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14B1 - 고소용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고소용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14B1
KR102339814B1 KR1020210091504A KR20210091504A KR102339814B1 KR 102339814 B1 KR102339814 B1 KR 102339814B1 KR 1020210091504 A KR1020210091504 A KR 1020210091504A KR 20210091504 A KR20210091504 A KR 20210091504A KR 102339814 B1 KR102339814 B1 KR 10233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fixing
building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혁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모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백스 filed Critical (주)모백스
Priority to KR102021009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건물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100)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로 건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펜스부재(200)와, 펜스부재(200)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고, 펜스프레임(100)은 건물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기립되는 복수의 포스트(110)와, 포스트(110)들의 상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파이프(120)와, 포스트(110)들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파이프(130)로 이루어지고, 펜스부재(200)는 다수의 타공홀(211)이 형성되고 보강을 위한 보강부(212)가 형성되는 펜스판(210)과, 펜스판(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220)와, 펜스판(210)의 하부를 펜스프레임(100)의 하부파이프(130)에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소용 안전펜스{Safety fence for height}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건물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고소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펜스(Safety Fence)는 작업장이나 위험지역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장에 설치되어 야간에 행인들이 위험지역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펜스는 지면에 기립되는 복수의 지지대에 고정되는 차폐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안전펜스가 건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 건물의 상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신체가 기대는 경우 작업자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5218호(2003. 05. 20.)가 등록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건물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고소용 안전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용 안전펜스는,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100)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로 건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펜스부재(200)와, 펜스부재(200)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고, 펜스프레임(100)은 건물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기립되는 복수의 포스트(110)와, 포스트(110)들의 상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파이프(120)와, 포스트(110)들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파이프(130)로 이루어지고, 펜스부재(200)는 다수의 타공홀(211)이 형성되고 보강을 위한 보강부(212)가 형성되는 펜스판(210)과, 펜스판(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220)와, 펜스판(210)의 하부를 펜스프레임(100)의 하부파이프(130)에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강부(212)는 펜스판(2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이어지면서 좌우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좌우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면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펜스판(210)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작업공간을 위한 작업홀(213)이 형성되고, 작업홀(213)은 하부고정부(2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부고정부(220)는 펜스판(210)의 상단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걸리는 상부걸림부(221)와, 상부걸림부(221)의 하단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고정편(222)을 포함하고, 상부걸림부(221)는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부파이프(120)의 상부에 걸리면서 후면 및 하부까지 감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고정부(230)는 펜스판(210)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300)가 관통하는 하부전면부(231)와, 하부전면부(231)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작업홀(213)을 관통하여서 하부파이프(130)에 걸리는 하부걸림부(232)와, 하부걸림부(232)의 하부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300)가 관통하는 하부배면부(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부재(300)는 나사축 및 헤드로 이루어지는 볼트 및 볼트의 나사축에 결합되는 육각너트로 구성되고, 하부고정부(230)는 하부배면부(233)의 후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300)인 육각너트가 수용되어서 지지되는 너트수용부(234)를 포함하고, 너트수용부(234)는 하부배면부(233)의 양측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양측벽(235)과, 양측벽(235)들에서 서로 마주되게 돌출되어 육각너트의 배면 양측이 지지되는 양측돌기(236)와, 하부배면부(233)의 하부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턱(237)을 포함하고, 양측벽(235)들은 육각너트의 서로 마주되는 면들의 간격보다 크면서 육각너트의 서로 마주되는 모서리들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양측돌기(236)들은 나사축의 직경보다 크면서 육각너트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건물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용 안전펜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펜스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펜스부재가 펜스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고정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직선형태로 형성된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가 직선형태로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원호형태로 형성된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가 원호형태로 휘어져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용 안전펜스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소용 안전펜스는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100)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로 건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펜스부재(200)와, 펜스부재(200)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펜스프레임(100)은 건물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기립되는 복수의 포스트(110)와, 포스트(110)들의 상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파이프(120)와, 포스트(110)들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파이프(130)로 이루어진다.
상부파이프(120) 및 하부파이프(130)는 포스트(110)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펜스부재(200)는 다수의 타공홀(211)이 형성되고 보강을 위한 보강부(212)가 형성되는 펜스판(210)과, 펜스판(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220)와, 펜스판(210)의 하부를 펜스프레임(100)의 하부파이프(130)에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230)를 포함한다.
펜스판(210)은 탄성을 갖고 있어서 휘어질 수 있다.
펜스판(210)에 형성되는 타공홀(211)들을 통해 외부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펜스판(210)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타공홀(211)은 장홀로 형성될 수 있어서 상부고정부(220) 및 하부고정부(2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에 대한 상하유격이 확보될 수 있다.
보강부(212)는 펜스판(2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이어지면서 좌우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되, 펜스판(210)의 전방에서 볼 때 볼록하고 펜스판(210)의 후방에서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보강부(212)는 펜스판(210)의 상단이나 하단에서 보면 'U'형태이다.
보강부(212)가 펜스판(210)의 양단 및 중간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구조를 보강하게 된다. 즉, 펜스판(210)의 좌우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면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펜스판(210)의 상하양단이 서로 가까워지게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건물에서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모서리부분에 펜스프레임(100)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므로, 펜스판(210)이 휘어지게 변형되는 상태로 펜스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건물의 모서리부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정되게 보호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부(212)는 인접하는 다른 펜스판(210)에 형성된 보강부(212)가 겹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보강부(212)들이 겹쳐지면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
상부고정부(220)는 펜스판(210)의 상단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걸리는 상부걸림부(221)와, 상부걸림부(221)의 하단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고정편(222)을 포함한다.
상부걸림부(221)는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부파이프(120)의 상부에 걸리면서 후면 및 하부까지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걸림부(221)가 상부파이프(120)의 상부, 후면 및 하부까지 감싸게 되므로 접촉 면적이 최대로 증대되어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상부걸림부(221)는 탄성이 있어서 탄력적으로 변형가능 하므로 상부파이프(12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고정편(222)은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판재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재(30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부고정편(222)의 홀은 펜스판(210)의 타공홀(2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걸림부(221)가 상부파이프(120)에 걸린 상태에서 상부고정편(222)이 고정부재(300)에 의해 펜스판(210)의 배면에 고정되면, 펜스판(210)의 상단이 상부파이프(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부고정부(220)가 펜스판(210)의 상단에 형성되므로 펜스프레임(100)에 상부고정부(22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만 펜스프레임(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무게중심을 갖는 상체가 건물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펜스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펜스판(210)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작업공간을 위한 작업홀(2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홀(213)은 하부고정부(230)보다 상하 폭 및 좌우 폭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홀(213)을 통해 하부고정부(230)가 관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고정부(230)의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홀(213)을 통해 하부고정부(23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신체가 펜스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도 된다. 즉, 작업자가 펜스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하부고정부(230)는 펜스판(210)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300)가 관통하는 하부전면부(231)와, 하부전면부(231)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작업홀(213)을 관통하여서 하부파이프(130)에 걸리는 하부걸림부(232)와, 하부걸림부(232)의 하부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300)가 관통하는 하부배면부(233)를 포함한다.
하부전면부(231) 및 하부배면부(233)는 펜스판(210)의 타공홀(211)에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배면부(233)가 펜스판(210)의 작업홀(213)을 관통한 상태에서 하부걸림부(232)가 하부파이프(130)를 감싸면서 걸리게 되면, 하부배면부(233)가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300)가 하부전면부(231) 및 하부배면부(233)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부고정부(230)는 하부배면부(233)의 후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300)의 후술되는 육각너트가 수용되어서 지지되는 너트수용부(234)를 포함한다.
너트수용부(234)는 하부배면부(233)의 양측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양측벽(235)과, 양측벽(235)들에서 서로 마주되게 돌출되어 육각너트의 배면 양측이 지지되는 양측돌기(236)와, 하부배면부(233)의 하부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턱(237)을 포함한다.
양측벽(235)들은 육각너트의 서로 마주되는 면들의 간격보다 크면서 육각너트의 서로 마주되는 모서리들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육각너트가 양측벽(235)들의 사이로 삽입되면 육각너트의 양측면이 양측벽(235)들에 지지되어서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육각너트에 형성되는 나사홀이 하부고정부(230)에 형성되는 홀에 일치된다.
양측돌기(236)들은 나사축의 직경보다 크면서 육각너트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벽(235)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육각너트의 후면에서 양측면이 양측돌기(236)들에 지지되므로, 양측벽(235)들의 사이에서 육각너트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양측벽(235)들의 사이에 삽입된 육각너트의 하단이 하부턱(237)에 지지되므로 육각너트의 나사홀이 하부배면부(233)에 형성되는 홀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300)인 육각너트가 양측벽(235)들의 사이에 삽입되면 육각너트의 양측면이 양측벽(235)들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작업홀(213)을 통해 하부고정부(230)의 하부배면부(233)를 삽입시킨다. 즉, 하부배면부(233)를 펜스판(210)의 배면에 위치시킨 후에 하부배면부(233)에 육각너트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하부배면부(233)에 육각너트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육각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고, 작업자의 손이 펜스판(210)의 배면에 위치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자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인 볼트가 하부전면부(231)의 홀과 펜스판(210)의 작업홀(213)과 하부배면부(233)의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너트수용부(234)에 수용된 육각너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고정부(230)가 하부파이프(130)를 감싸면서 펜스판(2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나사축 및 헤드로 이루어지는 볼트 및 볼트의 나사축에 결합되는 육각너트로 구성된다.
볼트의 나사축은 펜스판(210)의 타공홀(21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볼트의 헤드는 펜스판(210)의 타공홀(2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에 펜스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건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건물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서,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펜스프레임 110 : 포스트
120 : 상부파이프 130 : 하부파이프
200 : 펜스부재 210 : 펜스판
211 : 타공홀 212 : 보강부
213 : 작업홀 220 : 상부고정부
221 : 상부걸림부 222 : 상부고정편
230 : 하부고정부 231 : 하부전면부
232 : 하부걸림부 233 : 하부배면부
234 : 너트수용부 235 : 양측벽
236 : 양측돌기 237 : 하부턱
300 : 고정부재

Claims (6)

  1. 건물에 구비되는 펜스프레임(100)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로 건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펜스부재(200)와,
    펜스부재(200)를 펜스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고,
    펜스프레임(100)은
    건물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기립되는 복수의 포스트(110)와,
    포스트(110)들의 상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파이프(120)와,
    포스트(110)들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파이프(130)로 이루어지고,
    펜스부재(200)는
    다수의 타공홀(211)이 형성되고 보강을 위한 보강부(212)가 형성되는 펜스판(210)과,
    펜스판(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부(220)와,
    펜스판(210)의 하부를 펜스프레임(100)의 하부파이프(130)에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230)를 포함하고,
    하부고정부(230)는
    펜스판(210)의 전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300)가 관통하는 하부전면부(231)와,
    하부전면부(231)의 상부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작업홀(213)을 관통하여서 하부파이프(130)에 걸리는 하부걸림부(232)와,
    하부걸림부(232)의 하부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300)가 관통하는 하부배면부(233)를 포함하고,
    고정부재(300)는 나사축 및 헤드로 이루어지는 볼트 및 볼트의 나사축에 결합되는 육각너트로 구성되고,
    하부고정부(230)는 하부배면부(233)의 후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300)인 육각너트가 수용되어서 지지되는 너트수용부(234)를 포함하고,
    너트수용부(234)는
    하부배면부(233)의 양측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양측벽(235)과,
    양측벽(235)들에서 서로 마주되게 돌출되어 육각너트의 배면 양측이 지지되는 양측돌기(236)와,
    하부배면부(233)의 하부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의 하단이 지지되는 하부턱(237)을 포함하고,
    양측벽(235)들은 육각너트의 서로 마주되는 면들의 간격보다 크면서 육각너트의 서로 마주되는 모서리들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양측돌기(236)들은 나사축의 직경보다 크면서 육각너트의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안전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부(212)는 펜스판(2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이어지면서 좌우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좌우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면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안전펜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펜스판(210)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작업공간을 위한 작업홀(213)이 형성되고,
    작업홀(213)은 하부고정부(2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안전펜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고정부(220)는
    펜스판(210)의 상단에 형성되어 펜스프레임(100)의 상부파이프(120)에 걸리는 상부걸림부(221)와,
    상부걸림부(221)의 하단에 형성되어 펜스판(210)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고정편(222)을 포함하고,
    상부걸림부(221)는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부파이프(120)의 상부에 걸리면서 후면 및 하부까지 감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안전펜스.
  5. 삭제
  6. 삭제
KR1020210091504A 2021-07-13 2021-07-13 고소용 안전펜스 KR10233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04A KR102339814B1 (ko) 2021-07-13 2021-07-13 고소용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04A KR102339814B1 (ko) 2021-07-13 2021-07-13 고소용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814B1 true KR102339814B1 (ko) 2021-12-15

Family

ID=7886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504A KR102339814B1 (ko) 2021-07-13 2021-07-13 고소용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8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061A (en) * 1991-08-27 1992-09-22 Arsenio Borgnini Panel for road construction
JP2003213972A (ja) * 2001-05-25 2003-07-30 Kozai Steel:Kk フェンス構造体
KR20030067043A (ko) * 2002-02-06 2003-08-14 영 만 권 손스침대용 연결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061A (en) * 1991-08-27 1992-09-22 Arsenio Borgnini Panel for road construction
JP2003213972A (ja) * 2001-05-25 2003-07-30 Kozai Steel:Kk フェンス構造体
KR20030067043A (ko) * 2002-02-06 2003-08-14 영 만 권 손스침대용 연결구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7046A1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GB2442419A (en) Ramp
KR102339814B1 (ko) 고소용 안전펜스
JP4159093B2 (ja) 吊り足場用朝顔とその組立て施工法
KR20040095648A (ko) 친강지주
US20130193286A1 (en) Portable and resuable connection device having secure anchor point
JP7336795B1 (ja) 親綱支柱
JP4795224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立て方法
JPS6019217Y2 (ja) 天井の構造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101885546B1 (ko) 갱폼 하부작업대 고정 장치
KR101767417B1 (ko) 가설용 발끝막이판 고정구
JP5131746B2 (ja) 墜落阻止装置用取付部材
JP7347452B2 (ja) 支柱の固定構造及び支柱の固定方法
KR101477503B1 (ko) 난간파이프용 난간지주 연결구
KR20200011130A (ko) 발끝막이판을 포함한 작업대
JP7496620B2 (ja) 腹起し支柱用固定具および腹起し支柱用固定具を備えた親綱支柱
JPH0711236Y2 (ja) 足場装置
KR20180103232A (ko) 갱폼용 핸드레일 거치고정 장치
KR102325168B1 (ko) 가설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안전 구조물의 설치방법
JPH09210253A (ja) 吊下体の振れ止め構造及び振れ止め用連結材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KR200491482Y1 (ko) 체결 볼트
JP5851315B2 (ja)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JP4282330B2 (ja) 親綱用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