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054A -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054A
KR20190065054A KR1020170164494A KR20170164494A KR20190065054A KR 20190065054 A KR20190065054 A KR 20190065054A KR 1020170164494 A KR1020170164494 A KR 1020170164494A KR 20170164494 A KR20170164494 A KR 20170164494A KR 20190065054 A KR20190065054 A KR 20190065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ass
glass paper
paper lay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321B1 (ko
Inventor
김명희
강길호
지승욱
박건표
박인성
배성재
하혜민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6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알루미늄 호일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의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이 적층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AND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알루미늄 호일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의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이 적층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벽면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열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온도 변화가 건축물의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보다 적은 에너지로 일정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용 단열재 중에서도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표면재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은 잘 부착되지 않아 틈새가 벌어지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부착성이 향상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그 일예로,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7724호로 공개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단열재에 포함된 열경화성 발포체와 부착하게 되는 층인 제2외각층이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포함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과 부착하게 되는 층인 제1외각층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층, 부직포, 직포, 크라프트지(kraft pape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상기 벽체 모두에 대해 우수한 부착성을 구현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크라프트지와 같은 종이계 면재는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 및 열경화성 발포체와의 접착이 충분지 않아 면재의 박리가 잘 일어나고 준불연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에 부착성이 우수하여 습식 시공에 적합하면서 준불연성을 구현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6-0017724 A (2016. 02. 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습식시공에 적합한 부착강도와 준불연 성능을 갖는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알루미늄 호일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이 적층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저평량의 글라스 페이퍼층을 최상부 및 최하부에 적층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 및 열경화성 발포층 모두에 부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여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알루미늄 호일층을 포함하여 준불연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의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이 적층되어 부착성, 준불연성,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단열재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가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11), 알루미늄 호일층(13), 글라스 스크림층(14)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를 제공한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은 글라스 섬유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글라스 찹(chop)을 주원료로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 일 예로, 글라스 찹, 물 및 첨가제를 함께 혼합하여 원료를 형성하고, 상기 원료가 초지 형성공정을 거친 후, 형성된 페이퍼의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보완되도록 유기 바인더 용액에 함침하는 공정을 거치고, 건조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글라스 페이퍼 제조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은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를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20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친수성 바인더가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의 내부로 침투되어 수화반응 등을 진행하면서 서로 고정되어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을 상기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200)에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은 두께가 100-300㎛, 또는 150-2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부착강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의 평량은 20-50g/m2, 또는 25-40g/m2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난연성 및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200)에 대한 부착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의 평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글라스 페이퍼층 내에 유기 바인더 함량이 적으므로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200)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글라스 페이퍼층 내에 유기 바인더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3)은 재료 표면의 반사율(reflectivity)은 높이고, 방사율(emissivity)은 낮추어 복사열전달 영향을 극소화하여 준불연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수분에 대한 저항성 및 후술할 열경화성 발포층(20)의 발포 가스에 대한 배리어층으로 작용하여 장기간 단열성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11)의 하부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3)의 두께는 6-30㎛, 또는 10-25㎛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3)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준의 준불연성 및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동시에 구현하여,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가 부착되는 건축용 단열재는 화재 발생시 불이 번지는 속도를 늦추어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수분으로 인한 수축, 팽창 및 뒤틀림과 같은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라스 스크림층(14)은 글라스 섬유를 열용융 방사하여 제조된 글라스 필라멘트를 꼬아 형성된 글라스 섬유사를 포함하거나, 상기 글라스 섬유사를 제직하여 형성된 글라스 섬유 직물을 포함하거나, 상기 글라스 섬유 직물이 상기 글라스 섬유사로 연결되어 형성된 글라스 섬유 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은 표면재에 내구성을 부여하고 치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3) 하부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섬유사는 E-글라스(Electrical-Glass), C-글라스(Chemical-Glass) 또는 E-CR 글라스(Electrical Corrosion Resistant Glass)를 포함하는 글라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글라스는 알칼리 함류량이 약 0.8%이하로 전기적 특성, 내풍화성이 우수하며 장시간 사용에도 견딜 수 있어,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글라스로, 주요 조성이 규소, 알루미늄, 칼슘의 산화물인 알루미노 규산염 글라스 또는 규소, 알루미늄, 보론의 산화물이 알루미노 칼슘규산염 글라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C-글라스는 내알칼리 글라스로써, 내산성이 우수하며 산성액의 여과와 내산 용기용 강화 플라스틱 보강에 주로 사용하는 글라스로, 주요 조성이 규소, 나트륨, 칼륨 및 보론의 산화물로 구성된 글라스의 조성을 증가시킨 알칼리-금속 칼슘 글라스로서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E-CR 글라스는 상기 E-글라스의 조성에 보론의 산화물이 구성되지 않은 글라스로서, 내산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라스 섬유사는 알칼리 함유량이 적어 내풍화성이 다른 글라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E-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섬유사는 상기 글라스 섬유를 열용융 방사하여 제조된 글라스 필라멘트를 꼬아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글라스 섬유는 약 1600°C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약 100본 내지 약 4000본의 필라멘트를 바인더로 접속하여 가닥(strand)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렇듯 가닥의 형태로 존재하는 글라스 섬유를 열용융 방사하여 글라스 필라멘트(filament)로 제조하고 이를 꼬아(twist) 글라스 섬유사(yarn)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라스 섬유사의 직경은 8-25㎛, 또는 10-20㎛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섬유사의 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은 상기 글라스 섬유사를 정경(warping)하여 준비 공정을 거치고, 방직(weaving) 공정을 거쳐 제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직조 밀도는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2-11개 또는 3-10개와 위사 2-11개 또는 3-10개가 직교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직조 밀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 안정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두께는 0.1-3mm, 또는 0.5-2.5mm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유지할 경우, 표면재에 가해지는 외부충격 및 스크래치, 화염 전파 등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은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14)의 하부에 적층될 수 있으며, 후술할 열경화성 발포층(20)과 부착되어 후술할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의 평량은 20-50g/m2, 또는 25-40g/m2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난연성 및 열경화성 발포층(20) 에 대한 부착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의 평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글라스 스크림층(14)의 폭 또는 길이 방향에서의 높이차를 평활하게 보완해주지 못할 수 있고, 유기 바인더 및 글라스 찹의 함량이 적으므로 열경화성 발포층(20)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글라스 페이퍼층 내에 유기 바인더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은 제1글라스 페이퍼층(11)과 그 조성 및 두께 범위 등이 동일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는 제1글라스 페이퍼층(11)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3) 사이, 글라스 스크림층(14)과 제2글라스 페이퍼층(15) 사이에 선택적으로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12)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불소 코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 코팅 필름은 예를 들어,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 코팅액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불소 코팅액 및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필름층(12)이 제1글라스 페이퍼층(11)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3) 사이, 글라스 스크림층(14)과 제2글라스 페이퍼층(15) 사이에 위치됨으로 인해 각 층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12)의 물 접촉각은 70-150°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구현될 수 있어,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의 수분침투율을 더욱 감소시켜 부착강도 및 후술할 열경화성 발포층(20)의 성능이 오랫동안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20)이 적층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를 제공한다(도 3 참조).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또는 페놀폼 발포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페놀폼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의 밀도는 30-50kg/m3, 또는 35-45kg/m3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짐으로써 단열성 및 내구성을 적절히 조화하여 이들 두 가지 물성을 동시에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압축 강도나 취급성이 낮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단열 성능이 저하되면서 가격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의 두께는 20-200mm, 또는 50-150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건축용 단열재(100)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히 우수한 단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과 마감재와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제3글라스 페이퍼층(3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30)은 두께가 100-300㎛, 또는 150-2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부착강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30)의 평량은 75-105g/m2, 또는 85-95g/m2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열경화성 발포층과의 부착력뿐만 아니라 마감재와 우수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30)의 평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캐터필러 방식의 이용 시 열경화성 발포층(20)의 경화 및 발포가 이루어지기 전에 제3글라스 페이퍼층(30)이 열경화성 발포층(20)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에 함침되어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부착력에 비해 가격이 상승하며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30)을 구성하는 제3글라스 페이퍼를 롤 상태로 만들기 어려워 취급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가 부착된 벽체(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100)는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각각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에 해당되는 층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속한 공지된 접착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법, 열가소성 필름을 이용한 열압착 라미네이팅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와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의 접착 방법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속한 공지된 접착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법, 열가소성 필름을 이용한 열압착 라미네이팅 방법 또는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를 캐터필러(caterpillar) 양산 라인에 연속 공급 시킨 후, 열경화성 발포체를 발포 및 경화함과 아울러 동시에 부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의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에 대한 부착강도는 140-200gf/25mm 또는 150-190gf/25mm일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과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20)이 발포압에 의해 부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15)에 포함되는 절단된 섬유와 열경화성 발포층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물리적으로 anchoring하여 상기와 같은 부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10)의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모르타르 접착면(200)에 대한 부착강도는 3.0-20N/cm2, 또는 3.7-15N/cm2일 수 있어 우수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열 방출량은 2-8MJ, 또는 2-5MJ일 수 있어 우수한 준불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치수변화율은 0.5% 미만일 수 있어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수분 흡수율 4% 미만일 수 있어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상부에서 하부로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35g/m2인 제1글라스 페이퍼층, 두께가 20㎛인 알루미늄 호일층, 두께가 1mm이고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5개와 위사 5개가 직교된 글라스 스크림층 및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35g/m2인 제2글라스 페이퍼층을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인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여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글라스 페이퍼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사이와 글라스 스크림층과 제2글라스 페이퍼층 사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T-die 압출공법으로 위치시킨 후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캐터필러 양산 라인에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상부로,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80g/m2인 제3글라스 페이퍼층을 하부로 연속 공급시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와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 사이에 열경화성 발포체 성형용 조성물이 토출되면서 발포 및 경화되어 열경화성 발포층이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와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 사이에 부착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은 밀도가 40kg/m3 이고, 두께가 100mm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제1글라스 페이퍼층과 제2글라스 페이퍼층으로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20g/m2인 것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5㎛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층을 상부에 두고, 100㎛ 두께의 크라프트지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 하부에 둔 후,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밀도가 40kg/m3 이고 두께가 100mm인 열경화성 발포층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여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의 크라프트지가 열경화성 발포층과 접하도록 적층하였다.
<비교예 2>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80g/m2인 글라스 페이퍼층을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로 이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밀도가 40kg/m3 이고 두께가 100mm인 열경화성 발포층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여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제1글라스 페이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으로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70g/m2인 글라스 페이퍼층을 이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제1글라스 페이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으로 두께가 200㎛이고 평량이 10g/m2인 글라스 페이퍼층을 이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부에서 하부로 글라스 스크림층, 제1글라스 페이퍼층, 알루미늄 호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의 적층순서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알루미늄 호일층, 제2글라스 페이퍼층 및 글라스 스크림층의 적층순서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글라스 스크림, 알루미늄 호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의 적층순서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글라스 스크림, 제2글라스 페이퍼층 및 알루미늄 호일층의 적층순서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참조예 1>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글라스 스크림층으로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1개와 위사 1개가 직교된 글라스 스크림층을 이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2>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글라스 스크림층으로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12개와 위사 12개가 직교된 글라스 스크림층을 이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부착강도>
상기 각각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표면재를 200×200×70 mm의 샘플로 준비하여 UTM (Instron, UT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부착강도는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 및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에 대해 각각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발포층과의 부착강도는 25mm 간격으로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에 칼집을 내고 끝단부를 인장 지그에 고정하여 300mm/min 인장속도로 90도 필링하여 측정하였다.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모르타르 접착면과의 부착강도는 KS F 4716방법에 따르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에 모르타르를 40×40×2mm 크기로 올려서 2주간 양생을 하였다. 그 이후에 에폭시 접착제로 인장 지그와 접착을 한 뒤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열방출량>
KS F ISO 5660-1에 따라 콘칼로리미터(FESTEC,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총 열방출량을 측정하여 준불연성을 평가하였고, 열 방출량 값이 작을수록 준불연성이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100×100×50 mm의 샘플로 준비하고,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모르타르 접착면의 반대쪽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측정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평균 값을 총 열방출량으로서 측정하였다.
<치수안정성>
KS M ISO 4898에 따라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길이 및 너비를 각각 100mm 크기로 재단하고 두께방향은 제품 두께로 하여 7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길이 및 너비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치수변화율을 통해 치수안정성을 평가하였고, 상기 치수변화율이 작을수록 상기 치수안정성이 증가한다.
<수분 흡수율>
KS M ISO 2896에 따라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150×150mm, 두께는 제품두께로 준비하고, 상기 각 샘플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상기 샘플의 초기 치수(V0)와 샘플의 초기 중량(m1)을 측정하였고, 이어서, 상기 샘플을 상온의 물에 담그고, 상온 챔버에서 96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상기 물을 흡수한 샘플의 치수(V1)를 측정하고 수중에서 그물망의 중량(m2)과 그물망을 포함한 샘플의 최종 중량 (m3)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ρ: 물의 밀도, m1: 샘플의 초기 중량, m2: 그물망의 중량, m3: 그물망을 포함한 샘플의 최종 중량, V0: 샘플의 초기 치수, V1: 물을 흡수한 샘플의 치수, Vc: 절단면 기포에서 수분량 보정값)
Figure pat00002
(d1: 침하 후의 샘플의 두께, l1: 침하 후의 샘플의 길이, b1: 침하 후의 샘플의 폭)
Figure pat00003
(l: 샘플의 길이, b: 샘플의 폭, d: 샘플의 두께, D: 기포의 평균 지름)
상기 수분 흡수율을 통해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내구성을 평가하였고, 상기 수분침투율이 작을수록 상기 내구성이 증가한다.
표면재-단열재
부착강도(gf/25mm)
표면재-콘크리트 벽체 또는 습식 모르타르
부착강도
(N/cm2)
열 방출량(MJ) 치수변화율
(%)
수분 흡수율
(%)
실시예 1
171 5.8 3.3 0.27 2.5
실시예 2 168 5.4 3.0 0.33 2.6
비교예 1
124 1.0 10.2 1.4 1.4
비교예 2
170 6.4 14.3 0.6 3.9
비교예 3
165 4.9 4.1 0.92 2.5
비교예 4
172 6.6 13.9 0.34 3.5
비교예 5
90 2.8 2.8 0.32 2.2
비교예 6
165 3.6 5.7 0.33 2.8
비교예 7
100 5.0 3.7 0.33 2.6
비교예 8
168 5.2 9.0 0.34 2.5
비교예 9
50 5.0 12.8 0.32 2.7
참조예 1
158 5.0 3.8 0.58 2.7
참조예 2
154 5.1 3.5 0.25 2.4
실시예 1-2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의 부착강도가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에 대해 모두 우수하고, 열 방출량도 매우 낮아 우수한 준불연성을 구현하며, 치수변화율 및 수분 흡수율이 작아서 치수안정성 및 수분 흡수율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최 상부층이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과의 부착강도가 저하되었고, 하부층이 크라프트지로 구성되어 열경화성 발포체와의 부착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지 않아 실시예들에 비해 치수변화율이 커서 치수안정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크라프트지를 포함함으로 인해 준불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알루미늄 호일층을 포함하지 않고 고평량의 글라스 페이퍼층을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로 이용함으로써 실시예들에 비해 준불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지 않아 실시예들에 비해 치수변화율 및 수분 흡수율이 커서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3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지 않아 실시예들에 비해 치수변화율이 커서 치수안정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평량이 70g/m2인 제1, 제2글라스 페이퍼층을 이용하여 증가된 유기 바인더의 함량으로 인하여 실시예들에 비해 준불연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5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평량이 10g/m2인 제1, 제2글라스 페이퍼층을 이용하여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와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과의 부착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비교예 6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최 상부층이 글라스 스크림층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과의 부착강도가 감소하고, 알루미늄층의 적층위치가 실시예들과 상이하여 실시예들에 비해 준불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7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제2글라스 페이퍼층이 글라스 스크림층 상부에 적층되어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와 열경화성 발포층 사이의 부착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8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글라스 스크림층이 알루미늄 호일층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준불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9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알루미늄 호일층이 열경화성 발포층 상부에 적층되어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와 열경화성 발포층 사이의 부착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글라스 스크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이 알루미늄 호일층 상부에 순서대로 적층되어 준불연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참조예 1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1개와 위사 1개가 직교된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여 실시예들에 비해 치수안정성이 다소 저하되었다.
또한, 참조예 2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경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가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12개와 위사 12개가 직교된 글라스 스크림층을 포함하여 실시예들에 비해 효과의 차이 없이 제조비용이 상승하였다.
10 :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11 : 제1글라스 페이퍼층
12 :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 13 : 알루미늄 호일층
14 : 글라스 스크림층 15 : 제2글라스 페이퍼층
20 : 열경화성 발포층 30: 제3글라스 페이퍼층
100 : 건축용 복합 단열재
200 :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 모르타르 접착면

Claims (15)

  1. 상부에서 하부로 제1글라스 페이퍼층, 알루미늄 호일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은 평량이 20-50g/m2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 및 제2글라스 페이퍼층은 두께가 100-300㎛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은 두께가 6-30㎛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은 직경이 8-25㎛인 글라스 섬유사를 포함하는 것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은 1인치×1인치 일정 크기 내에 경사 2-11개와 위사 2-11개가 직교된 것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은 두께가 0.1-3mm인 것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는 상기 제1글라스 페이퍼층과 상기 알루미늄호일층 사이 및 상기 글라스 스크림층과 상기 제2글라스 페이퍼층 사이에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이 불소 코팅액으로 코팅된 불소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플라스틱 필름층의 두께가 30-200㎛인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하부에 열경화성 발포층이 적층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은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및 페놀폼 발포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인 건축용 복합 단열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의 밀도가 30-50kg/m3이고 두께가 20-200mm인 건축용 복합 단열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의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에 대한 부착강도는 140-200gf/25mm이고,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습식모르타르 접착면(200)에 대한 부착강도는 3.0-20N/cm2인 건축용 복합 단열재.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발포층 하부에 제3글라스 페이퍼층이 더 적층되는 것인 건축용 복합 단열재.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글라스 페이퍼층은 두께가 100-300㎛이고, 평량이 75-105g/m2인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20170164494A 2017-12-01 2017-12-01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10231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94A KR102315321B1 (ko) 2017-12-01 2017-12-01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94A KR102315321B1 (ko) 2017-12-01 2017-12-01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054A true KR20190065054A (ko) 2019-06-11
KR102315321B1 KR102315321B1 (ko) 2021-10-20

Family

ID=6684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494A KR102315321B1 (ko) 2017-12-01 2017-12-01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340B1 (ko) 2019-10-18 2020-05-04 이강현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150450A1 (en) * 2019-01-18 2020-07-23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mpany, Llc Construction boards with foil-containing facers
KR102534704B1 (ko) * 2022-12-15 2023-05-30 주식회사 에어론 난연 및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632A (ko) * 2013-03-12 2014-09-24 (주)엘지하우시스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449372B1 (ko) * 2014-03-19 2014-10-08 주식회사 한국카본 내열시트의 제조방법
KR20160017724A (ko) 2014-08-01 2016-02-17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20160031095A (ko) * 2014-09-11 2016-03-22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JP6145209B1 (ja) * 2016-12-20 2017-06-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及び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632A (ko) * 2013-03-12 2014-09-24 (주)엘지하우시스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449372B1 (ko) * 2014-03-19 2014-10-08 주식회사 한국카본 내열시트의 제조방법
KR20160017724A (ko) 2014-08-01 2016-02-17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20160031095A (ko) * 2014-09-11 2016-03-22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JP6145209B1 (ja) * 2016-12-20 2017-06-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及び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0450A1 (en) * 2019-01-18 2020-07-23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mpany, Llc Construction boards with foil-containing facers
KR102106340B1 (ko) 2019-10-18 2020-05-04 이강현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34704B1 (ko) * 2022-12-15 2023-05-30 주식회사 에어론 난연 및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21B1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4484B2 (en) Composite thermal insulation system
CN105518233B (zh) 机械锚固网格加强筋无机改性泡沫保温板的外保温墙体
KR101783074B1 (ko)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US9643378B2 (en) Composite panel for green building system
KR20190065054A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CN203361377U (zh) 一种工厂预制硬泡聚氨酯岩棉复合保温板
KR101372797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CN206554295U (zh) 一种竖丝岩棉复合保温板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CN202866021U (zh) 一种防火保温板
TW201144071A (en) Insulation material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and building elements and composites made thereof
EP2464799B1 (en) Building panel as structure of external and inner plate with intermediate insulation space
KR102495183B1 (ko) 건축용 단열재의 면재
CN201276809Y (zh) 复合保温板
CN211031476U (zh) 一种隔热垫
JP7425435B2 (ja) 積層体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369917A (zh) 一种防火保温复合板
CN212046262U (zh) 玄武岩纤维建筑保温板
KR102383307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4995189U (zh) 一种多功能玻璃纤维墙板
CN208650341U (zh) 一种耐火隔墙
CN219727464U (zh) 一种气凝胶复合保温板
KR101286036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CN211200791U (zh) 一种装配式建筑保温外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