도방지부재(110)가 방지부재 수용부(120)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후술할 작동레버(152)에 의한 전도방지부재(1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탄성부재(151)의 탄성에너지가 전도방지부재(110)에 전해지면서 전도방지부재(110)가 전방으로 가속되며 신속하게 가구(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가구(10)을 지지하여 가구(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전도방지부재(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지부재 수용부(120)도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방지부재(110)는 탄성부재(151)에 의한 탄성력 이외에 전도방지부재(110)의 낙차에 따른 위치에너지에 의한 가속력이 더해져 더욱 빠르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전도방지부재(110)와 방지부재 수용부(120)은 약간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방지부재(110)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가구(10)에서 돌출되면서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점차 경사가 완화해지면서 이동하게 되어 전도방지부재(110)의 전단부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지점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도방지부재(110)가 가구(10)를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방지부재 수용부(120) 및 감지부재 수용부(140)은 별도의 하우징 구조로 형성되어 가구(10)내에 매립되어 설치되거나, 가구(10)의 목재부분을 홀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작동유닛(150)은 평상시에는 전도방지부재(11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속하고, 가구(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낙차에 의해 감지부재(130)가 감지부재 수용부(140)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회동하며 전도방지부재(11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작동레버(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레버(152)는 감지부재 수용부(140)내에 배치되어 감지부재(130)의 전방이동시 감지부재(130)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152a)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52a)는 가구(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낙차에 의해 감지부재(130)가 감지부재 수용부(140)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가속된 상태에서 감지부재(130)과 충돌하도록 방지부재 수용부(120)의 전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전체 또는 일부분이 방지부재 수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재(130)의 운동에너지는 감지부(152a)로 전달될 수 있다.
작동레버(152)는 감지부(152a)와 일체로 형성되어 감지부(152a)와 연동되도록 마련되고 후크형상을 구비하여 전도방지부재(110)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15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도방지부재(110)은 구속부(152b)와 결합되어 전도방지부재(110)를 구속하고 감지부재(140)와 감지부(152a)가 접촉되며 회동함에 따라 구속부(152b)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11)는 전도방지부재(110)가 방지부재 수용부(120)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구속부(152b)와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전도방지부재(110)의 전방부의 일측에 원형 단면을 갖고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속부(152b)의 회동에 따라 구속부(152b)의 후크 형상과 결합 및 결합해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동레버(152)는 작동레버(15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동축부(15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부(152c)는 감지부(152a)와 구속부(152b)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감지부재 수용부(140) 또는 가구(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레버(15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감지부재(130)는 가구(10)의 기울어짐 발생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큰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금속 구슬 또는 유리 구슬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재 수용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구(10)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감지부재(130)가 가구(10)가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각도(I) 하향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으며, 각도(I)는 3 내지 10°일 수 있다. 따라서, 가구(10)가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감지부재 수용부(140)에 형성되는 낙차에 의해 감지부재 수용부(140)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재(130)는 가구(10)의 전방 기울어짐 발생시 감지부재 수용부(140)의 후단부에 위치해 있다가 감지부재 수용부(140)의 전단부에 배치된 감지부(152a)와 충돌하기까지 충분히 가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지부(152a)에는 작동레버(152)가 회동하며 구속부(152b)와 걸림돌기(111)간의 결합관계를 해제하기에 충분한 운동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도방지장치(1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구(10)의 전방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가구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도 3의 전도방지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전도방지장치가 완전히 작동하여 가구의 전도가 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감지부(152a)에 감지부재(130)의 운동에너지가 전달되면 작동레버(152)는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감지부(152a)와 구속부(152b)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고, 구속부(152b)와 걸림돌기(111)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부(152b)는 걸림돌기(111)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평배열상태로, 감지부(152a)는 감지부재(130)로부터 운동에너지를 전달받기에 용이한 수직배열상태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152)가 감지부재(130)에 의해 회동하게 되면 구속부(152b)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며 걸림돌기(111)와의 결합관계가 해제되면서 전도방지부재(1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151)의 탄성력에 의해 전도방지부재(110)이 가속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면 전도방지부재(110)가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 가구(10)를 지지하며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구속부(152b)는 감지부(152a)보다 더 큰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15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구속부(152b)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방지부재(110)가 작동된 후 원래의 상태로 되돌기기 위하여 전도방지부재(110)를 방지부재 수용부(120) 내측으로 밀어넣을 때 구속부(152b)에는 하강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구속부(152b)가 걸림돌기(11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구속부(152b)가 하강하게 되면서 구속부(152b)의 내측에 걸림돌기(111)가 결합되면 구속상태가 복원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52b)는 구속부(152a)가 하강하는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감지부재 수용부(14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141)를 통해 회동이 보장되지만, 개방부(141)의 후측벽과의 간섭에 의해 감지부(152b)가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는 범위로 회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속부(152b)의 수평배열상태 및 감지부(152a)의 수직배열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도방지장치(100)는 작동되어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한 이후 가구(10)를 수평상태로 다시 재배치시킨 후 전도방지부재(110)를 가구(10) 내측으로 밀어넣어 구속된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통해 반복적인 작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모든 동작은 전원공급이 불필요한 기구적인 작동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배터리 방전, 전원 미공급 등에 의해 작동불능상태가 경우 없이 반영구적인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5에 다른 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조나 동작은 동일하며, 특히 감지부재(230) 및 감지부재 수용부(24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도방지장치(200)은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방지부재(210)와, 전도방지부재(210)를 수용하고 전도방지부재(2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방지부재 수용부(120)와, 가구(10)내에 배치되어 가구(10)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재(230)와, 가구(10)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감지부재(230)가 수용되어 감지부재(13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감지부재 수용부(240)와, 감지부재(230)의 전방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전도방지부재(210)를 가구(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도하여 가구(10)의 전도를 방지하는 작동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닛(250)은 감지부재 수용부(240)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배치되어 감지부재(230)의 전방 이동시 감지부재(230)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252)와, 내부에 압축가스를 구비하여 작동레버(252)가 회동함에 따라 압축가스를 외부로 분출하도록 마련되는 가스탱크(253)와, 가스탱크(253)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공급받아 전도방지부재(210)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작동 실린더(254)와, 가스탱크(253)와 작동 실린더(254)사이에 연결되어 가스탱크(253)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작동 실린더(254)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2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실린더(254)는 원통형의 실린더 하우징(254a)와, 실린더 하우징(254a) 내부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254b)과, 피스톤(254b)와 전도방지부재(210)사이를 연결하는 작동로드(254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재(230)의 작동에 의해 작동레버(252)가 회동하면 가스탱크(253)내부의 가스가 가스공급관(255)를 통해 작동 실린더(254)에 공급되어 피스톤(254b)와 작동로드(254c)가 작동하면 전도방지부재(210)가 전방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며 가구(10)의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전도방지부재(210)와 작동 실린더(254)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252)에는 그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안전핀(26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구(10)의 이동과정에서 감지부재(230)가 이동하며 작동레버(252)에 접촉되더라도 작동레버(252)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전도방지부재(210)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안전핀(260)은 가구(10)의 배치가 완전히 종료된 후 제거되면, 이후에는 전도방지장치(200)가 작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안전핀(260)에 대한 구성은 앞선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전도방지장치(200)는 가스탱크(253)를 동력원으로 하므로, 한번 작동된 이후에는 가스탱크(253)의 가스 재충전 또는 교체과정을 통해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구 100, 200 : 전도방지장치
110 : 전도방지부재 120 : 방지부재 수용부
130 : 감지부재 140 : 감지부재 수용부
150 : 작동 유닛 151 : 탄성부재
152 : 작동레버

Claims (7)

  1.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방지부재;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방지부재 수용부;
    상기 가구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구의 전후방향으로 발생하는 기울기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재;
    상기 가구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재가 수용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감지부재 수용부; 및
    상기 감지부재의 전방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상기 가구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방지부재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도방지부재에 대하여 전방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평상시에는 상기 전도방지부재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속하고 상기 가구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낙차에 의해 상기 감지부재가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회동하며 상기 전도방지부재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내에 적어도 그 일부분이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재의 전방 이동시 상기 감지부재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부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하도록 마련되고 후크 형상을 구비하는 구속부와, 상기 작동레버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속부사이에 배치되는 회동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방지부재는 평상시 상기 구속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도방지부재를 구속하고 상기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가 접촉되며 회동함에 따라 상기 구속부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전도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 수용부는 상기 가구가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3 내지 10°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도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금속구슬인 전도방지장치.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전도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210019031A 2021-02-10 2021-02-10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KR10234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31A KR102343741B1 (ko) 2021-02-10 2021-02-10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KR1020210058490A KR102351940B1 (ko) 2021-02-10 2021-05-06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31A KR102343741B1 (ko) 2021-02-10 2021-02-10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90A Division KR102351940B1 (ko) 2021-02-10 2021-05-06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741B1 true KR102343741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031A KR102343741B1 (ko) 2021-02-10 2021-02-10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KR1020210058490A KR102351940B1 (ko) 2021-02-10 2021-05-06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90A KR102351940B1 (ko) 2021-02-10 2021-05-06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3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90B1 (ko) 2022-01-18 2022-10-06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수납가구용 안전 스탠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46A (ja) * 1995-07-13 1997-01-28 Katsuji Yamada 家具等の転倒防止装置
JPH0975159A (ja) * 1995-09-08 1997-03-25 Giichi Toda 竪長家具の転倒防止装置
JPH10276847A (ja) * 1997-04-01 1998-10-20 M & C:Kk 転倒防止装置
JP2005034583A (ja) * 2003-07-17 2005-02-10 Katsuo Sato 転倒防止アーム
JP2007215709A (ja) * 2006-02-15 2007-08-30 Ricoh Co Ltd 床面設置機器
JP2009247903A (ja) * 2008-04-03 2009-10-29 Kofukin Seimitsu Kogyo (Shenzhen) Yugenkoshi キャビネット傾倒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46A (ja) * 1995-07-13 1997-01-28 Katsuji Yamada 家具等の転倒防止装置
JPH0975159A (ja) * 1995-09-08 1997-03-25 Giichi Toda 竪長家具の転倒防止装置
JPH10276847A (ja) * 1997-04-01 1998-10-20 M & C:Kk 転倒防止装置
JP2005034583A (ja) * 2003-07-17 2005-02-10 Katsuo Sato 転倒防止アーム
JP2007215709A (ja) * 2006-02-15 2007-08-30 Ricoh Co Ltd 床面設置機器
JP2009247903A (ja) * 2008-04-03 2009-10-29 Kofukin Seimitsu Kogyo (Shenzhen) Yugenkoshi キャビネット傾倒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90B1 (ko) 2022-01-18 2022-10-06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수납가구용 안전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940B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741B1 (ko)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가구
JP6038895B2 (ja) 正面カバーを引き出しに装着するための締結装置
WO2010116711A1 (ja) 収納棚
US3870266A (en) Self-locking shelf support
CN108378586B (zh) 一种具有自防倾倒功能的抽屉组式家具
KR102130928B1 (ko)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CN112146350B (zh) 冰箱防倾倒控制方法、控制装置及冰箱
JP5650788B2 (ja) 転倒防止装置
JPH11178665A (ja) 棚什器の感震落下防止装置
JP2007117369A (ja) 転倒防止装置、収納家具
KR102055102B1 (ko) 가구용 자동잠금장치
JP6537685B1 (ja) 転倒防止装置
JP6725841B2 (ja) 電子装置
JP2018071326A (ja) キャビネット
JP6179931B1 (ja) 椅子
JP2010009409A (ja) 転倒防止具
JP2013248238A (ja) 転倒防止装置
KR102449990B1 (ko) 수납가구용 안전 스탠드
JP6729924B2 (ja) レバー埋込式ブレーカーの地震時遮断装置
JP2007105405A (ja) 引出用耐震ラッチ
JP2005335615A (ja) 機器の支持装置
JP7249704B1 (ja) 転倒防止装置
KR102617737B1 (ko) 오토캐쳐 기능을 갖는 구속형 수납가구
KR102617746B1 (ko) 오토캐쳐 기능을 갖는 비구속형 수납가구
JP2006158655A (ja) 転倒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