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080B1 -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080B1
KR102342080B1 KR1020177006083A KR20177006083A KR102342080B1 KR 102342080 B1 KR102342080 B1 KR 102342080B1 KR 1020177006083 A KR1020177006083 A KR 1020177006083A KR 20177006083 A KR20177006083 A KR 20177006083A KR 102342080 B1 KR102342080 B1 KR 10234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tab
holder
bas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915A (ko
Inventor
토미오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키 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키 테크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키 테크노
Publication of KR2017003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Abstract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캡슐 필터와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캡슐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캡슐 필터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캡슐 필터 내에 도입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슐 필터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여과 장치의 고정 장치로서 탭을 갖는 링 어댑터 또는 홀더와 그 탭이 배치되는 홈을 장착한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캡슐 필터가 베이스부에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캡슐 필터의 여과 장치로의 안전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FILTRATION FILTER FIXING DEVICE AND FILTRATION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예컨대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입 관로(21)와 유출 관로(22)를 구비하는 베이스부(23)에, 내부에 필터를 구비한 캡슐 필터(51)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타입의 여과 장치가 이용되었다. 캡슐 필터(51)는 수지제의 일회용 타입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방향 A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베이스부(23)는 유입 관로(21)에 연결되는 유입구(23a)와 유출 관로(22)에 연결되는 유출구(23b)를 갖고 있다. 캡슐 필터(51)는 2개의 접합구(52, 53)를 갖고 있으며, 한 쪽을 캡슐 필터(51)로의 유입구(흐름의 상류)로 하고, 다른 쪽을 캡슐 필터(51)로부터의 유출구(흐름의 하류)로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에는, 접합구(52)는 유입구(23a)에, 접합구(53)는 유출구(23b)에 감합되어 있다. 접합구(52, 53)의 각각의 외주에는 시일재(52a, 53a)가 배치되어 있어, 접합구(52)와 유입구(23a) 사이와, 접합구(53)와 유출구(23b) 사이를 밀착시키고 있다.
이 여과 장치에는 캡슐 필터(51)가 장착된 상태에서 유입 관로(21)로부터의 액체가 캡슐 필터(51)의 내부로 도입되는 유입 흐름(IF), 캡슐 필터(51)를 통과하여 유출 관로(2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흐름(OF)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여과기에서 관로의 배치에 의해 유입 흐름(IF)과 배출 흐름(OF)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도 12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3)의 하부에 유입 관로(21)와 유출 관로(22)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거기서 유입 관로(21)의 흐름의 방향을 90도 바꾸어 캡슐 필터(51)내로 향하게 흐르도록 한다. 유출 관로(22)를 마찬가지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캡슐 필터(51)를 베이스부(23)에 장착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유입 흐름(IF)과 배출 흐름(OF)의 방향이 설정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유입 흐름(IF)은 캡슐 필터(51)를 베이스부(23)에서 압출하는 힘을 캡슐 필터(51)에 부여하게 된다.
그러므로 캡슐 필터(51)가 베이스부(23)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안전상, 캡슐 필터(51)를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정은 예컨대, 링 형상의 어댑터(31)에 의해 캡슐 필터(51)의 플랜지(54)와, 베이스부(23)의 플랜지부(24)의 양쪽을 협지하는 형태로 베이스부(23)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어댑터(31)는 링 형상의 절반으로 이루어지는 어댑터 오른쪽 부재(31a)와 어댑터 왼쪽 부재(31b)의 부재의 일단에 힌지가 배치되고, 그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댑터(31)를 연 상태에서 홀더(41)의 악부(鍔部)와 베이스부(23)의 플랜지부의 양쪽을 사이에 두고, 타단부에 있는 나사(32)에 의해 어댑터(31)를 링 형상으로 조합하여 캡슐 필터(51)의 플랜지(54)와 베이스부(23)의 플랜지부(24)의 양쪽을 협지(狹持)한다.
이와 같은 여과 장치에서는 캡슐 필터(51)가 베이스부(23)에 장착되었을 때에, 캡슐 필터(51) 측의 접합구(52, 53)와, 베이스부(23) 측의 유입구(23a), 유출구(23b)와의 사이에는 시일재(52a, 53a)가 배치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비교적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여과 장치의 특성상, 캡슐 필터(51) 내에 가스가 쌓일 수 있으며, 캡슐 필터(51)는 베이스부(23)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향이 있다. 또 유입 흐름(IF)의 흐름 방향도 캡슐 필터(51)가 이탈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캡슐 필터(51)는 이탈하는 방향의 하중을 받기 쉽다. 이 때, 캡슐 필터(51)는 비교적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할 때의 반발력이 크다. 그러므로 어댑터(31)를 분리하자마자, 당연히 캡슐 필터(51)가 베이스부(23)로부터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어 사용시에 위험하다. 이때, 어댑터(31)처럼 캡슐 플랜지(51)의 외주를 끼우기보다 캡슐 필터(51)의 플랜지를 캡슐 필터(51)의 장착 방향으로부터 균일하게 압압하는 형태로 캡슐 필터(51)를 고정할 수 있으면 좋다.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캡슐 필터와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캡슐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캡슐 필터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캡슐 필터 내에 도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슐 필터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여과 장치의 고정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내면이 상기 캡슐 필터의 외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어댑터로서, 상기 내면에 상기 캡슐 필터의 외면을 따라 연장하는 홈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와 탭을 가지며, 상기 캡슐 필터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링 어댑터와, 상기 링 어댑터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상기 탭이 상기 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캡슐 필터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에 의해 해결한다.
또,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캡슐 필터와,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캡슐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캡슐 필터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캡슐 필터 내에 도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슐 필터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여과 장치의 고정 장치로서 일단 측에 악부를 갖는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중공인 홀더로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캡슐 필터에 덮여져 상기 중공부에 상기 캡슐 필터가 위치하도록 장착 가능한 홀더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내면이 상기 홀더의 외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어댑터로서, 상기 내면에 상기 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홈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탭을 가지고, 상기 홀더가 상기 캡슐 필터에 씌워져 상기 탭이 상기 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에 의해 해결한다.
캡슐 필터(51)의 플랜지를 캡슐 필터(51)의 장착 방향으로부터 균일하게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를 장착한 여과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탭과 제1면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를 장착한 여과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탭과 제1면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면과 탭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지게 설정한 제1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를 장착한 여과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탭과 제1면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를 장착한 여과 장치로서, 탭이 제1면과 대향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를 장착한 여과 장치로서, 탭이 제2면과 대향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탭과 제1면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면과 제2면과 탭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B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시켜 설정한 제1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종래의 여과 장치로서 캡슐 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종래의 여과 장치의 캡슐 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종래의 여과 장치에 있어서의 캡슐 필터의 고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1)와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고정 장치(1)를 장착한 여과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단면 B-B를 도시하고 있다. 여과 장치는 유입 관로(21)와 유출 관로(22)를 구비하는 베이스부(23)와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는 캡슐 필터(5)로 이루어진다. 캡슐 필터(5)는 일반적으로 수지제이다. 베이스부(23)는 캡슐 필터(5)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있다. 캡슐 필터(5)와 베이스부(23)의 구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베이스부(23)에 캡슐 필터(5)가 삽입되면 유입 관로(21)에서 여과해야 할 액체가 캡슐 필터(5) 내에 도입되어 캡슐 필터(5)를 통과하여 유출 관로(22)로부터 배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고정 장치(1)는 링 어댑터(6)와 베이스 어댑터(10)로 이루어진다. 링 어댑터(6)는 대표적으로는 금속제이며, 캡슐 필터(5)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링 어댑터(6)를 캡슐 필터(5)에 씌우면 그 관통 구멍 내에 캡슐 필터(5)가 위치하고, 링 어댑터(6)의 단면이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 부분에 당접하도록 되어있다. 이하, 여기에서는 대표적으로 캡슐 필터(5)는 원기둥 모양이고, 링 어댑터(6)의 관통 구멍은 캡슐 필터(5)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설명한다.
링 어댑터(6)를 캡슐 필터(5)에 씌우면 그 관통 구멍 내에 캡슐 필터(5)가 위치한다. 링 어댑터(6)의 단면이 캡슐 필터(5)의 단면에 당접하도록 씌우면 링 어댑터(6)의 단면이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에 당접하도록 되어있다. 베이스부(23)에는 플랜지(23a가)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 어댑터(10)는 베이스부(23)의 플랜지(23a)를 외측에서 협지하도록 베이스부(23)에 장착된다. 예컨대, 베이스 어댑터(10)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베이스부(23)에 직접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또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베이스 어댑터(10)는 도 12에 도시한 종래의 어댑터(31)와 같이 어댑터(31)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재와 같은 형태로, 탈착 가능한 형태로, 베이스부(23)에 고정할 수도 있다. 베이스 어댑터(10)는 베이스부(23)에 대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고정되면 된다. 이처럼 베이스 어댑터(10)가 베이스부(23)에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어댑터(10)와 베이스부(23)와의 사이에 간극이 만들어지도록 배치한다. 이 간극에 링 어댑터(6)를 진입하도록 한다. 링 어댑터(6)가 간극에 삽입되었을 때 링 어댑터(6)의 외면과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이 대향한다. 링 어댑터(6)의 외면과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이 대향하는 위치의 근방에 거의 캡슐 필터(5)와 베이스부(23)의 접합면이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에 대향하는 링 어댑터(6)의 외면에는 그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탭(6a)이 배치되어있다. 한편, 탭(6a)이 배치되는 근방의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에는 링 어댑터(6)의 외면을 따라 연장하는 홈(2)이 배치된다. 링 어댑터(6)는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순서로 장착한다. 즉, 캡슐 필터(5)가 링 어댑터(6)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로 캡슐 필터(5)의 중심축을 따라 장착한다. 링 어댑터(6)의 단면이 캡슐 필터(5)의 플랜지면(5a)에 당접한 단계에서 링 어댑터(6)의 탭(6a)이 베이스 어댑터(10)의 홈(2) 안에 들어가도록 링 어댑터(6)를 회전한다. 홈(2)에는 탭(6a)과 대향하는 제1면(2a)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탭(6)이 제1면(2a)에 의해 캡슐 필터(5)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받아 링 어댑터(6)에 가압되어 있는 캡슐 필터(5)를 베이스부(23)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링 어댑터(6)와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를 직접 가압하도록 당접하는 형태로 설명을 했는데, 링 어댑터(6)가 직접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와 당접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부재를 준비하여 링 어댑터(6)는 다른 부재를 통해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를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가압해도 된다. 즉, 링 어댑터(6)가 어떠한 형태로든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를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가압되면 효과를 나타낸다. 또, 도 1에서는 베이스 어댑터(10)는 캡슐 필터(5)의 외주를 따라 그 외주의 일부에만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베이스 어댑터(10)는 캡슐 필터(5)의 외주 전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베이스 어댑터(10)를 캡슐 필터(5)의 외주 전부에 배치시키는 예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제1면(2a) 과 탭(6a)이 당접하고 있지만, 당접되어 있지 않아도 링 어댑터(6)가 링 어댑터(6)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면 고정 효과가 생긴다. 그러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2a)과 탭(6a)이 당접하도록 설정한다. 즉, 탭(6a)면과 제1면(2a)을 이하와 같은 위치 관계로 설정한다. 제1면(2a)과, 제1면(2a)과 대향하는 탭(6a)면은 링 어댑터(6), 캡슐 필터(5)의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기준 위치는 링 어댑터(6), 캡슐 필터(5)의 중심축으로서 제1면(2)이 향하는 방향(도 2의 경우에는 아래쪽)이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경우, 베이스부(23)의 플랜지면(23a)과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와의 접합면을 기준 위치로 한다. 이 경우, 제1면(2a)은 베이스부(23)와 캡슐 어댑터(5)와의 접합면(기준 위치)에서 H1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한편, 링 어댑터(6)의 탭(6a)의 위치를 그 기준 위치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H1)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이 때, 공차 범위 내에서 제1면(2a)과 대향하는 측의 탭(6a) 면과 제1면(2a)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는, 탭(6a)과 베이스 어댑터(10)와의 고정의 상태는 느슨하게 된다. 반대로 제1면(2a)과 대향하는 측의 탭(6a) 면과 제1면(2a)과의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면, 이에 따라 링 어댑터(6)와 베이스 어댑터(10)와의 고정 상태가 타이트하게 된다. 제1면(2)과 대향하는 측의 탭(6a) 면과 제1면(2a)과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경우에는, 링 어댑터(6)의 단면을 캡슐 필터(5)에 가압하면서 탭(6a)이 제1면(2a)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게 되어 베이스 어댑터(10)에 대한 링 어댑터(6)의 고정이 타이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캡슐 필터(5)는 수지제이며, 베이스부(23)에 시일재를 통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재의 탄력에 의해 어느 정도의 반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탭(6a)면과 제1면(2a)이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정하면 탭(6a)면과 제1면(2a)이 당접하기 쉬워진다. 베이스부(23)에 대한 캡슐 필터(5)의 반발력에 따라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슐 필터(5)를 간단한 형태로, 베이스부(23)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캡슐 필터(5)가 관통하는 링 어댑터(6)를 이용하는 형태로 고정을 했다. 그러나 링 어댑터(6)를 캡슐 필터(5)를 덮는 듯한 보안 케이스로서의 홀더(4)로 하는 행태로도 할 수 있다. 홀더(4)에 탭(4a)을 배치하면 된다. 이하, 이 형태에 대해,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2 실시예의 여과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링 어댑터(6) 대신에 홀더(4)를 배치하는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홀더(4)는 일단에 개구를 갖지만 타단은 닫혀 있고 내부가 중공이며, 캡슐 필터(5)를 덮어서 숨길 수 있는 형상을 하고있다. 홀더(4)는 대표적으로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다. 홀더(4)를 캡슐 필터(5)에 씌우면 그 중공인 부위에 캡슐 필터(5)가 위치하게 된다. 캡슐 필터(5)가 홀더(4)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홀더(4)를 장착하면 홀더(4)의 단면이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를 가압하도록 당접하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베이스 어댑터(10)는 캡슐 필터(5)의 외주를 따라 그 외주의 일부에만 배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베이스 어댑터(10)는 캡슐 필터(5)의 외주 전부에 배치시켜도 되고, 여기서는 캡슐 필터(5)의 외주 전부에 배치시킨 베이스 어댑터(11)를 설명한다. 단,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캡슐 필터(5)의 외주를 따라 그 외주의 일부에만 배치시키는 베이스 어댑터(10)를 채용할 수도 있다. 베이스 어댑터(11)의 장착 방법은 베이스부(23)를 외측에서 덮도록 베이스부(23)에 장착된다. 예컨대, 베이스 어댑터(10)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베이스부(23)에 직접 고정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어댑터(11)는 종래의 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부재를 조합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고정이 되는 한, 베이스 어댑터(11)의 고정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베이스 어댑터(11)가 베이스부(2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어댑터(11)와 베이스부(23)의 사이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간극을 갖는다. 도 4는 도 3의 단면 C-C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간극에 홀더(4)가 삽입되어 홀더(4)의 외면과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이 대향한다. 홀더(4)의 외면과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이 대향하는 위치에 캡슐 필터(5)와 베이스부(23)의 접합면이 위치하게 된다. 홀더(4)의 탭(4a)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링 어댑터(6)의 탭(6a)과 완전히 동일하며, 베이스 어댑터(10)의 내면에 대향하는 홀더(4)의 외면에 그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탭(4a)으로 배치된다. 홀더(4)의 탭(4a)은 제1 실시예의 링 어댑터(6)의 탭(6a)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베이스 어댑터(1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슐 필터(5)가베이스부(23)에 장착되었을 때에 캡슐 필터의 외주 방향을 따른 홈(2)을 가지고 있다.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먼저 캡슐 필터(5)가 홀더(4)의 중공부에 위치하도록 홀더(4) 내에 삽입되도록 베이스 어댑터(10)의 탭 개구부(11a)를 따라 홀더(4)의 개구 단부가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와 당접할 때까지 삽입한다. 이어서 캡슐 필터(5)의 외주 방향으로 홀더(4)를 회전시키면 탭(4a)이 홈(2)을 따라 이동하여 도 4의 상태가 된다. 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홈(2)은 홀더(4), 캡슐 필터(5)의 중심축을 따라 홀더(4)와 캡슐 필터(5)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홀더(4)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면(2a)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홀더(4)의 중심축을 따른 베이스 어댑터(10)에 대한 홀더(4)의 이동이 제한되어 캡슐 필터(5)가 고정된다. 또, 대표적으로는 홀더(4)의 단면은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 부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홀더(4)에 의해 캡슐 필터(5)가 고정된다. 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홀더(4)와 캡슐 필터(5)와의 사이에 다른 부재를 통해 홀더(4)를 베이스부(23)에 대해 고정해도 된다. 홀더(4)에 의해 캡슐 필터(5)가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고정되는 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제1면(2a)과 탭(4a)과의 위치 설정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홀더(4)의 탭(4a)과 당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
제 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제1면(2a)은 탭(4a) 또는 탭(6a)의 회전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했다. 그러나, 제3 실시예는 이 제1면(2a)을 경사지게 하는 실시예이다. 이하,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예로 들어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5A와 도 5B에 있어서 각각 상측의 도면은 베이스 어댑터(11)를 홀더(4)의 장착 방향에서 본 도면(도 3의 상측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5A의 하측의 도면은 도 5A의 단면 D-D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도 마찬가지로 도 5B 하측의 도면은 도 5B의 E-E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면(2a)과 탭(4a)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면(2a)은 탭(4a) 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어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탭(4a)의 이동 방향을 따라 탭(4a)과 제1면(2a)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제1면(2a)에 경사를 갖고있다. 이에 따라, 홀더(4)를 회전시킴으로써 탭(4a)과 제1면(2)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홀더(4)를 베이스 어댑터(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제1면(2a)에 경사를 갖게 할 수 있다. 또,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2)은 제1면(2a)과 그에 대향하는 면을 구비하는 홈이지만, 도 5B처럼 홈(2)은 제1면(2a)만을 갖는 홈의 형태이어도 된다.
(제4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링 어댑터(6) 대신에 홀더(4)를 사용했다. 그러나 홀더(4)와 링 어댑터(6) 양쪽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탭(4a)은 홀더(4)에 장착했지만 홀더(4)를 사용하는 전제로 링 어댑터(6)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로서 홀더(4)와 링 어댑터(6) 양쪽을 사용한 여과기를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4 실시예의 여과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홀더(4)와 링 어댑터(6) 양쪽을 배치하는 것 외에는 제 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 어댑터(10)는 홈(2), 제1면(2a) 및 탭(6a)은 제1 실시예와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홀더(4)는 개구단부에 악부(4b)를 가지고 있다. 홀더(4)를 캡슐 필터(5)에 씌우면 그 중공인 부위에 캡슐 필터(5)가 위치한다. 링 어댑터(6)의 관통 구멍 부분에 홀더(4)가 삽입되면 링 어댑터(6)의 단면이 홀더(4)의 악부(4b)에 먼저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홀더(4)의 단면은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 부분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링 어댑터(6)의 탭(6a)이 베이스 어댑터(10)의 홈(2)에 삽입되면, 이것에 의해 링 어댑터(6)의 단면이 홀더(4)의 고리부(4b)를 가압하고 그로 인하여 홀더(4)가 캡슐 필터(5)를 눌러 제 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슐 필터가 고정된다.
(제5 실시예)
이하, 도 8에서 도 11A 및 도 11B까지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제4 실시예의 모든 구성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제5 실시예의 고정 장치(1) 및 여과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서는 제1면(2a)에 더하여, 제2면(3)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8은 탭(4a)이 제1면(2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9는 탭(4a)이 제2면(3)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8의 단면 G-G를 도시하고 있다. 제3면(3)을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설명해 온 고정 장치(1)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여과기의 구성 자체에는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이하에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 장치를 예로 들어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면(3)은 홀더(4)의 중심축 방향(홀더(4)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제1면(2a)의 위치보다도 캡슐 필터(5)가 탈착되는 방향측으로 배치된다. 즉, 제2면(3)은 홀더(4)를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제1면(2a)보다도 홀더(4)의 탈착 측에 가깝기 때문에 탭(6a)과 제2면(3)이 대향하여 당접 가능한 상태에서는 홀더는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탭(6a)은 제2면(3)으로 제한되고 홀더(4)는 홀더(4)의 중심축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면(3)은 도 4에 도시한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제1면(2a)일 때에 설정된 거리(H1)보다 큰 거리(H2)가 되도록 설정한다. 제1 실시예부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면(2a)은 탭(4a)과 거의 당접 가능한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탭(6a)이 이 상태에 있을 때는 반드시 탭(6a)과 제2면(3)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이 간극만큼 링 어댑터(6)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탭(6a)은 여전히 제2면(3)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링 어댑터(6)는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탭(6a)이 제2면(3)과 대향하는 위치에있어서 당접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홀더(4)는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지만, 홀더(4)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이 간극만큼 홀더(4)가 가동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간극만큼 캡슐 필터(5)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캡슐 필터(5)의 내부에 쌓인 가스에 의해 캡슐 필터(5)가 베이스부(23)에서 빠졌다고 해도 홀더(4)가 제2면(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캡슐 필터(5)가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틈 만큼의 이동은 캡슐 필터(5) 내부의 가스 등을 누설하기 위한 캡슐 필터(5)를 잠정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2a)과 제2면(3)은 홀더(4)의 원통형상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따른 방향으로 중심축에서 각도α와 각도β를 만나도록 계단식으로 엇갈려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5A와 마찬가지로 상측의 도면은 베이스 어댑터(11)를 홀더(4)의 장착 방향에서 본 도면(도 8과 도 9 상측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와 도 11B의 하측의 도면은 각각 도 11A의 상측의 도면의 단면 H-H와, 도 11B의 상측의 도면의 단면 I-I를 도시하고 있고, 베이스 어댑터(11)의, 또는 홀더(4)의 중심각에 따른 제1면(2a)과 제2면(3)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는 홀더(4)가 캡슐 필터(5)에 씌워졌을 때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탭(4a)이 각도α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제1면(2)과 탭(6a)의 위치 관계는 탭(4a)이 제1면(2)과 대향하여 당접 가능한 상태이어서, 홀더(4)가 베이스부(23)에 대해 가압되어 홀더(4)와 캡슐 필터(5)가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과 같은 위치 관계가 된다. 그리고 탭(4a)이 각도 β의 위치에있을 때는 탭(4a)이 제2면(3)과 대향하여 당접 가능하게 되어, 홀더(4)와 캡슐 필터(5)는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지만, 양쪽 모두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면(2)에 탭(6a)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홀더(4)를 그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키면 탭(4a)도 회전한다. 제1면(2a)의 경사를 홀더(4)의 회전 방향에 대해 탭(4a) 면과 제1면(2a)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해 놓으면 홀더(4)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부(23)에 대한 홀더(4)가 고정되는 정도를 점차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면(2a)과 제2면(3)은 홀더(4)의 중심 축 주변에, 예컨대 각 α, β, γ가 되도록 계단식으로 엇갈리게 놓는다. 이에 따라 탭(4a)의 회전 동작에 의해, 탭(4a)이 각 α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면(2)과 당접하여 홀더(4)를 견고하게 베이스부(23)에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탭(4a)이 각 β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탭(4a)이 제2면(3)과 당접 가능한 상태에 있어 홀더(4)는 견고하게 베이스부(23)에 가압되지는 않지만, 홀더(4)의 중심축을 따른 이동이 제한되어 홀더(4)는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부터 제5 실시예 중에서도 탭(4a) 또는 탭(6a)을 순조롭게 이동시키기 위해 제1면(2a) 또는 제2면(3)은 각각 그 표면을 수지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부터 제5 실시예에서는 탭(4a) 또는 탭(6a)과 제1면(2a)은 각각 1개의 탭 및 그것에 대응하는 1개의 제1면(2)으로 설명을 했다. 그러나 탭(4a) 또는 탭(6a)과 제1면(2a)의 개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여도 된다. 예컨대,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홀더(4)의 원주 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2개의 탭(4a)을, 또는 120도 간격으로 3개의 탭(4a)을, 90도의 간격으로 4개의 탭(4a)을 배치해도 된다. 제1면(2)은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어댑터(10)에 각각 2개, 3개, 4개를 배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부터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예)
제1 실시예부터 제5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어댑터(10, 11)의 제1 홈(2)을 베이스 어댑터에 대하여 고정하고 링 어댑터(6)의 탭(6a)을 또는 홀더(4)의 탭(4a)을 캡슐 필터의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키는 형태로 설명을 했다. 그러나 모든 실시예에 있에서, 링 어댑터(6)의 탭(6a)을, 또는 홀더(4)의 탭(4a)을 캡슐 필터의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베이스 어댑터(10, 11)의 홈(2)을 캡슐 필터의 중심축 주변으로 베이스 어댑터에 대해 회전시켜도 된다. 예컨대, 베이스 어댑터(10 또는 11)에 있어서, 홈(2)이 있는 부분을 다른 부재로서 베어링 등에 의해 그 부분이 베이스부(23)에 대해 캡슐 필터의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홈(2) 중, 제1면(2a)만을 회전시키는 방법도 취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어댑터(10, 11)의 홈(2)과 링 어댑터(6)의 탭(6a) 또는 홀더(4)의 탭(4a) 중의 어느 한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탭(4a)이 홈(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홈(2) 내에 위치함으로써 캡슐 필터(5)의 플랜지(5a)가 베이스부(23)에 대하여 고정되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부터 제5 실시예에는 링 어댑터(6)의 탭(6a)을, 또는 홀더(4)의 탭(4a)을 캡슐 필터의 중심축 주변으로는 회전시키지 않고 베이스 어댑터(10, 11)의 제1 홈(2)을 캡슐 필터의 중심축 주변으로 베이스 어댑터에 대해 회전시키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캡슐 필터(5)에 탭(5a)을 배치하여 홈(2)을 이동시킴으로써 홀더(4)도 링 어댑터(6)도 이용하지 않고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 어댑터(10)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고,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 중, 링 어댑터 대신 캡슐 필터(5)에 탭(5a)을 배치시킨다. 캡슐 필터(5)는 캡슐 필터(51) 측의 접합구(52, 53)가 있으므로 회전할 수 없지만, 홈(2)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탭(5a)이 캡슐 필터(5)의 중심축을 따른 이동이 제한되어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부터 제6 실시예에 있어서, 탭(4a) 또는 탭(6a)이 홈(2) 내에서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탭(4a) 또는 탭(6a)에 관통 구멍을 준비해 둔다. 또한, 베이스 어댑터(10 또는 11)에 잠금 핀 또는 플런저 등을 장착하여 둔다. 탭(4a) 또는 탭(6a)이 홈(2) 내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했을 때 잠금 핀 또는 플런저 등이 가동하여, 탭(4a) 또는 탭(6a)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도록 하면 탭(4a) 또는 탭(6a)이 홈(2)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금지할 수 있다.
1:고정 장치
2:제1면
3:제2면
4:홀더
4a:탭
5:캡슐 필터
6:링 어댑터
6a:탭
10,11:베이스 어댑터
23:베이스 부재

Claims (34)

  1.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필터 유닛과,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필터 유닛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필터 유닛 내에 도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여과 장치의 고정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내면이 상기 필터 유닛의 외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어댑터로서, 상기 내면에 상기 필터 유닛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와,
    탭을 가지며, 상기 필터 유닛이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링 어댑터
    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링 어댑터에 삽입되어 상기 탭과 상기 홈의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링 어댑터가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플랜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탭과 대향하는 제1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1면과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링 어댑터가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플랜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또한, 상기 링 어댑터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탭 사이의 거리보다 큰 거리의 간극을 상기 탭과의 사이에 갖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2면과 대향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링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지만, 상기 링 어댑터는 분리되지 않는 고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탭의 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어댑터에 어긋난 위치에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 부에 고정되는 고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고, 상기 탭이 상기 홈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고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장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내부가 중공이며, 상기 개구의 단부(端部)에 악부(鍔部)를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링 어댑터의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장착된 후에 상기 홀더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서,
    상기 링 어댑터의 단부가 상기 홀더의 악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플랜지의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가압을 행하는 고정 장치.
  10.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필터 유닛과,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필터 유닛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 액체가 상기 필터 유닛 내에 도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내면이 상기 필터 유닛의 외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어댑터로서, 상기 내면에 상기 필터 유닛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와,
    탭을 가지며, 상기 필터 유닛이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링 어댑터를 구비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링 어댑터에 삽입되고, 상기 탭과 상기 홈의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링 어댑터가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플랜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여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탭과 대향하는 제1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1면과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링 어댑터가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플랜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여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또한, 상기 링 어댑터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탭 사이의 거리보다도 큰 거리의 간극을 상기 탭 과의 사이에 갖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2면과 대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링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지만, 상기 링 어댑터는 분리되지 않는 여과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탭 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여과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어댑터에 어긋난 위치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여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여과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 에 고정되어 있는 여과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고, 상기 탭이 상기 홈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여과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장치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내부가 중공이며, 상기 개구의 단부에 악부를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링 어댑터의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장착된 후에 상기 홀더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서,
    상기 링 어댑터의 단부가 상기 홀더의 악부를 가압하여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플랜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여과 장치.
  19.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필터 유닛과,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필터 유닛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필터 유닛 내에 도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여과 장치의 고정 장치로서,
    일단 측에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중공인 홀더로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필터 유닛에 덮여져 상기 중공에 상기 필터 유닛이 위치하도록 장착 가능한 홀더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내면이 상기 홀더의 외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어댑터로서, 상기 내면에 상기 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장하는 홈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탭을 가지며,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에 덮여져 상기 탭과 상기 홈의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탭과 대향하는 제1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1면과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또한,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탭 사이의 거리보다 큰 거리의 간극을 상기 탭과의 사이에 갖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2면과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지만, 상기 홀더는 분리되지 않는 고정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탭 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고정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어댑터에 어긋난 위치에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치.
  26. 제19항 내지 제21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고, 상기 탭이 상기 홈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고정 장치.
  27.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고 플랜지를 구비하는 필터 유닛과
    유입 관로와 유출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부로서, 이 베이스부에 상기 필터 유닛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유입 관로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필터 유닛 내에 도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일단측에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중공인 홀더로서, 상기 개구에서 상기 필터 유닛에 덮여져 상기 중공에 상기 필터 유닛이 위치하도록 장착 가능한 홀더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내면이 상기 홀더의 외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어댑터로서, 상기 내면에 상기 홀더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탭을 가지며,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에 덮여지고, 상기 탭과 상기 홈의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여과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탭과 대향하는 제1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1면과 당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가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여과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또한,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탭 사이의 거리보다 큰 거리의 간극을 상기 탭과의 사이에 갖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탭이 상기 제2면과 대향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지만, 상기 홀더는 분리되지 않는 여과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탭 면에 대히여 경사져 있는 여과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어댑터에 어긋난 위치에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여과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여과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 고정되는 여과 장치.
  34. 제27항 내지 제29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고, 상기 탭이 상기 홈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여과 장치.
KR1020177006083A 2014-08-08 2014-08-08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 KR10234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4160 WO2016020958A1 (ja) 2014-08-08 2014-08-08 濾過フィルタ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915A KR20170038915A (ko) 2017-04-07
KR102342080B1 true KR102342080B1 (ko) 2021-12-22

Family

ID=5526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83A KR102342080B1 (ko) 2014-08-08 2014-08-08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87445B2 (ko)
KR (1) KR102342080B1 (ko)
TW (1) TWI680008B (ko)
WO (1) WO20160209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0930A (ja) * 2000-08-11 2004-07-15 リード,ロジャー,ピー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をフィルターホルダに接続するためのキ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1317A (ja) * 1986-12-17 1988-06-23 Nippon Denso Co Ltd カ−トリツジ式オイルフイルタ
US4732294A (en) * 1987-03-12 1988-03-22 Parker Hannifin Corporation Safety latch means for filter assembly
JPH0641609Y2 (ja) * 1990-04-13 1994-11-02 株式会社ロキテクノ 使い捨て型濾過器
JP4136093B2 (ja) * 1998-07-17 2008-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CA2405372A1 (en) * 2001-10-22 2003-04-22 Howard W. Morgan Quick close filter
JP5100996B2 (ja) * 2005-10-13 2012-12-19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濾過装置
WO2009055452A2 (en) * 2007-10-24 2009-04-30 Mott Corporation Sintered fiber filter
KR20100065435A (ko) * 2008-12-08 2010-06-17 이성주 회전식 필터하우징 결합장치
US9199202B2 (en) * 2011-09-15 2015-12-01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Filter element attachment, filter cartridge, and filt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0930A (ja) * 2000-08-11 2004-07-15 リード,ロジャー,ピー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をフィルターホルダに接続するためのキ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87445B2 (ja) 2019-03-20
TW201628695A (zh) 2016-08-16
WO2016020958A1 (ja) 2016-02-11
JPWO2016020958A1 (ja) 2017-05-25
KR20170038915A (ko) 2017-04-07
TWI680008B (zh) 201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6789B (zh) 用于阀体的检修阀和阀组件
KR100925587B1 (ko) 필터 카트리지 구조물
KR101659991B1 (ko) 필터 장치
JP2011088139A (ja) 流体濾過用フィルタシステム
US20130228509A1 (en) Filtration system
WO2013137963A1 (en) Filtration system
CN103370118B (zh) 过滤系统及用于其的部件
JP6803404B2 (ja) フィルタ容器着脱システム
TWI640349B (zh) Filter container handling system
TW200831175A (en) Filter cartdrige assembly
KR102342080B1 (ko) 여과 필터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장치
JP6803405B2 (ja) フィルタ容器着脱システム
BR122020025290B1 (pt) Conjunto de filtro de recuperação de líquido e método de processo de purga de líquidos
JP6752198B2 (ja) 交換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れ回路システム
JP5487113B2 (ja) ストレーナ
US20190329159A1 (en) Filter Assembly
JP4847273B2 (ja) 連結ユニット
KR101826876B1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207722455U (zh) 一种可兼容多种透析液过滤器的支架装置
CN219272402U (zh) 一种多水路滤瓶盖及净水装置
JP2003299917A (ja) コネクタ式のインラインフィルター
US11590441B2 (en) Gas filtration apparatus
KR200436977Y1 (ko) 필터 하우징
JP6550295B2 (ja) 弁体離脱型バタフライ弁
IT201800003342U1 (it) Sistema e alloggiamento di filtro a connessione versa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