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449B1 -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449B1
KR102342449B1 KR1020210118096A KR20210118096A KR102342449B1 KR 102342449 B1 KR102342449 B1 KR 102342449B1 KR 1020210118096 A KR1020210118096 A KR 1020210118096A KR 20210118096 A KR20210118096 A KR 20210118096A KR 102342449 B1 KR102342449 B1 KR 10234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ved
parts
along
vertic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대풍자동화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풍자동화, 김성환 filed Critical (주)대풍자동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3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irection, frequency or amplitude of vibration or shak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에 진동을 부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각각의 모듈의 진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정렬이 틀어진 복수의 부품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부품 정렬 모듈(10);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결합 방향을 유도하는 지주(20); 및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주(2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높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어 결합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Modular vibrating parts sorter}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에 진동을 부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각각의 모듈의 진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제품은 부품을 상호 조립하는 복수의 장치 또는 시스템에 의해 생산된다. 조립 공정 시에는 투입되는 각각의 부품의 위치 및 방향을 한정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즉, 각각의 부품은 조립 장치 또는 시스템에 투입될 시에 특정 방향으로 정렬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품 정렬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장기화될 시에 공정의 효율성과 신뢰성이 하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등록특허공보 10-1657258호는 부품을 선별하는 부품선별기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상기한 공보에서의 부품 선별기는 내주부에 나선 형상의 이송로에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선별부에 의해, 부품의 이송 과정에서 양품을 선별함과 동시에 부품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다. 이 때, 부품이 이송되는 동력은 별도의 진동체가 공급하는 진동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기재된 부품선별기에서 복수의 부품이 이송로에 배치되어, 부품이 전진할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진동체가 선별기에 진동을 공급함에 따라, 최전방에 배치되는 부품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부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 또는 별도 조립 장치에 의해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선별기를 이탈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최전방의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7258 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에 진동을 부여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각각의 모듈의 진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는, 정렬이 틀어진 복수의 부품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부품 정렬 모듈(10);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결합 방향을 유도하는 지주(20); 및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주(2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높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어 결합체(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공급 수단(120)을 포함하는 진동체(100); 상기 진동체(100)와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부(200); 및 상기 진동체(100)와 연동되어,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의 전력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200)는 일단부가 상기 진동체(100)와 결합되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210); 상기 이송 라인(210)에 수용된 부품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220); 및 상기 감지 센서(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경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센서(220)는 상기 이송 라인(21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체(100)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신되는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압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체(100)는 상기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진동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주파수 값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 센서(220)와 연동되는 전원 제어부(310); 상기 가속도 센서(130)와 연동되는 주파수 제어부(320); 및 결합된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수량에 따른 자유진동수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33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 센서(22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는, 상기 가속도 센서(130)에서 수신되는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40)(330)에 저장된 자유진동수 값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인가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보부(230)는, 상기 이송 라인(21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22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력이 인가되는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가속도 센서(130) 및 감지 센서(220)에서 측정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표시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는,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지주(2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하는 베이스(40); 상기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승강 지지부(50); 상기 제1 승강 지지부(50)와 대향하면서 상기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승강 지지부(60); 상기 부품 정렬 모듈의 외측을 둘러 싸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C"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지지부(50)와 상기 제2 승강 지지부(60)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부품 정렬 모듈을 공전(Orbit)하듯 상기 부품 정렬 모듈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부품 정렬 모듈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부품 정렬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곡선형 블로우 유닛(70); 및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지지부(50)는, 상기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51); 상기 부품 정렬 모듈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51)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 이동 레일(52); 및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주는 상하 이동 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이동 유닛(53)은, 후단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유닛 블록(531); 상기 유닛 블록(531)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뒤 전단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상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 고리(532); 상기 유닛 블록(5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뒤 전단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하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 고리(533); 상기 유닛 블록(53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유닛 블록(531)을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하 이동 기어(534); 및 상기 유닛 블록(531)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외측을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주는 곡선 이동 기어(5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은, "C"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후단을 따라 상기 곡선 이동 기어(535)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기어산이 형성되는 곡선형 프레임(71); 상기 제1 체결 고리(532)의 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체결홈(72); 상기 제2 체결 고리(533)의 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하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73); 상기 에어 컴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기 이동 통로(74); 및 상기 공기 이동 통로(74)를 따라 이동 중인 압축 공기를 상기 부품 정렬 모듈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출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부품 선별기는 이송부 단부에 부품이 도달했을 시, 복수의 부품이 수용된 공간에 진동 공급을 차단시키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송부 단부의 부품이 지속적으로 압력을 수신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형상 및 성질이 상이한 각각의 부품에 대한 정렬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듈형으로 설계됨에 따라, 하나의 생산품에 필요한 복수의 부품을 동시에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로 결합된 선별 장치의 진동수를 가변시키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공진에 의한 결합 해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품 정렬 모듈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체 내부를 나타낸 투영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 타단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폐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부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승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하 이동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부품을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복수의 부품 정렬 모듈(10),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을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배치하는 지주(20) 및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과 지주(20) 간의 결합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복수의 결합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은 정렬시키고자 하는 부품에 일정한 주파수 값의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체(100)와 정렬이 완료된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체(100) 내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의 나선형상의 이송 가이드(111-1)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200)의 일단부는 상기 진동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 가이드(111-1)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단부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상기 진동체(100) 내부에서 상기 이송부(200)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진동체(100)는 정렬 상태가 정립되지 않은 복수의 부품을 상기 진동체(100) 내측 중앙부로 공급하는 호퍼(101)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호퍼(101)의 배치 위치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이 하나의 상기 지주(20)를 기준으로 결합되는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결합 시에 복수의 상기 호퍼(101)의 개방부가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상호 어긋나는 방향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20)는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구성으로, 정렬이 완료된 부품에 실시되는 후공정을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값으로 기립하는 베이스(40) 상측과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30)는 상기 진동체(100)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주(20)의 횡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이 높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관통공에 상기 지주(2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위치가 제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체(10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체(100) 내부를 나타낸 투영도다. 도 2와 같이, 상기 진동체(100)는 내부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형 형상의 제1 하우징(111)과 상기 제1 하우징(111) 내부에 형성되는 이송 가이드(1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이송 가이드(1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1) 중앙부에 형성되는 부품 수용 공간을 시작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주파수 값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11) 내측에 수용되는 복수의 부품은 상기 이송 가이드(111-1)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이송 가이드(111-1)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하우징(111) 내측에 수용되는 부품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즉, 각각의 상기 제1 하우징(111) 내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 가이드(111-1)의 형상은 수용된 부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체(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진동을 공급하는 진동 공급 수단(1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내주부에 상기 이송 가이드(111-1)가 형성되는 상기 제1 하우징(111)의 하단에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하우징(112)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한 진동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1)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이 원활하게 상기 이송 가이드(111-1)를 따라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은 상기 제2 하우징(11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빗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빗면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11)은 저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 대하여 모두 진동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1) 내측에는 하단에서 전달하는 진동에 의해 부여된 주파수 값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3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130)는 상기 제2 하우징(112)의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진동하는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진동 주파수 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4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는 부품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이송 라인(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이송 라인(210)은 상기 제1 하우징(111) 내부의 상기 이송 가이드에 의해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할 시에 정렬 상태가 다시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라인은(210)은 상기 제1 하우징(111) 내부에서 정렬이 완료된 부품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정렬판(211)이 상기 이송 라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이송 라인(21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112)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구간이다. 즉, 부품의 정렬 공정은 상기 진동체(100)의 호퍼(101),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이송 가이드(111-1)를 거쳐 상기 이송부(20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부품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에 도달하여 정렬이 완료된 부품은 관리자 또는 별도의 공정 장치가 수행하는 후공정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하나의 상기 부품 진동 모듈(10)의 이송부(200) 타단부에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도달한 상태에서 해당되는 상기 진동체(100) 내부의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이 상기 하우징(110)에 계속 진동을 공급한다면, 상기 이송 가이드(111-1)를 따라 정렬 공정이 수행되는 복수의 부품이 상기 이송부(200) 측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로 이동이 완료되어 후공정을 대기하는 부품에 압력을 가한다. 상기한 과정이 지속적을 반복된다면, 후공정을 대기하는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에는 부품의 이송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센서(220)가 형성된다. 상기 감지 센서(220)가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로의 이동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감지한다면, 상기 제2 하우징(112)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로 공급 전력이 차단된다.
즉,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부품이 도달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111)에 진동이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이 상기 이송 가이드(111-1)를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종속적으로 상기 이송부(200)에 위치하는 부품에 압력이 부여되지 않아,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지 센서(220)는 부품이 부여하는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압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과 연동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의 공급 전력에 대한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제어부(310),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부(320) 및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이 상기 지주(20)에 결합된 개수에 따른 본 발명의 자유진동수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전원 제어부(310)는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개재되는 상기 감지 센서(220)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감지 센서(220)가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부품이 도달했다고 감지한다면, 상기 전원 제어부(310)로 해당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종속적으로, 상기 전원 제어부(310)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상기 진동체(100)의 부품 정렬 공정이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이 상기 제1 하우징(111)에 전달하는 진동에 대한 주파수 값을 가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든 물체는 고유진동수를 보유함에 따라,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가 고유진동수의 오차범위 내에 도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진동 공급 수단(120)의 진동 주파수가 고유진동수의 오차범위 내에 도달한다면, 진폭이 증대되어 기계적으로 결합 구조체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결합 내구성이 하락하여 해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진동하는 상기 진동체(100)의 진동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현재 상기 진동체(100)의 진동 주파수가 고유진동수의 오차 범위에 도달했을 시에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는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진동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상기 가속도 센서(130)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고유진동수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폐부(240)를 나타낸 개념도다. 도 6과 같이, 상기 차폐부(240)는 상기 진동체(100)와 상기 이송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1) 내에서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상기 이송부(200)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상기 차폐부(240)는 상기 이송 라인(210)에 의해 유도되는 부품의 이동 경로 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돌출 부재(2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송 라인(210)은 상기 돌출 부재(242)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통되는 차폐홀(21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돌출 부재(242)는 부품의 이동 경로를 차단할 시에 상기 차폐홀(212)을 관통한다.
상기 돌출 부재(242)는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돌출 수단(241)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 수단(241)은 상기 돌출 부재(242)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액추에이터, 모터와 축결합하는 캠 구조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조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페부(240)는 상기 전원 제어부(310)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감지 센서(220)에서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부품이 도달했을 시, 상기 전원 제어부(310)는 상기 돌출 수단(241)을 활성화시켜 상기 돌출 부재(242)가 부품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도달한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부(230)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는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후공정을 위하여 대기하는 구간이다. 즉, 관리자는 정렬이 완료된 부품을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로부터 이탈시켜, 이후에 실시되는 공정에 투입시킨다. 따라서, 관리자는 특정 제품의 생산 고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도착하여 정렬이 완료된 부품을 신속하게 이탈시켜, 후공정이 실시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투입시켜야 한다.
전반적인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는 상기 경보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보부(230)는 이송부(200) 타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감지 센서(220)와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감지 센서(220)가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부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지하면, 상기 경보부(230)가 활성화되어 관리자에게 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상기 경보부(230)는 도 7과 같이 시각적인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별도의 구조 또는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경보부(230)에서 필요한 전원은 상기 감지 센서(220)를 형성하는 압전소자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체(100)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다른 부품에 의해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위치하는 부품이 상기 감지 센서(220)에 압력을 부여함에 따라, 상기 경보부(230)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복수의 부품이 투입되는 부품 공급 단계(S100)가 실시된다. 본 단계에서는 관리자가 상기 호퍼(101)에 복수의 부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1) 내측에 복수의 부품이 수용된다.
이후, 상기 제1 하우징(111)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공급 단계(S20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12)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단에 결합된 상기 제1 하우징(111)에 일정한 주파수 값의 진동이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과 연동되는 상기 전원 제어부(310)가 해당 신호를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으로 하달한다.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11)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진동함에 따라, 종속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1)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부품이 상기 이송 가이드(111-1)를 따라 정렬 및 이송되는 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진동체(100)가 일정한 주파수로 진동한다면,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는 현재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진동 주파수와 결합 구조체의 자유진동수 값을 비교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는 관리자가 상기 지주(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결합한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개수에 해당하는 자유진동수 값을 기반으로, 현재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진동 주파수와 비교한다. 이는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와 연동되는 상기 감지 센서(120) 및 데이터베이스(330)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한 자유진동수 측정 단계(S400)에서 현재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진동 주파수 값이 자유진동수의 오차범위 내로 측정된다면,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의 진동 주파수 값을 가변시키는 진동 제어 단계(S600)가 실시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진공 공급 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경감시킴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11)의 진동수를 가변시킨다.
지속적으로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이 부여하는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부품은 최종적으로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로 이동한다. 부품 선별 완료 판단 단계(S500)는 상기 이송부(200) 타단부에 정렬이 완료된 부품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상기 감지 센서(220)에 의해 상기 전원 제어부(31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이 때, 상기 전원 제어부(310)가 활성화되었다면,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단계(S70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과 연동되는 상기 전원 제어부(310)에 의해 실시된다. 이후, 상기 경보부(230)가 활성화되는 경보 출력 단계(S800)가 실시됨에 따라, 관리자는 해당하는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정렬 공정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는, 베이스(40), 제1 승강 지지부(50), 제2 승강 지지부(60), 곡선형 블로우 유닛(70) 및 에어 컴프레셔(8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40)는, 상측에 설치되는 지주(2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되며, 상측에 제1 승강 지지부(50), 제2 승강 지지부(60), 곡선형 블로우 유닛(70) 및 에어 컴프레셔(8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승강 지지부(50)는,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승강 지지부(60)는, 제1 승강 지지부(50)와 대향하면서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연결 설치된다.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은, 부품 정렬 모듈(10)의 외측을 둘러 싸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C"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승강 지지부(50)와 제2 승강 지지부(60)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부품 정렬 모듈(10)을 공전(Orbit)하듯 부품 정렬 모듈(10)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부품 정렬 모듈(10)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부품 정렬 모듈(10)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에어 컴프레셔(80)는,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는, 부품 정렬 모듈(10)로 압축 공기를 고르게 분사시켜 줌으로써, 부품 정렬 모듈(10) 또는 부품 등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부품의 정렬 효율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부품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1 승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승강 지지부(50)는, 수직 프레임(51), 상하 이동 레일(52) 및 상하 이동 유닛(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승강 지지부(60)는, 후술하는 제1 승강 지지부(5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승강 지지부(50)의 수직 프레임(51), 상하 이동 레일(52) 및 상하 이동 유닛(5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 프레임(51)은,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하 이동 레일(52)이 형성된다.
상하 이동 레일(52)은, 부품 정렬 모듈(10)과 대향하는 수직 프레임(51)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이동 유닛(53)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하 이동 유닛(53)은, 상하 이동 레일(5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하 이동 레일(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이동 유닛(53)은, 유닛 블록(531), 제1 체결 고리(532), 제2 체결 고리(533), 상하 이동 기어(534) 및 곡선 이동 기어(535)를 포함한다.
유닛 블록(531)은, 후단(531a)이 상하 이동 레일(5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하 이동 레일(5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전단 상측에 제1 체결 고리(532)가 형성되고, 전단 하측에 제2 체결 고리(533)가 형성된다.
제1 체결 고리(532)는, 유닛 블록(531)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뒤 전단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체결홈(72)을 체결한다.
제2 체결 고리(533)는, 유닛 블록(5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뒤 전단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하측을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73)을 체결한다.
상하 이동 기어(534)는, 유닛 블록(53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 레일(52)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유닛 블록(531)을 상하 이동 레일(5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곡선 이동 기어(535)는, 유닛 블록(531)의 전단에 설치되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외측을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은, 곡선형 프레임(71), 상부 체결홈(72), 하부 체결홈(73), 공기 이동 통로(74) 및 배출구(75)를 포함한다.
곡선형 프레임(71)은, "C"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후단을 따라 곡선 이동 기어(535)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기어산이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공기 이동 통로(74)가 형성되고, 상부를 따라 상부 체결홈(72)이 형성되고, 하부를 따라 하부 체결홈(73)이 형성된다.
상부 체결홈(72)은, 제1 체결 고리(532)의 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곡선형 프레임(71)의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체결홈(73)은, 제2 체결 고리(533)의 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곡선형 프레임(71)의 하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1 체결 고리(532)와 제2 체결 고리(533)가 상부 체결홈(72)과 하부 체결홈(73)에 각각 체결되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과 상하 이동 유닛(53)이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제1 체결 고리(532)와 제2 체결 고리(533)가 상부 체결홈(72)과 하부 체결홈(73)을 따라 이동되어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곡선을 그리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닛 블록(531)의 전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공기 이동 통로(74)는, 에어 컴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곡선형 프레임(7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배출구(75)는, 공기 이동 통로(74)를 따라 이동 중인 압축 공기를 부품 정렬 모듈(10)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곡선형 프레임(71)의 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승강 지지부(50)는, 제2 승강 지지부(60)와 함께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상하 방향 및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부품 정렬 모듈(10)의 어느 방향에서라도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품 정렬 모듈
20: 지주
30: 결합체
40: 베이스

Claims (4)

  1. 정렬이 틀어진 복수의 부품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부품 정렬 모듈(10);
    복수의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결합 방향을 유도하는 지주(20); 및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주(2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공이 높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어 결합체(30);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공급 수단(120)을 포함하는 진동체(100);
    상기 진동체(100)와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부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부(200); 및
    상기 진동체(100)와 연동되어,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의 전력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200)는
    일단부가 상기 진동체(100)와 결합되어,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 라인(210);
    상기 이송 라인(210)에 수용된 부품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220); 및
    상기 감지 센서(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경보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센서(220)는
    상기 이송 라인(210)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체(100)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신되는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압전소자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체(100)는
    상기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의해 진동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주파수 값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 센서(220)와 연동되는 전원 제어부(310);
    상기 가속도 센서(130)와 연동되는 주파수 제어부(320); 및
    결합된 상기 부품 정렬 모듈(10)의 수량에 따른 자유진동수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33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부(310)는
    상기 감지 센서(22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주파수 제어부(320)는
    상기 가속도 센서(130)에서 수신되는 신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40)(330)에 저장된 자유진동수 값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진동 공급 수단(120)에 인가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며,
    상기 경보부(230)는
    상기 이송 라인(21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22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력이 인가되는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300)와 연동되어, 상기 가속도 센서(130) 및 감지 센서(220)에서 측정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표시부(90);를 더 포함하며,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지주(2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하는 베이스(40);
    상기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승강 지지부(50);
    상기 제1 승강 지지부(50)와 대향하면서 상기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승강 지지부(60);
    상기 부품 정렬 모듈의 외측을 둘러 싸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C"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지지부(50)와 상기 제2 승강 지지부(60)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부품 정렬 모듈을 공전(Orbit)하듯 상기 부품 정렬 모듈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부품 정렬 모듈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부품 정렬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곡선형 블로우 유닛(70); 및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 지지부(50)는,
    상기 베이스(40)의 상부 전단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51);
    상기 부품 정렬 모듈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51)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 이동 레일(52); 및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주는 상하 이동 유닛(53);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 이동 유닛(53)은,
    후단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유닛 블록(531);
    상기 유닛 블록(531)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뒤 전단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상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 고리(532);
    상기 유닛 블록(5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뒤 전단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하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 고리(533);
    상기 유닛 블록(53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유닛 블록(531)을 상기 상하 이동 레일(5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하 이동 기어(534); 및
    상기 유닛 블록(531)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의 외측을 따라 좌우 길이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을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시켜 주는 곡선 이동 기어(535);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형 블로우 유닛(70)은,
    "C" 형태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후단을 따라 상기 곡선 이동 기어(535)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기어산이 형성되는 곡선형 프레임(71);
    상기 제1 체결 고리(532)의 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체결홈(72);
    상기 제2 체결 고리(533)의 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하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73);
    상기 에어 컴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공기 이동 통로(74); 및
    상기 공기 이동 통로(74)를 따라 이동 중인 압축 공기를 상기 부품 정렬 모듈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곡선형 프레임(71)의 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출구(75);를 포함하는,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18096A 2021-01-04 2021-09-06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 KR102342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248 2021-01-04
KR20210000248 2021-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449B1 true KR102342449B1 (ko) 2022-01-05

Family

ID=7934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096A KR102342449B1 (ko) 2021-01-04 2021-09-06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6367A (zh) * 2022-07-13 2022-10-18 辽宁傲农饲料有限公司 一种除尘防堵式物料振动提升装置
KR102673143B1 (ko) 2023-07-18 2024-06-10 황해모 멀티보울형 파츠피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708A (ja) * 1982-03-05 1983-09-10 Yamaha Motor Co Ltd 部品供給装置
JPH10194434A (ja) * 1997-01-16 1998-07-28 Sony Corp 部品供給装置
KR101657258B1 (ko) 2013-11-18 2016-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수체 및 위생용품
JP2019531994A (ja) * 2016-10-14 2019-11-07 ケイ−トロ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Tron Technologies, Inc. 振動供給装置及び振動供給装置の振動運動を調整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708A (ja) * 1982-03-05 1983-09-10 Yamaha Motor Co Ltd 部品供給装置
JPH10194434A (ja) * 1997-01-16 1998-07-28 Sony Corp 部品供給装置
KR101657258B1 (ko) 2013-11-18 2016-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수체 및 위생용품
JP2019531994A (ja) * 2016-10-14 2019-11-07 ケイ−トロ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Tron Technologies, Inc. 振動供給装置及び振動供給装置の振動運動を調整す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6367A (zh) * 2022-07-13 2022-10-18 辽宁傲农饲料有限公司 一种除尘防堵式物料振动提升装置
KR102673143B1 (ko) 2023-07-18 2024-06-10 황해모 멀티보울형 파츠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449B1 (ko) 모듈형 진동 부품 선별기
KR100631756B1 (ko) 리벳볼트 가 조립기
US10207830B2 (en) Food product handling device
US20030042112A1 (en) Vibratory part feeding system
CN102673959A (zh) 工件供给装置
JP7407304B2 (ja) 真空ガラス支持物の分離配置装置及び方法
CN105750904B (zh) 烤箱灯座的自动装配系统
KR200393395Y1 (ko) 리벳볼트 가 조립기
CN103929940A (zh) 碗式供给器组合体以及电子部件安装装置
CN211711846U (zh) 上料机
CN104949589B (zh) 药筒自动校量机以及包含该校量机的测量系统
US4768640A (en) Feed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y parts
CN103298326A (zh) 电子部件供给装置及电子部件安装装置
KR100975917B1 (ko) 전자부품 정렬 장치
EP1586519B1 (en) Adjustable unit for transferring upright and aligned articles from a conveyor conveying the articles on their base to a overhead conveyor
US6598730B1 (en) Parts feed device
JP2013032222A (ja) 線状部材の整列供給装置
CN110653600A (zh) 一种双层o型圈自动装配装置
CN107257715B (zh) 声学分离装置
CN209452730U (zh) 一种铆钉传输设备
JP6910099B2 (ja) ボウル型振動パーツフィ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供給部品切換方法
KR102324481B1 (ko) 스터드 자동 공급장치
CN111702443A (zh) 自动阵列机
KR20070095308A (ko) 판재 수납 방법 및 장치
KR102260919B1 (ko) 도로 표지병 또는 경관등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