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183B1 -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 Google Patents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183B1
KR102343183B1 KR1020210054270A KR20210054270A KR102343183B1 KR 102343183 B1 KR102343183 B1 KR 102343183B1 KR 1020210054270 A KR1020210054270 A KR 1020210054270A KR 20210054270 A KR20210054270 A KR 20210054270A KR 102343183 B1 KR102343183 B1 KR 10234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raphite
graphite powder
waste
drying apparatus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소재
Priority to KR102021005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6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 F26B11/046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disintegrating, crushing, or for being mixed with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6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 F26B11/047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mixing, stirring or convey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e.g. mounted to the wall, rotating with the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함수율 30% 이상의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면서 1차 건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한 다음, 다시 타일 형태로 컷팅한 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함수율 10% 미만으로 2차 건조시키고, 분쇄기와 샌드밀을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폐흑연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WASTED GRAPHITE POWDER DRYING APPARATUS AND DRY WASTED GRAPHITE POWDER}
본 발명은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함수율 30% 이상의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면서 1차 건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한 다음, 다시 타일 형태로 컷팅한 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함수율 10% 미만으로 2차 건조시키고, 분쇄기와 샌드밀을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폐흑연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하여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서, 다른 이차전지 대비 높은 출력과 우수한 충방전 성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컴퓨터 등의 모바일 IT기기에서부터 전기 자동차용 동력원이나 풍력 또는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은, 충전시 전자를 내보내고 리튬이온을 받아들이며, 배터리로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방전시 전자를 받아들이고 리튬이온을 양극으로 보낸다. 그러므로 음극은 전자가 잘 움직이도록 전기전도성이 좋아야 하고 리튬이온의 이동이 용이해야 한다.
통상의 음극재는 리튬이온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는 활물질(Active material), 활물질을 고정하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도전재(Conductive material) 및 도전재에 활물질을 접합하는 바인더(Binder)로 구성된다.
현재 상용화된 도전재는 구리박을 사용하고, 활물질은 흑연(Carbon)을 사용하며 바인더는 결합제로 PVDF 및 분산용매로 NMP 등을 사용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흑연 제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매년 3,000억 이상(ton당 1,500만원 기준) 수입되고, 흑연 소재(블록, 바, 튜브, 분말 형태)를 수입하여 용도에 부합되는 형상의 제품을 가공장비를 통해 형상가공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수입한 흑연 소재(Graphite block, bar, tube)는 가공형상의 복잡성, 가공공정에 따라 약40%~80% 까지 고형의 스크렙(Scrap)이나 분말형태의 폐기물로 발생되고 있으며 소재의 사용량(수입량)이 많은 업체의 경우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흑연 스크랩(scrap)를 수출국에 반송하는 경로가 있으나 대다수의 흑연 소재의 가공업체들은 고가의 소재(수입가 톤당 약 1,500만원)를 40%~80% 가량 제품외 부산물 혹은 폐기물로 가탄재를 생산하는 업체에 톤당 약 15만(여름)~30만원(겨울)으로 폐기물수준으로 처분을 하고 있거나 일반 쓰레기와 소량으로 섞어 버리고 있어 외화 및 고가자원(高價資源)의 낭비와 토양 수질의 환경오염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시에도 음극재인 흑연이 사용되고, 이러한 흑연이 수분을 함유한 채로 폐기되는 데, 이러한 폐흑연을 건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함수율 30% 이상의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면서 1차 건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한 다음, 다시 타일 형태로 컷팅한 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함수율 10% 미만으로 2차 건조시키고, 분쇄기와 샌드밀을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폐흑연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함수율 30% 이상인 폐흑연 분말이 저장되어 투입되는 투입 호퍼와; 상기 투입 호퍼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여 시트 형태로 배출함과 동시에 1차 건조시키는 히팅 가압 롤러와; 상기 히팅 가압 롤러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시트를 타일 형태로 컷팅하는 컷팅 롤러와; 상기 컷팅 롤러에서 컷팅된 폐흑연 타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폐흑연 타일을 2차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되어 낙하되는 폐흑연 타일을 알갱이 형태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흑연 알갱이를 투입받아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샌드밀; 및 상기 샌드밀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분말을 저장하는 저장 호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는 상기 분쇄기의 상단에 분쇄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는 상기 히팅 가압 롤러의 하단에서 표면에 부착된 폐흑연 분말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투입 호퍼는 폐흑연 분말을 교반시키는 교반 날개가 구비되고, 배출구가 상기 히팅 가압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히팅 가압 롤러로 일정량의 폐흑연 분말을 투입시키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건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타일 투입구, 하단에 타일 배출구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수직으로 원통형의 회전축이 형성되며, 타일 낙하구를 구비하는 구획판이 수평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에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는 반사판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수평하게 결합되어 투입된 폐흑연 타일을 교반시키는 회전봉과;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및 상기 본체의 상단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의 구획판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낙하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본체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송풍팬이 구비된 배출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이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구가 돌출 형성되며,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도록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회전봉과 미간섭되는 위치에 그 단면 형태가 라운드 또는 다각 형태이고, 막대 형상의 반사체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합구에는 마이크로파를 차폐하도록 도전성 재질의 마이크로파 차폐망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전봉은 금속 재질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봉 본체와;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난반사 메쉬망; 및 폐흑연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고, 증기가 상기 회전축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난반사 메쉬망 외측에 부착되는 부직포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저장 호퍼에 저장된 폐흑연 분말은 함수율 10% 미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된 건조 폐흑연 분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에 따르면, 함수율 30% 이상의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면서 1차 건조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한 다음, 다시 타일 형태로 컷팅한 후 건조로를 통과시키면서 함수율 10% 미만으로 2차 건조시키고, 분쇄기와 샌드밀을 이용하여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폐흑연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중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중 건조기의 회전축과 회전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중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중 건조기의 회전축과 회전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1)는 투입 호퍼(10)와, 히팅 가압 롤러(20)와, 컷팅 롤러(30)와, 이송 컨베이어(40)와, 건조기(50)와, 분쇄기(60)와, 샌드밀(70)과, 저장 호퍼(80)와, 포집기(90) 및 스크래퍼(100)로 구성된다.
먼저, 투입 호퍼(10)는 함수율 30% 이상인 폐흑연 분말이 저장되어 히팅 가압 롤러(20)로 투입하는 데, 폐흑연 분말(G1)을 교반시키는 교반 날개(11)가 구비되고, 배출구(13)가 히팅 가압 롤러(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배출구(13)에 길이 방향으로 히팅 가압 롤러(20)로 일정량의 폐흑연 분말(G1)을 투입시키는 배출 스크류(15)가 구비된다.
그리고, 히팅 가압 롤러(20)는 투입 호퍼(10)의 배출구(13) 하단에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고, 내부에 히터(21)가 설치되어 투입 호퍼(10)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여 시트 형태로 배출함과 동시에 1차 건조시킨다. 이때, 히팅 가압 롤러(20)는 250~300℃의 온도를 유지하고, 회전 속도는 폐흑연 시트(S)가 안정적으로 제작되는 속도로 회전된다.
또한, 컷팅 롤러(30)는 히팅 가압 롤러(20)의 하단에 위치하고, 격자 형태로 서로 치합되는 컷팅날(31)이 형성되어 히팅 가압 롤러(20)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시트(S)를 타일 형태((예를 들어, 사각, 육각, 팔각 형태)로 컷팅하는 데, 그 크기는 3~5㎝로 컷팅한다.
또, 이송 컨베이어(40)는 컷팅 롤러(30)에서 컷팅된 폐흑연 타일(T)을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40)는 건조 터널(50)의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금속 메쉬 또는 금속 플레이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건조기(50)는 이송 컨베이어(40) 상에 설치되어 폐흑연 타일(T)을 2차 건조시켜 함수율 10%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건조기(50)는 본체(51)와, 회전봉(53)과, 마이크로파 발생기(55) 및 회전 모터(57)로 구성된다.
본체(21)는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타일 투입구(51a), 하단에 타일 배출구(51b)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수직으로 원통형의 회전축(51c)이 형성되며, 타일 낙하구(51d)를 구비하는 구획판(51e)이 수평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된다. 이때, 구획판(51e)은 마이크로파를 통과시키도록 합성수지 판재로 형성되거나,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고, 공기가 유통되도록 금속 재질의 메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51)는 내측면에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는 반사판(R1)이 설치되고, 구획판(51e)은 액츄에이터(C)에 의해 타일 낙하구(51d)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SD)가 설치된다.
회전축(51c)은 본체(51)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송풍팬(F)이 구비된 배출 덕트(D)가 설치되고, 회전봉(53)이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구(B)가 돌출 형성되며,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도록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봉(53)과 미간섭되는 위치에 그 단면 형태가 라운드 또는 다각 형태이고, 막대 형상의 반사체(R2)가 구비된다. 이때, 결합구(B)에는 마이크로파를 차폐하도록 도전성 재질의 마이크로파 차폐망(M)이 설치된다.
회전봉(53)은 회전봉 본체(53a)와, 난반사 메쉬망(53b) 및 부직포(53c)로 구성된다.
회전봉 본체(53a)는 금속 재질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타공홀(H)이 형성되어 회전축(51c)의 결합구(B)에 방사상으로 수평하게 결합되어 투입된 폐흑연 타일(T)을 교반시킨다.
난반사 메쉬망(53b)은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봉 본체(53a)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부직포(53c)는 폐흑연 타일(T)의 파손을 방지하고, 증기가 회전축(51c) 내부로 유입되도록 난반사 메쉬망(53b) 외측에 부착된다.
마이크로파 발생기(55)는 본체(51)의 외측면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본체(51)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회전 모터(57)는 본체(51)의 상단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51c)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분쇄기(60)는 통상의 조크러셔가 적용되고, 건조기(50)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타일(T)을 알갱이 형태로 분쇄하여 배출한다.
또한, 샌드밀(70)을 분쇄기(60)에서 분쇄된 폐흑연 알갱이(E)를 투입받아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배출한다.
또, 저장 호퍼(80)는 샌드밀(70)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분말(G2)을 저장한다.
계속해서, 포집기(90)는 분쇄기(60)의 상단에 분쇄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작업 현장의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그리고, 스크래퍼(100)는 히팅 가압 롤러(20)의 하단에 밀착 설치되어 히팅 가압 롤러(20)의 표면에 부착된 폐흑연 분말(G1)을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함수율 30% 이상인 투입 호퍼(10)로 저장된다. 이때, 함수율이 낮아 히팅 가압 롤러(20)에서 폐흑연 시트(S)의 압축이 어려운 경우 투입 호퍼(10)에 저장 전에 물을 뿌려 함수율을 높일 수 있다.
투입 호퍼(10)로 투입된 폐흑연 분말(G1)은 교반 날개(11)에 의해 교반되면서 뭉치는 것이 방지되고, 배출 스크류(15)에 의해 배출구(13)에서 일정량 낙하된다.
배출구(13)에서 낙하된 폐흑연 분말(G1)은 히팅 가압 롤러(20) 사이의 상부로 투입되어 히팅 가압 롤러(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과 동시에 1차 건조되면서 폐흑연 시트(S)로 배출된다. 즉, 흙 반죽의 예를 들어 입자가 덜 뭉쳐진 건식 반죽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수분에 의해 입자가 뭉쳐지면서 표면이 건조되어 내부는 수분이 포함되어 물렁한 상태이고, 표면이 건조된 상태의 넓은 판 형태로 배출된다.
히팅 가압 롤러(20)에서 하부로 수직 배출되는 폐흑연 시트(S)는 컷팅 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컷팅날(31)에 의해 사각 타일 형태로 컷팅되어 낙하된다.
낙하된 폐흑연 타일(T)은 이송 컨베이어(40)를 따라 건조기(50)의 본체퍼(51)의 타일 투입구(51a)로 투입된다.
본체(51)로 투입된 폐흑연 타일(T) 구획판(51e)으로 자유 낙하된다.
그러면, 회전 모터(57)의 회전에 의해 본체(51)의 회전축(51c)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봉(53)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폐흑연 타일(T)을 구획판(51e) 위에서 교반시킨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파 발생기(55)에서 마이크로파가 발생되어 본체(51)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파 발생기(65)에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본체(51)가 금속 재질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51c), 반사판(R1), 반사체(R2), 회전봉(53) 및 난반사 메쉬망(53b)에 의해 난반사를 일으키면서 본체(51)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며 각 폐흑연 타일(T)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게 된다.
리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건조시 발생되는 증기는 배출 덕트(D)의 송풍팬(F)의 동작에 의해 외기로 배출되는 데, 증기가 회전봉(3)의 부직포(53c)와, 난반사 메쉬망(53b)를 통과하여 회전봉 본체(53a)의 타공홀(H)로 유입된 후 회전축(51c)으로 유입되면서 배출 덕트(D)로 상승되어 외부로 강제 배기된다.
이때, 회전축(1c)의 결합구(B)에 설치된 마이크로파 차폐망(M)에 의해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폐된다.
한편, 일정 시간(예를 들어, 1~2분) 교반되며 건조가 완료되면, 액츄에이터(A)가 동작되어 슬라이딩 도어(SD)를 슬라이딩시켜 타일 낙하구(51d)를 개방시키면, 구획판(51e)의 폐흑연 타일(T)이 회전봉(53)에 의해 이동되면서 타일 낙하구(51d)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구획판(51e)으로 자유낙하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건조가 완료된 폐흑연 타일(T)이 본체(51)의 타일 배출구(51b)를 통해 자유낙하되어 분쇄기(60)로 투입된다.
분쇄기(60)로 투입된 2차 건조된 폐흑연 타일(T)은 1㎝ 미만의 입자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분쇄되어 샌드밀(70)로 투입되고, 다시 샌드밀(70)에서 필요로 하는 분말 입도로 분쇄되어 배출되어 저장 호퍼(8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투입 호퍼 20 : 히팅 가압 롤러
30 : 컷팅 롤러 40 : 이송 컨베이어
50 : 건조기 60 : 분쇄기
70 : 샌드밀 80 : 저장 호퍼
90 : 포집기 100 : 스크래퍼

Claims (11)

  1. 함수율 30% 이상인 폐흑연 분말이 저장되어 투입되는 투입 호퍼와;
    상기 투입 호퍼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분말을 가압하여 시트 형태로 배출함과 동시에 1차 건조시키는 히팅 가압 롤러와;
    상기 히팅 가압 롤러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시트를 타일 형태로 컷팅하는 컷팅 롤러와;
    상기 컷팅 롤러에서 컷팅된 폐흑연 타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폐흑연 타일을 2차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되어 낙하되는 폐흑연 타일을 알갱이 형태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흑연 알갱이를 투입받아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샌드밀; 및
    상기 샌드밀에서 배출되는 폐흑연 분말을 저장하는 저장 호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는,
    상기 분쇄기의 상단에 분쇄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는,
    상기 히팅 가압 롤러의 하단에서 표면에 부착된 폐흑연 분말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호퍼는,
    폐흑연 분말을 교반시키는 교반 날개가 구비되고, 배출구가 상기 히팅 가압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히팅 가압 롤러로 일정량의 폐흑연 분말을 투입시키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타일 투입구, 하단에 타일 배출구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수직으로 원통형의 회전축이 형성되며, 타일 낙하구를 구비하는 구획판이 수평 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에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는 반사판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수평하게 결합되어 투입된 폐흑연 타일을 교반시키는 회전봉과;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및
    상기 본체의 상단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구획판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타일 낙하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본체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상단에 송풍팬이 구비된 배출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이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구가 돌출 형성되며,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도록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회전봉과 미간섭되는 위치에 그 단면 형태가 라운드 또는 다각 형태이고, 막대 형상의 반사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마이크로파를 차폐하도록 도전성 재질의 마이크로파 차폐망이 설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금속 재질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봉 본체와;
    마이크로파를 난반사시키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난반사 메쉬망; 및
    폐흑연 타일의 파손을 방지하고, 증기가 상기 회전축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난반사 메쉬망 외측에 부착되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호퍼에 저장된 폐흑연 분말은,
    함수율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11. 제 1 항의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된 건조 폐흑연 분말.
KR1020210054270A 2021-04-27 2021-04-27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KR10234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70A KR102343183B1 (ko) 2021-04-27 2021-04-27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70A KR102343183B1 (ko) 2021-04-27 2021-04-27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183B1 true KR102343183B1 (ko) 2021-12-24

Family

ID=7917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70A KR102343183B1 (ko) 2021-04-27 2021-04-27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1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7839A (zh) * 2023-04-24 2023-07-18 台山市合众食品企业有限公司 一种葛根米粉生产用智能烘干装置
CN117206032A (zh) * 2023-09-21 2023-12-12 五星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一次焙烧残废品处理装置
FR3139188A1 (fr) * 2022-08-29 2024-03-01 Innovation & Development Company four de calcination par micro-ondes pour matériaux solides divisés en fines particules
CN117206032B (zh) * 2023-09-21 2024-06-04 五星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一次焙烧残废品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89B1 (ko) * 2018-02-22 2018-10-04 주용돈 폐 흑연 재생장치
KR20190073711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티씨케이 폐 흑연 물질의 재활용 방법, 폐 흑연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711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티씨케이 폐 흑연 물질의 재활용 방법, 폐 흑연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904689B1 (ko) * 2018-02-22 2018-10-04 주용돈 폐 흑연 재생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9188A1 (fr) * 2022-08-29 2024-03-01 Innovation & Development Company four de calcination par micro-ondes pour matériaux solides divisés en fines particules
WO2024047295A1 (fr) * 2022-08-29 2024-03-07 Innovation & Development Company Four de calcination par micro-ondes pour matériaux solides divisés en fines particules
CN116447839A (zh) * 2023-04-24 2023-07-18 台山市合众食品企业有限公司 一种葛根米粉生产用智能烘干装置
CN116447839B (zh) * 2023-04-24 2023-09-19 台山市合众食品企业有限公司 一种葛根米粉生产用智能烘干装置
CN117206032A (zh) * 2023-09-21 2023-12-12 五星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一次焙烧残废品处理装置
CN117206032B (zh) * 2023-09-21 2024-06-04 五星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一次焙烧残废品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183B1 (ko) 폐흑연 분말 건조장치 및 건조 폐흑연 분말
CN205495782U (zh) 一种具有双重干燥功能的生物质能源粉碎装置
CN108380323A (zh) 一种改进的百叶窗余料处理的进料装置
KR20200052761A (ko)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N209524539U (zh) 一种生物质颗粒燃烧锅炉
CN110918170A (zh) 一种化工材料的粉碎烘干筛选装置
CN210545331U (zh) 一种合成橡胶原料的粉碎装置
CN111841832A (zh) 一种锂电池回收用破碎设备及其使用方法
CN110411151A (zh) 一种微波热风联合干燥褐煤的装置和方法
CN207857063U (zh) 一种高效环保的建筑废料回收装置
CN107511950B (zh) 一种废旧轮胎胶粉生产用余料回收装置
CN108176481A (zh) 一种工业燃烧固体废弃物破碎分离装置
WO2018120116A1 (zh) 一种具有粉尘处理的石墨粉碎设备
CN209501796U (zh) 一种再生混凝土的再生料加工装置
CN112742562A (zh) 一种用于废旧蓄电池的机械破碎装置
CN211436522U (zh) 一种生物质材料用粉碎烘干一体机
CN108908797A (zh) 一种橡胶粉碎机
CN210004735U (zh) 一种物联网微波干燥设备
CN205462642U (zh) 一种矿物质燃料粉碎机
CN210292721U (zh) 一种土壤重金属稳定剂干燥装置
CN216654876U (zh) 一种有机固体废物处理资源化设备
CN204583002U (zh) 储氢电池电极材料混合处理装置
CN211436335U (zh)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造粒装置
CN210663595U (zh) 一种环保的闪蒸干燥装置
CN209005897U (zh) 粘土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