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210B1 -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210B1
KR102341210B1 KR1020180152890A KR20180152890A KR102341210B1 KR 102341210 B1 KR102341210 B1 KR 102341210B1 KR 1020180152890 A KR1020180152890 A KR 1020180152890A KR 20180152890 A KR20180152890 A KR 20180152890A KR 102341210 B1 KR102341210 B1 KR 10234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face material
nonwoven fabric
layer
building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486A (ko
Inventor
김명희
김도훈
강길호
박건표
박인성
배성재
하혜민
민경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0870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4121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5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2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486A/ko
Priority to KR1020210176752A priority patent/KR102495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면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열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온도 변화가 건축물의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보다 적은 에너지로 일정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용 단열재 중에서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외단열재에 있어서, 단열재의 면재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가 잘 부착되지 않아 틈새가 벌어지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와 적절히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유리섬유를 면재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유리섬유는 인체에 유해하고 취급시 비산되어 피부에 까끌까끌한 촉감을 주고, 눈에 들어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부착강도를 부여하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 통기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발포체 및 습식 모르타르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강도를 부여하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 통기성 및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100)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110)의 다른 일면에 글래스 스크림층(120)이 적층되고,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120)의 다른 일면에 금속층(130)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발포성 조성물이 캐터필러를 통과하는데 있어서 캐리어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단열재는 면재와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가 잘 부착되지 않아 틈새가 벌어지고, 수분이 침투함에 따라 발포체의 변형, 결로현상 등이 발생하여 단열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유리섬유를 면재로 사용하여, 모르타르 재질의 벽체와 적절히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유리섬유는 인체에 유해하고 취급시 비산되어 호흡기에 흡입되고, 피부에 까끌까끌한 촉감을 주고, 눈에 들어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위험 및 불편함 등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발포체 및 모르타르 벽체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강도를 부여하고, 난연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수분에 대한 저항성, 강도 보강, 통기성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경화성 발포체의 발포가스에 대한 배리어층으로 작용하여 장기간 단열성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약 0.1㎜ 내지 약 0.9㎜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가 얇아 취급시 찢어질 수 있고, 공정상에서 품질 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격적인 비용상승과 더불어 면재의 두꺼운 두께로 인해 권취 품질 및 열경화성 발포체와의 부착성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부착강도,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과 함께, 우수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초지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균일한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초지법이란 부직포를 구성하는 원재료를 물과 혼합한 뒤 메쉬(mesh)망을 통해 일정 평량을 떠서 압력이나 열로 물을 탈수함으로써 부직포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폴리올레핀 ?h(chop),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약 10㎜ 내지 약 2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상기 길이를 갖는 ?h 형상으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을 방사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상기 범위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효율적으로 엥커링 효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부착강도,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우수한 통기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의 길이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포함된 폴리올레핀 ?h(chop) 또는 펄프 등과 응집되고, 분산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부직포층을 형성할 수 없다. 그리고, 인장강도, 부착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의 길이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포함된 펄프 사이에서 균일한 배향성을 갖기 어려우며, 함량 대비 원하는 물성을 얻기 어려운바,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층의 표면적이 감소하여 계면간에 부착강도가 떨어지고, 발포성 조성물이 발포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면재에 발포성 조성물이 함침되어, 경화물에 있어서 함침된 부분이 취약해지고 면재의 부착강도가 떨어지며 발포체 제조과정에 오염 등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약 8㎛ 내지 약 25㎛의 직경을 가지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일정 수준 이상의 부착강도 및 우수한 통기성을 부여하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에 장기간의 우수한 단열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직경은 폴리올레핀 ?h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절단한 단면의 지름의 평균 값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의 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포함된 폴리올레핀 ?h(chop) 또는 펄프 등과 응집되고, 분산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부직포층을 형성할 수 없다. 그리고, 인장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의 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h(chop)의 개수가 줄어들고, 폴리올레핀 ?h(chop) 간의 간격이 적절하지 못하여, 통기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물질의 폴리올레핀 ?h(chop)을 포함하여 우수한 부착강도,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과 함께, 우수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이나 비산성(Dustability)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을 약 20 중량% 내지 약 80중량%, 구체적으로, 약 30 중량% 내지 약 5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유리섬유와 비교하여, 낮은 함량으로도 우수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범위의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을 포함하여 우수한 통기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에 우수한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펄프를 포함하여,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발포체를 보호할 수 있고, 단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포성 조성물이 면재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우수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펄프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내에 포함된 물질들 사이에서 곡선 또는 직선으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펄프는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의 작용을 보다 경제적으로 보강하고, 바인더의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프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의 조직을 보다 치밀하게 하여 통기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펄프를 포함하여, 작은 평량에서 우수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펄프를 약 25 중량부 내지 약 17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펄프를 약 40 중량부 내지 약 15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펄프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내의 물질들을 보다 경제적으로 바인딩하고, 우수한 인장강도, 통기성, 부착강도 및 치수 안정성 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 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알코올 (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용액 형태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내에 포함된 상기 폴리올레핀 ?h 및 펄프 등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향상된 부착강도와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바인더를 약 10 중량부 내지 약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를 약 15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약 0.1㎜ 내지 약 0.4㎜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가 얇아 취급시 찢어질 수 있고, 공정상에서 품질 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격적인 비용상승과 더불어 면재의 두꺼운 두께로 인해 권취 품질 및 열경화성 발포체와의 부착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에 있어서, 부직포층에 높은 함량의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치수안정성 및 부착강도를 부여하였다. 반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인체에 유해하고 취급시 비산되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비싼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여 적정의 치밀도 및 통기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상기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적정의 치밀도 및 통기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약 30g/㎡ 내지 약 50g/㎡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범위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부착강도 및 난연성을 부여하며, 캐터필러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금속층 및 글래스 스크림층과 함께 면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범위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글래스 스크림층과의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의 평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글래스 스크림층의 폭 또는 길이 방향에서의 높이 차를 평활하게 보완해주지 못할 수 있고, 유기 바인더 및 부직포층의 전체적인 함량이 적으므로 발포체와의 부착강도가 저하 될 수 있다. 그리고, 평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직포층에 유기 바인더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글래스 스크림(scrim)층을 포함하여,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상된 부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스크림(scrim)층은 이웃하는 글래스 섬유들이 약 5㎜ 내지 약 10㎜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진 망상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 스크림은 1인치 * 1인치의 일정 크기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약 3 개 내지 약 8 개와 글래스 섬유들이 옆으로 나란히 배열된 망상 구조를 가져, 면재의 치수안정성 뿐만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치수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스크림(scrim)층은 약 0.1㎜ 내지 약 0.3㎜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치수안정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효과가 없을 수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금속층을 포함하여,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을 반사시킴으로써 여름에는 실외의 태양 복사열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실내의 난방 복사열을 보존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약 5㎛ 내지 약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되거나 금속층에 스크래치가 나기 쉽고 그로 인해 난연 특성 발현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격상승 문제가 있어 상용성이 어렵고 면재의 권취량이 작아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철, 스테인레스강(SUS),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은 비중이 작고, 열 및 전기 전도성이 크며, 내식성이 강하므로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고,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알루미늄 박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박막을 포함하여 난연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수분에 대한 저항성 및 강도를 보강하고,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경화성 발포체의 발포 가스에 대한 배리어층으로 작용하여 장기간 단열성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과 결합하여, 우수한 열반사 효과, 강도 보강 및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 아크릴 코팅층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층은 모르타르와의 습식 공정에서 계면상의 접착력이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층을 습식 모르타르에 접착하게 되면 알루미늄층과 습식 모르타르와 반응하여 에어포켓 즉,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상기 금속층 표면을 산화피막 처리하거나,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 아크릴 코팅층을 추가로 적층하여 금속층 표면을 보호 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은 상기 금속층과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 사이에, 및/또는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사이에 위치하여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핫멜트 또는 열용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사이에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을 더 위치시킨 후 열용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층은 열용착이 용이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과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어, 이를 포함하는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에 우수한 부착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약 10㎛ 내지 약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성능이 떨어져,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과의 지간박리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 상승뿐만 아니라 유기 접착층 함량 증가로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100)는 발포체(10)의 어느 일면에 포함되어 건축용 단열재(200)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도 3과 같이, 발포체(10)의 양면에 포함되어 건축용 단열재(200')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는 우수한 부착강도를 가짐으로써 건축용 벽체 및 상기 건축용 단열재가 견고히 부착되어 이들 사이에 틈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분 침투율이 저하되어 장기간 우수한 내구성 및 우수한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단열재는 우수한 치수 안정성, 통기성 및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축용 단열재는 도 3 에서와 같이, 최외각층으로부터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상부) 면재/발포체/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하부)면재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는 발포성 조성물이 통과하는 캐터필러 등의 상·하면에 차례로 적층한 후, 상기 면재들 사이에 발포성 조성물을 토출시키고, 발포 및 경화하여 발포체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면재가 적층된 단열재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용 단열재는 발포압에 의해 상·하면의 면재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단열재는 상기 금속층,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를 포함하여, 발포체 및 습식 모르타르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강도를 부여하고, 우수한 치수 안정성, 통기성 및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초지법을 이용하여, 길이 13㎜을 갖는 폴리올레핀 ?h(chop) 45중량%, 펄프 38중량% 및 아크릴계 바인더 17 중량%를 포함하고, 35g/㎡의 평량 및 두께 0.2㎜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유리섬유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최외각층으로부터 두께 25㎛의 알루미늄 호일층, 1인치 * 1인치의 일정 크기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의 글래스 섬유들이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망상 구조를 갖는 두께 0.3㎜인 글래스 스크림층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소수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면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캐터필러 양산 라인에 상기 면재를 각각 상부,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면재들 사이에 페놀계 발포성 조성물을 토출하면서 발포 및 경화하여, 발포체의 양면에 면재가 부착된 건축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및 상기 펄프 없이, 길이 20㎜을 갖는 유리섬유 70% 및 아크릴계 바인더 30%를 포함하여 두께 0.2㎜인 유리 부직포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최외각층으로부터 두께 25㎛의 알루미늄 호일층, 1인치 * 1인치의 일정 크기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의 글래스 섬유들이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망상 구조를 갖는 두께 0.3㎜인 글래스 스크림층 및 상기 유리 부직포층을 소수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면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면재에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실험예 1:모르타르 대한 부착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건축용 단열재를 200㎜(너비, W)Ⅹ200㎜(길이, L)Ⅹ70 ㎜(두께, T)의 샘플로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샘플에 대하여 부착강도 시험기, UTM (Instron, UTM)을 사용하여 모르타르 부착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KS F 4716방법에 따르며 건축용 단열재 면재 표면에 모르타르를 40㎜(W)X40㎜(L)X2㎜(T) 크기로 올려서 2주간 양생을 하였다. 예를 들어, 금속층 표면에 모르타르를 올려 양생하였다. 그 이후에 에폭시 접착제로 인장 지그와 접착을 한 뒤 상기 시험기를 이용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 면재 및 발포체 간의 부착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건축용 단열재를 200㎜(W)Ⅹ200㎜(L)Ⅹ70 ㎜(T)의 샘플로 준비하고, 부착강도 시험기, UTM (Instron, UT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재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면재 표면을 25㎜ 간격으로 칼집을 내고 끝단부를 인장 지그에 고정하여 300mm/min 인장속도로 90도 필링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3:치수 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건축용 단열재를 100㎜(W)Ⅹ100㎜(L)Ⅹ제품 두께 (T)의 샘플로 준비하고, 초기 치수를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그리고, KS M ISO 4898에 따라 7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길이(L) 및 너비(W)의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길이(L) 및 너비(W) 각각의 치수 변화율의 평균 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치수 변화율이 작을수록 치수 안정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4: 난연성
KS F ISO 5660-1에 따라 콘칼로리미터(FESTEC,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총 열방출량을 측정하여 준불연성을 평가하였고, 열 방출량 값이 작을수록 준불연성이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건축용 단열재를 100㎜(W)Ⅹ100㎜(L)Ⅹ50 ㎜(T)의 샘플로 준비하고 50kW/m2 복사열로 10분 가열했을 때 총열방출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5: 통기성
통기도 측정장비 (IDM Instruments, foam porosity tester)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 (20 Pa), 단위면적당 공기의 흐름 정도에 따라 공기 투과 정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L/min.cm2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측정값이 높을수록 통기도가 높으며 이는 조직이 치밀하지 않고 공기의 흐름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모르타르에 대한 부착강도 (kPa) 및 파괴형상 면재 및 발포체 간의 부착강도 (g/25㎜) 치수변화율
(%)
난연성
(MJ/㎡)
통기성
(L/min.cm2)
실시예 1 55 (폼 깨짐) 201 0.3 0.2 0.3
비교예 1 24 (계면탈락) 160 0.3 0.3 0.8
비교예 2 49 (폼 깨짐) 172 1.3 0.4 0.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에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부착강도, 치수 안정성, 난연성 및 통기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은 모르타르에 대한 부착강도 시험시, 면재 및 발포체간의 부착강도도 떨어지는바, 24kPa에서 면재 내 계면이 탈락하였다. 반면, 실시예는 면재 및 발포체간의 부착강도가 우수하고 면재 내 계면 접착력이 향상되어 계면 탈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폼이 깨지며, 높은 55kPa의 높은 부착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와 달리, 실시예는 발포체와의 부착강도에서도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고, 우수한 치수변화율, 난연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면재
110: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
120: 글래스 스크림층
130: 금속층
200, 200’: 단열재
10: 발포체

Claims (12)

  1. 금속층,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폴리올레핀 ?h(chop),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은 이웃하는 글래스 섬유들이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나란히 배열된 구조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철, 스테인레스강(SUS),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의 길이는 10㎜ 내지 25㎜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상기 폴리올레핀 ?h(chop)을 20 중량%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100 중량부 대비 상기 펄프를 25 중량부 내지 170 중량부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h(chop)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바인더를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복합 부직포층의 평량은 30g/㎡ 내지 50g/㎡ 인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12. 제1항에 있어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KR1020180152890A 2018-11-30 2018-11-3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KR10234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90A KR102341210B1 (ko) 2018-11-30 2018-11-3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KR1020210176752A KR102495183B1 (ko) 2018-11-30 2021-12-1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90A KR102341210B1 (ko) 2018-11-30 2018-11-3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752A Division KR102495183B1 (ko) 2018-11-30 2021-12-1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486A KR20200066486A (ko) 2020-06-10
KR102341210B1 true KR102341210B1 (ko) 2021-12-20

Family

ID=710870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890A KR102341210B1 (ko) 2018-11-30 2018-11-3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KR1020210176752A KR102495183B1 (ko) 2018-11-30 2021-12-1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752A KR102495183B1 (ko) 2018-11-30 2021-12-10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1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417A (ko) 2020-12-23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면재 및 단열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118A (ja) 2004-02-18 2005-09-02 Nitto Boseki Co Ltd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積層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33249B1 (ko) 2005-08-25 2006-10-16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시트 형태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
JP2010131848A (ja) * 2008-12-04 2010-06-17 Sekisui Chem Co Ltd フェノール樹脂断熱材
JP2013104136A (ja) * 2011-11-11 2013-05-30 Mitsubishi Paper Mills Ltd 建築部材用複合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118A (ja) 2004-02-18 2005-09-02 Nitto Boseki Co Ltd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積層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33249B1 (ko) 2005-08-25 2006-10-16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시트 형태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
JP2010131848A (ja) * 2008-12-04 2010-06-17 Sekisui Chem Co Ltd フェノール樹脂断熱材
JP2013104136A (ja) * 2011-11-11 2013-05-30 Mitsubishi Paper Mills Ltd 建築部材用複合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183B1 (ko) 2023-02-06
KR20200066486A (ko) 2020-06-10
KR20210153587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12B1 (ko) 고온 성형용 단열 필름,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TWI468293B (zh) 具有蜂窩結構之酚醛發泡板
US20170368792A1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JP6425541B2 (ja) 多成分繊維及び中空のセラミック微小球を含む物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KR101953601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0612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ber reinforced aerogel insulation
JP2002333092A (ja) 繊維・微粒子複合断熱材
BG62144B1 (bg) Изолиращ елемент и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KR102495183B1 (ko)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US11614196B2 (en) Fiber reinforced aerogel insulation
CN108360695A (zh) 具有立体结构的防水透湿布及生产方法与墙体结构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20190065054A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JP6679628B2 (ja) 機能性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04546A (ja) ガラス繊維を含む真空断熱材用芯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真空断熱材
JP5119015B2 (ja) 断熱材および断熱構造
KR102310676B1 (ko)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건축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0944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240180A (ja) 多孔質積層体および接着性分散法スタンパブルシート
KR102603257B1 (ko) 결로방지 복합단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시트방수공법
KR20220060324A (ko) 단열재용 면재, 단열재 및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
CN218204993U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保温板
KR102142863B1 (ko)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156B1 (ko) 건축물 단열재
JP6537292B2 (ja) 浴室用気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85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629

Effective date: 202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