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73B1 -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73B1
KR102024773B1 KR1020180150458A KR20180150458A KR102024773B1 KR 102024773 B1 KR102024773 B1 KR 102024773B1 KR 1020180150458 A KR1020180150458 A KR 1020180150458A KR 20180150458 A KR20180150458 A KR 20180150458A KR 102024773 B1 KR102024773 B1 KR 10202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 pad
duct
sealing
coupling
open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익
곽성복
이재용
김광섭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73B1/ko
Priority to PCT/KR2019/015669 priority patent/WO20201116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는, 윈도우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형성된 크래시패드; 상기 크래시패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는 개구단을 통해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윈도우측으로 송출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개구단의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 및 상기 크래시패드와 상기 덕트부 간의 슬라이딩결합을 안내하며 점차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송풍구와 상기 개구단 간을 밀폐상태로 연통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부의 개구단과 일체를 이루도록 이중사출된 링형상의 실링부로 인해 덕트부와 크래시패드 간의 밀폐성이 균일하고 일정한 품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폐 불량과 토출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ASSEMBLY OF CRASH PAD AND DUCT WITH A HERMETICALLY SEALED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와 크래시패드 간의 밀폐성을 향상과,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실현할 수 있는 덕트와 크래시패드로 구성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디프로스터(defroster)는 좁은 의미에서는 운전석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여 서리나 빙설 등으로 시야가 흐리지 않게 이를 제거하는 장치만을 말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서리나 빙설을 제거하는 장치와 함께 냉난방 조절을 위한 공기통로까지 포함하는 차량 공조시스템의 풍동(wind tunnel)을 위한 덕트 장치 전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디프로스터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덕트구조로 이루어지고, 덕트의 끝단부에 형성된 개구단은 최종적으로 차량 내부의 내장재인 크래시패드 등과 연통되며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에서 차량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결합 틈새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디프로스터의 덕트 개구단과 크래시패드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실링 내지 밀폐구조의 적용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소재인 실링패드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개구단의 둘레를 따라 부착 내지 접착시킨 후 열융착기 등을 이용하여 크래시패드와 덕트 상호 간을 열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조립공정과 실링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 및 실링공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실링패드가 규제되며 개구단부 둘레에 부착되는 것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실링패드가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링패드에 의한 밀폐성과 부착성이 작업자의 작업숙련도 등에 따라 균일하고 일정한 품질로 이루어지기 어려워 접착 불량이나 밀폐 불량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렇게 실링과 관련하여 품질 불량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어 토출된 공기는 덕트의 진동과 유동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심한 진동의 경우에는 결합상태의 크래시패드와 덕트의 개구단 간을 단절시키거나 실링패드가 쓸리거나 부착위치로부터 박리 내지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실링공정과 조립공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프로스터와 같은 덕트와 크래시패드 간의 밀폐작업이 단순한 조립공정을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고, 균일한 품질로 밀폐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차량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구조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윈도우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형성된 크래시패드; 상기 크래시패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는 개구단을 통해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윈도우측으로 송출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개구단의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 및 상기 크래시패드와 상기 덕트부 간의 슬라이딩결합을 안내하며 점차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송풍구와 상기 개구단 간을 밀폐상태로 연통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다수 개가 상기 크래시패드 하면의 후방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끼움판의 삽입이동에 따라 점차 상기 크래시패드의 하면에 대한 상기 실링부의 가압을 안내하게 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후크결합부; 및 다수 개가 상기 크래시패드 하면의 전방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판의 삽입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단의 전방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실링부의 가압을 지지고정하게 되는 보스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는, PC, ABS 및 PBT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수지를 소재로 사출성형되는 방식,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소재로 열압착성형되는 방식 및 오버몰딩에 의해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도리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실리콘, 합성고무, 발포 PP, 발포 PS, 발포 PU 또는 발포 P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소재로 이중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개구단의 외곽방향으로 이격되며 중접적으로 배치형성되는 2개 이상의 실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 이상의 실링체는, 상기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란인 진동에 대응하여 상기 덕트부 자체의 고유진동수를 가변시켜 공진을 방지하게 되는 소재로 각각 이중사출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개구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형의 인서트홈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파형의 판스프링; 및 상기 인서트홈에 삽입된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과 접하며 상단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인서트홈에 끼워지는 탄성소재의 링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부의 개구단과 일체를 이루도록 이중사출된 링형상의 실링부로 인해 덕트부와 크래시패드 간의 밀폐성이 균일하고 일정한 품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폐 불량과 토출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크래시패드와 덕트부 간의 단순한 측방향 슬라이딩결합 과정에서 실링부의 점진적 가압에 의한 덕트부와 크래시패드 간의 밀폐와 조립 공정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과정에서의 작업공수가 감소될 수 있고, 조립 불량률의 저감,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절감 등이 도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부분확대도 및 일부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크래시패드와 덕트부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부의 작동상태를 각각 단계별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별물로 제작된 실링패드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덕트부에 부착시킨 경우와 관계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부분확대도 및 일부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크래시패드와 덕트부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부의 작동상태를 각각 단계별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별물로 제작된 실링패드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덕트부에 부착시킨 경우와 관계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차량의 앞쪽), 후(배, 차량의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100)는, 차량의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불필요하게 유실되지 않고 목적방향으로 송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조립체로서, 공기 유로를 함께 형성하는 덕트부(120)와 크래시패드(110) 간의 밀폐성을 균일하고 일정한 품질로 향상시키는 한편, 덕트부(120)와 크래시패드(110) 간의 단순한 조립공정과 함께 밀폐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으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밀폐 불량, 진동, 토출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저감됨은 물론이고, 작업공수가 저감되어 조립 불량률의 감소,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의 절감 등이 함께 도모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100)는, 크래시패드(110), 덕트부(120), 실링부(130) 및 결합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래시패드(11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공간 중 계기판이나 각종 차량 편의장치 등이 구비되는 전방에 구비되어 완충작용과 선반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판상의 구성요소를 말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크래시패드(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도우 즉, 프런트윈도우와 전방 사이드윈도우에 인접배치되어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구(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크래시패드(110)로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되, 후술할 결합부(140) 등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풍구(112)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프런트윈도우의 하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공조된 공기를 송출하는 슬릿형태의 구멍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차량의 사이드윈도우에 공기를 송출하는 슬릿형태의 송풍구(11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덕트부(120)는, 상술한 크래시패드(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강제로 송출된 공조 공기가 목적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에는 상술한 송풍구(112)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윈도우측으로 송출하는 중공형 개구단(122)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차량 공조시스템과 연통되는 연결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단(122)에는 상술한 송풍구(112) 주변의 크래시패드(110) 하면과 면대면으로 밀착되고, 후술할 실링부(130)가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단(122)의 둘레에는 둘레확장면(123)이 형성되고, 이러한 둘레확장면(123)에는 실링부(130)가 형성될 위치에 대응한 인서트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부(120)는, 고강도,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내진성 및 성형성 등을 두루 고려하고, 수축에 따른 변형을 저감시켜 정확한 규격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S(Polystyrene) 등의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PC(Polycarbonate) 계열의 수지는, 비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열성과 절연성이 뛰어나고, 열가소성 수지 중 가장 충격에 강하며, 수분이나 온도변화에 안정적인 물리특성이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계열의 수지는, 가공성 내지 성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착색과 같은 2차 가공성이 우수하고,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相溶性)이 좋아 PC(폴리카보네이트) 등과의 혼합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지 특유의 결점이 보완될 수 있다.
PP(Polypropylene) 계열의 수지는,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절연성, 내마모성 등 뛰어나고 절곡에 대한 피로도가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역시 다른 수지와 혼합사용되어 합성수지 간 결점을 보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E(Polyethylene) 계열의 수지는, 물과 수증기에 대한 차단성, 열접착력, 내한성이 우수하고,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점도에 큰 변화가 없어 가공이나 성형이 용이한 물리특성이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덕트부(120)는, 각각의 수지가 갖는 특유의 물성이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용도에 부합하는 필요한 물성을 갖게 되고, 사출성형과정의 급속 가열 및 급속 냉각을 통해 별도의 도장처리 없이도 깔끔한 외관의 제품으로 사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덕트부(120)는,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소재로 열압착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SMC는 근래 자동차에 적용 가능성이 가장 큰 경량소재로서, 서로 마주하는 캐리어필름 사이에 합성수지, 섬유강화제, 유리섬유나 유리버블과 같은 충진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시트형상의 섬유강화 복합재료이다.
본 발명에서는 덕트부(120) 제작용 열압착 프레스 금형에 시트형상의 SMC를 투입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써 덕트부(120)를 일체로 제작하게 되는데, 우수한 성형성으로 인해 급격한 형상변화가 가능하고, 고강도, 경량성 및 높은 생산성을 모두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덕트부(120)에 대한 내충격성과 탄성의 강화를 통해 내진성과 흡음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덕트부(120)는 오버몰딩방식의 사출성형에 의해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몰딩방식이란 2 이상의 이종 재료가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화되는 사출성형방식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PC, ABS 및 PP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형폐된 사출금형의 캐비티로 1차 사출한 다음 사출금형이나 코어를 이동시켜 두 번째 캐비티를 형성한 후 소정 크기로 절단된 탄소섬유가 함침된 수지를 2차 사출하는 방식으로 덕트부(120)를 일체로 제작하게 된다.
위와 달리 덕트부(120)는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단된 탄소직물을 가열한 다음 사출금형 내에 인서트한 후 PC, ABS 및 PP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형폐된 사출금형의 캐비티로 사출하는 방식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탄소직물의 가열은 캐비티 내로 사출되는 수지와 인서트된 탄소직물 간의 결합 내지 함침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링부(130)는, 덕트부(120)와 일체를 이루도록 이중사출에 의해 개구단(122)의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개구단(122)과 송풍구(112)간을 밀폐상태로 연통시키는 탄성소재의 구성요소로서, 종래 별물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덕트부(120)에 부착시키던 실링패드(10)와는 소재나 적용방식에서 명확히 구별된다.
여기서 실링부(130)가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상술한 덕트부(120)의 인서트홈(123a)으로부터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래시패드(110)와 덕트부(120) 간의 측방향 슬라이딩결합시 크래시패드(110)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돌출정도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실링부(130)는 후술할 결합부(140)에 의한 크래시패드(110)와 덕트부(120) 간의 결합과정에서 개구단(122)과 송풍구(112) 사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므로 단면 형상은 특별하게 제약되지 않지만, 크래시패드(110)와 덕트부(120) 간의 원활한 슬라이딩결합을 위해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130)는, 실리콘, 합성고무, 발포 PP(polypropylene), 발포 PS(polystyrene), 발포 PU(polyurethane) 및 발포 PVC((Polyvinylchlo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소재로 이미 1차 사출성형된 덕트부(120)의 인서트홈(123a)에 대하여 이중사출이 이루어져 덕트부(120)와 함께 일체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링부(130)의 이중사출은 턴테이블 또는 코어 인덱스 방식으로 회전되어 교체된 실링부(130) 형성용 금형 또는 코어가 덕트부(120)용 고정측 금형에 합형된 다음 실링부(130) 형성용 소재의 2차 사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실링부(130)를 덕트부(120)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이유는, 실링부(130)의 부착을 위한 별도의 작업 공수를 투입하지 않으면서도 실링부(130)가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덕트부(120)와 크래시패드(110) 간의 밀폐성을 균일하고 일정한 품질로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실링부(130)는, 도 2의 (a)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단(122)의 외곽방향으로 이격되며 중접적으로 배치형성되는 2개 이상의 실링체 즉, 일례로 제1 실링체(130a) 및 제2 실링체(1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실링체는, 개구단(122)과 송풍구(112)간의 밀폐를 보다 완벽하게 보강 내지 보완함과 동시에 차량의 공조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란인 진동에 대응하여 덕트부(120) 자체의 고유진동수를 가변시켜 덕트부(120)의 공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덕트부(120)의 공진이란, 차량의 공조시스템의 작동 중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된 진동수와 덕트부(120) 자체가 갖게 되는 고유진동수가 서로 일치하거나 근접하여 강제진동의 크기가 거의 무한대로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전달된 공조시스템의 진동수가 덕트부(120)의 1차 고유진동수와 일치하거나 근접할 경우가 가장 심각한 구조적 파손이나 큰 소음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방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개구단(122)의 외곽방향으로 이격되며 중접적으로 배치형성되는 2개 이상의 실링체 각각을 서로 달리 선택된 상술한 바와 같은 소재로 이중사출하여 덕트부(120)와 일체화시킴으로써 덕트부(120) 자체의 고유진동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달리 개구단(122)의 외곽방향으로 이격되며 중접적으로 배치형성되는 2개 이상의 실링체 각각을 서로 다른 형상 즉, 단면이 원형(130a), 별형, 사각형(130b)을 포함한 다각형 등으로 선택 조합하여 이중사출하는 방식으로 덕트부(120) 자체의 고유진동수를 역시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덕트부(120) 자체의 고유진동수 변경으로 덕트부(120)에 발생할 수 있는 공진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실링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실링체를 병렬배치하지 않고, 협소한 둘레확장면(123)에 대하여 하나의 실링구조만으로 더욱 강한 밀폐력을 형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 2의 (b)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32) 및 탄성소재인 링형부재(134)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132)은, 개구단(122)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형의 인서트홈(123a)에 삽입 및 안착되어 상하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파형의 판구조로 된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링형부재(134)는 인서트홈(123a)에 삽입된 판스프링(132)의 상면과 접하며 상단 일부가 돌출되도록 인서트홈(123a)에 끼워지는 탄성소재로 된 구성요소로서, 인서트홈(123a)에 인서트된 판스프링(132)에 대하여 이중사출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결합부(140)는, 크래시패드(110)와 덕트부(120) 간의 슬라이딩결합을 안내하며 점차 실링부(130)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송풍구(112)와 개구단(122) 간을 밀폐상태로 연통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결합부(142) 및 보스결합부(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142)는, 크래시패드(110) 하면의 후방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개구단(1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끼움판(124)의 삽입이동에 따라 점차 크래시패드(110)의 하면에 대한 실링부(130)의 가압을 안내하는 결합홈(142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결합부(142)는, 둘레확장면(123)에 길게 배치된 실링부(130)에 대한 가압이 동일한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구단(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병렬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142a)은 슬라이딩결합방향(SC)을 따라 폭이 넓어지는 개방단부를 통해 끼움판(124)의 삽입을 원활히 유도하는 한편, 내측의 좁은 폐단부를 통해 끼움판(124)을 상방으로 유도하여 실링부(130)에 대한 가압을 안내하게 된다.
보스결합부(144)는, 다수 개가 크래시패드(110) 하면의 전방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끼움판(124)의 삽입이동에 따라 개구단(122)의 전방에 형성된 체결공(125)에 끼워지며 실링부(130)의 가압을 지지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보스결합부(144) 또한, 둘레확장면(123)에 길게 배치된 실링부(130)에 대한 가압고정이 동일한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구단(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크래시패드(110)의 슬라이딩결합방향(SC)은, 실링부(130)가 이중사출된 덕트부(120)의 둘레확장면(123)에 대하여 나란(평형)한 방향이 아니라 덕트부(120)의 둘레확장면(123)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크래시패드(110)의 슬라이딩결합방향(SC)은, 수평방향으로 쓸리면서 실링부(130)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위에서 아래로의 최소화된 마찰저항으로 실링부(130)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링부(1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시패드(110)의 슬라이딩결합방향(SC)을 따라 덕트부(120)에 대하여 이동하는 상술한 보스결합부(144)와 후크결합부(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25)과 끼움판(124)에 의해 각각 이동이 저지되면서 덕트부(120)와 크래시패드(110) 간의 결합을 완성하게 되고, 동시에 가압된 실링부(130)를 매개로 개구단(122)과 송풍구(112)간을 밀폐상태로 연통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부(140)를 통해 크래시패드(110)와 덕트부(12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안내됨에 따라 덕트부(120)의 둘레확장면(123)과 크래시패드(110) 간의 견고한 밀폐성은 실링부(130)의 마찰저항 없이 크래시패드(110)와 덕트부(120) 간의 조립과정에서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종래 부착형 실링패드
100: 밀폐결합구조를 갖는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110: 크래시패드 112: 송풍구
120: 덕트부 122: 개구단
123: 둘레확장면 123a: 인서트홈
124: 끼움판 125: 체결공
130: 실링부 130a,130b: 제1,2 실링체
132: 판스프링 134: 링형부재
SC: 슬라이딩결합방향 140: 결합부
142: 후크결합부 142a: 결합홈
144: 보스결합부

Claims (6)

  1. 윈도우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구가 형성된 크래시패드;
    상기 크래시패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는 개구단을 통해 차량 공조시스템의 공기를 윈도우측으로 송출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개구단의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 및
    상기 크래시패드와 상기 덕트부 간의 슬라이딩결합을 안내하며 점차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송풍구와 상기 개구단 간을 밀폐상태로 연통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다수 개가 상기 크래시패드 하면의 후방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끼움판의 삽입이동에 따라 점차 상기 크래시패드의 하면에 대한 상기 실링부의 가압을 안내하게 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후크결합부; 및
    다수 개가 상기 크래시패드 하면의 전방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판의 삽입이동에 따라 상기 개구단의 전방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며 상기 실링부의 가압을 지지고정하게 되는 보스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PC, ABS 및 PBT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수지를 소재로 사출성형되는 방식,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소재로 열압착성형되는 방식 및 오버몰딩에 의해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리콘, 합성고무, 발포 PP, 발포 PS, 발포 PU 또는 발포 P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소재로 이중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5. 삭제
  6. 삭제
KR1020180150458A 2018-11-29 2018-11-29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KR10202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58A KR102024773B1 (ko) 2018-11-29 2018-11-29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PCT/KR2019/015669 WO2020111612A1 (ko) 2018-11-29 2019-11-15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58A KR102024773B1 (ko) 2018-11-29 2018-11-29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971A Division KR102033652B1 (ko) 2019-08-23 2019-08-23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KR1020190103970A Division KR102047028B1 (ko) 2019-08-23 2019-08-23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73B1 true KR102024773B1 (ko) 2019-09-25

Family

ID=6806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458A KR102024773B1 (ko) 2018-11-29 2018-11-29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4773B1 (ko)
WO (1) WO20201116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12A1 (ko) * 2018-11-29 2020-06-04 덕양산업 주식회사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958A (ja) * 2000-08-11 2002-02-19 Nissan Shatai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1474824B1 (ko) * 2008-04-25 2014-12-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케이스 실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6973A (ja) * 2010-02-01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ダクト構造
KR20150081489A (ko) * 2014-01-06 2015-07-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CN206297625U (zh) * 2016-12-16 2017-07-0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仪表板总成
KR102024773B1 (ko) * 2018-11-29 2019-09-25 덕양산업 주식회사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958A (ja) * 2000-08-11 2002-02-19 Nissan Shatai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1474824B1 (ko) * 2008-04-25 2014-12-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케이스 실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12A1 (ko) * 2018-11-29 2020-06-04 덕양산업 주식회사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612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840B2 (en) Exterior module with an exterior panelling for a modularly constructed housing component and the modularly constructed housing component itself,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xterior module
KR100861154B1 (ko) 차량 부품 및 차량 부품 형성 방법
US7100958B2 (en) Trim element, especially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9914490B2 (en) Fram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console for connecting further components, method for producing and motor vehicle body
US7740307B2 (en) Motor vehicle component and methods for its manufacture
US20190184799A1 (en) Vehicle tailgate structure
US10723284B2 (en) Trim part
US20160053788A1 (en) Component joining structure and component joining method
KR20120082011A (ko) 추가 부분을 글레이징 또는 프로파일된 림에 고정하는 방법, 상기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디바이스,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글레이징
CN102427925A (zh) 用于便携式电气设备的罩壳和用于制造该罩壳的方法
KR102195569B1 (ko)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가 부착된 가요성 스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9826B1 (ko) 통풍매트 일체형 쿠션패드
CN111801234B (zh) 具有框架件的车辆顶盖
KR102024773B1 (ko)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CN109080555A (zh) 带条增强塑料包覆部件及其制造方法
KR102047028B1 (ko)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KR102033652B1 (ko) 밀폐결합구조의 크래시패드 덕트조립체
US6619731B2 (en) Vehicle roof
KR20210131002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US7226113B2 (en) Armrest insert and correspond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2291228B1 (ko) 경량화된 일체형 윈도채널조립체
JP2019001456A (ja) 霜取りダクト
CN111806567B (zh) 车顶连接系统和方法
KR100826680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2161098B1 (ko) 경량화된 보강구조를 갖는 차량내장용 하이브리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