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83B1 -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 Google Patents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83B1
KR102342883B1 KR1020210067071A KR20210067071A KR102342883B1 KR 102342883 B1 KR102342883 B1 KR 102342883B1 KR 1020210067071 A KR1020210067071 A KR 1020210067071A KR 20210067071 A KR20210067071 A KR 20210067071A KR 102342883 B1 KR102342883 B1 KR 10234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rt
impact beam
door
door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철
천건희
공희상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 패널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에 있어서,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빔부; 상기 빔부의 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도어 패널 내측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브라켓부; 및 상기 빔부의 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도어 패널 내측면에 결합되는 리어 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부와 상기 프론트 브라켓부와 상기 리어 브라켓부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Integrated Door Impact Beam}
본 발명은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빔과 브라켓 일체형 구조를 갖는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내측패널에는 차량 측면 충돌시 충격량을 흡수하여 탑승자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임팩트빔이 차체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도어 임팩트빔에서, 설치상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하는 빔은 브라켓을 매개로 그 양단이 도어 내측패널에 고정된다. 이때 빔과 브라켓은 각각 별도로 각각 제조 제조되므로, 임팩트빔의 도어 내측패널에의 설치는 파이프로 제조된 빔의 양단에 브라켓을 용접한 후 브라켓을 도어내측패널의 전후방 양단측에 용접함으로써 완료된다.
공지의 빔 제조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공정은 1.6∼3.5t의 압연강판을 롤포밍에 의해 강관으로 성형 및 용접하는 조관공정, 제조된 강관을 제품규격에 맞도록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강성 보강을 위해 절단된 강관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빔에 별도의 판재를 성형하여 제작된 브라켓을 용접함으로써 임팩트빔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도어 임팩트빔 제조방법은, 빔과 브라켓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하여야 하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정을 증가시켜 제조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조관과정에서의 레이저용접은 정확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원가가 비싸, 도어 임팩트빔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차량용 도어 임팩트빔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차량의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한 승객 또는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임팩트빔은 통상적으로 강(steel) 재질로 제조되며, 임팩트빔의 강도가 높아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임팩트빔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취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임팩트빔은 충격에 깨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취성은 연신율에 반비례하므로, 임팩트빔의 강도가 높으면 연신율은 낮을 수 밖에 없다.
종래의 임팩트빔은 단일강관을 사용함에 따라 강성확보를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두께의 증대가 발생하여 중량이차량용 도어 임팩트빔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차량의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한 승객 또는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임팩트빔은 통상적으로 강(steel) 재질로 제조되며, 임팩트빔의 강도가 높아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쉽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임팩트빔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취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임팩트빔은 충격에 깨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취성은 연신율에 반비례하므로, 임팩트빔의 강도가 높으면 연신율은 낮을 수 밖에 없다.
종래의 임팩트빔은 단일강관을 사용함에 따라 강성확보를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두께의 증대가 발생하여 중량이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부품은 강도가 매우 높은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형 발생 시 파단이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종래 도어 임팩트 빔의 분해 사시도, 도 2b은 용접부위를 나타낸 종래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임팩트 빔(10)은 도어빔(11)과, 프론트 보강 브라켓(12), 리어 보강 브라켓(13), 2개의 빔 브라켓(14), 아우터 보강(15) 브라켓 총 6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도어빔(11)에 대하여, 프론트 보강 브라켓(12), 리어 보강 브라켓(13), 2개의 빔 브라켓(14), 아우터 보강 브라켓(15)이 용접되어 결합되게 된다.
도 3a는 도어 임팩트 빔이 결합된 도어 내측 패널 사진, 도 3b는 충돌 파단 형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도어 임팩트 빔(10)은 모든 복수의 브라켓 들이 도어빔에 용접되게 됨으로써(총 17개소, 아크 용접 9개소, 스폿 용접 8개소), 접합공정에 따른 중량이 증가되며, 도어 임팩트 빔에서 이음이 발생되며 충돌시 파이프의 파단이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68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6811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569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3647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형 구조 적용을 통한 용접수 최소화 및 중량절감이 가능하며, 최적 구조 형상 도출을 통한 구조, 충돌성능이 개선된,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도어 패널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에 있어서,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빔부; 상기 빔부의 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도어 패널 내측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브라켓부; 및 상기 빔부의 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도어 패널 내측면에 결합되는 리어 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부와 상기 프론트 브라켓부와 상기 리어 브라켓부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빔부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두께는 1.5 ~ 1.7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브라켓부는, 상기 도어 패널에 접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의 이격 간격이 전방측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는 복수의 프론트 오목비드를 갖고, 상기 리어 브라켓부는, 상기 도어 패널에 접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리어 오목비드와, 상기 대향되는 면의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어 횡방향 볼록비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평판 모재에 대하여 1차 프레스 성형을 통해 ∪자형 횡단면을 갖고 전방에 1차 성형 프론트 브라켓부, 후방에 1차 성형 리어 브라켓부를 성형 하고, 양단을 절곡하여 용접하여 사각 단면의 빔부를 성형 한 후, 2차 프레스 공정을 통해 비드가 형성된 프론트 브라켓부와 리어 브라켓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에 따르면, 일체형 구조 적용을 통한 용접수 최소화 및 중량절감이 가능하며, 최적 구조 형상 도출을 통한 구조, 충돌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 도어 임팩트 빔의 분해 사시도,
도 2b은 용접부위를 나타낸 종래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
도 3a는 도어 임팩트 빔이 결합된 도어 내측 패널 사진,
도 3b는 충돌 파단 형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에서 동일 두께/재질/지름에 대한 원형, 사각형, 육각형에 대한 강성, 중량 실험데이터
도 5b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에서 동일 중량/재질/지름에 대한 원형, 사각형, 육각형에 대한 강성, 중량 실험데이터
도 5c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에서 사각단면에서 최적 두께 실험 데이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단일 제품에 대한 충돌성능 해석에 따른 실험데이터,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에서 도어 내측 패널에 결합된 제품에 대한 충돌성능 해석에 따른 실험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의 구성,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100)은 차량용 도어 내측 패널(1)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빔부(20)와, 이러한 빔부(20)의 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차량용 도어 패널(1) 내측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브라켓부(30)와, 빔부(20)의 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차량용 도어 패널(1) 내측면에 결합되는 리어 브라켓부(40)를 포함하며, 빔부(20)와 프론트 브라켓부(30)와 리어 브라켓부(40)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100)에 따르면, 일체형 구조 적용을 통한 용접수 최소화 및 중량절감이 가능하며, 최적 구조 형상 도출을 통한 구조, 충돌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일체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100)은 스틸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빔부(20)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두께는 1.5 ~ 1.7t로 구성된다.
또한 프론트 브라켓부(30)와 리어 브라켓부(40)에는 복수의 비드가 형성되어 진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브라켓부(30)에는 다수의 프론트 오목비드(31)가 형성된다. 프론트 오목비드(31)는 도어 내측 패널(1)에 접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의 이격 간격이 전방측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리어 브라켓부(40)에 형성되는 비드는 리어 오목비드(41)와 리어 횡방향 볼록비드(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비드(41, 42)는 도어 내측 패널(1)에 접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리어 오목비드(41)는 길이방향을 따라 2개가 형성되며, 리어 횡방향 볼록비드(42)는 대향되는 면의 양측 각각에 3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100)의 성형은 기본적으로 프레스 공정과 절곡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평판 모재에 대하여 1차 프레스 성형을 통해, 빔부 측에 ㄷ 자형 횡단면을 갖게 하고, 전방에 1차 성형 프론트 브라켓부, 후방에 1차 성형 리어 브라켓부가 성형되도록 한다.
그리고 빔부를 성형할 ㄷ 자형 단면에서 개방된 양단 끝단 각각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하고 서로 용접하여 사각 단면을 갖는 빔부(20)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2차 프레스 공정을 통해 비드가 형성된 프론트 브라켓부(30)와 리어 브라켓부(40)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결과와, 충동설능 해석결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에서 동일 두께/재질/지름에 대한 원형, 사각형, 육각형에 대한 강성, 중량 실험데이터, 도 5b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에서 동일 중량/재질/지름에 대한 원형, 사각형, 육각형에 대한 강성, 중량 실험데이터, 도 5c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구조성능해석에서 사각단면에서 최적 두께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파이프에 대하여 3점 굽힘 해석을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두께, 재질, 지름에 대하여 사각형 파이프의 강성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종래 원형 대비 95%상승).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중량/재질/지름에 대하여, 사각형 파이프가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지며, 거의 동등한 중향에서도 강성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종래 원형 대비 43%상승).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파이프에 대하여 동일재질에 대하여 목적화하는 중량에 대해 1.6t의 두께로 최적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단일 제품에 대한 충돌성능 해석에 따른 실험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단품 충돌성능해석에서 강성해석조건은 전체 도어빔 기준 6.5:3.5지점, 부재 직경은 254mm(Y축 방향 프레스)이다. 또한 충돌해석조건은 전체 도어빔 기준 6.5:3.5지점 부재속도 21.5km/h(Y축방향 프레스), 타겟에너지는 2,060J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과 일체형이며 사각단면의 빔부를 갖는 도어 임팩트 빔에서 더 얇은 두께와, 중량이 감소되었어도 더 높은 에어지와 강성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으며, 비드가 형성된 도어 임팩트 빔에서 더욱 큰 에너지와 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에서 도어 내측 패널에 결합된 제품에 대한 충돌성능 해석에 따른 실험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충돌해석조건은 구속조건은 JIG 구송이고, 부재 중량은 592.5Kg(부재 직경:254mm)이고, 낙하속도는 32 km/h(부재 높이 140mm)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임팩트빔이 결합된 구조와 대비하였을 때, 중량이 1%정도 저감되었음에도, 더 적은 변위와 더 많은 에너지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도어 내측 패널
10:종래 도어 임팩트빔
11:도어빔
12:프론트 보강브라켓
13:리어 보강브라켓
14:빔 브라켓
15:아우터 보강브라켓
20:빔부
30:프론트 브라켓부
31:프론트 오목비드
40:리어 브라켓부
41:리어 오목비드
42:리어 횡방향 볼록비드
100:일체형 도어 임팩트빔

Claims (5)

  1. 차량용 도어 패널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에 있어서,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빔부;
    상기 빔부의 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도어 패널 내측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브라켓부; 및
    상기 빔부의 후방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도어 패널 내측면에 결합되는 리어 브라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부와 상기 프론트 브라켓부와 상기 리어 브라켓부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어 임팩트 빔은 스틸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빔부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두께는 1.5 ~ 1.7t이고,
    상기 프론트 브라켓부는, 상기 도어 패널에 접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의 이격 간격이 전방측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는 복수의 프론트 오목비드를 갖고,
    상기 리어 브라켓부는, 상기 도어 패널에 접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리어 오목비드와, 상기 대향되는 면의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어 횡방향 볼록비드를 갖고,
    평판 모재에 대하여 1차 프레스 성형을 통해, 빔부 측에 ㄷ 자형 횡단면을 갖게 하고, 전방에 1차 성형 프론트 브라켓부, 후방에 1차 성형 리어 브라켓부가 성형되도록 하고, 빔부를 성형할 ㄷ 자형 단면에서 개방된 양단 끝단 각각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하고 서로 용접하여 사각 단면을 갖는 빔부를 성형하고, 2차 프레스 공정을 통해 비드가 형성된 프론트 브라켓부와 리어 브라켓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7071A 2021-05-25 2021-05-25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KR10234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71A KR102342883B1 (ko) 2021-05-25 2021-05-25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71A KR102342883B1 (ko) 2021-05-25 2021-05-25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83B1 true KR102342883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71A KR102342883B1 (ko) 2021-05-25 2021-05-25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46B1 (ko) 2005-12-29 2007-02-01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차량의 도어 임팩트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5695A (ko)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20130068119A (ko) 2011-12-15 2013-06-2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1374737B1 (ko) * 2013-07-24 2014-03-17 맥소프트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충격 흡수부재
KR101936477B1 (ko) 2016-12-14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라켓 일체형 이중구조 도어 임팩트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058735A (ko) * 2017-11-20 2019-05-30 서진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빔 용접 지그와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46B1 (ko) 2005-12-29 2007-02-01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차량의 도어 임팩트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5695A (ko)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20130068119A (ko) 2011-12-15 2013-06-2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1374737B1 (ko) * 2013-07-24 2014-03-17 맥소프트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충격 흡수부재
KR101936477B1 (ko) 2016-12-14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라켓 일체형 이중구조 도어 임팩트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058735A (ko) * 2017-11-20 2019-05-30 서진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빔 용접 지그와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7345B1 (en) Multi-strip beam-forming apparatus, method, and beam
RU2581634C1 (ru) Ку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119362B2 (ja) 自動車用ビーム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6604383B2 (ja) 鋼板部材組合せ構造、自動車用構造部材、センターピラー、バンパー、及びドアビーム
US10196091B2 (en) Automobile member
CN110395093B (zh) 门梁
JP6556863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の侵入阻止のための衝撃ビーム
CN112703130B (zh) 具有钢加强件的保险杠梁
US10577028B2 (en) Automobile member
KR102342883B1 (ko) 일체형 도어 임팩트 빔
KR102042642B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
CN114126957B (zh) 前柱外部件
CN112739471B (zh) 拼焊板、拼焊板的制造方法、压力成形品及压力成形品的制造方法
CN112158157A (zh) 一种双中央支腿管梁及其成型方法
KR102107070B1 (ko) 멀티 소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107064B1 (ko) 멀티 소재와 노치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JP2024515962A (ja) 車体
JP2008189273A (ja) 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
JP6869912B2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JP2001180398A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からなるバンパーリィンホース
CN111565999A (zh) 前柱外板
KR100258461B1 (ko) 자동차 범퍼용 보강빔과 그 제작방법
KR102329896B1 (ko) 알루미늄 보강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버백빔
KR20180118315A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215059A (ja) 自動車ドアーガード用サイドビ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