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245B1 -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245B1
KR102342245B1 KR1020210046779A KR20210046779A KR102342245B1 KR 102342245 B1 KR102342245 B1 KR 102342245B1 KR 1020210046779 A KR1020210046779 A KR 1020210046779A KR 20210046779 A KR20210046779 A KR 20210046779A KR 102342245 B1 KR102342245 B1 KR 10234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paper package
rotating body
conveyor bel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조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현 filed Critical 조정현
Priority to KR102021004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지 패키지를 일정한 간격 차로 연속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가 회전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화장지 패키지의 전면이 회전체 내부의 걸림바에 걸리면서 이동을 멈춰 회전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회전체 및 화장지 패키지가 180° 회전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화장지 패키지의 후측에 위치하며, 화장지 패키지는 전면과 후면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상기 회전체에서 빠져나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Conveyor device for transferring toilet paper packages}
본 발명은 다수의 롤 화장지가 하나의 묶음으로 포장된 화장지 패키지를 이송 중 회전시켜 화장지 패키지의 전면과 후면의 방향을 바꿔 운반할 수 있는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의 화장실과 주방에서는 롤 화장지와 키친타올을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롤 화장지나 키친타올은 각각 별도로 판매되고 있으며, 롤 화장지의 경우에는 보통 24롤에서 30롤을 하나의 패키지로 하여 판매하고 있고, 키친타올의 경우에는 2롤에서 10롤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하여 판매를 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지 패키지를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화장지 패키지를 이송 또는 운반하고 있다.
일반적인 컨베이어 장치는, 재료, 부품 또는 화물 등의 이송물을 일정한 간격 차로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장치로, 공장 내에서 부품의 운반, 반제품(半製品)의 이동, 광산·항만 등에서 석탄·광석·화물의 운반, 건설현장에서 흙과 모래의 운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단순한 운반장치로만이 아니고 작업원과 결합시켜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되어, 공장 내에서 대량생산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분류하기는 어려우나,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벨트컨베이어에 대해 알아보면, 고무·직물·철망·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컨베이어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이송물을 올려 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로, 고무벨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벨트는 엔들리스로 하여 벨트 바퀴에 걸고, 벨트 바퀴를 전동기 또는 구동모터로 회전시켜서 구동한다.
그러나 화장지 패키지를 상기 컨베이어 장치로 이송함에 있어, 화장지 패키지의 가로 폭이 컨베이어벨트의 가로 폭보다 큰 경우 화장지 패키지의 이송 및 운반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장지 패키지를 컨베이어벨트의 종착지점에서 전,후면의 방향을 바꿔 공급해야 할 경우, 또는 화장지 패키지의 전,후면이 바뀐 상태로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이송될 경우 등, 컨베이어벨트 위에서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를 필요에 따라 선단부와 후단부의 위치를 바꿔야 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39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컨베이어장치의 문제점 및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를 180° 회전시켜, 화장지 패키지의 전,후단부의 위치를 이송 중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투입되는 화장지 패키지를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기 전, 컨베이어벨트의 폭보다 좁은 면이 컨베이어벨트에 세워진 상태로 안착하도록 화장지 패키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화장지 패키지가 컨베이어벨트에 세워진 상태로 안착된 후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는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고, 회전축을 180°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내부가 관통되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길이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길이홈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바가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지 패키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구동모터로 출력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가 상기 회전체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화장지 패키지의 선단부가 상기 걸림바에 걸리면서 이동을 멈춰 회전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 및 화장지 패키지가 180° 회전하고, 상기 걸림바는 상기 화장지 패키지의 이송방향과 반대되는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화장지 패키지는 선단부와 후단부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상기 회전체에서 빠져나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를 멈추는 차단바;
상기 차단바에 의해 정지된 화장지 패키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 및
일측부에 소정 크기의 판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제3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판부재를 상기 차단바의 일측부에서 타측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 판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화장지 패키지를 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컨베이어벨트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화장지 패키지를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이송 중에 180° 회전시켜 화장지 패키지의 전,후면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하는 화장지 패키지가 종착지점에 도착할 경우, 상기 화장지 패키지를 판부재와 제2 에어실린더를 이용아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에 투입되는 화장지 패키지가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기 전, 컨베이어벨트의 폭보다 좁은 일면이 컨베이어벨트에 안착하도록 자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지 패키지가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안전하게 안착된 후 이탈의 위험없이 이송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전체적이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요상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1)를 전,후방향이 교체되도록 180°로 회전시켜, 화장지 패키지(1)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위치를 화장지 패키지(1)의 이송 중에도 쉽게 바꿀수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고,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 및 내부가 관통되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회전축(61)에 연결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길이홈(5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길이홈(51)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바(52)가 구비되는 회전체(50); 및 상기 회전체(50)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구동모터(60)로 출력하는 제2 센서(S2);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1)가 상기 회전체(5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선단부가 상기 걸림바(52)에 걸려 회전체(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송을 멈추며, 상기 제2 센서(S2)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60)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50)가 180° 회전하고, 상기 회전체(50) 내부의 화장지 패키지(1)가 상기 회전체(50)와 함께 180° 회전하며, 상기 걸림바(52)는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화장지 패키지(1)는 선단부와 후단부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상기 회전체(50)에서 빠져나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60)는 공급전원에 의해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으로 소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60)의 하측에는 회전축(61)에 연결되는 회전체(50)가 구비된다.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회전체(50)가 소정 높이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50)의 상측에는 구동모터(6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60)의 회전축(61)이 회전체(50)의 상부에 체결된다.
상기 회전체(50)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전후면이 개방되는 "∩" 또는 "Π" 형태로 형성되고, 가로 폭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가로 폭과 같거나 더 큰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측면에는 길이홈(51)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양단부가 길이홈(51)에 체결되어서 상기 길이홈(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걸림바(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화장지 패키지(1)는,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회전체(50) 내부로 삽입되고, 회전체(50) 내부에 삽입되면서 선단부(또는 전면)가 상기 걸림바(52)를 밀면서 수용되며, 상기 걸림바(52)가 길이홈(51)의 선단부에 걸려 멈춤으로써 상기 걸림바(52)에 지지되어 회전체(50) 내부에서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화장지 패키지(1)가 상기 회전체(50) 내부에서 걸림바(52)에 걸려 멈추면, 제2 센서(S2)가 회전체(50) 내부의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제2 센서(S2)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60)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50)가 180°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60)는, 회전축(61)을 180° 간격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회전체(50)를 일방향으로만 계속 회전시키거나, 180° 회전 후 회전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센서(S2)는, 회전체(5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의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거나, 회전체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의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한다. 상기 제2 센서(S2)가 상기 회전체(5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60)는 제2 센서(S2)의 감지신호가 출력된 후 약 2 ~ 3초후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장지 패키지(1)는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다가 회전체(5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바(52)가 길이홈(51)의 일단부에 걸림으로써 이동을 멈추고 회전체(5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며, 이후 제2 센서(S2)가 회전체(50) 내부의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구동모터(60)가 작동하여 회전체(50)가 180°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체(50) 및 화장지 패키지(1)가 180° 회전하여,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전,후면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회전체(5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바(52)는 화장지 패키지(1)의 후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후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벨트(110)에 의해 회전체(50)에서 빠져나와 이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100)는,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벨트(110) 위에 전,후면이 바뀐 상태로 이송될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화장지 패키지(1)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위치를 바꿔야 할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화장지 패키지(1)의 전단부와 후단부 위치를 자동으로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50)의 전,후단부의 테두리부는 완만하게 굴곡지면서 외측으로 벌어져 화장지 패키지(1)가 쉽게 회전체(5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가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좌우 외측에는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벨트(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가드판이 형성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장치의 끝단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 장치(100)의 중간지점 또는 이송이 끝나는 컨베이어벨트(110)의 끝단부(종착지점)에서 도착 시,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이송 경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1)를 멈추는 차단바(70); 상기 차단바(70)에 의해 정지된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S3); 및 일측부에 소정 크기의 판부재(80)가 연결되고, 상기 제3 센서(S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판부재(80)를 상기 차단바(7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 판부재(80)를 이동시켜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벨트(1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컨베이어벨트(1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81);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바(70)는, 컨베이어벨트(110)의 가로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더 길게 형성되고,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소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진행방향을 차단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서 화장지 패키지(1)의 이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화장지 패키지(1)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차단바(70)에 걸려 멈추게 된다.
상기 화장지 패키지(1)가 차단바(70)에 걸려 멈추면, 제3 센서(S3)가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감지신호에 의해 제2 에어실린더(81)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3 센서(S3)는 상기 차단바(70)의 상측 또는 차단바(70)의 전면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 또는 센싱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에어실린더(81)는 화장지 패키지(1)의 이동이 걸리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에어실린더(81)의 일단부에는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벨트(110)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판부재(80)가 연결된다.
상기 판부재(80)는 상기 제2 에어실린더(8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제2 에어실린더(81)의 끌어당김에 의해 차단바(70)의 전면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이동하며, 상기 차단바(70)에 의해 멈춘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100)의 이송방향에 교차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하는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 장치(l00)의 종착지점(끝부분)에 도착할 경우, 상기 화장지 패키지(1)가 차단바(70)에 걸려 멈추고, 상기 판부재(80) 및 제2 에어실린더(81)에 의해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으로 옮겨진다.
한편, 도 1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100)의 일단부에서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어 구비되고, 화장지 패키지(1)가 안착하는 적재판(10); 상기 적재판(10)에 위치하는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S1); 및 상기 적재판(10)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서(S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적재판(10)을 컨베이어벨트(1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에어실린더(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10)에 화장지 패키지(1)가 눕혀진 상태로 안착하고, 상기 제1 센서(S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에어실린더가 상기 적재판(10)을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적재판(10)이 화장지 패키지(1)의 하부에서 빠지면서 화장지 패키지가 적재판(10)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하여 세워진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100)의 말단부에서 일측부 또는 일측면에는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는 적재판(10)이 설치된다.
상기 적재판(10)은,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착되기 전, 컨베이어(100)에 투입되는 곳으로, 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소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화장지 패키지(1)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31)이 일측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소정 면적의 지지편(11)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후술할 제1 에어실린더(20)가 연결된다.
상기 화장지 패키지(1)는, 약 24롤에서 30롤의 롤 화장지가 하나의 패키지로 비닐에 포장된 것을 의미하고, 키친타올의 경우에는 2롤에서 10롤 등이 하나의 패키지를 형성한다.
상기 적재판(10)은 로드부가 몸체의 내부로 삽입/인출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제1 에어실린더(20)가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컨베이어 장치(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되, 컨베이어벨트(110)의 이송방향과 교차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즉, 상기 적재판(10)은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일정 속도로 컨베이어 장치(100)의 내측과 외측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컨베이어 장치(100)의 일측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제1 고정편(32)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편(32)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가 고정되는 지지부(33)이 구비되며, 상기 적재판(1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부(33)와 사이에 상기 적재판(10)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판(31)이 구비된다.
상기 적재판(10)의 하부에는 링 형태의 연결구 또는 연결링크가 형성되고, 제1 에어실린더(20)는 상기 지지부(33)에 고정되어서 로드부가 상기 연결구 또는 연결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3)는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가 고정되고, 적재판(10)이 제1 에어실린더(20)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적재판(10)과 제1 에어실린더(2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적재판(1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소정 부피의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에어실린더(20)가 지지부(33)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3)에는 소정 길이의 지지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구를 지지축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결구가 지지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적재판(1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의 로드부가 상기 연결구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재판(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는 컨베이어 장치(100)의 타측부에는 상기 적재판(10) 위에 화장지 패키지(1)의 유무를 인식 또는 감지하는 제1 센서(S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센서(S1)는 적외선 감지센서, 동작인식 감지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감시카메라 등 화장지 패키지(1)를 인식 또는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설치 또는 센싱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재판(10)에 위치하는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며, 상기 화장지 패키지(1)가 상기 적재판(10)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화장지 패키지(1)가 적재판(10)의 내부에 완전히 안착 및 수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S1)는 화장지 패키지(1)의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S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100)로 이송할 화장지 패키지(1)가 상기 적재판(10)에 투입되면, 상기 제1 센서(S1)가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제1 에어실린더(20)가 상기 적재판(10)을 컨베이어 장치(10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며, 상기 적재판(10)이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하부에서 천천히 빠지고,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일측부가 적재판(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낙하하여 약 90° 정도 회전한 후,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100)는, 화장지 패키지(1)의 가로 폭이 컨베이에벨트(110)의 가로 폭보다 더 큰 경우,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벨트(110)의 폭보다 좁은 일면이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착할 수 있도록 화장지 패키지(1)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벨트(110)로 안전하게 안착 및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예로, 전,후면의 가로 폭이 컨베이어벨트(110)의 가로 폭보다 넓고, 좌,우측면의 폭이 컨베이어벨트(110)의 가로 폭보다 좁은 화장지 패키지(1)의 경우,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전면 또는 후면이 상기 적재판(10)에 안착되어 눕혀진 상태로 적재판(10)에 투입되면, 제1 센서(S1)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가 작동하고, 제1 에어실린더(20)가 상기 적재판(10)을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적재판(10)이 화장지 패키지(1)의 하부에서 천천히 빠지며,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일측면이 적재판(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면서 컨베이어벨트(110) 방향으로 약 90°회전하면서 낙하하고, 폭이 좁은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일측면이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착하면서 세워진 상태로 컨베이에벨트(1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판(10)에서 화장지 패키지(1)가 회전하면서 낙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착하면, 상기 적재판(10)에 화장지 패키지(1)가 없어 제1 센서(S1)가 작동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적재판(10)은 상기 제1 에어실린더(20)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적재판(10)의 타측부에는 컨베이어벨트(1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지지편(11)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판(10) 또는 지지편(11)과 마주하는 컨베이어 장치1l00)의 타측부에는 컨베이어벨트(110)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입설되는 경사판(40)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판(40)은 하부로 갈수록 컨베이어벨트(110)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적재판(10)에서 낙하하는 화장지 패키지(1)이 회전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 90°회전된 상태로 쉽게 안착하게 된다.
즉, 화장지 패키지(1)이 상기 적재판(10)에 눕혀진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110)로 낙하할 때, 약 90°로 회전한 후, 상기 경사판(40) 및/또는 지지편(11)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벨트에 세워진 상태로 안착하고, 세워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11)과 경사판(40)의 간격은 화장지 패키지(1)의 측면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하거나 조금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사판(40)의 후면에 결합하는 고정프레임(41); 컨베이어 장치(100)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편(42); 및 상기 고정프레임(41)과 제2 고정편(42)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판(40)을 컨베이어 장치(100)의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판(10)과 경사판(40)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고정축(4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축(43)의 회전방향에 따라 경사판(40)과 적재판(10), 또는 경사판(40)과 지지편(11)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벨트(110)에 안전하게 안착시켜 쉽게 이송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100)는 화장지 패키지(1) 외에도 낙하 시 충격에 파손되지 않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 등 다양한 종류의 이송물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적재판 11 : 지지편
20 : 제1 에어실린더 31 : 가이드판
32 : 제2 고정편 33 : 지지부
40 : 경사판 41 : 고정프레임
42 : 제2 고정편 43 : 고정축
50 : 회전체 51 : 길이홈
52 : 걸림바 60 : 구동모터
70 : 차단바 80 : 판부재
81 : 제2 에어실린더 100 : 컨베이어 장치
S1,S2,S3 : 제1, 제2, 제3 센서

Claims (6)

  1. 컨베이어밸트(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부가 관통되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길이홈(5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길이홈(51)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바(52)가 구비되는 회전체(50);
    상기 회전체(50)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S2); 및
    상기 회전체(50)의 상측에 구비되고, 회전축(61)이 상기 회전체(5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센서(S2)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체(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며,
    화장지 패키지(1)가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회전체(50)의 내부로 삽입되고 회전체(5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걸림바(52)에 걸려 이동을 멈추며, 상기 구동모터(60)가 상기 제2 센서(S2)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회전체(50) 및 화장지 패키지(1)가 180° 회전하고, 상기 걸림바(52)는 상기 화장지 패키지(1)의 이송방향과 반대되는 화장지 패키지(1)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화장지 패키지(1)는 전면과 후면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상기 회전체(50)에서 빠져나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송되는 화장지 패키지(1)를 멈추는 차단바(70);
    상기 차단바(70)에 의해 정지된 화장지 패키지(1)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S3); 및
    일측부에 소정 크기의 판부재(80)가 연결되고, 상기 제3 센서(S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판부재(80)를 상기 차단바(7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 판부재(80)를 이동시켜 상기 화장지 패키지(1)를 컨베이어벨트(11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컨베이어벨트(1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60)는,
    상기 회전체(50)를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거나 회전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0)는,
    전,후단부의 테두리부에 완만하게 굴곡지면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가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10046779A 2021-04-09 2021-04-09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KR10234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779A KR102342245B1 (ko) 2021-04-09 2021-04-09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779A KR102342245B1 (ko) 2021-04-09 2021-04-09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245B1 true KR102342245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779A KR102342245B1 (ko) 2021-04-09 2021-04-09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2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819A (ja) * 1993-10-19 1995-05-02 Iseki & Co Ltd 梱包物等の移送方向変換装置
KR101099684B1 (ko) * 2009-11-30 2011-1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의 슬립 방지장치
KR200458643Y1 (ko) * 2010-04-23 2012-03-06 (주)아모레퍼시픽 묶음 포장되는 제품의 방향전환장치
KR20140018481A (ko) * 2012-07-31 2014-02-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송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공급방법
KR101923987B1 (ko) 2017-06-08 2019-02-22 이익재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819A (ja) * 1993-10-19 1995-05-02 Iseki & Co Ltd 梱包物等の移送方向変換装置
KR101099684B1 (ko) * 2009-11-30 2011-1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의 슬립 방지장치
KR200458643Y1 (ko) * 2010-04-23 2012-03-06 (주)아모레퍼시픽 묶음 포장되는 제품의 방향전환장치
KR20140018481A (ko) * 2012-07-31 2014-02-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송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공급방법
KR101923987B1 (ko) 2017-06-08 2019-02-22 이익재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722B2 (en) Angled-roller belt conveyor
US7240788B2 (en) Spiral conveyor apparatus with automatic flow control
MX2007003738A (es) Clasificador bidireccional de correa con rodillos transversales en la parte superior con guia automatizada.
JP5764317B2 (ja) 洗濯物をマングルあるいはこれと類似のも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5020846A (ja) 容器の搬送向き変換装置
KR102342245B1 (ko)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KR102342241B1 (ko) 화장지 패키지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US4978117A (en) Apparatus for conveying printing plates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US5600906A (en) Automatic suction type transfer of limp material on conveyors
KR101850384B1 (ko) 임의 크기의 박스를 포장할 수 있는 박스 봉함기
CN210062159U (zh) 一种纸板送料装置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JP2002154641A (ja) 搬送物の反転装置
US11851218B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6015596B2 (ja) 固定状態判別装置
US20040251111A1 (en) Directional input device
JPH03124523A (ja) 箱詰装置
KR101636724B1 (ko) 클리핑 시스템의 가이드장치용 게이트유니트
KR101295745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US9745145B2 (en) Packing bay system for a goods checkout system
KR101408955B1 (ko) 경량 트롤리장치
JP2003002301A (ja) 袋口部シール装置
KR20180136631A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ITTO940664A1 (it) Dispositivo deceleratore per oggetti post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