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914B1 - 자동차용 핸들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914B1
KR102342914B1 KR1020207025300A KR20207025300A KR102342914B1 KR 102342914 B1 KR102342914 B1 KR 102342914B1 KR 1020207025300 A KR1020207025300 A KR 1020207025300A KR 20207025300 A KR20207025300 A KR 20207025300A KR 102342914 B1 KR102342914 B1 KR 10234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eering wheel
cover
cutout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800A (ko
Inventor
유카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츠치야 야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치야 야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치야 야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여성이라도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게다가 장착 후에는 어긋나기 어렵고, 벗겨지기 어려운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제공한다. 즉, 자동차의 핸들(H)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로서,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정면시 대략 환상의 중공 부재로, 그 내주면에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내부 공간인 핸들 수용부(14)와 외부를 연통하고, 핸들(H)을 끼우고 벗기기 위한 절개부(12)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12)에 면하는 한쌍의 개구 테두리부(16a, 16b) 중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16a)에는, 그 시단(S)이 3시 방향을 지난 곳에 위치하고, 6시 방향을 통과하여, 종단(T)이 9시 방향의 바로 앞에 이르는 범위에서 절제한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절제부(18)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경사변(20a, 20b)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핸들 커버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핸들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핸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표준 장비되어 있는 핸들 중에는, 핸들 지름이 얇은 것이 있지만, 이러한 얇은 핸들 지름의 것은 쥐기가 어려워, 운전을 하기 어렵다는 사용자의 목소리가 있었다. 또한, 표준 핸들은 검정색을 기조로 한 것이 일반적이라서, 단조롭고 디자인성이 결여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의 목소리를 해소하기 위해, 핸들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가 종래부터 제공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참조).
종래의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구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두면,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정면시 환상의 중공 부재로, 그 내주면에는 절개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은, 절개부가 아주 작은 폭으로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대략 C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부 공간인 핸들 수용부 내에 핸들을 끼워 넣음으로써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핸들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하면, 핸들 지름을 굵게 할 수 있으므로, 핸들 조작이나 운전이 쉬워진다. 또한,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표면에 장식을 함으로써, 디자인성이 매우 높아진다.
비특허문헌 1: 츠치야 야크 가부시키가이샤 홈페이지, 「핸들 커버 하이브리드 레더 S BK/RE」, [online], 츠치야 야크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와 1년 6월 7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yacjp.co.jp/products/detail/231>
이 종래의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주행 중의 급한 핸들 조작 등으로 어긋나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안전 대책상, 약간 빡빡하게 만들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환 내경(즉, 핸들의 외면에 접하는 면의 안쪽 치수)이 핸들의 직경(외경)과 대략 같게(혹은,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자동차용 핸들 커버 자체도 늘어나기 어려운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그 때문에,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핸들로의 장착 작업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대단한 노력을 동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할 때에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상단 부분에서 절개부를 벌리고, 이 부분을 핸들의 상단 부분에 덮어씌우고, 핸들의 외주를 따라 절개부를 벌리면서 핸들 수용부 내에 핸들을 조금씩 끼워 넣어가게 된다. 하지만,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환 내경이 핸들의 외경과 대략 같기(혹은 약간 작기) 때문에, 핸들의 최대 외경에 이르는 최대 지름 미만의 위치에서 핸들의 최대 외경의 위치까지 핸들 커버를 장착하면, 장착 부분의 핸들의 외경과 핸들 커버의 환 내경이 대략 같아지고, 또한,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절개부를 구성하는 뒷쪽의 개구 테두리부가 꺽여서 핸들(특히, 핸들의 최대 외경 미만의 위치에서 최대 외경 위치의 범위)의 표면에 강하게 접촉하고, 또한 자동차용 핸들 커버 자체가 늘어나기 어려운 것도 있어서 그 이상 끼워 넣을 수 없게 된다(도 7 참조).
그래서, 늘어나기 어려운 핸들 커버를 강하게 잡아당겨서 핸들 커버의 환 내경을 넓히면서, 핸들 수용부의 개구 테두리부(즉, 절반 미만의 위치에서의 상기 절개부를 구성하는 뒷쪽의 개구 테두리부)를 외측으로 젖히면서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조금씩 장착해 가는 것이지만, 자동차용 핸들 커버 자체가 늘어기 어려운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상술한 환 내경을 넓히거나, 개구 테두리부를 젖히는 작업을 대단히 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특히 힘이 약한 여성의 경우, 혼자의 힘으로는 장착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유상의 장착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수 없는 등 핸들 커버의 사용에 대한 장애(허들)는 높고,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제조 업자에게 있어서는, 장착의 어려움이 신규 고객 획득의 큰 방해가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여성이라도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게다가 장착 후에는 어긋나기 어렵고, 벗겨지기 어려운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자동차의 핸들(H)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10)로서,
자동차용 핸들 커버(10)는, 변형이나 늘어남이 생기기 어려워 보형성이 우수하고, 정면시 대략 환상의 중공 부재로, 그 내주면에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10)의 내부 공간인 핸들 수용부(14)와 외부를 연통하고, 핸들(H)을 끼우고 벗기기 위한 절개부(12)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12)에 면하는 한쌍의 개구 테두리부(16a, 16b) 중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16a)에는, 그 시단(始端; S)이 3시 방향을 지난 곳에 위치하고, 6시 방향을 통과하여, 종단(終端; T)이 9시 방향의 바로 앞에 이르는 범위에서 절제한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제부(18)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경사변(20a, 20b)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10)를 배면시(背面視)했을 때, 자동차용 핸들 커버(10)의 환 중심(P)을 통과하고, 자동차용 핸들 커버(10)를 상하로 나누는 수평선(X)과, 자동차용 핸들 커버(10)의 환 중심(P)과 시단(S)[종단(T)]을 잇는 선(Y)이 이루는 각(θ)이 5 내지 12°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10)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자동차용 핸들 커버(10)의 관 중심(Q)과 절제부(18)의 경사변(20a, 20b)의 사이에 끼인 중앙 부분(20c)을 잇는 선(M)과, 상기 관 중심(Q)과 절제부(18)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테두리부(16a')를 잇는 선(N)이 이루는 각(β)이 40 내지 5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할 때, 가장 장착하기 어려운 부분(핸들의 최대 외경 미만의 위치에서 핸들의 최대 외경의 위치까지의 범위)을 적은 힘으로 넘을 수 있도록, 핸들의 최대 외경을 초과한 범위에 절제부를 마련하고, 또한, 절제부의 양 단부에는 절제부의 중앙 부분에 이르는 경사변을 형성함으로써, 가장 장착이 어려운 부분인 경사변 부분이 자유롭게(free) 되어, 종래품에 비해서 개구 테두리부의 젖히는 작업을 하기가 쉽고, 힘이 약한 여성이라도 핸들로의 장착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개구 테두리부의 한쪽(뒷쪽)을 부분적으로 오려냄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자동차용 핸들 커버와 비교해도 핸들과의 밀착성이나 외견에 큰 차이는 없고, 종래품과 손색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었다.
또한, 절제부는, 3시의 방향을 지난 곳에서 9시 방향의 바로 앞에 이르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의 최대 외경 부분을 덮는 부분에는 절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조작 시에 큰 힘이 가해져도 핸들 커버가 핸들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없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절제부를 나타내는 요부 전개도이다.
도 5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3층 구조의 것으로서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핸들의 뒷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8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핸들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핸들의 뒷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핸들 커버(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그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핸들 커버(이하, 단순히 「핸들 커버」라고 함.)(10)는, 정면시 환상의 중공 부재로, 그 내주면(핸들 커버(10)의 중심측의 면)에는, 어느 절결(切欠)폭으로 절개부(12)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핸들 커버(10)의 내부 공간인 핸들 수용부(14)는, 절개부(12)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핸들 커버(10)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은, 대략 C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3 참조).
절개부(12)의 절결폭은, 핸들로의 장착의 용이성이나, 장착 후의 절개부(12)가 운전자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하는 등과 같은 관점에서,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즉, 핸들 커버(10)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16a)와 관 중심(Q)을 잇는 선(K)과, 다른 쪽의 개구 테두리부(16b)와 관 중심(Q)을 잇는 선(L)이 이루는 각(α)이 30°±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도 3의 우측 위 도면 참조).
핸들 커버(10)의 환 내경(핸들 커버(10)를 정면시했을 때에, 서로 대향하는 핸들 커버(10)의 내측면(10a·10a) 간의 거리. 도 1, 도 3 참조)(R)은, 핸들의 외경과 대략 같게 혹은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절개부(12)에 면하는 한 쌍의 개구 테두리부(16a, 16b) 중,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16a)에는,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절제부(18)는, 핸들 커버(10)의 핸들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된 절제한 부분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을 겉으로 향하게 했을 때, 절제부(18)의 시단(S)이 3시 방향을 지난 곳(즉, 환 중심(P)을 통과하는 수평선(X)과 핸들 커버(10)의 외형선과의 교점을 넘은 곳)에 위치하고, 6시 방향을 통과하여, 종단(T)이 9시 방향의 바로 앞에 이르는 곳(즉, 환 중심(P)을 통과하는 수평선(X)과 핸들 커버(10)의 반대측의 외형선과의 교점의 바로 앞의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이 핸들 커버(10)의 이면측이고,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의 면이 표면측이다.
핸들 커버(10)의 이면측을 겉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도 2 참조), 절제부(18)의 시단(S)은, 핸들 커버(10)의 환 중심(P)을 통과하는 수평선(X)과, 환 중심(P)과 시단(S)[종단(T)]을 잇는 선(Y)이 이루는 각[부각(俯角)(θ)]이 각각 5 내지 12°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9°로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시단(S) 및 종단(T)의 위치는, 핸들 커버(10)의 핸들(H)로의 장착의 용이성과, 장착 후의 벗겨지기 어려움이라는 상반된 2개의 기능을 만족시킨다는 관점에서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부각(θ)이 5°보다도 작아지면, 절제부(18)의 형성 범위가 너무 넓어지기 때문에 핸들로의 장착 후에 핸들 커버(10)가 벗겨지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부각(θ)이 12°보다도 커지면, 절제부(18)의 형성 범위가 너무 좁아지기 때문에, 핸들로의 장착 작업이 극단적으로 행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이 점은 후술한다).
절제부(18)의 시단부 및 종단부는, 경사변(20a, 20b)이 되어 있고, 이 좌우 한쌍의 경사변(20a, 20b)의 사이에 끼인 직선 부분이 중앙 부분(20c)이다(도 2 및 도 4 참조).
절제부(18)의 중앙 부분(20c)의 위치(절제부(18)의 절제폭)는, 이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핸들 커버(10)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3의 좌측 하부 참조)에 있어서, 절제부(18)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태두리부(16a')와 관 중심(Q)을 잇는 직선(M)과, 관 중심(Q)과 중앙 부분(20c)을 잇는 직선(N)이 이루는 각(절제각)(β)이 40 내지 5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50°로 설정되어 있다).
절제각(β)이 40°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장착 작업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절제각(β)이 55°보다도 큰 경우에는, 핸들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핸들로의 장착 후에 핸들 커버(10)가 벗겨지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핸들 커버(10)는, 단일의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복수의 소재를 조합하면, 탄력성, 쿠션성, 보형성, 내미끄럼성, 촉감, 미관과 같은 복수의 기능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2), 쿠션층(24) 및 화장층(26)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2)는, 핸들 커버(10)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경년 변화 등에 의한 변형·늘어남이 생기기 어렵고(보형성), 또한, 핸들 커버(10)의 사용시에 핸들과의 사이에서 슬립(slip)이 생기기 어렵다(내슬립성)란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베이스 부재(2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갖고, 마찰 계수가 큰 것[본 실시예에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가 사용되고 있다.
쿠션층(24)은, 핸들 커버(10)에 쿠션성을 부여하는 부분으로, 그 재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성의 폴리우레탄이 사용되고 있다.
화장층(26)은, 핸들 커버(10)의 미감성을 높이는 부분으로, 그 재질로서, 본실시예에서는 염화비닐이 사용되고 있고, 그 표면에는, 예를 들어, 진짜 가죽처럼 보이는 주름 가공이나, 꽃무늬 모양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다.
상술한 복층 구조(본 실시예에서는 3층 구조)의 핸들 커버(10)를 구성할 때에는, 베이스 부재(22) 위에 쿠션층(24)과 화장층(26)을 이 순으로 포개고, 쿠션층(24)과 화장층(26)의 단부를 베이스 부재(22)의 뒤쪽으로 접어 넣고, 테두리부를 꿰매 맞춰서 각 부재를 봉착(縫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핸들 커버(10)를 핸들(H)에 장착할 때에는, 핸들 커버(10)의 표면(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바로 앞을 향해, 절제부(18)가 핸들(H)의 하측 절반에 위치하도록 핸들 커버(10)의 각도를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 커버(10)의 정점을 핸들(H)의 정점에 맞춰서 위에서 씌우면, 핸들 수용부(14) 내에 핸들(H)의 정점이 꼭 맞게 들어간다.
핸들(H)의 정점에 씌운 핸들 커버(10)를 한 쪽 손으로 꼭 쥐고(도 6 참조), 반대측 손으로 핸들 커버(10)의 양 사이드를 교대로 바로 앞측으로 잡아당기면서 개구 테두리부(16a·16b)를 젖혀, 핸들(H)의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조금씩 덮어씌워간다(도 7 참조).
여기에서, 핸들(H)과 핸들 커버(10)의 관계를 설명한다. 핸들 커버(10)를 핸들(H)에 장착할 때, 핸들(H)의 최대 외경(Hm) 미만의 위치까지는, 핸들(H)과 핸들 커버(10)의 핸들 수용부(14)와의 사이에 여유(큰 틈)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스무스하게 꼭 맞게 들어간다.
장착 작업이 핸들(H)의 최대 외경(Hm) 미만의 위치에서 핸들(H)의 최대 외경(Hm)의 위치까지의 범위(도 8의 B에서 나타낸 부분)에 다다르면, 장착 부분의 핸들(H)과 핸들 커버(10)의 핸들 수용부(14)와의 사이의 틈은 극단적으로 좁아진다. 더하여, 핸들 커버(10) 자체가 늘어나기 어려운 재질로 되어 있는 것, 핸들 커버(10)의 절개부(12)에 면하는 개구 테두리부(16a, 16b)가 내측으로 접혀 있고, 이 접힌 부분이 핸들(H)의 표면에 강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도 원인이 되어, 핸들 커버(10)의 핸들(H)로의 장착 작업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급하게 곤란해진다.
즉, 핸들 커버(10)를 핸들(H)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핸들 커버(10)를 강하게 잡아당겨 환 내경을 넓히면서, 안쪽으로 둥들게 된 개구 테두리부(16a, 16b)를 젖힐 필요가 있다. 절제부가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핸들 커버에서는, 늘어나기 어려운 핸들 커버의 개구 테두리부를 무리하게 잡아 늘려서 개구 테두리부를 젖힐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절제부(18)가 3시 방향을 지난 곳으로부터 9시 방향의 바로 앞에 이르는 범위에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젖히는 작업을 가장 하기 어려운 영역인 절제부(18)의 시단(S) 및 종단(T) 근방(도 8에서 C로 나타낸 크로스 해칭이 실시되고 있는 부분)은 자유단(free)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젖히는 작업을 매우 작은 힘으로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장착 작업을 간단 및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핸들 커버(10)의 장착 후에는, 개구 테두리부(16a, 16b)(절제부(18)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핸들(H)을 덮어씌우므로, 핸들 커버(10)는 핸들(H)에 강고하게 부착되고, 운전 중에 큰 힘이 핸들 커버(10)에 가해져도 핸들 커버(10)가 핸들(H)에서 벗겨지거나 이탈할 일이 없다.
이 점에 대하여 상술하면, 핸들 커버(10)의 개구 테두리부(16a) 중, 절제부(18)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180도보다도 크기 때문에, 핸들 커버(10)에 의한 핸들(H)의 그립(grip)력은, 종래와 같은 절제부(18)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비교해서 동등하고, 장착 후, 급한 핸들 조작을 했다고 해도 어긋나거나 젖혀짐이 생길 일은 없다.
실시예
발명자는, 상술의 핸들 커버(10)에 대하여, (i) 핸들에 대한 장착성, (ii) 장착 후의 밀착성 및 (iii) 외견의 좋음에 대한 평가 시험을 행하고, 그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절제부(18)의 시단(S)·종단(T)의 위치에 대하여)
절제부(18)에 대하여, 시단(S)과 종단(T)의 위치, 즉 수평선(X)과, 환 중심(P)과 시단(S)[종단(T)]을 잇는 선(Y)이 이루는 부각(θ)의 크기를 동시에 바꾸어서 상기 (i) 내지 (iii)에 대하여 각각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장착에 요하는 시간에 대해서도 함께 계측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92622120-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각(θ)이 5 내지 12°의 범위이면 실제로 사용시에 내구성이 좋고, 특히 부각(θ)이 9°일 때에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절제부(18)의 절취폭에 대하여)
핸들 커버(10)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절제부(18)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테두리부(16a')와 관 중심(Q)을 잇는 직선(M)과, 관 중심(Q)과 중앙 부분(20c)을 잇는 직선(N)이 이루는 각(절제각)(β)의 크기를 바꾸어 상기 (i) 내지 (iii)에 대하여 각각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92622120-pct00002
표 2로부터, 절제각(β)이 40 내지 55°의 범위이면 실제로 사용시에 내구성이 좋고, 절제각(β)이 45 내지 50°일 때가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 자동차용 핸들 커버, 10a: 내측면, 12: 절개부, 14: 핸들 수용부, 16a, 16b: 개구 테두리부, 16a'; 절제부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테두리부, 18: 절제부, 20a, 20b: 경사변, 20c: 중앙 부분, 22: 베이스 부재, 24: 쿠션층, 26: 화장층, H: 핸들, Hm: 핸들의 최대 외경, K: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와 관 중심을 잇는 선, L: 다른 쪽의 개구 테두리부와 관 중심을 잇는 선, M: 절제부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테두리부와 관 중심을 잇는 직선, N: 관 중심과 중앙 부분을 잇는 직선, S: 시단, T: 종단, P: 환 중심, Q: 관 중심, R: 환 내경, X: 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Y: 핸들 커버의 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과, 환 중심과 시단(종단)을 잇는 선, α: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와 관 중심을 잇는 선과, 다른 쪽의 개구 테두리부와 관 중심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 β: 절제부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테두리부와 관 중심을 잇는 직선과, 관 중심과 중앙 부분을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절제각), θ: 핸들 커버의 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과, 환 중심과 시단(종단)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부각)

Claims (3)

  1. 자동차의 핸들(H)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로서,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변형이나 늘어남이 생기기 어려워 보형성이 우수하고, 정면시 대략 환상의 중공 부재로, 그 내주면에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내부 공간인 핸들 수용부(14)와 외부를 연통하고, 핸들(H)을 끼우고 벗기기 위한 절개부(12)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12)에 면하는 한쌍의 개구 테두리부(16a, 16b) 중 한쪽의 개구 테두리부(16a)에는, 그 시단(S)이 3시 방향을 지난 곳에 위치하고, 6시 방향을 통과하여, 종단(T)이 9시 방향의 바로 앞에 이르는 범위에서 절제한 절제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제부(18)의 시단부 및 종단부가 경사변(20a, 20b)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배면시했을 때,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환 중심(P)을 통과하고,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상하로 나누는 수평선(X)과,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환 중심(P)과 상기 시단(S) 또는 상기 종단(T)을 잇는 선(Y)이 이루는 각(θ)이 5 내지 12°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관 중심(Q)과 상기 절제부(18)의 경사변(20a, 20b)의 사이에 끼인 중앙 부분(20c)을 잇는 선(M)과, 상기 관 중심(Q)과 상기 절제부(18)가 형성되기 전의 개구 테두리부(16a')를 잇는 선(N)이 이루는 각(β)이 40 내지 5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1020207025300A 2019-06-07 2019-06-07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102342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22802 WO2020246040A1 (ja) 2019-06-07 2019-06-07 自動車用ハンドルカ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800A KR20200140800A (ko) 2020-12-16
KR102342914B1 true KR102342914B1 (ko) 2021-12-24

Family

ID=7233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300A KR102342914B1 (ko) 2019-06-07 2019-06-07 자동차용 핸들 커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51983B1 (ko)
KR (1) KR102342914B1 (ko)
CN (1) CN112351930B (ko)
TW (1) TWI745963B (ko)
WO (1) WO202024604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46B2 (ja) 1991-01-11 2001-04-2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装置の信号検出系
JP2013043493A (ja) 2011-08-23 2013-03-04 Eleven International:Kk ハンドルカバー
JP2013116677A (ja) 2011-12-02 2013-06-13 C Ee Sansho: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カバー
JP2020152362A (ja) 2019-03-22 2020-09-24 上海卞励実業有限公司 滑り防止ハンドル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30B1 (ko) * 2009-01-23 2011-05-30 문지영 자동차 핸들 커버
CN201721495U (zh) * 2010-01-12 2011-01-26 张进德 缝合式硅胶汽车方向盘套
JP3159746U (ja) * 2010-03-03 2010-06-03 和重 濱 自動車用ハンドルカバー
CN202243620U (zh) * 2011-09-02 2012-05-30 刘岚 便于安装的高稳定性汽车方向盘套
CN202657090U (zh) * 2012-05-30 2013-01-09 洪柏榕 一种方向盘套
CN203358661U (zh) * 2013-05-20 2013-12-25 浙江煜华车饰有限公司 方向盘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746B2 (ja) 1991-01-11 2001-04-2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装置の信号検出系
JP2013043493A (ja) 2011-08-23 2013-03-04 Eleven International:Kk ハンドルカバー
JP2013116677A (ja) 2011-12-02 2013-06-13 C Ee Sansho: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カバー
JP2020152362A (ja) 2019-03-22 2020-09-24 上海卞励実業有限公司 滑り防止ハンドル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51930B (zh) 2022-09-13
JP6751983B1 (ja) 2020-09-09
JPWO2020246040A1 (ja) 2021-09-13
CN112351930A (zh) 2021-02-09
KR20200140800A (ko) 2020-12-16
WO2020246040A1 (ja) 2020-12-10
TWI745963B (zh) 2021-11-11
TW202102393A (zh) 202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64891S1 (en) Motor vehicle
USD913884S1 (en) Dashboard for vehicle
USD950418S1 (en) Motor vehicle
USD964890S1 (en) Motor vehicle
USD929259S1 (en) Motor vehicle
USD931184S1 (en) Console for motor vehicle
USD531110S1 (en) Automobile tire
USD965473S1 (en) Motor vehicle
USD935963S1 (en) Portions of a steering wheel for a vehicle
USD979964S1 (en) Vehicle rear seat
USD956677S1 (en) Vehicle tire
USD956671S1 (e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USD937121S1 (en) Motor vehicle
KR102342914B1 (ko) 자동차용 핸들 커버
USD970238S1 (en) Vehicle front seat
USD966151S1 (en) Motor vehicle
USD981278S1 (en) Motor vehicle
USD993149S1 (en) Tread for a tire
USD521444S1 (en) Automobile tire
US11084517B1 (en) Universal steering wheel cover
USD908079S1 (en) Tire tread
USD876584S1 (en) Tire for vehicle
USD964893S1 (en) Motor vehicle
USD964894S1 (en) Motor vehicle
USD883883S1 (en)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