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784B1 -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784B1
KR102338784B1 KR1020200140177A KR20200140177A KR102338784B1 KR 102338784 B1 KR102338784 B1 KR 102338784B1 KR 1020200140177 A KR1020200140177 A KR 1020200140177A KR 20200140177 A KR20200140177 A KR 20200140177A KR 102338784 B1 KR102338784 B1 KR 10233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wood
film
layer
manufacturing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4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은 리얼우드 적층체를 제조하는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와,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의 일면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도료층을 형성하는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 상기 투명 도료층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차폐 도료층을 형성하는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 그리고 상기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패턴층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리얼우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이 차량 실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REAL WOOD FLI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리얼우드 필름을 포함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재로써 센터페시아, 계기판 마감재, 도어 가니쉬, 콘솔박스 부위에 수지성형부품이 사용되고 있고, 가전 제품의 표면 마감재로 수지성형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 운전석 및 조수석 주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및 오디오데크, 기어변속부, 에어백, 도어잠금 및 창문개폐부 등에는 각종의 제어부 및 편의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의 외곽과 내장재 사이의 틈새에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설치되어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되고, 이러한 내장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가 고급화, 개성화되는 흐름에 있어서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외관상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얻기 위하여 천연 목재 등의 천연 소재를 적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088060호 (2018.08.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리얼우드 필름을 포함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은, 리얼우드 적층체를 제조하는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의 일면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도료층을 형성하는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 상기 투명 도료층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차폐 도료층을 형성하는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 및 상기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빛이 투과되는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투과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는, 천연목재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의 리얼우드층을 형성하는 리얼우드층 형성단계; 및 상기 리얼우드층의 하면에 섬유층을 부착하는 섬유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얼우드층 형성단계는, 상기 리얼우드층을 두께가 0.2~0.5mm인 박막으로 절단하여 제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는,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나일론, 아크릴, 면, 또는 폴리우레탄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이 30~50g/㎡이 되도록 부직포를 제작하여 상기 섬유층으로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는, 상기 리얼우드층에 상기 섬유층을 수분경화형 접착제로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는, 블록 카본이 5~10% 함유된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10~15㎛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는,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10~15㎛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하여,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가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과층 형성단계는, 레이저 커팅으로 상기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는, 상기 차폐 도료층을 레이저 커팅시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열도료를 도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얼우드 필름은, 천연목재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의 리얼우드층; 상기 리얼우드층에 부착되는 섬유층; 상기 섬유층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투명 도료층; 및 상기 투명 도료층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특정 형상이 형성된 차폐 도료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얼우드 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제1항에 의해 리얼우드 필름을 제조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단계; 상기 리얼우드 필름의 일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단계; 금형에 상기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인서트하는 리얼우드 필름 인서트단계; 및 상기 금형을 형합한 후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사출하여 사출층을 형성하는 사출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형필름 부착단계는,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실리콘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작되고, 점착력이 1,000~1,300gf/in인 이형필름을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얼우드 필름 인서트단계는,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금형에 밀착되고,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수지가 사출되도록 인서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상기 사출층이 형성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상기 이형필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이형필름 제거단계; 및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커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는, 필름 형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부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따르면, 리얼우드 적층체에 도포된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을 형성하여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리얼우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이 차량 실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얼우드 적층체에 이형필름을 부착한 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성형층의 표면에서 리얼우드층을 파손없이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을 포함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은 리얼우드 적층체를 제조하는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S110)와,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의 일면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도료층(140)을 형성하는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S120)와, 상기 투명 도료층(140)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차폐 도료층(150)을 형성하는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S130), 그리고 상기 차폐 도료층(150)의 일부를 제거하여 빛이 투과되는 특정 형상(151)을 형성하는 투과층 형성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S110)는 리얼우드층(110)을 섬유층(130)에 적층하여 리얼우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S110)는 천연목재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의 리얼우드층(110)을 형성하는 리얼우드층 형성단계(S111)와, 상기 리얼우드층(110)의 하면에 섬유층(130)을 부착하는 섬유층 형성단계(S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얼우드층 형성단계(S111)는 상기 리얼우드층(110)을 두께가 0.2~0.5mm 이하인 박막으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얼우드층(110)의 두께가 0.2mm 미만인 경우에는 리얼우드층(110)의 물성이 크게 저하되어 이후 제조 단계를 거치기 위한 내마모성이 부족하게 되며, 0.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되어 성형 과정에서 리얼우드층(110)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S112)는 상기 리얼우드층(110)의 하면에 섬유층(13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S112)는 상기 리얼우드층(110)에 상기 섬유층(130)을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열압착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기 섬유층(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20)을 매개로 상기 리얼우드층(110)에 접착된다. 이러한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S112)는 상기 리얼우드층(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일종의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섬유층(130)은 리얼우드층(110)에 일정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재질 및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나일론, 아크릴, 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섬유를 직포 또는 부직포의 형태로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층(130)은 PET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포 또는 부직포 형태로 구성된 상기 섬유층(130)은 상기 접착층(120)을 매개로 열압착 방식으로 리얼우드층(1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공지된 열압착 방식 중 하나인 롤 프레스 장치를 이용한 롤 프레스 공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섬유층(130)의 리얼우드 적층체의 성형성 및 투명 도료층(140) 도포를 고려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이 30~50g/㎡이 되도록 부직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120)은 상기 섬유층(130)에 상기 리얼우드층(110)을 부착하도록 이루어 진다. 일 예로, 상기 접착층(120)은 수분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접착층(120)은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필름, 핫멜트 필름이라 불리우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PES(polyether sulfone), PA(polyacetal) 등의 범용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상온에서도 접착력을 보이는 일반 접착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강력한 열 안정성과 부착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 열경화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S120)는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의 일면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도료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투명 도료층(140)은 상기 리얼우드층(110)으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S120)는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10~15㎛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한 후 상온에서 약 5~10분 동안 건조하여 투명 도료층(140)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투명 도료층(140)은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가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도료층(140)은 상기 섬유층(130)에 도포되어 이후 상기 투명 도료층(140)에 도포되는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가 상기 섬유층(130)을 통과하여 상기 리얼우드층(110)으로 침투하여 상기 리얼우드층(110)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도료층(140)은 상기 차폐 도료층(150)에 레이저 커팅으로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레이저에 의해 상기 섬유층(130) 및 상기 리얼우드층(110)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열도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명 도료층(140)은 상기 차폐 도료층(150)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 커팅을 하는 경우, 레이저 커팅이 잘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섬유층(130)에 바로 차폐 도료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료가 섬유층(130) 및 리얼우드층(110)에 흡수되면서 결합되어 레이저 커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S130)는 상기 투명 도료층(140)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차폐 도료층(1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S130)는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10~15㎛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한 후 약 80℃에서 약 30분 동안 건조하여 차폐 도료층(15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는 차폐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블록 카본이 5~10% 함유된 도료일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차폐 도료층(150)은 상기 투명 도료층(140)으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고, 상기 투과층 형성단계(S140)에 의해 형성된 특정 형상(151)으로만 빛이 투과되어 상기 리얼우드층(110)의 외측에서 특정 형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투과층 형성단계(S140)는 상기 차폐 도료층(150)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15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투과층 형성단계(S140)는 상기 차폐 도료층(150)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영역에 부분적으로 상기 차폐 도료층(150)을 제거하여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특정 형상(15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과층 형성단계(S140)는 레이저 커팅으로 상기 차폐 도료층(150)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15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 도료층(150)의 두께 및 재질에 대응하여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차폐 도료층(150)만 제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리얼우드 필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목재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의 리얼우드층(110)과, 상기 리얼우드층(110)에 부착되는 섬유층(130)과, 상기 리얼우드층(110)에 상기 섬유층(130)을 부착하는 접착층(120)과, 상기 섬유층(130)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투명 도료층(140), 그리고 상기 투명 도료층(140)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특정 형상(151)이 형성된 차폐 도료층(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리얼우드 필름을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을 포함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리얼우드 필름을 제조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단계(S210)와, 상기 리얼우드 필름의 일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단계(S220)와, 금형에 상기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인서트하는 리얼우드 필름 인서트단계(S230), 그리고 상기 금형을 형합한 후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사출하여 사출층을 형성하는 사출층 형성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상기 사출층이 형성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상기 이형필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이형필름 제거단계(S250)와,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커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단계(S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얼우드 필름 제조단계(S2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이형필름 부착단계(S220)는 상기와 같이 리얼우드 필름 제작단계(S210)를 통하여 제작된 리얼우드 필름의 일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이형필름은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실리콘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작되고, 점착력이 1,000~1,300gf/in인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형필름의 점착력이 1,000gf/in 미만으로 형성되면 금형에 상기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인서트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쉽게 분리되어 보호층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필름의 점착력이 1,300gf/in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성형층 성형 이후에 상기 이형필름을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잘 분리되지 않아 상기 리얼우드층을 파손하거나 접착제가 남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점착력이 1,000~1,300gf/in인 이형필름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이형필름의 베이스층은 PE, PP, CPP(Casting polypropylene) TPU, EVA, PES, PA 등의 범용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을 상기 베이스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필름의 두께는 경제성과 추후 리얼우드 필름의 금형 내에서의 성형성을 고려하여 0.1mm 이상 0.5mm 이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이형필름 제거단계(S250)에서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분리 제거된다. 이때,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쉽게 박리되도록 상기 이형필름 또는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이형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형제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플루오르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얼우드 필름 인서트단계(S230)는 금형에 상기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인서트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금형에 밀착되고, 상기 리얼우드 필름 상에 수지가 사출되도록 인서트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에는 성형층의 형상에 대응되는 금형면인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와 진공펌프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캐비티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캐비티에 상기 이형필름을 흡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이형필름이 부착된 리얼우드 필름을 금형에 삽입하고, 상기 이형필름 부분을 상기 금형에 밀착시킨 후 상기 진공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캐비티와 상기 이형필름이 형성하는 공간부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여 상기 이형필름을 상기 캐비티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층 형성단계(S240)는 상기 금형을 형합한 후 용융된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 상에 주입한 후 냉각하여 성형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성형층을 통과하여 상기 리얼우드 필름으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S260)는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커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S260)는 외부로 노출되는 리얼우드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리얼우드층의 표면을 커버하는 보호층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일 예로,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S260)는 필름 형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부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층 형성을 위하여 수지 재료를 필름 형태로 마련하면 접착제나 열 압착 방식으로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코팅층을 부착할 수 있고, 수지 재료를 액체 상태로 마련하면 스프레이 식으로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도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S260)는 상기 성형층을 금형 내부에 배치한 후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은 PC(polycarbonate) 수지, PU(polyurethane) 수지, epoxy 수지, ABS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PP(polypropylene) 수지, PA(polyacetal)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도포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코팅층은 에폭시 수지에 실리카(Si)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제작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카의 함량이 증가하면 경도는 상승하지만 유연성이 저하되고,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증가하면 유연성은 상승하지만 경도가 저하되므로, 적용되는 목적에 대응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와 실리카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은 에폭시 수지와 실리카를 단순히 혼합한 것이 아니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에폭시 수지와 실리카를 단순히 혼합한 혼합물은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투과율이 좋지 못하고, 표면 경도가 낮으며, 내광성과 내후성과 내화학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와 비교하여, 에폭시 수지와 실리카를 화학적으로 결합하게 되면 제조가 어려운 단점은 있지만, 투과율을 89%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고, 경도 및 유연성이 우수하며, 내광성과 내후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난반사 및 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얼우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적층체에 도포된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을 형성하여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리얼우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이 차량 실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사출 성형시 리얼우드 필름에 이형필름을 부착한 후 인서트하게 되어 인서트 시 굴곡 변형되는 부분을 상기 이형필름을 보강해주어 리얼우드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리얼우드 필름
110 : 리얼우드층
120 : 접착층
130 : 섬유층
140 : 투명 도료층
150 : 차폐 도료층

Claims (15)

  1. 리얼우드 적층체를 제조하는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의 일면에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투명 도료층을 형성하는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
    상기 투명 도료층에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도포하여 차폐 도료층을 형성하는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 및
    상기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빛이 투과되는 특정 형상을 형성하는 투과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층 형성단계는,
    레이저 커팅으로 상기 차폐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특정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는,
    상기 차폐 도료층을 레이저 커팅시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열도료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 제조단계는,
    천연목재를 절단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의 리얼우드층을 형성하는 리얼우드층 형성단계; 및
    상기 리얼우드층의 하면에 섬유층을 부착하는 섬유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우드층 형성단계는,
    상기 리얼우드층을 두께가 0.2~0.5mm인 박막으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는,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나일론, 아크릴, 면, 또는 폴리우레탄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이 30~50g/㎡이 되도록 부직포를 제작하여 상기 섬유층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 형성단계는,
    상기 리얼우드층에 상기 섬유층을 수분경화형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도료층 형성단계는,
    블록 카본이 5~10% 함유된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10~15㎛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료층 형성단계는,
    투명한 재질의 도료를 10~15㎛의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하여,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도료가 상기 리얼우드 적층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의해 리얼우드 필름을 제조하는 리얼우드 필름 제조단계;
    상기 리얼우드 필름의 일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이형필름 부착단계;
    금형에 상기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인서트하는 리얼우드 필름 인서트단계; 및
    상기 금형을 형합한 후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사출하여 사출층을 형성하는 사출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 부착단계는,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실리콘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되어 제작되고, 점착력이 1,000~1,300gf/in인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우드 필름 인서트단계는,
    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금형에 밀착되고,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수지가 사출되도록 인서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층이 형성된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서 상기 이형필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이형필름 제거단계; 및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리얼우드 필름을 커버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형성단계는,
    필름 형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부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수지를 상기 리얼우드 필름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0200140177A 2020-10-27 2020-10-27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33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77A KR102338784B1 (ko) 2020-10-27 2020-10-27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77A KR102338784B1 (ko) 2020-10-27 2020-10-27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784B1 true KR102338784B1 (ko) 2021-12-16

Family

ID=7903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177A KR102338784B1 (ko) 2020-10-27 2020-10-27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7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539A (ja) * 2000-06-08 2001-12-18 Nissha Printing Co Ltd バックライティング可能な加飾成形品および加飾薄状物
KR20130014941A (ko) * 2011-08-01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얼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무드 조명장치
KR20170070881A (ko) * 2015-12-14 2017-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얼우드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80088060A (ko) 2017-01-26 2018-08-03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내장재
KR101966151B1 (ko) * 2018-05-03 2019-04-05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얼우드를 포함하는 성형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539A (ja) * 2000-06-08 2001-12-18 Nissha Printing Co Ltd バックライティング可能な加飾成形品および加飾薄状物
KR20130014941A (ko) * 2011-08-01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얼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무드 조명장치
KR20170070881A (ko) * 2015-12-14 2017-06-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얼우드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80088060A (ko) 2017-01-26 2018-08-03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내장재
KR101966151B1 (ko) * 2018-05-03 2019-04-05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얼우드를 포함하는 성형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1384B2 (ja) 自動車内装部品を製造する方法
KR101325851B1 (ko) 장식된 트림 부재
JPH10338082A (ja) 自動車用ルーフ・ヘッド・ライナー
SK28396A3 (en) Lining parts from fibrous sendwich mats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
KR20160142427A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5569B1 (ko)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가 부착된 가요성 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35166A1 (en) Method for Producing Steering Wheel Decorative Covers and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CN108372704A (zh) 制造饰件的方法
US1098130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product including real wood
CN110239455A (zh) 用于车门的开关组件的软上装饰件及其制造方法
JP3930451B2 (ja) 自動車用モールディング部材
KR101935515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346591A1 (en) Decorative par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856521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8784B1 (ko) 리얼우드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1302396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US10315345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component for a motor-vehicle interior
KR102395074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1926221B1 (ko) 자동차 인테리어 시트,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US20050258668A1 (en) Automotive headliner having impact countermeasur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3360678B1 (en) Real woo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jection-molded real wood product by using the same
US20060237994A1 (en) Car body attachment par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car body attachment part
CN212980358U (zh) 一种车辆仪表装饰板结构
KR102024773B1 (ko)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KR20180002054U (ko) 진공성형용 자동차 인테리어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