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944B1 -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944B1
KR102220944B1 KR1020170173595A KR20170173595A KR102220944B1 KR 102220944 B1 KR102220944 B1 KR 102220944B1 KR 1020170173595 A KR1020170173595 A KR 1020170173595A KR 20170173595 A KR20170173595 A KR 20170173595A KR 102220944 B1 KR102220944 B1 KR 10222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onwoven fabric
skin layer
skin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329A (ko
Inventor
강길호
김명희
박건표
박인성
배성재
하혜민
김도훈
민경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7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9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이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부착된 복합 단열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E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열손실의 40% 이상이 외벽을 통해 발생되고 있는데, 이는 건축물의 콘크리트나 벽돌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공기가 건축물의 내외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되기 때문이다. 또한, 단열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건축물에서는 추운 겨울에 실내에서 난방을 하고 있는 경우 벽체가 차가운 외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부의 벽체 표면 온도가 낮아지고, 결국 내부의 벽체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기 쉽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두께를 크게 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 하나, 이는 실내의 공간사용률을 감소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일반적으로 열전도도가 낮고,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단열성을 나타내는 부피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피 단열재의 대표적인 것으로 발포 폴리스틸렌을 들 수 있는데, 발포 폴리스틸렌은 시공이 쉽고 공기가 부피의 98%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른 단열재에 비해 내열 온도가 낮고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운반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화재 발생시 일산화탄소(CO), 메탄(CH4), 에틸렌(C2H4) 등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며, 화학반응에 약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유기용제에 쉽게 용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피 단열재를 대체하는 단열재로, 열방사에 대해 낮은 방사율을 가지는 반사형 단열재가 제시되어 있기는 하나, 알루미늄 호일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이 단일층으로만 이루어지거나 최외층에만 배치되어 있어 열반사율이 떨어지고, 상기 반사층에 단순 기포지를 적층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열재에 비해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실내 사용 공간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우수한 부착력을 부여할 수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이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부착된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사이에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키고, 발포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구조를 가지고 실내 사용 공간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우수한 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향상된 단열성을 갖는 복합 단열재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의 열관류율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이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부착된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일정 이상 두께의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부피 단열재와 열방사에 대해 낮은 방사율을 갖는 열반사 단열재를 합체시켜 단열성과 시공의 용이성을 극대화 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 단열재는 코어층에 부피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스킨층에 열반사 단열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가져 향상된 단열성과 동시에 실내 사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 단열재는 부피 단열재와 열반사 단열재를 합체시킴에 있어서 피스 또는 타카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단열재가 손상되고 내구성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단열재는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우수한 부착력을 가지하는 바, 접착제에 의해 유해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단열재(100)는 코어층(200)과 제1 스킨층(300) 및 제2 스킨층(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300) 및 제2 스킨층(300')은 알루미늄층(20); 제1 부직포층(10); 알루미늄층(20) 및 제2 부직포층(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단열재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코어층에 부피 단열재로 개재되는 발포체로서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보다 우수한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발포 및 열경화가 가능한 중합성 화합물, 발포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발포성 조성물을 발포 및 열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우레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요소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예를 들어, 염화불화탄소계, 수소화염화불화탄소계, 탄화수소계열의 발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불활성 기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발포제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는 아르곤, 질소, 헬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틸렌옥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상기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여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재시 예를 들어, 시안화 가스 등의 독성 가스를 배출시키지 않으므로 우수한 난연성 및 친환경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연성이 향상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복합 단열재(100)의 구조가 장시간 유지되고 독성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그에 따라 화재를 피해 대피할 수 있는 시간 및 경로가 확보될 수 있어 우수한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200)은 약 50㎛ 내지 약 250㎛의 평균 직경을 갖는 발포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적절한 크기의 발포셀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우수한 단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200)의 밀도는 약 25 kg/m3 내지 약 65 kg/m3일 수 있다. 상기 코어층은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코어층(200) 내부에서 열의 이동을 저해하는 공기, 예를 들어 발포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가 적절히 포함되어 열전도율이 낮으면서도, 상기 코어층(200)의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의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우수한 단열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코어층(200)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200㎜ 일 수 있다. 상기 코어층(200)은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10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아 공간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우수한 단열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이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스킨층은 알루미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모두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피단열재에 알루미늄층을 별도의 공기층 없이 접착 형성하는 경우, 복사열 차단기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방습기능과 더불어 우수한 열반사 단열효과를 부여하는 알루미늄층을 복합 단열재의 최외층 뿐만이 아니라 그 중간의 층에도 구비함으로써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반사공간이 확보되도록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을 구비함으로써, 얇은 두께를 유지 하면서도 상기 알루미늄층의 방사율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되어 단열효율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림과 동시에 실내 사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직포층 및 상기 제2 부직포층을 구비함으로써 단열은 물론 흡음, 충격흡수 및 결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요구되는 단열의 정도 또는 두께 따라 상기 알루미늄층 및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단위체를 복수개 적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단열재는 낮은 열전도도로 우수한 단열성을 부여하는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의 어느 일면에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복사열의 약 95% 이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의 두께는 약 5㎜ 내지 약 3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상기 스킨층의 두께는 약 5㎜ 내지 약 30㎜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스킨층을 포함하여 상기 복합 단열재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아 공간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은 상기 두께를 갖는 상기 스킨층을 여러 개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층은 알루미늄 호일, 알루미늄 증착필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층은 방습기능과 더불어 우수한 열반사 단열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층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범위의 현저히 얇은 알루미늄층을 포함하고도 우수한 단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복합 단열재는 우수한 단열성을 보다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은 형상기억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기억 수지란 소정의 온도 미만으로 변형시켜도, 그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특성을 가진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은 일정한 형태의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기억시킨 형상기억 수지를 소정의 온도 미만 상태에서 부직포형태로 변형시켜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기억시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켜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서 일정 형태의 중공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직포층은 상기 코어층의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발포시킬 때, 상기 발포 온도에 의해 상기 제1 부직포층에 포함된 형상기억 수지가 복원 팽창하여 중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직포층은 복원 팽창하여 섬유들 사이에 기공이 형성되어 일정 중공 형상을 갖는 형상기억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직포층은 발포와 동시에 형성된 상기 중공으로 인하여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는 전도저항성에 의한 자체의 단열성능과 함께 상기 제1 부직포층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알루미늄층에 의한 반사단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약 3㎜ 내지 약 3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부직포층 내에 형성된 공기층에서 대류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단열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트랜스 폴리아이소프렌, 폴리노르보르넨,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상기억 수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섬유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형상기억 수지를 포함하여,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의 발포 온도에서 쉽게 복원 팽창하고, 상기 구조에서 복원된 형상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코어층의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와의 관계에서 내충격성을 보강하여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단점을 보안해 줄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제2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접착제 없이도,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을 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킨층에 포함된 알루미늄층이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상기 코어층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상기 코어층과 상기 스킨층을 부착시키는바, 피스 또는 타카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단열재가 손상되고 내구성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에 의해 유해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발포하여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때,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와 함께 결합하여 우수한 접착력과 함께 향상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의 일부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함침되어 앵커링(anchoring) 효과를 부여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직포층의 약 5% 내지 약 50%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 내에 형성되는 독립 기공(closed cell)의 벽을 깨뜨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직포층 주변에 열린 기공(opened cell)을 형성하여 적정의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독립 기공은 기공의 벽면이 모두 닫힌 구조로 형성되어 다른 기공과 연결되지 않은 기공을 의미하고, 상기 열린 기공은 기공 벽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열린 구조로 형성되어 다른 기공과 연결된 기공을 의미한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알루미늄층의 일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공기층을 포함하여 전도저항성에 의한 자체의 단열성능과 함께 상기 알루미늄층에 의한 반사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단열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취성이 약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의 단점을 보완하고,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보다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는 반면, 평활도(smoothness)가 좋지 못하고, 신축성이 부족하며, 취성(brittleness)을 가진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제2 부직포를 포함하여 상기 알루미늄층과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 간의 크랙 또는 파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라스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섬유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알루미늄층과의 관계에서 우수한 부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와의 관계에서도 우수한 부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코어층을 향하는 이면에 장섬유가 외부로 돌출 형성된 장섬유 부직포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구조를 가짐으로써, 장섬유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쉽게 함침될 수 있고, 향상된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섬유 부직포층은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바, 상기 코어층의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 형성시에 잉여의 발포 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상기 스킨층과 상기 코어층의 보이드 등의 발생을 억제하고, 균일한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섬유 부직포로 중공형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중공형 섬유를 포함하여 중공형 섬유 자체의 중공과 중공형 섬유 상호 간의 틈새에 의해 다공성의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와 알루미늄층 사이에서 상기 복합 단열재에 단열성을 극대화 시키고, 향상된 접착력과 함께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중공형 섬유를 포함하여 각 섬유들 사이의 모세관 작용으로 습기를 빨리 빨아들이고 배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습기의 신속한 흡입 및 배출은 단열에 의한 결로방지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의 평량은 약 10g/m2 내지 약 100g/m2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우수한 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사이에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키고, 발포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일정 이상 두께의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부피 단열재와 열방사에 대해 낮은 방사율을 갖는 열반사 단열재를 별도로 각각 제조하고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로 제조하는바 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향상된 단열성을 갖는 복합 단열재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단열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이상 두께의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부피 단열재와 열방사에 대해 낮은 방사율을 갖는 열반사 단열재를 합체시켜 단열성과 시공의 용이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샌드위치 구조를 가져 향상된 단열성과 동시에 실내 사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바,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우선,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이때, 즉, 발포하기 전의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5㎜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직포층은 일정한 형태의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기억시킨 형상기억 수지를 소정의 온도 미만 상태에서 부직포형태로 변형시켜 알루미늄층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층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약 0.5㎜ 내지 약 5㎜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중공층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반면, 단열효과의 상승효과가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사이에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키고, 발포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발포폼 및 스킨층을 별도로 각각 제조하고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로 제조하는바 공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적으로 복합 단열재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은 상기 제2 부직포층 위에 토출되고, 발포 및 경화할 수 있다. 상기 발포의 온도는 약 6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발포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열량 공급이 어려워 충분한 단열성 및 내구성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없고, 제1 부직포층에 포함된 형상기억 수지가 복원팽창 되지 않는 바, 열반사 단열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 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부직포층이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완전히 함침되어 열반사 단열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의 기공에 결함이 발생하거나 크랙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발포 경화에 의해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과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열압착하여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발포로 상기 제1 부직포층에 포함된 일정한 형태의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기억시킨 상기 형상기억 수지가 복원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직포층은 발포와 동시에 형성된 상기 중공으로 인하여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는 전도저항성에 의한 자체의 단열성능과 함께 상기 제1 부직포층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층에 의한 반사단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발포로 상기 형상기억 수지가 형상 복원한 후의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약 3㎜ 내지 약 3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부직포층 내에 형성된 공기층에서 대류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단열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열반사 단열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포 시에, 상기 제2 부직포층의 일부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함침될 수 있다. 상기 복합 단열재는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상기 코어층과 상기 스킨층을 부착시키는바, 피스 또는 타카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단열재가 손상되고 내구성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해 유해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발포하여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형성할 때,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와 결합하여 우수한 접착력과 함께 향상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의 일부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함침되어 앵커링(anchoring) 효과를 부여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 내에 형성되는 독립 기공(closed cell)의 벽을 깨뜨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직포층 주변에 열린 기공(opened cell)을 형성하여 일정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알루미늄층의 일면에 적층된 것으로서, 상기 공기층을 포함하여 전도저항성에 의한 자체의 단열성능과 함께 알루미늄층에 의한 반사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단열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취성이 약한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의 단점을 보완하고,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생은 후경화의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VOC(휘발성 유기화합물)를 제거하기 위한 숙성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양생은 일반적인(convection) 오븐에 넣고 약 75℃ 미만에서 복합 단열재 1cm2 당 약 10분 ~ 약 20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생 시간이 약 10분 미만일 경우에는 양생 및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열전도가 증가되고 단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양생 시간이 약 20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양생에 투입되는 시간 및 비용에 비하여 개선되는 특성 정도가 미약하여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페놀수지, 에틸렌옥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발포제를 포함하는 페놀 수지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페놀 수지 발포 조성물은 페놀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를 약 4 중량부 및 상기 발포제를 약 8 중량부 포함하도록 하였다.
두께 20㎛ 의 알루미늄층; 일정 형태의 형상기억 특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섬유로 구성되고 압축된 1mm의 제1 부직포층; 두께 20㎛ 의 알루미늄층;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약 30g/m2 내지 약 70g/m2의 평량을 갖는 장섬유로 이루어진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제1 스킨층과 두께 20㎛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진 제2 스킨층을 적층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사이에 상기 페놀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키고 금형에서 70℃에서 1시간동안 경화 및 양생시켜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양생 후 상기 제1 부직포층이 1mm에서 8mm로 팽창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사이에 페놀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켜 복합 단열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이 두께 20㎛ 의 알루미늄층; 일정 형태의 형상기억 특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섬유로 구성되고 압축된 1mm의 제1 부직포층; 두께 20㎛ 의 알루미늄층;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약 30g/m2 내지 약 70g/m2의 평량을 갖는 장섬유로 이루어진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사이에 페놀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켜 복합 단열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 각각이 두께 20㎛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실험예 1: 열관류율 (W/ m 2 K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복합 단열재를 도 2와 같이 벽체에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약 150㎜의 콘크리트 벽체의 일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복합 단열재를 부착하고, 그 위에 약 70㎜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약 4㎜의 알루미늄 복합 판넬을 부착하였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벽체는 실내(20℃)를 향하도록 하고, 알루미늄 복합 판넬은 실외(20℃)를 향하도록 위치시켰다. 그리고, KS F 2277에 따라 열관류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열관류율(W/m2K) 0.24 0.22 0.3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복합 단열재는 비교예와 달리 우수한 열관류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1의 복합 단열재는 제2 부직포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이 코어층과의 관계에서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100: 복합 단열재
200: 코어층
300: 제1스킨층
300': 제2 스킨층
10: 제1 부직포층
20: 알루미늄층
30: 제2 부직포층

Claims (15)

  1.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에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이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는 페놀계 수지 발포체이고,
    상기 제1 부직포층은 형상기억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 수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3㎜ 내지 30㎜인
    복합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에 상기 알루미늄층이 상기 제2 부직포층에 의해 부착된
    복합 단열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라스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직포층의 일부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함침된
    복합 단열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인
    복합 단열재.
  8. 삭제
  9. 제1 스킨층 및 제2 스킨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사이에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을 토출시키고, 발포 및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스킨층은 알루미늄층; 제1 부직포층; 알루미늄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적층체를 포함하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은 페놀계 수지 발포 조성물이고,
    상기 제1 부직포층은 형상기억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 수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 후의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3㎜ 내지 30㎜인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 조성물은 상기 제2 부직포층 위에 토출되는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킨층 및 상기 제2 스킨층을 적층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부직포층의 두께는 0.5㎜ 내지 5㎜인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로 상기 제1 부직포층에 포함된 형상기억 수지가 복원 팽창하는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온도는 60℃ 내지 90℃인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에, 상기 제2 부직포층의 일부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발포체에 함침되는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0170173595A 2017-12-15 2017-12-15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95A KR102220944B1 (ko) 2017-12-15 2017-12-15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595A KR102220944B1 (ko) 2017-12-15 2017-12-15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329A KR20190072329A (ko) 2019-06-25
KR102220944B1 true KR102220944B1 (ko) 2021-02-25

Family

ID=6706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595A KR102220944B1 (ko) 2017-12-15 2017-12-15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87B1 (ko) * 2019-07-09 2020-04-02 강찬국 미세 유리 분진이 없는 친환경 준 불연 건축 내외장재용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KR102065168B1 (ko) * 2019-09-09 2020-01-13 디에스씨(주) 준불연성 건축용 내장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579A (ja) * 2002-01-11 2003-07-22 Asahi Kasei Corp 耐熱性パネル
KR100953191B1 (ko) * 2009-05-18 2010-04-15 덕유패널 주식회사 페놀폼 보드의 연속식 성형방법
KR101105393B1 (ko) * 2011-07-21 2012-01-17 주식회사 테크론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579A (ja) * 2002-01-11 2003-07-22 Asahi Kasei Corp 耐熱性パネル
KR100953191B1 (ko) * 2009-05-18 2010-04-15 덕유패널 주식회사 페놀폼 보드의 연속식 성형방법
KR101105393B1 (ko) * 2011-07-21 2012-01-17 주식회사 테크론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329A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601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T1815077E (pt) Painel isolante térmico
KR102220944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94193B2 (ja) スタンパブルシート成型物、その製造方法及び該スタンパブルシート成型物による吸音断熱材
US5527598A (en) Composite sandwich element
KR20070037274A (ko) 진공판넬
CN106337508A (zh) 玄武岩纤维增强泡沫基复合保温层及其制造方法
KR101771773B1 (ko) 3층 샌드위치 복합패널
KR20160017724A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101723565B1 (ko) 퍼라이트패널을 이용한 방화문의 단열패널과 이를 이용한 방화문
WO1994025180A1 (en) Composite sandwich element
JP2015145690A (ja) 断熱パネル
KR102155079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KR102316355B1 (ko) 불연 단열재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JP2010534794A (ja) 真空遮断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54567A (ja) 繊維強化樹脂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屋根材乃至は壁材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101521685B1 (ko) 멜라민 수지 경화 발포체로 이루어진 진공단열재용 심재와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6761B1 (ko) 내화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기능성단열재
KR102006809B1 (ko) 섬유강화 복합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87380B1 (ko)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JPH11198264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耐火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