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671B1 -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671B1
KR102338671B1 KR1020210086428A KR20210086428A KR102338671B1 KR 102338671 B1 KR102338671 B1 KR 102338671B1 KR 1020210086428 A KR1020210086428 A KR 1020210086428A KR 20210086428 A KR20210086428 A KR 20210086428A KR 102338671 B1 KR102338671 B1 KR 10233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service
difficulty level
companion service
accompan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1008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671B1/ko
Priority to KR1020210173558A priority patent/KR20230005721A/ko
Priority to KR1020210173557A priority patent/KR2023000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된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기본 비용에 기초한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ANION SERVICE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 OF COMPANION SERVICE}
본 발명은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 등급에 따라 합리적인 비용을 책정할 수 있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7년 전체 대한민국 인구의 13.8%에서 빠르게 증가하여, 2025년에는 20%를 초과하고, 2051년에는 40%를 초과할 전망이다. 이처럼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보호자를 대신하여, 노인(또는 환자)을 지정된 목적지(예컨대, 병원)까지 동행하는 동행 서비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동행 서비스는 교통 약자(예컨대, 노인)와 동행하여, 교통 약자를 지정된 장소(예컨대, 병원)까지 안전하게 이동케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동행 서비스에 대해서는 적절한 비용이 책정되어야 하는데, 기존 동행 서비스 제공 업체의 경우, 시간에 기초하여 비용을 산정하고 있다. 즉, 기존 동행 서비스 제공 업체의 비용은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와 관계없이 시간에 비례하여 비용을 책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용 책정은 다양한 난이도를 갖는 동행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책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합리적이라 볼 수 없다.
따라서,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에 따라 합리적으로 동행 서비스의 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9544호 (2018.03.21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를 기초로 동행 서비스에 대한 합리적인 비용을 책정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행 난이도 등급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를 동행 후보자에게 미리 제공할 수 있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된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기본 비용에 기초한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이동 수단의 유형을 기초로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수단의 유형별로 난이도 등급이 판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 서비스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입찰 가격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입찰 가격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 서비스의 이동 수단이 도보 이동인 경우, 상기 동행 서비스의 이동 구간에서 건너야 하는 횡단보도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횡단보도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횡단보도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구간에 포함된 각각의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횡단보도 개수 및 상기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이 택시 이동인 경우, 상기 피보호자의 서비스 이력을 기초로 상기 피보호자가 상기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걸린 택시 승차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택시 승차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피보호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요청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 수단에 따라 결정된 이동 경로의 길이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이용하여 선정된 난이도 등급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의 기본 비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동행 서비스 등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동작과, 상기 판정된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동작과, 상기 산출된 기본 비용에 기초한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기본 비용 테이블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2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5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600를 보다 구체적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피보호자는 보호대상이 되는 사람으로서, 동행 서비스가 필요한 교통 약자(예컨대, 노인, 환자 등)일 수 있다.
보호자는 피보호자를 보호하는 사람으로서, 피보호자와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일 수 있다. 예컨대,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자녀, 부모, 형제, 자매, 배우자 등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동행인은 피보호자와 함께 목적지까지 동행하는 사람으로서, 동행 서비스를 피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당사자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 12) 및 동행 서비스 장치(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은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등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을 이용하여,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동행 서비스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은 상기 동행 서비스에 입찰된 복수의 입찰 정보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은 상기 동행 서비스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동행인 정보와 서비스 비용을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2)은 피보호자와 동행을 희망하는 동행 후보자 또는 피보호자와 동행하기로 결정된 동행인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등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행 후보자는 제2 사용자 단말(12)을 이용하여, 게시물에 게시된 동행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은 동행 서비스 장치(1)에 의해서 판정되어, 해당 게시물에 게시될 수 있다. 동행 후보자는 제2 사용자 단말(12)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해서 입찰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입찰된 가격에 의해서 동행자로서 선정되면, 동행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가상 머신 형태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각 사용자의 집 주소, 이동통신 전화번호, 성명, 아이디와 패스워드, 사용자 유형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유형은 사용자가 피보호자, 보호자 또는 동행인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동행인인 경우, 사용자 정보에는 동행인의 평점(평가 점수), 동행 이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행 이력 정보는 해당 동행인이 이전에 수행한 동행 서비스의 수행 정보가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행 서비스의 수행 정보는 이전에 수행한 동행 서비스가 시작된 일시, 동행 서비스가 종료된 일시, 동행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점수, 동행 서비스에서의 계획된 이동 경로, 동행인의 실제 이동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획된 이동 경로는, 이동 수단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도보, 지하철, 버스,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의 차량 또는 택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에 따라 계획된 이동 경로는 동행 서비스 장치(1)에 의해 생성되는 최적의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최적의 경로는 최단 거리 경로, 동행 서비스와 관련하여 안전한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한 경로는 후술할 장애물 여부, 횡단보도 개수, 길이 등에 따라 안전 점수를 스코어 하고, 상기 안전 점수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안전 점수에 대응되는 경로일 수 있다.
또한, 실제 이동 경로는 동행 과정에서 동행인이 이동한 경로로서, 동행인 단말의 GPS 정보를 기초로 추적된 이동 경로일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서비스가 시작되면, 피보호자 단말과 동행인 단말 각각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피보호자와 동행인 각각의 실제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수신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계획된 경로로 피보호자와 동행인이 함께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 점수는, 동행 서비스가 완료된 후에,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입력된 동행인에 대한 평가 점수일 수 있다. 상기 평가 점수의 평균이 환산되어 동행인 평가 점수로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찰 정보에는 입찰 가격과 입찰에 응한 동행인 후보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인 경우, 기존에 제공 받은 동행 서비스의 이력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행 서비스 이력은 동행 서비스의 시작 일시와 종료 일시, 서비스 비용, 동행인 정보, 복수의 입찰 정보, 이동 수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도보, 지하철, 버스,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의 차량, 또는 택시일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이력에 이동 수단 정보로서 택시가 기록된 경우, 상기 택시를 타기까지의 소요된 시간이 추가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택시를 타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서비스가 시작된 시점을 기준으로,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걸린 시간일 수 있다. 사용자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인지 능력이 저하된 경우에 승차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택시에 승차하기까지의 소요된 시간은, 동행인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인이 선정되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이동 수단 정보, 피보호자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의 상세 정보를 동행인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동행인은 피보호자의 위치로 도착한 후, 동행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도착 알림 메시지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도착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동행 서비스가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피보호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도착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시점을 서비스 개시 시각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동행인은 피보호자와 함께 택시에 승차하면 동행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택시 승차 알림 메시지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 전송할 수 있고,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택시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을 택시 승차 시각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택시 승차 시각과 서비스 개시 시각을 이용하여 피보호자가 택시에 승차하기까지의 소요된 시간을 산출하여 서비스 이력에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피보호자의 주변의 택시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택시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행인 단말로부터 택시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피보호자가 택시 정류장에 도달한 시각을 식별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서비스 개시 시각과 택시 정류장에 도달한 시각을 이용하여 택시에 승차하기까지의 소요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부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인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착 알림 메시지의 수신 시각을 이용하여 서비스 개시 시각을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피보호자의 단말 또는 동행인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피보호자가 택시 정류장까지 도달한 시각을 식별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서비스 개시 시각과 택시 정류장 도달 시각을 이용하여, 피보호자가 택시에 탑승하기까지 걸린 소요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택시 호출 플랫폼(도면에 미도시)와 연동하여, 호출된 택시의 대기 위치를 택시 호출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택시의 대기 위치를 비교하여, 동행인 단말로부터 택시 승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피보호자가 택시 정류장에 도달한 시각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출발지(예컨대, 피보호자의 집) 주변의 위치를 택시의 대기 위치로 설정하고, 택시의 대기 위치를 택시 호출 플랫폼으로 전송하여 택시를 호출하고, 택시가 대기 위치에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인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도착 알림 메시지의 수신 시각을 이용하여 서비스 개시 시각을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피보호자의 단말 또는 동행인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피보호자가 택시 대기 위치까지 도달한 시각을 식별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서비스 개시 시각과 택시 대기 위치까지 도달한 시각을 이용하여, 피보호자가 택시에 탑승하기까지 걸린 소요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제1 사용자 단말(11)로부터 동행 서비스를 요청 받으면,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고, 상기 난이도 등급에 따라 상기 동행 서비스의 기본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은 동행 서비스에 대한 입찰 가격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을 기초로 복수의 동행인 후보는 자신의 동행 비용을 산정하여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다양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 별로 상기 기본 비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을 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서비스에 입찰한 복수의 동행 후보자들의 정보와 입찰 가격을 제1 사용자 단말(11)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에 입찰한 복수의 동행 후보자(즉, 입찰자) 중에서,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동행인을 선택 받을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선택된 동행인과 피보호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동행인을 통해서 동행 서비스가 피보호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매칭된 동행인의 단말(12)로 동행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와 낙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방법에 포함되는 제1 단계들은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본 방법의 제2 단계들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방법의 각 단계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행 서비스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단지 예시일 뿐, 이하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즉, 피보호자가 직접 동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또는 보호자가 피보호자를 대신하여 동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동행 서비스를 요청 받을 때에,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피보호자의 식별정보, 이동 수단 유형(예컨대, 도보, 대중교통, 택시 등), 보호자의 식별정보, 피보호자의 전화번호, 보호자의 전화번호, 이동 시간 정보 등을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를 제공받는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는 피보호자의 의식 상태 여부, 이동 여부, 질병 정보, 간병 정보, 간병 이력, 간병 기간 등, 간병 관련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계 S100에서, 이동 수단 유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피보호자의 식별정보를 통하여 조회되는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이동 수단이 동행 서비스 장치(1)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최적의 이동 수단 자동 결정 로직에서, 각 이동 수단 별 이동 난이도가 각각 연산될 수 있다. 각 이동 수단 별 이동 난이도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이동 난이도가 가장 낮은 최적의 이동 수단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지하철의 이동 난이도 연산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지하철 역사 접근성(A)이 평가된다. 다음으로,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철 역사 접근성이 조정된다(A'). 다음으로,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이 연산된다.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 역시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B'). 예를 들어,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에 따를 때 장기간 앉아 있는 것에 무리가 따르는 경우,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이 기준 시간을 초과할 때부터 그 증가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도록 조정된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이 연산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하철의 환승 난이도(C)가 연산된다. 상기 지하철의 환승 난이도는 환승 횟수가 크고, 환승역에서의 이동 거리가 멀수록 큰 값을 갖도록 연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하철의 이동 난이도는 조정된 지하철 역사 접근성(A'), 조정된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 및 환승 난이도(C)를 종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의 이동 난이도는, 조정된 지하철 역사 접근성(A'), 조정된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 및 환승 난이도(C)를 가중 합산 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가 이동 곤란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조정된 지하철 역사 접근성(A') 및 환승 난이도(C)의 가중치가 조정된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의 가중치 보다 높게 세팅될 것이고,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가 장기간 앉는 것이 곤란한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조정된 지하철 탑승 이동 시간(B')의 가중치가 조정된 지하철 역사 접근성(A') 및 환승 난이도(C)의 가중치보다 높게 세팅될 것이다.
택시의 이동 난이도 연산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출발지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탑승 소요 시간(D)이 예측된다. 피보호자가 이전에 이동 수단으로 택시를 활용하여 동행 서비스를 제공 받은 경우, 이전 동행 서비스에서 동행자와 피보호자가 만난 시점부터 택시 탑승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택시 탑승 소요 시간(D)이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의 이동 시간이 택시 수요가 많은 시간인지 여부에 따라, 이전 동행 서비스의 택시 탑승 소요 시간이 가감됨으로써, 택시 탑승 소요 시간(D)이 예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전 동행 서비스는 피보호자가 과거 동행 서비스를 제공 받은 모든 동행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택시 탑승 소요 시간(D)는 피보호자가 과거 동행 서비스를 제공 받은 복수의 동행 서비스에서 산출된 택시 탑승 소요 시간의 평균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이 연산된다. 택시 탑승 이동 시간은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E'). 예를 들어,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에 따를 때 장기간 앉아 있는 것에 무리가 따르는 경우,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이 기준 시간을 초과할 때부터 그 증가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도록 조정된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이 연산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택시의 이동 난이도는 택시 탑승 소요 시간(D) 및 조정된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을 종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의 이동 난이도는, 택시 탑승 소요 시간(D) 및 조정된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을 가중 합산 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가 이동 곤란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택시 탑승 소요 시간(D)의 가중치가 조정된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의 가중치 보다 높게 세팅될 것이고,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가 장기간 앉는 것이 곤란한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조정된 택시 탑승 이동 시간(E')의 가중치가 택시 탑승 소요 시간(D)의 가중치보다 높게 세팅될 것이다.
도보의 이동 난이도 연산 방식을 설명한다. 도보의 이동 난이도는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이동 경로의 거리를 이용하여 연산된다. 또한, 이렇게 연산된 도보의 이동 난이도는 보행 환경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상에 횡단 보도가 많거나, 횡단보도의 길이가 긴 것일수록 상기 연산된 도보의 이동 난이도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경로에 도로에 바로 인접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상기 연산된 도보의 이동 난이도가 증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경로가 포함하는 아파트 단지 내 인도 또는 공원 내 산책 경로가 포함하는 인도가 아닌 것이라면, 상기 연산된 도보의 이동 난이도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연산된 도보의 이동 난이도는 상기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더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 정보가 이동 곤란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 상기 연산된 도보의 이동 난이도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이동 수단 유형을 기초로 난이도 등급이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수단의 유형 별로 서로 상이한 난이도 등급이 판정될 수 있다. 상기 난이도 등급이 높을수록(예컨대, 등급 숫자가 낮을수록) 더 어려운 동행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다.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 S2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요청된 동행 서비스를 입찰 게시물에 등록할 수 있다(S300).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예컨대, 출발지, 목적지, 이동 수단 종류 등)와 상기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 등급을 게시물에 등록하여, 동행 후보자들에게 해당 동행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동행 서비스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S400). 몇몇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기본 비용을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에 대한 예상 비용을 예측되게 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기본 비용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난이도 등급에 대응되는 기본 비용을 상기 기본 비용 테이블에서 식별함으로써,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기본 비용 테이블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 비용 테이블에는 난이도 등급별로 서로 상이한 기본 비용이 매핑되어 있다. 난이도 등급이 높을수록 더 비싼 기본 비용이 매핑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며, 제10 등급이 가장 낮은 등급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기본 비용은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바,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기본 비용의 구체적인 금액은 조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동행 후보자를 식별한 후, 상기 식별한 각 동행 후보자에 대해서 상기 기본 비용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한 기본 비용을 해당 동행 후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00).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를 열람한 사용자들을 상기 동행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는 동행 후보자로서 식별할 수 있다. 동행 후보자에 대해서 기본 비용을 조정하는 단계 S5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기본 비용을 조정하는 단계 S500은 필수 수행 구성요소가 아닌 바, 생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들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0). 상기 입찰 정보에는 입찰자 정보(즉, 동행 후보자의 정보)와 입찰 가격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당 동행 후보자로부터 수신된 입찰 가격은, 상기 동행 후보자에게 제공된 기본 비용을 기초로 하여 조정된 비용일 수 있다. 예컨대, 동행 후보자는 상기 기본 비용에서 조정 금액(α)을 차감하거나 가산하고, 이렇게 기본 비용에서 조정 금액(α)이 가산 또는 차감된 입찰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수신한 복수의 입찰 정보를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한 후,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어느 한 동행 후보자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즉,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는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제공 받은 입찰 정보로부터 입찰 가격과 동행인 후보를 확인하고, 이 중에서 어느 한 동행인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선택된 동행인 후보를 상기 피보호자의 동행인으로서 매칭할 수 있다(S700). 상기 매칭된 동행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입찰한 서비스 비용, 동행 후보자의 평점, 동행 후보자의 기본 비용 중에서 하나 이상을 기초로, 동행 서비스에 적합한 소정 개수의 동행 후보자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소정 개수의 동행 후보자들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또는 피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입찰된 서비스 비용, 동행 후보자의 평점, 동행 후보자의 기본 비용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서비스 비용, 동행 후보자의 평점 및 동행 후보자를 합산한 후, 합산된 점수를 기초로 피보호자와 매칭될 수 있는 동행 후보자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입찰된 서비스 비용이 낮을수록 상기 합산된 점수는 높아지고, 후보자의 평점이 높을수록 상기 합산된 점수가 높아질 수 있다.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가, 매칭된 동행 후보자가 제시한 입찰 가격(즉, 동행 비용)을 지불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매칭된 동행 후보자(이하, '동행인'이라고 지칭함)에 의해 동행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S800).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인의 단말로 동행 서비스에 낙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행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상기 동행인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요구되는 시간에 동행 서비스가 동행인에 의해서 진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에는 계획된 이동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인의 상세정보를 피보호자와 보호자 단말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인에 의해서 서비스가 진행되면, 동행인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예컨대, GPS 좌표)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동행인이 계획된 경로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인이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이탈한 경우, 동행인의 위치(또는 피보호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계획된 이동 경로를 다시 생성하여 동행인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은, 피보호자의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요청의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된 정보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 전송함으로써 동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1)은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의 기본 비용을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수단에 따라 결정된 이동 경로의 길이 및 이동 경로 상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선정된 난이도 등급을 기초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횡단보도이거나, 환승 횟수이거나, 층간 이동 횟수일 수 있다. 부연하면, 이동 수단이 도보인 경우, 이동 경로 상의 장애물은 횡단 보도일 수 있다. 이동 수단이 대중 교통으로서 환승을 수반하는 것인 경우, 이동 경로 상의 장애물은 환승의 횟수이거나 층간 이동 횟수일 수 있다. 장애물이 많아질수록,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 등급이 높아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은 기본 비용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기본 비용에 대한 동의 또는 조정을 수반하는 동행 서비스 등록을 제1 사용자(예컨대,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이 상기 기본 비용에 동의를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경우에, 상기 기본 비용에 동의하는 메시지가 동행 서비스 장치(1)로 전송되고,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 비용에 대한 기본 비용을 확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 단말(11)이 상기 기본 비용에 대한 조정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경우에, 제1 사용자 단말(11)은 상기 기본 비용에 대한 조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동행 서비스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기본 비용을 조정하여 다시 제1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본 비용에 대한 조정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본 비용의 조정이 허락되는 횟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비용의 조정이 허락되는 횟수 내에 기본 비용의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기본 비용에 소정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기본 비용을 조정할 수 있다. 반면에, 기본의 조정이 허락되는 횟수를 초과하여 기본 비용의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기본 비용에 대한 조정을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제1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조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 받으면, 이동 수단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기본 비용의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정 요구 전 기본 비용이 이동 수단으로서 택시가 채택된 것이었다면, 조정 요구 후의 기본 비용은 이동 수단으로서 지하철이 채택된 것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부연하면, 제1 사용자(즉,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는 동행 서비스를 요청하여 기본 비용을 동행 서비스 장치(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본 비용을 인지한 후에, 상기 기본 비용을 기초로 동행 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에 동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동행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앞서 상술한 기본 비용에 대한 제1 사용자의 동의에 관한 입력 없이, 동행 서비스 장치(1)에서 동행 서비스 요청 수신에 따라 동행 서비스를 등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비용을 보호자(또는 피보호자)에게 제공하여, 동행 서비스의 예상 비용이 예측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비용을 기초로 동행 서비스에 관한 입찰을 진행하고자 하는 동행 후보자가 동행 서비스에 관한 입찰 비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행 후보자는 상기 기본 비용을 고려하여 동행 서비스에 관한 난이도를 대략적으로 판단하고, 동행 서비스에 관해 동행 후보자 각각의 입찰 비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보호자(또는 피보호자)는 동행 후보자가 제시한 입찰 정보를 확인하고, 가장 적절한 동행 후보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2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기 저장된 피보호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1). 상기 피보호자의 정보에는 피보호자의 성별, 나이, 인지 능력 상태, 거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 능력 상태는 사람/사물을 구별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지 능력 상태는 등급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피보호자의 인지 능력 상태는 1등급에서부터 9등급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1 등급은 피보호자가 대부분의 사물과 사람을 인지할 수 있는 상태이고, 9 등급은 사물과 사람을 거의 인지할 수 상태일 수 있다. 또는 피보호자의 인지 능력 상태를 인지 가능 또는 인지 불가능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상기 거동 상태는, 피보호자가 혼자서 거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1 등급에서부터 3 등급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1 등급은 혼자서 거동할 수 있는 상태이고, 2 등급은 지팡이 등과 같은 보조 수단을 이용하여 거동할 수 있는 상태이며, 3 등급은 휠체어를 이용하여만 거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지 능력 상태와 상기 거동 상태에 관한 설명은 일 예에 해당되는 바,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피보호자의 성별, 나이, 인지 능력 상태, 거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S212).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보호자의 성별, 나이, 인지 능력 상태, 거동 상태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각 가중치가 부여된 피보호자의 성별, 나이, 인지 능력 상태, 거동 상태를 합산하고, 합산된 점수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합산된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인지 능력 상태와 거동 상태에 각각에는 음의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성별이 남자인 경우에, 제1 점수가 부여되어 합산될 수 있고, 성별이 여자인 경우에 제1 점수보다 큰 제2 점수가 부여되어 합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별이 여자일수록 상기 합산된 점수가 높아지고, 나이가 많을수록 합산된 점수가 높아지고, 인지 능력 상태가 저하될수록(예컨대, 인지 능력 등급이 낮을수록) 합산된 점수가 높아지고, 거동 상태가 안 좋을수록(예컨대, 거동 등급이 낮을수록) 합산된 점수가 높아질 수 있다. 부연하면, 성별이 여자이거나 나이가 많거나, 인지 능력 상태가 저하되거나, 거동 상태가 안 좋으면, 더 높은 난이도 등급으로 판정될 수 있다.
상기 난이도 등급은 앞서 상술한 이동 수단에 따른 난이도 산출 방법과 조합되어 산출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행 서비스에 관한 난이도를 산출할 때, 동행 서비스가 포함하는 이동 수단으로 난이도를 산출하고, 앞서 상술한 피보호자의 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난이도를 조합하여, 최종 동행 난이도를 산출할 수 있다. 조합 방법은 각 방법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활용하여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통해 조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2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고,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221). 이때,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가 설정한 이동 수단을 기초로, 도보 경로, 대중 교통에 따른 이동경로 또는 택시를 이용한 이동 경로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경로의 총 거리를 상기 이동 거리인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측정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S222).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이도 등급은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더 높아질 수 있다. 즉, 이동 거리가 길어질수록 난이도 등급이 높아질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2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과거의 입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1).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피보호자의 서비스 이력에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복수의 입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해서 이전에 입찰되었던 복수의 입찰 정보가 서비스 이력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입찰 정보에는 동행 서비스의 입찰 가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획득한 각 입찰 정보에서 입찰 가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복수의 입찰 가격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S232).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피보호자의 보호 등급에 따라 상기 산출한 평균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S233).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산출한 입찰 가격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S234).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이도 등급은 입찰 가격의 평균값에 비례하여 높아질 수 있다. 즉, 입찰 가격의 평균값이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어려운 동행 서비스인 것일 수 있으므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도 높아질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2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고, 더불어 상기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S241).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식별한 이동 수단이 도보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242), 식별한 이동 수단이 도보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를 이용한 계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계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계획 경로를 생성할 때에,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에 가지는 계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계획 경로에 포함된 횡단보도의 개수와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S243).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횡단보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획 경로에 포함된 횡단보도의 개수와 횡단보도의 총 길이가 산출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도로에 포함된 횡단 보도의 위치와 도로의 폭(즉, 횡단보도의 길이)가 포함되어 있고,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계획 경로에 따라 도보로 이동한 경우에, 경유해야 되는 횡단보도의 개수와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횡단보도의 총 길이는 각 횡단 보도의 횡단 직선 길이의 총합으로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각 횡단 보도의 횡단 직선 길이를 합산함으로써, 상기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산출한 횡단보도의 개수, 횡단보도의 총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S244).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횡단보도의 개수와 상기 횡단보도의 총 길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횡단보도의 개수와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합산하고, 합산된 점수를 기초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합산된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즉, 횡단보도의 개수가 많거나 횡단보도의 총 길이가 길수록 합산된 점수가 높아져 높은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42 판정 결과 이동 수단이 도보가 아니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인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S245). 목적지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계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계획 경로를 생성할 때에,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에 가지는 계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계획 경로에 포함된 환승 횟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S246), 또한 환승할 때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247). 상기 환승 횟수는 버스로의 환승 횟수 및 전철로의 환승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류장 정보, 버스 노선 정보, 전철 플랫폼 정보, 전철 노선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계획 경로에 포함된 환승 횟수, 환승시 걸어야 되는 총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환승 시 발생하는 하는 층간 이동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S248). 상기 층간 이동 횟수는 전철에서 버스로의 환승, 버스에서 전철로의 환승, 제1 전철 노선에서 제2 전철 노선으로의 환승시에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지하 2층에서 지상의 버스로 환승하기 위해서, 지하 2층에서부터 지하 1층,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층간 이동 횟수는 총 2 횟수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이동 횟수도,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전철 플랫폼 정보와 전철 역의 층 정보가 이용되어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산출된 환승 횟수, 환승 이동 거리 및 층간 이동 횟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S249). 일 실시예에서, 환승 횟수, 환승 이동 거리 및 층간 이동 횟수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환승 횟수, 환승 이동 거리 및 층간 이동 횟수를 합산하고, 합산된 점수를 기초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합산된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즉, 환승 횟수가 많거나, 환승 이동 거리가 길거나, 층간 이동 횟수가 많으면, 합산된 점수가 높아져 상대적으로 높은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45 판정 결과 이동 수단이 대중교통이 아니라 택시로 판정되면, 목적지까지 택시를 이용한 이동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피보호자의 서비스 이력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250). 즉,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기 저장된 피보호자의 서비스 이력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서비스 이력에서 택시를 승차하기까지 소요된 시간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시간들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S251). 즉,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서비스 이력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피보호자가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걸린 평균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산출된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S252). 일 실시예에서, 피보호자가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걸린 평균 소요 시간이 길수록, 높은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부연하면, 피보호자가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걸린 평균 소요 시간이 길면, 피보호자의 거동이 불편하거나 인지 상태가 안 좋아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것으로 예상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동행 서비스의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난이도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 비용은 기본 비용에 종속되고 기본 비용은 상기 난이도 등급에 종속되기 때문에, 정확한 난이도 등급이 결정되는 것을 통해 합리적인 동행 서비스 비용이 책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5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게시물에 게시된 동행 서비스에 관심을 표명한 동행 후보자의 동행 이력을 추출할 수 있다(S511).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추출한 동행 후보자의 동행 이력에서, 상기 동행 부호자에 대한 서비스 평가 점수(즉, 평점)를 식별할 수 있다(S512). 즉,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로부터 동행 서비스를 이미 제공받은 고객(즉,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이 상기 동행 후보자를 평가한 점수를 상기 동행 이력으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식별한 동행 후보자의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동행 후보자에 대한 기본 비용을 조정할 수 있다(S513). 일 실시예에서, 평가 점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점수보다 높으면, 상기 기본 비용이 상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평가 점수가 상기 기준 점수보다 낮으면 상기 기본 비용이 하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의 하향 폭과 상향 폭은, 기본 점수와 평가 점수 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5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게시물에 게시된 동행 서비스에 관심을 표명한 동행 후보자의 동행 이력을 추출할 수 있다(S521).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추출한 동행 후보자의 동행 이력에서, 상기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와 계획된 이동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동행 후보자가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피보호자와 함께 동행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522).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상의 GPS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동행 후보자가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동행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와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를 비교하여, 동행 후보자가 피보호자와 정상적으로 동행하였는지를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피보호자의 단말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GPS 정보를 포함하는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동행인 후보의 단말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GPS 정보를 포함하는 동행인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동행 후보자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이탈한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S523).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에,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상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상의 GPS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동행 후보자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동행 후보자에 의해 수행된 동행 서비스가 복수 개인 경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해당 동행 서비스가 제공될 때에 계획된 경로에서 동행 후보자가 이탈된 횟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이탈 횟수의 평균을 산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들과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들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기초로 동행 후보자가 피보호자로부터 이탈된 횟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와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피보호자로부터 동행 후보자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로부터 이탈된 횟수는 단계 S523에서 산출된 이탈 횟수(즉, 계획된 경로에서 이탈된 횟수)에 가산될 수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산출된 이탈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동행 후보자에 대한 기본 비용을 조정할 수 있다(S524). 일 실시예에서, 이탈 횟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 적으면, 상기 기본 비용이 상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보다 많으면 상기 기본 비용이 하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의 하향 폭과 상향 폭은, 이탈 횟수와 상기 기준 횟수 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동행 후보자의 이탈 횟수 정보를 데이터화 하고, 상기 정보를 피보호자에게 제공하여, 피보호자가 동행 서비스 관련 동행 후보자 선택시 상기 이탈 횟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보호자는 동행 서비스 관련 동행 후보자가 이탈 횟수가 가장 적은 후보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횟수 정보는 동행 후보자의 평가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5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게시물에 게시된 동행 서비스에 관심을 표명한 동행 후보자의 동행 이력을 추출할 수 있다(S531).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추출한 동행 후보자의 동행 이력에서, 상기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와 계획된 이동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동행 후보자가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피보호자와 함께 동행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532).
다음으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동행 후보자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이탈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533). 상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상의 GPS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서, 동행 후보자가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동행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격된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이탈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들과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기초로 동행 후보자가 피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동행 후보자의 실제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와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에 포함된 GPS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서 동행 후보자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었는지를 판정하고 더불어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이탈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시간은 단계 S533에서 산출된 이탈 시간(즉, 계획된 경로에서 이탈된 시간)에 가산될 수 있다. 동행 후보자에 의해 수행된 동행 서비스가 복수 개인 경우, 동행 서비스 장치(1)는 해당 동행 서비스가 제공될 때에 계획된 경로에서 동행 후보자가 이탈된 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 이탈 시간에 대한 평균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동행 서비스 장치(1)는 상기 산출된 이탈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비용을 조정할 수 있다(S534). 일 실시예에서, 이탈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적으면, 상기 기본 비용이 상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많으면 상기 기본 비용이 하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의 하향 폭과 상향 폭은, 기본 시간과 이탈 시간 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동행 후보자의 이탈 시간 정보를 데이터화 하고, 상기 정보를 피보호자에게 제공하여, 피보호자가 동행 서비스 관련 동행 후보자 선택시 상기 이탈 시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보호자는 동행 서비스 관련 동행 후보자가 이탈 시간이 가장 적은 후보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시간 정보는 동행 후보자의 평가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성실한 동행 후보자에게 증가된 기본 비용을 책정하고 불성실한 동행 후보자에게는 감소된 기본 비용을 책정함으로써, 실력 있는 동행 후보자들로 하여금 합당한 비용을 지불 받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600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행 서비스 장치(1)는 동행 후보자에게 조정된 기본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S611). 상기 기본 비용은, 동행 서비스 비용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초가 되는 비용으로서, 동행 서비스를 요청한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동행 후보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본 비용을 제공받은 동행 후보자는 상기 기본 비용을 기초로 입찰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입찰 가격은 기본 비용에서 조정 금액이 차감되거나 증가된 금액일 수 있다.
동행 서비스 장치(1)는 기본 비용에서 조정 비용이 차감 또는 증가된 입찰 가격을 상기 동행 후보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612).
이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는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컴퓨팅 장치(10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명세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0)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0)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메모리(140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버스(1600)는 컴퓨팅 장치(10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버스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0)는 통신망(500)과 연결할 수 있다.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300)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을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동작과, 상기 판정된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동작과, 상기 산출된 기본 비용에 기초한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된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기본 비용에 기초한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이동 수단의 유형을 기초로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의 유형별로 난이도 등급이 판정되는 것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입찰 가격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입찰 가격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찰 가격이 높을수록 상기 난이도 등급이 높아지는 것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 서비스의 이동 수단이 도보 이동인 경우, 상기 동행 서비스의 이동 구간에서 건너야 하는 횡단보도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횡단보도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구간에 포함된 각각의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횡단보도 개수 및 상기 횡단보도의 총 길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수단이 택시 이동인 경우, 상기 피보호자의 서비스 이력을 기초로 상기 피보호자가 상기 택시에 승차하기까지 걸린 택시 승차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택시 승차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인 후보자에 대한 평가 점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비용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상기 동행인 후보자 각각의 입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행 서비스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행 서비스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9.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 되는 방법에 있어서,
    피보호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요청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의 이동 수단에 따라 결정된 이동 경로의 길이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이용하여 선정된 난이도 등급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의 기본 비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동행 서비스 등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도보인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장애물은 횡단 보도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대중 교통으로서 환승을 수반하는 것인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장애물은 환승의 횟수 또는 환승 시 층간 이동 횟수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피보호자에 대한 동행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난이도 등급을 판정하는 동작;
    상기 판정된 난이도 등급을 이용하여 상기 동행 서비스 요청에 대한 기본 비용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기본 비용에 기초한 입찰 가격을 포함하는 입찰 정보를 동행인 후보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10086428A 2021-07-01 2021-07-01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3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28A KR102338671B1 (ko) 2021-07-01 2021-07-01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3558A KR20230005721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3557A KR20230005720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428A KR102338671B1 (ko) 2021-07-01 2021-07-01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558A Division KR20230005721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3557A Division KR20230005720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671B1 true KR102338671B1 (ko) 2021-12-13

Family

ID=7883181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428A KR102338671B1 (ko) 2021-07-01 2021-07-01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3558A KR20230005721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3557A KR20230005720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558A KR20230005721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3557A KR20230005720A (ko) 2021-07-01 2021-12-07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386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97B1 (ko) * 2006-08-08 2008-05-21 심재범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KR20100097448A (ko) * 2009-02-26 2010-09-03 전송원 이동지사를 통한 도우미 서비스 방법
JP2011247634A (ja) * 2010-05-24 2011-12-08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そ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80029544A (ko) 2016-09-13 2018-03-21 최영진 병원 동행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200066794A (ko) * 2018-12-03 2020-06-11 박익수 헬스 케어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3141B1 (ko) * 2019-12-24 2020-07-10 권효진 종합병원 원내동행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76337A (ko) * 2019-12-16 2021-06-24 박성현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가사 도우미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97B1 (ko) * 2006-08-08 2008-05-21 심재범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KR20100097448A (ko) * 2009-02-26 2010-09-03 전송원 이동지사를 통한 도우미 서비스 방법
JP2011247634A (ja) * 2010-05-24 2011-12-08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そ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80029544A (ko) 2016-09-13 2018-03-21 최영진 병원 동행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200066794A (ko) * 2018-12-03 2020-06-11 박익수 헬스 케어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6337A (ko) * 2019-12-16 2021-06-24 박성현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가사 도우미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3141B1 (ko) * 2019-12-24 2020-07-10 권효진 종합병원 원내동행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721A (ko) 2023-01-10
KR20230005720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2977B2 (ja) 旅行の複数要因ベースのランク付け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Rahaman et al. CAPRA: A contour-based accessible path routing algorithm
JP6988682B2 (ja) 乗合支援装置、乗合支援システム及び乗合支援方法
Kim et al. Why do passengers choose a specific car of a metro train during the morning peak hours?
JP6521930B2 (ja) 評価装置、評価方法および評価プログラム
Asghari et al. An on-line truthful and individually rational pricing mechanism for ride-sharing
JP7078357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WO2018100824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396359B2 (ja) 支援者選定装置、支援者選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Hasnine et al. A random utility maximization (RUM) based measure of accessibility to transit: Accurate capturing of the first-mile issue in urban transit
JP6464068B2 (ja) ポイントシステム、ポイント決定方法
CN110709884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2338671B1 (ko) 동행 난이도에 따른 동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Hasan et al. Determining the most suitable pedestrian level of service method for Dhaka city, Bangladesh, through a synthesis of measurements
Kim et al. An Empirical Analysis for Mode Choice in a Short‐Distance Trip with Personal Rapid Transit
JP20092307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Ann et al.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satisfaction towards e-hailing service among Malaysian
JP2013007577A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装置、端末装置、経路探索方法および経路探索プログラム
KR102532112B1 (ko) 개인형 이동장치 신규 이용수요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180076354A (ko) 개인화된 맞춤형 운동 컨설팅 정보의 제공 방법
JP6978230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算出装置
Ettelman et al. Identifying transportation solutions that promote healthy aging for Texas
Wences et al. Decision-making intelligent system for passenger of urban transports
JP2021060659A (ja) 提案装置、提案方法及び提案プログラム
KR20200089049A (ko)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