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771B1 - 닭 염지 방법 - Google Patents

닭 염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771B1
KR102341771B1 KR1020210122121A KR20210122121A KR102341771B1 KR 102341771 B1 KR102341771 B1 KR 102341771B1 KR 1020210122121 A KR1020210122121 A KR 1020210122121A KR 20210122121 A KR20210122121 A KR 20210122121A KR 102341771 B1 KR102341771 B1 KR 10234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cutting
unit
rotating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홍
Original Assignee
송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홍 filed Critical 송주홍
Priority to KR102021012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9/00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 염지 방법으로서, 인젝터의 일단으로 닭을 주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닭 염지 방법{Method for Chicken seasoning}
본 발명은 닭 염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육류는 식재료로 이용되는 도축 동물의 고기를 일컬으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닭고기는 돼지고기나 쇠고기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비교적 낮은 것이 특징이다. 닭고기는 다른 육류와 다르게 퍽퍽한 성질이 강하며 특유의 누린내가 있는데, 누린내를 제거하 고 육질을 보다 부드럽고 탄력 있게 만들기 위해 닭고기 염지를 수행한다.
또한, 이런 닭고기와 같은 가금육은 소형 가축으로서 도계 라인에서 다수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중형 가축보다 도계 공정 중에 쉽게 교차오염이 될 수 있다. 가금육을 주원료로 육제품을 제조하고자 할 때 유화력, 보수성이 축육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특별한 가공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닭고기가 요리되는 주된 것으로는 튀김류가 선호되고 있으며, 특히 배달음식에서 주된 메뉴로 사용되고 있다.
닭고기 염지 공정은 닭고기의 손질(세척, 절단) 후 염지와 숙성을 거쳐 튀김가루 및 양념 도포, 그리고 튀김 및 포장으로 수행된다.
상기 조리공정에서 상기 염지와 숙성 또는 양념은 공급사에서 수행되고, 양념 가미와 튀김처리 및 배달은 각 소 매업소에서 수행되어 가정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염지와 숙성은 닭고기 조리의 전처리공정으로, 염지는 닭살을 연하고 부드럽게 하며, 특히 닭의 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며, 이때 양념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숙성은 약 하루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이 과정에서 닭고기의 살이 더욱 연하게 되고, 담백한 맛이 발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닭의 염지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닭고기에 염지액을 고르게 바르기 어 렵고, 염지액에 포함되는 재료들의 손실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염지 시간의 길어져서 염지액이 이탈될 수도 있어 염지 효과가 떨어지며, 생산성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염지액을 분무하는 것이 아닌 염지액에 닭을 침지시켜 염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닭고기의 고른 염지를 위해서는 닭고기가 염지액에 충분히 침지되어야 할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상기 닭고기 침지는 그 상부와 하부의 침지정도가 다르며, 상부에 배치된 닭고기는 그 일부가 염지액에 충분히 침지되지 못하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염지 숙성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닭고기의 염지 숙성 과정에는 주기적으로 닭고기를 교반시켜야 할 것이 요구되는데, 대용량의 저온숙성고 및 대용량의 염지용기에서 작업자가 인력을 이용하여 닭고기와 염지액을 교반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또한, 염지 숙성 도중 닭고기의 교반시 강한 교반이나 교반구와 닭고기의 마찰은 재료의 표면(닭껍질)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특별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결국, 염지 숙성 공정 중 충분한 교반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균일한 염지 숙성 처리가 수행되지 않아 조리음식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조작에 의하여 교반을 수행하는 경우, 교반공정이 불편하고 인력에 의한 교반공정의 추가는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교반에 의한 닭고기의 손상은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792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균을 첨가함으로써 보울라디균이 가진 소화 촉진, 콜리에스테롤 절감, 장내 유익균 활동 증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닭 염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염지 방법은, 인젝터의 일단으로 닭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염지 방법은, 상기 인젝터의 일단으로 주입된 닭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닭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 절단기를 이용하여 닭의 일정 부위를 절단하고, 텀블러에 닭을 넣은 후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균을 첨가한 염지액을 주입하여 상기 텀블러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텀블러에서 염지된 닭을 꺼낸 후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숙성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젝터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상단에 위치한 손질된 상기 닭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와 연결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주입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닭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와 연결 구동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로부터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닭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기는, 외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닭의 절단 과정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타단에 위치하여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닭을 절단하는 절단부; 내측에 닭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젝터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닭 중 절단이 필요한 닭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위치하되 상기 안착부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연결된 상기 안착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로 승하강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닭을 절단하는 제1 절단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승하강 구동을 제어하는 절단본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닭을 절단하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절단 위치를 조절하는 절단조절부;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절단 위치와 함께 상기 절단조절부에 의해 절단 위치가 조정되는 제2 절단칼날; 및 일정한 간격의 수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이 절단하는 절단 위치를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절단칼날을 통해 절단 위치 확인이 가능한 절단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텀블러는,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일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닭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 외측부에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 구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본체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회전롤러부; 상기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롤러부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롤러부의 구동을 제어 및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지지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완충부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중앙형성부;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중앙형성부의 연결부와 맞닿아 연결되는 제2 중앙형성부; 상기 제1 중앙형성부와 상기 제2 중앙형성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기둥부; 및 상기 연결기둥부에 끼워진 채로 마련되는 완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중앙형성부는,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가 상기 제2 중앙형성부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고정되는 경우 연결홈과 맞닿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모듈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완충부는, 상기 회전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닭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 구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흔들리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는, 일단으로 닭이 주입되는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는, 상기 인젝터로부터 주입되어 세척이 완료된 상기 닭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닭의 일정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기; 및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균을 첨가한 염지액과 상기 인젝터로부터 세척이 완료된 닭 또는 상기 절단기로부터 절단이 완료된 닭이 투입되고, 투입된 닭을 염지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텀블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젝터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상단에 위치한 손질된 상기 닭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와 연결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주입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닭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와 연결 구동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로부터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닭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기는, 외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닭의 절단 과정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타단에 위치하여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닭을 절단하는 절단부; 내측에 닭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젝터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닭 중 절단이 필요한 닭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위치하되 상기 안착부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연결된 상기 안착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텀블러는,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일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닭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 외측부에 가이드완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 구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본체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회전롤러부; 상기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롤러부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롤러부의 구동을 제어 및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지지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로 승하강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닭을 절단하는 제1 절단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승하강 구동을 제어하는 절단본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닭을 절단하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절단 위치를 조절하는 절단조절부;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절단 위치와 함께 상기 절단조절부에 의해 절단 위치가 조정되는 제2 절단칼날; 및 일정한 간격의 수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이 절단하는 절단 위치를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절단칼날을 통해 절단 위치 확인이 가능한 절단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완충부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중앙형성부;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중앙형성부의 연결부와 맞닿아 연결되는 제2 중앙형성부; 상기 제1 중앙형성부와 상기 제2 중앙형성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기둥부; 및 상기 연결기둥부에 끼워진 채로 마련되는 완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중앙형성부는,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가 상기 제2 중앙형성부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고정되는 경우 연결홈과 맞닿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모듈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완충부는, 상기 회전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닭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 구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흔들리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닭 염지 방법은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균을 첨가함으로써 보울라디균이 가진 소화 촉진, 콜리에스테롤 절감, 장내 유익균 활동 증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닭을 염지하도록 회전하는 텀블러를 가이드하며 완충작용을 하며 외측면에 다수 개의 완충모듈이 위치한 가이드완충부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적인 회전 구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염지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 염지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인젝터의 일단으로 닭을 주입하고, 상기 인젝터의 일단으로 주입된 닭을 세척하고(S1100), 세척된 닭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 절단기를 이용하여 닭의 일정 부위를 절단하고, 텀블러에 닭을 넣은 후 염지액을 주입하여 상기 텀블러를 구동하고(S1700), 상기 텀블러에서 염지된 닭을 꺼낸 후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숙성하여 포장할 수 있다(S1900).
여기서, 닭의 일정 부위를 절단하는 것은 인젝터의 일단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닭의 절단이 완료된 후 절단이 필요한 경우(S1300), 절단기를 이용하여 닭의 일정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S1500).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는 인젝터(100), 절단기(300) 및 텀블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젝터(100)는 주입부(110), 세척부(150) 및 배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110)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상단에 위치한 손질된 닭(c)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세척부(150)는 주입부(110)에 구비된 제1 컨베이어벨트(미도시)와 연결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수를 공급하여 주입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닭(c)을 세척할 수 있다.
배출부(190)는 세척부(150)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벨트(미도시)와 연결 구동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미도시)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부(150)로부터 세척이 완료되어 제2 컨베이어벨트(미도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닭(c)을 일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절단기(300)는 프레임부(310), 절단부(330), 안착부(350), 회전부(370) 및 롤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10)는 외측부에 위치하여 닭(c)의 절단 과정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310)는 제1 고정부(313), 제2 고정부(317) 및 제1 절단칼날(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13)는 회전부(370)에 의해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안착부(350)의 일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17)는 회전부(370)에 의해 절단부(330)의 하단에 위치하는 안착부(350)의 타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절단칼날(315)은 제1 고정부(313)와 제2 고정부(317)의 사이로 승하강하며 안착부(350)에 안착되어 있는 닭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330)는 프레임부(310)의 타단에 위치하여 하단에 위치되는 닭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330)는 절단본체(331), 절단조절부(333), 제2 절단칼날(335) 및 절단줄자(339)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본체(331)는 제1 절단칼날(315)의 승하강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절단조절부(333)는 안착부(350)에 안착된 닭을 절단하는 제1 절단칼날(315)의 절단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절단칼날(335)은 제1 절단칼날(315)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되어 있는 제1 절단칼날(315)의 절단 위치와 함께 절단조절부(333)에 의해 절단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절단줄자(339)는 일정한 간격의 수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단조절부(333)에 의해 조절되는 제1 절단칼날(315)이 절단하는 절단 위치를 제1 절단칼날(315)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절단칼날(335)을 통해 절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안착부(350)는 내측에 닭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젝터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닭 중 절단이 필요한 닭이 안착될 수 있다.
회전부(370)는 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위치하되 안착부(350)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연결된 안착부(35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롤러부(390)는 회전부(370)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부(3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텀블러(500)는 전력공급부(510), 회전본체(530), 회전롤러부(390), 회전지지부(570) 및 회전이동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510)는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회전본체(530)는 일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닭이 투입되는 투입부(53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롤러부(390)는 외측부에 회전본체의 회전 구동을 가이드하며 회전본체(530)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570)는 회전본체(530)와 회전롤러부(390)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회전본체(530)와 회전롤러부(390)의 구동을 제어 및 지지할 수 있다.
회전이동부(590)는 회전지지부(570)의 하단에 위치하여 회전지지부(57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지 공정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완충부(555)는 제1 중앙형성부(555)와 제2 중앙형성부(557)의 외측면을 따라 완충모듈(551)이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제1 중앙형성부(555) 및 제2 중앙형성부(557)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중앙형성부(555)의 양단은 제2 중앙형성부(557)와 맞닿아 연결되어 원형 띠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중앙형성부(555) 및 제2 중앙형성부(557)의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미도시)이 구비된 연결부(559)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부(559)는 연결모듈(6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결모듈(600)은 제1 중앙형성부(555)에 형성된 양단의 연결홈 중 일단의 연결홈에 형성된 두 개의 연결홈 중 하나와 제2 중앙형성부(557)에 형성된 양단의 연결홈 중 일단의 연결홈에 형성된 두 개의 연결홈 중 하나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결부(559)와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연결부(559)와 연결모듈(600)은 서로 수직되게 위치할 수 있고, 연결모듈(600)은 양단에 연결홈(미도시)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중앙형성부(555)와 제2 중앙형성부(557)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기둥부(55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기둥부(553)에 완충모듈(551)이 끼워진 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완충모듈(551)은 연결되어 원형 띠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중앙형성부(555)와 제2 중앙형성부(557)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연결기둥부(553)에 따라 구비되어 있어 있을 수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완충모듈(551)이 구비된 가이드완충부(555)에 의해 텀블러(500)는 회전 구동 중 내부에서 염지되는 닭들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지 구동 장치는 회전 구동 중 내부에서 염지되는 닭들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 구동 방향과 수직되거나 반대되는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텀블러(500)의 외측면에 완충모듈(551)이 구비된 가이드완충부(555)를 위치시켜 회전 구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중앙형성부(555) 및 제2 중앙형성부(557)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559)를 연결하는 연결모듈(600)의 양단에는 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홈(미도시)은 맞닿아 있는 제1 중앙형성부(555)와 제2 중앙형성부(557)의 연결홈(미도시)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홈(미도시)을 관통하여 제1 중앙형성부(555)와 제2 중앙형성부(557)를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600)은 연결판과 연결부에 서로 일치하는 구멍들을 구비하고, 구멍들을 통해 연결판을 연결부에 고정할 수 있게 구멍들에 삽입되며 선단 외주면에는 중심부를 관통되게 형성한 픽스홈을 구비한 제1 나사부와, 제1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로 이루어진 제1 나사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600)은 제1 나사부의 선단에 체결되며 외주면에는 중심부를 향해 관통되게 체결홈을 형성한 체결본체와 체결본체의 내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게 체결홈에 설치되어 체결본체를 제1 나사부의 선단에 체결 시 제1 나사부에 형성된 픽스홈에 빠지지 않게 끼움 고정되는 결합핀과, 결합핀에 소정의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해 체결본체의 외주 면에 설치한 링 형상의 탄성체와, 결합핀과 탄성체가 이탈되지 않게 체결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측벽에는 결합확인부가 형성된 결합캡으로 이루어진 제2 나사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캡의 내부에 체결본체의 측벽과 접촉되게 설치하여 결합확인부가 형성된 결합캡의 외측벽에 대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변형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체의 양측으로 끼움부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끼움부가 안착되는 홈을 체결본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핀은 한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개수로 이루어지며 체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등각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모듈은 연결판(690)을 연결부(559)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나사체결부(610)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 제1 나사체결부(610)는 상단부(6112)를 갖는 제1 나사부(611)와 제1 나사부(611)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6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나사부(611)와 제2 나사부(612)의 체결을 위해 제1 나사부(611)에는 숫나사부를 구비하고, 제2 나사부(612)에는 암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나사부(611)의 선단 즉, 상단부(6112)의 반대측에는 제1 나사부(61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픽스홈(611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픽스홈(6116)은 뒤에서 설명하는 제2 나사체결부(650)에 구비되는 결합핀(652)이 삽입되게 고정되도록 함에 의해 제2 나사체결부(650)를 분리할 수 없게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모듈은 제2 나사체결부(6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나사체결부(650)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제1 나사부(611)에 제2 나사부(612)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나사부(611)의 선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본체(651)를 구비하고 있다.
체결본체(651)에는 제1 나사부(611)의 선단에 체결할 수 있게 제1 나사부(611)의 숫나사부와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체결본체(651)의 외주면에는 중심부를 향해 관통되는 체결홈(651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6512)에는 결합핀(652)이 설치되는데, 이 결합핀(652)은 체결본체(651)의 내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게 체결홈(6512)에 설치되어 체결본체(651)를 제1 나사부(611)의 선단에 체결 시 제1 나사부(611)에 형성된 픽스홈(6116)에 빠지지 않게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핀(652)을 제1 나사부(611)에 형성된 픽스홈(6116)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나사부(611)의 선단을 반구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핀(652)은 체결본체(651)에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결합핀(652)이 체결본체(651)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등각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핀(652)이 제1 나사부(611)의 픽스홈(6116)에 빠지지 않게 끼움 고정되게 하기 위해 결합핀(652)은 탄성체(653)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653)는 결합핀(652)에 소정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본체(651)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653)가 체결본체(651)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체(653)의 중앙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부(6532)를 형성하고, 끼움부(6532)가 설치될 수 있는 끼움홈(6516)을 체결본체(651)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653)에 형성한 끼움부(6532)와 체결본체(651)에 형성한 끼움홈(6516)에 의해 탄성체(653)는 유동되지 않게 설치되므로 탄성체(653)에 의해 결합핀(652)에 더욱 확실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체(653)와 결합핀(652)을 체결본체(6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본체(651)를 감싸도록 결합캡(65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결합캡(654)의 외측벽에는 체결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확인부(6542)가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결합캡(654)은 박판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결합캡(654)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캡(654)의 내부에는 변형방지부(655)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변형방지부(655)는 체결본체(651)의 측벽과 접촉되게 결합캡(654)의 내부에 설치하여 결합확인부(6542)가 형성된 결합캡(654)의 외측벽에 대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합캡(654)이 쉽게 파손되는 박판의 소재로서 제작됨에 따라 체결물을 해체하지 않는 외부의 다른 요인에 의해 결합캡(654)이 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방지부(655)에 의해 결합확인부(6542)가 형성된 결합캡(654)의 외측벽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나사체결부(650)에 대한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체결본체(651)에 형성된 체결홈(6512)에 결합핀(652)을 삽입하고 탄성체(653)를 설치한 후 결합캡(654)으로 체결본체(651)를 감싸도록 설치한다.
이때, 결합캡(654)은 체결본체(651)가 삽입될 수 있게 어느 일측부가 체결본체(651)의 외경에 대응하게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변형방지부(655)와 결합핀(652) 및 탄성체(653)가 설치된 체결본체(651)를 결합캡(654)의 내부로 삽입 설치한 후, 결합캡(654)의 펼쳐져 있는 일측부를 절곡하여 체결본체(651)가 빠지지 않게 함에 의해 체결본체(651)의 중심 방향을 향하게 설치되는 결합핀(652)과 탄성체(653)가 체결본체(65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결합핀(652)은 체결본체(651)의 내부로 돌출되어 연결판(690)을 연결부(559)에 고정시킬 때, 그 연결판(690)과 연결부(559)에 일치되게 형성한 연결홈(559a) 및 관통홈(690a)을 통해 제1 나사부(611)를 끼운 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체결본체(651)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결합핀(652)은 탄성체(653)에 의해 텐션을 받으면서 후퇴되어 체결본체(651)의 암나사부가 제1 나사부(611)의 숫나사부에 체결되고, 제1 나사부(611)의 선단에 형성된 픽스홈(6116)의 위치에 결합핀(652)이 도달했을 경우 탄성체(653)의 복원력으로 결합핀(652)이 픽스홈(6116)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어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스홈(6116)에 결합핀(652)이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는 체결본체(651)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분리는 불가능하게 됨에 의해 연결판(690)을 연결부(559)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체결한 상태에서는 제1 나사부(611)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나사부(612)를 연결부(559)에 밀착되게 고정함에 의해 더욱 견고한 체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모듈은 연결판(690)을 연결부(559)로부터 어떠한 경우에도 분리할 수 없게 하여 확실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젝터
300: 절단기
500: 텀블러

Claims (3)

  1. 인젝터의 일단으로 닭을 주입하는, 닭 염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의 일단으로 주입된 닭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닭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닭의 일정 부위를 절단하고, 텀블러에 닭을 넣은 후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균을 첨가한 염지액을 주입하여 상기 텀블러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텀블러에서 염지된 닭을 꺼낸 후 숙성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젝터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상단에 위치한 손질된 상기 닭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에 구비된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와 연결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주입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닭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와 연결 구동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부로부터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닭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는,
    외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닭의 절단 과정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타단에 위치하여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닭을 절단하는 절단부;
    내측에 닭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젝터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닭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위치하되 상기 안착부가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 연결된 상기 안착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의 타측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로 승하강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닭을 절단하는 제1 절단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승하강 구동을 제어하는 절단본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닭을 절단하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절단 위치를 조절하는 절단조절부;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절단 위치와 함께 상기 절단조절부에 의해 절단 위치가 조정되는 제2 절단칼날; 및
    일정한 간격의 수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 절단칼날이 절단하는 절단 위치를 상기 제1 절단칼날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절단칼날을 통해 절단 위치 확인이 가능한 절단줄자;를 포함하고,
    상기 텀블러는,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일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닭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본체;
    외측부에 가이드완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 구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본체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회전롤러부;
    상기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롤러부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롤러부의 구동을 제어 및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지지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완충부는,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중앙형성부;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중앙형성부의 연결부와 맞닿아 연결되는 제2 중앙형성부;
    상기 제1 중앙형성부와 상기 제2 중앙형성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기둥부; 및
    상기 연결기둥부에 끼워진 채로 마련되는 완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형성부는,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가 상기 제2 중앙형성부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에 고정되는 경우 연결홈과 맞닿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모듈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완충부는,
    상기 회전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닭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 구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흔들리는 충격을 완화하는, 닭 염지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2121A 2021-09-14 2021-09-14 닭 염지 방법 KR10234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21A KR102341771B1 (ko) 2021-09-14 2021-09-14 닭 염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21A KR102341771B1 (ko) 2021-09-14 2021-09-14 닭 염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771B1 true KR102341771B1 (ko) 2021-12-20

Family

ID=7903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21A KR102341771B1 (ko) 2021-09-14 2021-09-14 닭 염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5056A (zh) * 2022-12-30 2023-05-02 青岛康大海青食品有限公司 一种鸡肉加工腌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459A (ko) * 2019-04-16 2020-10-26 농업회사법인(유)더원푸드 육계 가공방법
KR20210001580A (ko) * 2019-06-28 2021-01-06 김성이 생닭의 염지 및 숙성과정을 포함하는 닭고기 전처리 방법
KR20210045170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식품연구원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보울라디­03 신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79251B1 (ko) 2021-01-21 2021-07-19 출사표 협동조합 닭 염지 및 숙성 방법
KR102279890B1 (ko) * 2020-10-07 2021-07-22 주식회사 선봉식품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459A (ko) * 2019-04-16 2020-10-26 농업회사법인(유)더원푸드 육계 가공방법
KR20210001580A (ko) * 2019-06-28 2021-01-06 김성이 생닭의 염지 및 숙성과정을 포함하는 닭고기 전처리 방법
KR20210045170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식품연구원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보울라디­03 신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79890B1 (ko) * 2020-10-07 2021-07-22 주식회사 선봉식품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2279251B1 (ko) 2021-01-21 2021-07-19 출사표 협동조합 닭 염지 및 숙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5056A (zh) * 2022-12-30 2023-05-02 青岛康大海青食品有限公司 一种鸡肉加工腌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808A (e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for marinating poultry
US5741536A (en) Method of pasteurizing meat products
KR102341771B1 (ko) 닭 염지 방법
DK0718284T3 (da) Carotenoidketoner og -estere
KR101579449B1 (ko) 가금류의 근위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US3934860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eat products
JP2000510348A (ja) 押出ソーセージストランドを硬化させるためのブライン調合物
KR20230004382A (ko) 육가공장치
KR20150051001A (ko) 가금류 절단장치
KR102351396B1 (ko) 염지 공정 장치
EP122979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ausages, and container for containing sausages to be processed
KR20110059584A (ko) 염지/연육액 인젝션공정에 의한 돈가스용 고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돈가스용 고기
KR101389274B1 (ko) 새우치킨의 조리방법
US2021024405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sous vide cooking and enzyme tenderization
KR200492267Y1 (ko) 육류 염지 장치
KR20210001580A (ko) 생닭의 염지 및 숙성과정을 포함하는 닭고기 전처리 방법
CN103099227A (zh) 一种风腊羊肉的腌制、分割方法
RU2528963C2 (ru) Консервированный мясной корм для непродуктивных животных "золотая" и "платиновая" линия (варианты)
US4344973A (en) Method for curing and smoking pork skins to condition them for rendering
JP6321012B2 (ja) インライン食肉処理プロセス
Barbut Developments in turkey meat harvesting technologies
EP0448149A1 (en) Continuously operating massage drum, and method for massaging meat
KR102490663B1 (ko) 육가공장치
KR101733590B1 (ko) 오리 안심 육포 제조방법
CN209251635U (zh) 一种宠物零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