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507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507B1
KR102338507B1 KR1020170099030A KR20170099030A KR102338507B1 KR 102338507 B1 KR102338507 B1 KR 102338507B1 KR 1020170099030 A KR1020170099030 A KR 1020170099030A KR 20170099030 A KR20170099030 A KR 20170099030A KR 102338507 B1 KR102338507 B1 KR 10233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dci
downlink data
reg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15A (ko
Inventor
김태형
김영범
여정호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507B1/ko
Priority to US16/050,576 priority patent/US10567114B2/en
Priority to EP20160510.2A priority patent/EP3681090B1/en
Priority to EP18187139.3A priority patent/EP3439222B1/en
Priority to CN201810875063.XA priority patent/CN109391459B/zh
Publication of KR2019001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 사이의 자원 공유를 제안함으로써 단말의 전력소모 감소와 동시에 기지국의 자원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자원영역을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한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 채널들의 전송을 지원하려면 이와 관련된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종래의 4G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은 단말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적절하게 수신, 복조 및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과 단말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사용하는 자원과 전송포맷에 대하여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및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nowledgement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LTE에서는 그 중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과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전송하는 물리계층 전송 채널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존재하며, 이는 각 서브프레임의 앞부분에서 전 대역에 걸쳐 전송된다. 즉, 서브프레임은 제어영역과 데이터영역으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제어 영역의 크기는 1, 2, 혹은 3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차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OFDM 심볼 개수로 표현되는 제어영역의 크기는 주로 시스템 대역폭의 크기와 방송을 위한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서브프레임의 설정 여부 등의 특별한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통해 각 단말들에게 지시될 수 있다.
한 편, 5G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과는 달리 높은 전송속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매우 짧은 전송 지연을 갖는 서비스 및 높은 연결 밀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 및 서비스를 만족시키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송수신 파라미터(Parameter)를 갖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향후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를 고려하여 추가되는 서비스가 현재 시스템에 의해 제한되는 제약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 간 간격에 대하여 scalable numerology를 사용하고 이를 동시 지원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갖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에 서비스 받을 수도 있다. 필연적으로 5G에서는 기존 LTE와는 다르게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보다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LTE에서 사용되던 PDCCH는 전대역에 걸쳐서 전송되고 제어 영역의 크기가 셀 특정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그 유연성을 확보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어채널이 서비스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따라 유연하게 할당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 중에 있다. 일 예로, 5G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어영역 (CORESET: Control Resource Set)은 주파수 축으로 전대역으로 전송되지 않고 특정 서브밴드(subband)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고, 시간 축으로는 서로 다른 크기의 OFDM 심볼 개수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시스템 내에 제어영역은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고, 하나의 단말에게 다수 개의 제어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 여부에 따라 제어영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유연하게 지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단말의 전체 탐색공간으로부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지시하는 제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하는 단계, 제1 DCI와 관련된 데이터가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 영역 상에 맵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데이터가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 영역 상에 맵핑되는지에 기초하여, 단말의 탐색공간으로부터 제2 DCI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의 전체 탐색공간으로부터 하향링크 스케쥴링을 지시하는 제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하고, 제1 DCI와 관련된 데이터가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 영역 상에 맵핑되는지 판단하고, 데이터가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 영역 상에 맵핑되는지에 기초하여 단말의 탐색공간으로부터 제2 DCI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방법은,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에 맵핑된 제1 자원 영역이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2 자원 영역과 겹치는지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에 맵핑된 제1 자원 영역과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2 자원 영역이 겹치는 비율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제2 자원 영역 상에 맵핑하여 전송할지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에 맵핑된 자원 영역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에 맵핑된 제1 자원 영역이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2 자원 영역과 겹치는지 판단하고, 데이터에 맵핑된 제1 자원 영역과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제2 자원 영역이 겹치는 비율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제2 자원 영역 상에 맵핑하여 전송할지 결정하고, 데이터에 맵핑된 자원 영역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영역을 효율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데이터채널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저전력 모니터링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단말 구현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LTE에서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LTE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와 EPDCC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5G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5G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자원영역 할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5G에서 고려하는 제어영역을 재사용하며 PDSCH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따르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따르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따르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혹은 MS(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혹은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 기계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초신뢰 저지연 통신(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ciation, URLLC) 등이 있다.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욱 향상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한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된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를 요구한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라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갖는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ransmit Time Interval, TTI)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된다.
5G의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메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LTE 및 LTE-A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는 LTE에서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mb (101)개의 OFDM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102)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3)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그리고 라디오 프레임(10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 단위이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 (105)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06,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7, Resource Block, RB 혹은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 (101)개의 연속된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108)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108)는 Nsymb x NRB 개의 RE(106)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단위는 상기 RB 단위이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Nsymb = 7, NRB=12 이고, NBW 및 NRB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다음으로 LTE 및 LTE-A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는 여러 가지 포맷으로 정의되어,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인 DCI format 1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자원 할당 유형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 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유형 0 인지 유형 1 인지 통지한다. 유형 0 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 (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resource block)이고, RBG 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유형 0 방식에서의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유형 1 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통지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통지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통지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통지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통지한다.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통지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DCI는 하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assignment): PDSCH 자원 지정, 전송포맷, HARQ 정보, 공간다중화 관련 제어정보
-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grant): PUSCH 자원 지정, 전송포맷, HARQ 정보, PUSCH 전력제어
- 단말 집합에 대한 전력제어 명령
서로 다른 제어정보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DCI 메시지 크기를 갖고 이는 서로 다른 DCI 포맷으로 분류된다. DCI 포맷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자면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DCI 포맷 1/1A/2/1C/1D/2/2A/2B/2C로 전송이 되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은 DCI 포맷 0/4로 전송이 되고, 전력제어 명령은 DCI 포맷 3/3A로 전송이 된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다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스케줄링 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DCI 전송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혹은 EPDCCH (Enhanced PDCCH)를 통해 전송된다.
DCI 메시지 payload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붙으며, CRC는 단말의 신원에 해당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스크램블링(scrambling) 된다. DCI 메시지의 목적, 예를 들어 단말-특정(UE-specific)의 데이터 전송, 전력제어 명령 혹은 랜덤 엑세스 응답 등에 따라 서로 다른 RNTI 들이 사용된다. 곧, RNTI가 명시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CRC 계산과정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DCI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할당 받은 RNTI를 사용하여 CRC를 확인하여 CRC 확인 결과가 맞으면 해당 메시지는 그 단말에게 전송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LTE 및 LTE-A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LTE의 DCI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채널인 PDCCH(201)와 EPDCCH(Enhanced PDCCH, 20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PDCCH(201)은 데이터 전송 채널인 PDSCH(203)와 시간다중화 되고, 전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전송된다. PDCCH(201)의 영역은 OFDM 심볼 개수로 표현이 되며, 이러한 OFDM 심볼 개수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로 단말에게 지시된다. PDCCH(201)를 서브프레임의 앞부분에 오는 OFDM 심볼에 할당함으로써, 단말이 최대한 빨리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디코딩 지연, 즉 전체적인 하향링크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PDCCH는 하나의 DCI 메시지를 운반하고,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다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스케쥴링될 수 있으므로, 각 셀 내에서는 다수개의 PDCCH의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PDCCH(201)의 디코딩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는 CRS(204)가 사용된다. CRS(204)는 전대역에 걸쳐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고 셀 ID(Identity)에 따라 스크램블링 및 자원 매핑이 달라진다. CRS(204)는 모든 단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레퍼런스 신호이기 때문에 단말-특정 빔포밍이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LTE의 PDCCH에 대한 다중안테나 송신기법은 개루프 송신 다이버시티로 한정된다. CRS의 포트 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디코딩으로부터 암묵적으로 단말에게 알려진다.
PDCCH(201)의 자원 할당은 CCE(Control-Channel Element)를 기반으로 하며, 하나의 CCE는 9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 즉 총 36개의 RE(Resource Element)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 PDCCH(201)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1, 2, 4, 8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DCI 메시지 payload의 채널 코딩율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CCE 개수는 PDCCH(201)의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은 PDCCH(201)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신호를 검출해야 하는데, LTE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해 CCE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탐색공간(search space)를 정의하였다. 탐색공간은 각 CCE의 aggregation level(AL)에 복수 개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고 단말 신원에 의한 함수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통해 암묵적으로 정의된다. 각 서브프레임 내에서 단말은 설정된 탐색공간 내의 CCE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자원 후보군(candidate)에 대하여 PDCCH(201)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CRC 확인을 통해 해당 단말에게 유효하다고 선언된 정보를 처리한다.
탐색공간은 단말-특정(UE-specific) 탐색공간과 공통(Common) 탐색 공간으로 분류된다. 일정 그룹의 단말들 혹은 모든 단말들이 시스템정보에 대한 동적인 스케줄링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셀 공통의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PDCCH(201)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의 사업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의 전송을 위한 DL-SCH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PDCCH(201)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EPDCCH(202)는 PDSCH(203)와 주파수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기지국에서는 스케줄링을 통해 EPDCCH(202)와 PDSCH(203)의 자원을 적절히 할당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 LTE 단말을 위한 데이터 전송과의 공존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EPDCCH(202)는 시간 축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할당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지연 시간 관점에서 손해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수의 EPDCCH(202)는 하나의 EPDCCH(202) set을 구성하게 되고 EPDCCH(202) set의 할당은 PRB(Physical Resource Block) pair 단위로 이루어 진다. EPDCCH set에 대한 위치 정보는 단말-특정적으로 설정되며 이는 RRC(Remote Radio Control)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각 단말에게는 최대 두 개의 EPDCCH(202) set이 설정될 수 있고, 하나의 EPDCCH(202) set은 서로 다른 단말에게 동시에 다중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EPDCCH(202)의 자원할당은 ECCE(Enhanced CCE)를 기반으로 하며, 하나의 ECCE는 4개 또는 8개의 EREG(Enhanced REG)로 구성될 수 있고 ECCE 당 EREG의 개수는 CP길이와 서브프레임 설정정보에 따라 달라진다. 하나의 EREG는 9개의 RE들로 구성되고, 따라서 EREG는 PRB pair 당 16개가 존재할 수 있다. EPDCCH 전송 방식은 EREG의 RE 매핑 방식에 따라 localized/distributed 전송으로 구분된다. ECCE의 aggregation 레벨은 1, 2, 4, 8, 16, 32가 될 수 있으며, 이는 CP 길이, 서브프레임 설정, EPDCCH 포맷, 전송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EPDCCH(202)는 오직 단말-특정 탐색 공간만을 지원한다. 따라서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반드시 기존 PDCCH(201) 상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해야 한다.
PDCCH(201)과는 다르게 EPDCCH(202)에서는 디코딩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205)가 사용된다. 따라서 EPDCCH(202)에 대한 프리코딩은 기지국이 설정할 수 있고, 단말-특정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DMRS(205)를 통해 단말들은 어떠한 프리코딩이 사용되었는지 알지 못해도 EPDCCH(202)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EPDCCH(202)에서는 PDSCH(203)의 DMRS와 동일한 패턴을 사용한다. 하지만 PDSCH(203)과는 다르게 EPDCCH(202)에서의 DMRS(205)는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DMRS(205)는 EPDCCH가 전송되는 해당 PRB에서만 전송된다.
DMRS(205)의 포트 설정 정보는 EPDCCH(202) 전송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Localized 전송 방식의 경우, EPDCCH(202)가 매핑되는 ECCE에 해당하는 안테나 포트는 단말의 ID에 기반하여 선택된다. 서로 다른 단말이 동일한 ECCE를 공유하는 경우, 즉 다중사용자 MIMO (Multiuser MIMO) 전송이 사용될 경우, DMRS 안테나 포트가 각 단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혹은 DMRS(205)를 공유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DMRS(205)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Sequence)로 구분할 수 있다. Distributed 전송 방식의 경우, DMRS(205)의 안테나 포트는 두 개까지 지원되며, 프리코더 싸이클링(Precoder Cycling) 방식의 다이버시티 기법이 지원된다. 하나의 PRB pair내에서 전송되는 모든 RE들에 대하여 DMRS(205)가 공유될 수 있다.
다음으로 LTE 및 LTE-A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전송을 위한 탐색 공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LTE에서 전체 PDCCH 영역은 논리영역에서의 CCE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CCE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탐색공간이 존재한다. 탐색 공간은 공통 탐색공간와 단말-특정 탐색공간으로 구분되고, LTE 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은 3GPP TS 36.213에 기술된 바에 따라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의된다.
[표 1]
Figure 112017075458078-pat00001
상기 표 1에 기술한 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르면 단말-특정 탐색공간은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고 단말 신원(identity)에 의한 함수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통해 암묵적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하자면, 단말-특정의 탐색공간이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이는 시간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들 사이에서 다른 단말들에 의하여 특정 단말이 탐색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Blocking 문제로 정의한다.)를 해결해준다. 만약 자기가 조사하는 모든 CCE들이 이미 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스케쥴링된 다른 단말들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어떠한 단말이 스케쥴링되지 못한다면, 이러한 탐색공간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 다음 서브프레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단말#1과 단말#2의 단말-특정 탐색공간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을지라도, 서브프레임 별로 단말-특정 탐색공간이 변하기 때문에,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중첩은 이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르면 공통 탐색공간의 경우 일정 그룹의 단말들 혹은 모든 단말들이 PDCCH를 수신해야 하므로 기 약속된 CCE의 집합으로써 정의된다. 다시 말하자면, 공통 탐색공간은 단말의 신원이나 서브프레임 번호 등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다. 공통 탐색공간이 비록 다양한 시스템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존재하지만, 개별적인 단말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통 탐색공간은 단말-특정 탐색공간에서 가용한 자원이 부족하여 단말이 스케쥴링 받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탐색공간은 주어진 aggregation level 상에서 단말이 디코딩을 시도해야 하는 CCE들로 이루어진 후보 제어채널들의 집합이며, 1, 2, 4, 8 개의 CCE로 하나의 묶음을 만드는 여러 가지 aggregation level이 있으므로 단말은 복수개의 탐색공간을 갖는다. LTE PDCCH에서 aggregation level에 따라 정의되는 탐색공간 내의 단말이 모니터링(monitoring)해야 하는 PDCCH 후보군들(candidates)의 수는 하기의 표 2로 정의된다.
[표 2]
Figure 112017075458078-pat00002
[표 2]에 따르면 단말-특정 탐색공간의 경우, aggregation level {1, 2, 4, 8}을 지원하며, 이 때 각각 {6, 6, 2, 2}개의 PDCCH 후보군들을 갖는다. 공통 탐색공간의 경우, aggregation level {4, 8}을 지원하며, 이 때 각각 {4, 2}개의 PDCCH 후보군들을 갖는다. 공통 탐색공간이 aggregation level이 {4, 8}만을 지원하는 이유는 시스템 메시지가 일반적으로 셀 가장자리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커버리지(coverage)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공통 탐색공간으로 전송되는 DCI는 시스템 메시지나 단말 그룹에 대한 전력 조정(Power control) 등의 용도에 해당하는 0/1A/3/3A/1C와 같은 특정 DCI 포맷에 대해서만 정의된다. 공통 탐색공간 내에서는 공간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갖는 DCI 포맷은 지원하지 않는다. 단말-특정 탐색 공간에서 디코딩해야 하는 하향링크 DCI 포맷은 해당 단말에 대하여 설정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 따라 달라진다. 전송모드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대문에, 해당 설정이 해당 단말에 대하여 효력을 발휘하는 지에 대한 정확한 서브프레임 번호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말은 전송모드와 상관없이 DCI 포맷 1A에 대하여 항상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을 잃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종래 LTE 및 LTE-A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탐색공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하기에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기본단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기본 단위(REG)는 시간 축으로는 1 OFDM 심볼(301)로 구성되어 있고, 주파수 축으로는 12개의 서브캐리어(302) 즉 1 R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채널의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시간 축 기본 단위를 1 OFDM 심볼(301)로 가정함으로써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데이터채널과 제어채널이 시간다중화 될 수 있다. 데이터채널보다 제어채널을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프로세싱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에 용이하다. 제어채널의 주파수축 기본 단위를 1 RB(302)로 설정함으로써 제어채널과 데이터채널 사이의 주파수 다중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REG(303)를 연접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제어채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5G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할당되는 기본 단위를 CCE(304)라고 할 경우, 1 CCE(304)는 다수의 REG(3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REG(30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REG(303)는 12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고 1 CCE(304)가 6개의 REG(303)로 구성된다면 1 CCE(304)는 72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향링크 제어영역이 설정되면 해당 영역은 다수의 CCE(304)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어영역 내의 aggregation level (AL)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CCE(304)로 매핑 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어영역내의 CCE(304)들은 번호로 구분되며 이 때 번호는 논리적인 매핑 방식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기본 단위, 즉 REG(303)에는 DCI가 매핑되는 RE들과 이를 디코딩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인 DMRS(305)가 매핑되는 영역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DMRS(305)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Port) 수를 고려하여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두 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이 때, 안테나포트#0을 위해 전송되는 DMRS(306)과 안테나포트#1을 위해 전송되는 DMRS(307)가 존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에 대한 DMRS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중화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에 해당하는 DMRS가 서로 다른 RE에서 각각 직교하여 전송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FDM되어 전송될 수 있고, 혹은 CDM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DMRS 패턴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안테나포트 수와 연관될 수 있다.
도 4는 5G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제어영역(Control Resource Set, CORESET)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주파수 축으로 시스템 대역폭(410), 시간축으로 1 슬롯(420) (도 4의 일 예에서는 1 슬롯이 7 OFDM 심볼로 가정하였다.) 내에 2개의 제어영역(제어영역#1(401), 제어영역#2(402))이 설정되어 있는 일 예를 보여준다. 제어영역(401, 402)는 주파수 축으로 전체 시스템 대역폭(410) 내에서 특정 서브밴드(40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간 축으로는 하나 혹은 다수 개의 OFDM 심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심볼의 개수를 제어영역 길이 (Control Resource Set Duration, 40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의 일 예에서 제어영역#1(401)은 2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제어영역#2(402)는 1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관점에서 하나의 시스템 내에 다수의 제어영역들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관점에서 하나의 단말에게 다수의 제어영역들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에게는 시스템 내의 설정된 제어영역 중 일부의 제어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특정 제어영역에 대한 존재여부를 모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에서 시스템 내에는 제어영역#1(401)과 제어영역#2(402)의 두 개의 제어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단말#1에게는 제어영역#1(401) 설정될 수 있고, 단말#2에게는 제어영역#1(401)과 제어영역#2(402)가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은 추가적인 지시자가 없을 경우, 제어영역#2(402)의 존재 여부를 모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5G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영역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RRC(Remote Radio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에게 제어영역을 설정한다는 것은 제어영역의 위치, 서브밴드, 제어영역의 자원할당, 제어영역 길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기지국은 단말에 제어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제어영역에 대한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 3]
Figure 112017075458078-pat00003
상기의 설정정보 외에도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하기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제어영역을 데이터채널 전송에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어영역의 일부를 데이터채널을 전송하는데 재사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은 제어영역 내에서 실제 DCI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데이터채널 전송에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에게 제어영역에 대한 재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해당 데이터채널을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영역을 데이터채널 전송에 재사용함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채널을 전송하는 자원 영역이 해당 데이터채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담고 있는 DCI의 전송 영역과 겹칠 경우, 겹친 부분의 데이터채널을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 외의 DCI에 대해서는 rate matching을 허용하지 않고, 데이터채널 전송으로 해당 제어영역을 재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영역을 재사용하며 데이터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DCI를 송수신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DL 할당(Assignment)과 관련된 DCI 포맷을 우선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검출하고, 이로부터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의 전송이 제어영역의 일부를 재사용하면 일어났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제어영역을 재사용했다면,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탐색공간에서는 추가적인 DCI가 전송되지 않음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은 재사용된 자원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탐색공간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부터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기지국은 DCI와 데이터채널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영역에 대한 자원 재사용을 고려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데이터채널을 할당하고자 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이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의 어느 정도와 겹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제어영역을 데이터 채널에 사용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데이터채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담고 있는 DCI에 대해서는 전체 탐색공간 내에서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외의 DCI에 대해서는 데이터채널과 겹치지 않는 제어영역에 존재하는 탐색공간 내에서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고려하는 제어영역을 재사용하며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을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주파수 축으로 시스템 대역폭(501), 시간 축으로 1 슬롯(502)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내에, 제어영역(503, CORESET)이 설정되어 있는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5에서 제어영역은 시간 축으로 2 OFDM 심볼에 걸쳐서 할당되어 있다 (즉 제어영역길이(510)=2심볼). 도 5에는 제어영역(503) 내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DCI가 전송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DCI#1(504)은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즉 PDSCH(506 또는 507 또는 508)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담고있는 DCI이고, DCI#2(505)는 그 외의 정보를 담고 있는 DCI, 예컨대 상향링크 스케쥴링 승인에 해당하는 DCI이다.
도 5에 도시된 일 예에서, PDSCH는 제어영역 내에서 DCI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시간/주파수 자원(509)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방안들을 고려할 수 있다.
방안 1
PDSCH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제어영역으로 설정된 영역과 겹치고, 어떠한 DCI도 겹친 자원으로 전송되지 않을 경우, 해당 자원을 PDSCH 전송에 재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PDSCH(506)의 경우, PDSCH(506)이 할당된 자원 상에 어떠한 DCI도 전송되지 않으므로, 제어영역 내의 사용되지 않는 자원(509)에 매핑 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PDSCH(506)은 해당 주파수 위치에서 첫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방안 2
PDSCH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제어영역으로 설정된 영역과 겹치고, 겹친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서 해당 PDSCH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담고 있는 DCI가 매핑되어 전송될 경우, PDSCH를 제어영역 내 자원을 재사용하며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PDS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 중 DCI의 전송 자원과 겹치는 부분에 대해서 PDSCH를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DCI#1(504)이 PDSCH(507)에 대한 스케쥴링 제어정보에 해당할 경우, DCI#1(504)이 전송되는 자원 영역에서는 PDSCH(507)가 rate matching되고, 그 외의 사용되지 않는 제어영역 내 자원은 PDSCH(507) 전송에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PDSCH(507)은 해당 주파수 위치에서 첫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고, DCI#1(504)이 전송되는 자원 영역에서 rate matching될 수 있다.
단말은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DCI#1(504)을 획득할 수 있고, 이로부터 DCI#1(504)에 사용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PDSCH(507)가 할당된 자원 중에서 어느 부분이 rate matching 되었는지를 암묵적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PDSCH(507)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게 된다.
방안 3
PDSCH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제어영역으로 설정된 영역과 겹치고, 겹친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에서 해당 PDSCH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DCI가 매핑되어 전송될 경우, PDSCH를 해당 제어영역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전송할 수 없다. 예컨대 도 5에서 DCI#2(505)가 상향링크 승인에 대한 제어정보에 해당할 경우, PDSCH(508)는 제어영역 내의 자원 중 DCI#2(505)와 겹치는 영역에서 전송될 수 없고, 따라서 제어영역길이(510)보다 시간 상으로 더 나중인 세 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영역을 데이터채널 전송에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영역을 재사용하며 데이터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DCI를 효과적으로 송수신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DCI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함에 있어서, 특정 DCI 포맷에 대해 우선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DCI 포맷에 대해서는 감소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DCI의 종류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어떤 단말의 PDSCH를 전송할 때 제어영역을 재사용할지의 여부를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과 PDSCH 전송 자원이 겹치는 정도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임계치에 기반해서 판단될 수 있고, 해당 임계치는 기지국이 판단하에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영역 내 자원 재사용에 따른 자원 효율성 증대와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DCI에 대한 자원할당을 수행함에 있어서, 특정 DCI 포맷에 대해서는 전체 탐색공간 영역에 할당할 수 있고, 다른 DCI 포맷에 대해서는 일부의 탐색공간 영역에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영역 자원을 데이터채널 전송에 재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DCI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기술하도록 한다.
<제 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단말이 DCI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시스템 대역폭(608) 내에 하나의 제어영역(600)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PDSCH(603)가 제어영역(6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면서 전송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영역(600) 내에는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601)이 존재하며 탐색공간(601)은 PDCCH 후보군(606)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DCI를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601)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606)에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자신의 DCI를 탐색공간(601)에 해당하는 PDCCH 후보군(606)들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DCI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두 개의 DCI, DCI#1(604)과 DCI#2(605)가 전송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DCI#1(604)은 PDSCH(603)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담고 있는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Downlink Assignment)과 관련된 DCI 포맷에 해당할 수 있고, DCI#2(605)는 그 외의 목적으로 전송되는 DCI 포맷 (예컨대 상향링크 스케쥴링 승인 (Uplink Grant), 전력 조절 (Power control), Pre-emption 지시자, 슬롯 포맷 지시자 (Slot Format Indicator), 대역폭부분 지시자 (Bandwidth Part Indicator) 등이 고려될 수 있음)에 해당할 수 있다. DCI#1(604)과 DCI#2(605)는 탐색공간(601)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606)에 각각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서 PDSCH(603)가 제어영역(6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고, 제어영역(600) 내에서 재사용된 일부 영역을 (608)로 표기 하였다. 이 때,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PDSCH(603)를 스케쥴링하는 DCI#1(604)이 재사용영역(608) 내에 존재하는 특정 PDCCH 후보군(606)으로 전송될 수 있고, DCI#1(604)이 전송되는 자원 영역에서는 PDSCH(603)가 rate matching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전체 탐색공간(601)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DCI#1(604)을 획득할 수 있고, DCI#1(604)로부터 PDSCH(603)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획득한 PDSCH(603)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로부터 해당 PDSCH(603)가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며 전송됐는지 여부(또는, 해당 PDSCH(603)가 몇번째 OFDM 심볼부터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단말은 제어영역(600) 중 재사용영역(608)을 인지할 수 있고,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획득한 DCI#1(604)이 재사용영역(608)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606)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DCI#1(604)이 재사용영역(608) 내에서 전송되었다면, 단말은 DCI#1(604)이 전송된 자원에서는 수신한 PDSCH(603)가 rate matching이 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고, PDSCH(603)를 올바르게 디코딩할 수 있다. 만약 DCI#1(604)이 재사용영역(608) 내에서 전송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재사용영역(608) 내에 존재하는 탐색공간(601)으로 어떠한 DCI도 전송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사용영역(608)으로 전송된 PDSCH(603)의 일부가 rate matching 되었다는 가정 없이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DCI#1(604)이 재사용영역(608) 내에서 전송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에 대해서 PDSCH(603)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획득한 DCI#1(604)로부터 PDSCH(603)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영역 내의 자원이 PDSCH(603) 전송에 재사용됐는지의 여부(또는, 해당 PDSCH(603)가 몇번째 OFDM 심볼부터 할당되었는지), 즉 재사용영역(608)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재사용영역(608) 내에서는 PDSCH(603)을 스케쥴링하는 DCI를 제외한 다른 DCI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PDSCH(603)를 스케쥴링하는 DCI를 획득한 시점에서부터는 다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때, 재사용영역(608)에 존재하는 탐색공간(601)을 제외한 나머지 탐색공간(또는, 부분 탐색공간, 602)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단말은 DCI#2(605)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때 재사용영역(608)에 존재하는 탐색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탐색공간(602)에 존재하는 PDCCH 후보군(606)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DCI#1(604)을 제외한 나머지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701에서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전체 탐색공간에 대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에 대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했다면, 단말은 단계 703에서 검출된 DCI로부터 PDSCH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PDSCH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로부터 PDSCH의 자원할당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해당 PDSCH 전송에 제어영역 내의 자원이 재사용되었는지 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단말은 단계 704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 외의 나머지 DCI 포맷 (예컨대 상향링크 스케쥴링 승인 (Uplink Grant), 전력 조절 (Power control), Pre-emption 지시자, 슬롯 포맷 지시자 (Slot Format Indicator), 대역폭부분 지시자 (Bandwidth Part Indicator) 등이 고려될 수 있음, 이들을 통칭하여 “그 외 DCI 포맷(other DCI format)”으로 명명함)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705에서 상기 “그 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자 하는 PDCCH 후보군이 기 획득한 PDSCH 전송에 사용된 자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해당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자 하는 PDCCH 후보군이 할당된 자원이 PDSCH 전송에 사용되지 않았다고 판단 되었다면, 단말은 단계 706에서 해당 PDCCH 후보군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해당 PDCCH 후보군이 할당된 자원이 PDSCH 전송에 사용되었다고 판단되었다면, 단말은 단계 707에서 해당 PDCCH 후보군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생략할 수 있다. 결국 단말은 “그 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함에 있어서, PDSCH 전송에 사용된 자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탐색공간(또는, 부분 탐색공간)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708에서 “그 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성공하였다면, 단말은 단계 709에서 해당 DCI를 획득할 수 있고, 만약 성공하지 않았다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지 못했다면, 단말은 단계 710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을 제외한 “그 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711에서 “그 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단말이 “그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였다면, 단말은 단계 709에서 해당 DCI를 획득할 수 있고, 만약 성공하지 않았다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기지국에서 PDSCH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시스템 대역폭(810) 내에 한 단말의 제어영역(800)이 설정되어 있고, 이 때 제어영역 길이(811)는 2 개의 OFDM 심볼로 설정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영역(800) 내에는 해당 단말의 PDCCH 후보군(802)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전체 탐색공간(801)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 대한 PDSCH의 자원할당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영역(800)내의 자원을 재사용하며 할당할 수 있고, 이 때 자원 재사용 여부(즉, PDSCH가 시간축 상에서 몇번째 OFDM 심볼부터 할당되는지)를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801)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단말의 PDSCH를 할당하고자 하는 주파수 축 자원이 제어영역으로 설정된 주파수 축 자원과 겹칠 수 있다. 이 때, PDSCH의 시간 축 자원할당을 결정함에 있어서 해당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지의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만약 제어영역내의 자원을 재사용해도 된다고 판단했을 경우, PDSCH는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심볼(예를 들어, 첫번째 심볼)에서 시작하여 매핑될 있다. 반대로 제어영역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PDSCH는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심볼(도 8의 예에서 3번째 심볼)에서 시작하여 매핑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은 PDSCH가 제어영역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지의 여부를, 해당 PDSCH가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매핑되었을 경우에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과 “겹침 비율 (Overlapping Ratio)”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PDSCH가 제어영역 내의 전송자원을 재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을 경우, 제어영역의 특정 자원을 재사용함에 따라 PDSCH 전송자원과 제어영역 내의 탐색공간의 일부 PDCCH 후보군들로 할당된 전송 자원이 겹칠 수 있다. 이 때, 전체 탐색공간 내의 PDCCH 후보군들 중에서 PDSCH 전송 자원과 겹쳐진 PDCCH 후보군의 비율을 “겹침 비율”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겹침 비율은 예컨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겹침 비율(Overlapping Ratio) = (PDSCH 전송자원과 겹친 PDCCH 후보군 수)/(전체 PDCCH 후보군의 수)
동일하게, 상기에서 설명한 겹침 비율은 겹쳐지지 않은 비율(Non-overlapping Ratio)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겹쳐지지 않은 비율은 예컨대 “1-겹침 비율”로 표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상기 정의한 겸침 비율(또는, 겹쳐지지 않은 비율)이 임계값보다 큰지 혹은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겹침 비율이 특정 임계값보다 크다면(또는, 겹쳐지지 않은 비율이 특정 임계값보다 작다면),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 정보를 전송할 PDCCH 후보군이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PDSCH에 대하여 제어영역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PDSCH의 시간 축 자원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겹침 비율이 특정 임계값보다 작다면(또는, 겹쳐지지 않은 비율이 특정 임계값보다 크다면),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PDSCH를 전송하더라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PDCCH 후보군이 충분히 남아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PDSCH에 대하여 제어영역 자원을 재사용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PDSCH의 시간 축 자원 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PDSCH의 자원 할당이 시작되는 OFDM 심볼이 몇번째 심볼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일 예에서 전체 탐색공간(801)은 총 10개의 PDCCH 후보군(802)들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겹침 비율과 비교할 임계값(η)을 45%라고 가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임계값은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으며, 물리계층 신호 또는 상위계층 신호를 통해 단말과 기지국 간에 미리 공유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어떤 단말의 PDSCH#1(804)의 주파수 축 자원을 먼저 결정할 수 있고, 해당 단말의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일 예에서 PDSCH#1(804)이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경우, 즉 첫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시간 축 자원할당이 이루어질 경우, PDSCH#1(804)는 전체 탐색공간(801) 내의 10개의 PDCCH 후보군(802) 중에서 총 5개의 PDCCH 후보군과 겹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겹침비율은 50%로 연산될 수 있다. 기지국이 선정의한 임계값이 45%이고, 겹침비율이 선정의된 임계값보다 크기 때문에, 기지국은 PDSCH#1(804)에 대하여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PDSCH#1(804)를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그 외 DCI 포맷을 위한 스케쥴링 다이버시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PDSCH#1(804)의 시간 축 자원할당은 제어영역(804)을 포함하지 않는 심볼인 3번째 OFDM 심볼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어떤 단말의 PDSCH#2(805)의 주파수 축 자원을 먼저 결정할 수 있고, 해당 단말의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일 예에서 PDSCH#2(804)이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경우, 즉 첫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시간 축 자원할당이 이루어질 경우, 전체 탐색공간(801) 내의 10개의 PDCCH 후보군(802) 중에서 총 4개의 PDCCH 후보군과 겹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겹침비율은 40%로 연산될 수 있다. 기지국이 선정의한 임계값이 45%이고, 겹침비율이 선정의된 임계값보다 작기 때문에, 기지국은 PDSCH#2(805)에 대하여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PDSCH#2(805)를 제어영역(8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여 전송하더라도 그 외 DCI 포맷을 위한 스케쥴링 다이버시티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PDSCH#2(805)의 시간 축 자원할당은 제어영역(804)을 포함하는 심볼인 1번째 OFDM 심볼로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이 제어영역(804) 중 일부 영역을 재사용(806)하여 PDSCH#2(805)를 자원할당한 결과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은 단계 901에서 어떤 단말의 PDSCH에 대한 주파수 축 자원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계 902에서 PDSCH를 할당하고자 하는 주파수 축 자원이 해당 단말에게 정의된 제어영역과 겹치는 지의 여부를 먼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PDSCH를 할당하고자 하는 주파수 축 자원에 설정된 제어영역이 없을 경우, 기지국은 단계 906에서 해당 PDSCH의 시간 축 자원 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PDSCH를 할당하고자 하는 주파수 축 자원에 설정된 제어영역이 있을 경우, 기지국은 단계 903에서 해당 PDSCH전송에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전송하고자 하는 PDSCH와 탐색공간의 겹침 비율을 기준으로 이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겹치지지 않은 비율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정의한 겹침 비율이 선정의된 특정 임계값(η)보다 클 경우, 기지국은 단계 904에서 해당 PDSCH 전송에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도록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906에서 해당 PDSCH의 시간 축 자원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PDSCH에 대한 시간 축 자원할당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심볼부터 매핑할 수 있다. 반대로 겹침 비율이 선정의된 특정 임계값η보다 작을 경우, 기지국은 단계 905에서 해당 PDSCH 전송에 제어영역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도록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906에서 해당 PDSCH의 시간 축 자원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PDSCH에 대한 시간 축 자원할당을 결정함에 있어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심볼(예를 들어, 첫번째 심볼)부터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상기에서 정의한 임계값을 조절함으로써 PDSCH 전송에 제어영역을 재사용하는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을 크게 설정할수록 제어영역 재사용률이 커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임계값을 크게 설정할수록 PDSCH 전송을 위해 더 높은 확률로 제어영역 내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제어영역을 PDSCH에 더 적극적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전체 자원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단말이 해당 시스템 내에 존재하거나 낮은 트래픽 환경에서 기지국이 전송해야 하는 DCI가 적을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을 작게 설정할수록 제어영역 재사용률이 작아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임계값을 작게 설정할수록 PDSCH 전송을 위해 더 낮은 확률로 제어영역 내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제어영역을 PDSCH에 더 소극적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어영역 내의 DCI 전송에 가용한 자원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영역 내에서 DCI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다이버시티가 증대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단말이 해당 시스템 내에 존재하거나 높은 트래픽 환경에서 기지국이 전송해야 하는 DCI가 많을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결합하여 사용될 경우, 기지국이 정의하는 임계값에 따라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을 크게 할수록 제어영역 재사용률이 커질 수 있는데, 이는 곧 PDSCH 전송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제어영역 내 자원을 재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DL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을 제외한 “그 외 DCI 포맷”을 할당하기 위해 가용한 탐색공간 내 PDCCH 후보군 수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제 2 실시 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임계값을 크게 할수록, 단말이 <제 1 실시 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외 DCI 포맷”에 대해 모니터링해야 할 PDCCH 후보군 수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단말의 “그 외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가 작아질 수 있어,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곧 단말의 전력소모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임계값을 작게 할수록 제어영역 재사용률이 작아질 수 있는데, 이는 곧 PDSCH 전송을 위해 더 소극적으로 제어영역 내 자원을 재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DL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을 제외한 “그 외 DCI 포맷”을 할당하기 위해 가용한 탐색공간 내 PDCCH 후보군 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제 2 실시 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임계값을 작게 할수록, 단말이 <제 1 실시 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외 DCI 포맷”에 대해 모니터링해야 할 PDCCH 후보군 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의 “그 외 DCI 포맷” 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가 커질 수 있지만, 기지국 입장에서는 “그 외 DCI 포맷”을 할당할 수 있는 PDCCH 후보군의 수가 증가하여 스케쥴링 다이버시티가 증가하게 된다.
<제 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기지국에서 DCI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시스템 대역폭(1008) 내에 하나의 제어영역(1000)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PDSCH(1003)가 상술한 제 2 실시 예에 따라 제어영역(1000) 내의 자원을 재사용하면서 전송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영역(1000) 내에는 해당 단말의 탐색공간(1001)이 존재하며 탐색공간(1001)은 PDCCH 후보군(1006)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두 개의 DCI, 즉 DCI#1(1004)과 DCI#2(1005)가 전송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DCI#1(1004)은 PDSCH(1003)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담고 있는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Downlink Assignment)과 관련된 DCI 포맷에 해당할 수 있고, DCI#2(1005)는 그 외의 목적으로 전송되는 DCI 포맷 (예컨대 상향링크 스케쥴링 승인 (Uplink Grant), 전력 조절 (Power control), Pre-emption 지시자, 슬롯 포맷 지시자 (Slot Format Indicator), 대역폭부분 지시자 (Bandwidth Part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될 수 있음)에 해당할 수 있다. DCI#1(1004)과 DCI#2(1005)는 탐색공간(1001)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1006)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DCI를 특정 PDCCH 후보군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DCI 포맷에 따라 DCI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할당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은 DL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 포맷에 대해서는 전체 탐색공간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즉, PDSCH 전송에 재사용되는 탐색공간 내의 PDCCH 후보군 중에서 선택된 후보군)에 해당 DCI를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고, “그 외 DCI 포맷”에 대해서는 PDSCH 전송에 재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탐색공간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즉, PDSCH 전송에 재사용되는 탐색공간 이외의 PDCCH 후보군 중에서 선택된 후보군)에 해당 DCI를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 기지국은 DL 스케쥴링 할당에 해당하는 DCI#1(1004)의 경우 전체 탐색공간(1001) 중 하나의 PDCCH 후보군(1006)으로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0에서 기지국은 DL 스케쥴링 할당이 아닌 “그 외 DCI 포맷”에 해당하는 DCI#2(1005)에 대하여, PDSCH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즉 PDSCH 전송 자원과 겹치지 않는 부분 탐색공간(1002) 중 하나의 PDCCH 후보군(1006)으로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따르는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은 단계 1101에서 스케쥴링 하고자 하는 DCI의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스케쥴링 하고자 하는 DCI 포맷이 DL 스케쥴링 할당 관련 DCI 포맷에 해당한다면, 기지국은 단계 1102에서 해당 DCI를 전체 탐색공간 내에서 DCI 포맷에 관련된 PDS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에 해당하는 자원에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스케쥴링 하고자 하는 DCI 포맷이 DL 스케쥴링 할당과 관련 없는 “그 외 DCI 포맷”에 해당한다면, 기지국은 단계 1103에서 해당 DCI를 전체 탐색공간 내에서 PDSCH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제어영역에 존재하는 부분 탐색공간 내의 특정 PDCCH 후보군에 매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부, 수신부, 제어부가 각각 도 12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 예들에 해당하는 5G 통신시스템에서의 DCI 전송 방법, PDSCH 스케쥴링 방법, 블라인드 디코딩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단말의 구조가 나타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의 송신부, 수신부, 처리부가 각각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여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단말기 처리부(1201), 수신부(1202), 송신부(12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1201)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수신부(1202)와 단말이 송신부(1203)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1201)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2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기지국 처리부(1301), 수신부(1302), 송신부(130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301)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PDSCH 스케쥴링 방법, DCI 전송 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추가적인 지시자 및 설정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302)와 기지국 송신부(1303)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1301)로 출력하고, 기지국 처리부(13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탐색공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제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면, 상기 탐색공간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된 상기 자원을 제외한 일부에서 제2 DCI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전체 탐색공간에서 상기 제2 DCI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고 상기 제1 DCI가 상기 자원 내에서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DCI가 매핑된 자원이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된 것을 가정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시작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CI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전력 제어, 프리엠션(pre-emption) 지시자, 슬롯 포맷 지시자, 또는 대역폭 부분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의 탐색공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제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하고,
    상기 제1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되는지 결정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면, 상기 탐색공간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된 상기 자원을 제외한 일부에서 제2 DCI를 검출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전체 탐색공간에서 상기 제2 DCI를 검출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고 상기 제1 DCI가 상기 자원 내에서 검출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DCI가 매핑된 자원이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된 것을 가정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인,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시작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어 영역의 상기 자원에 매핑되는지 판단하는 것인,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CI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그랜트, 전력 제어, 프리엠션(pre-emption) 지시자, 슬롯 포맷 지시자, 또는 대역폭 부분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9.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에 매핑된 제1 자원 영역이 제어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 제2 자원 영역과 겹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 영역과 상기 제2 자원 영역이 겹치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자원 영역 상에 매핑하여 전송할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겹치는 비율이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자원 영역의 전체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겹치는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2 자원 영역을 제외한 일부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겹치는 비율은, 상기 제2 자원 영역 내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들의 개수와 상기 제1 자원 영역 및 상기 제2 자원 영역 사이에 겹치는 영역 내의 PDCCH 후보들의 개수 간의 비율인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겹치는 비율이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첫 번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및 연속하는 OFDM 심볼들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겹치는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자원 영역 바깥의 OFDM 심볼들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제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매핑된 자원 영역 내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되지 않은 제2 DCI를 상기 제2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1 자원 영역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남은 부분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에 매핑된 제1 자원 영역이 제어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 제2 자원 영역과 겹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자원 영역과 상기 제2 자원 영역이 겹치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자원 영역 상에 매핑하여 전송할지 결정하고,
    상기 겹치는 비율이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자원 영역의 전체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겹치는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단말로 상기 제1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2 자원 영역을 제외한 일부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겹치는 비율은, 상기 제2 자원 영역 내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들의 개수와 상기 제1 자원 영역 및 상기 제2 자원 영역 사이에 겹치는 영역 내의 PDCCH 후보들의 개수 간의 비율인 것인,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겹치는 비율이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첫 번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및 연속하는 OFDM 심볼들에 매핑하고,
    상기 겹치는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자원 영역 바깥의 OFDM 심볼들에 매핑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제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에 매핑된 자원 영역 내에 매핑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되지 않은 제2 DCI를 상기 제2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1 자원 영역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남은 부분에 매핑하는 것인, 기지국.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99030A 2017-08-04 2017-08-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30A KR102338507B1 (ko) 2017-08-04 2017-08-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6/050,576 US10567114B2 (en) 2017-08-04 2018-07-3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160510.2A EP3681090B1 (en) 2017-08-04 2018-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187139.3A EP3439222B1 (en) 2017-08-04 2018-08-0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810875063.XA CN109391459B (zh) 2017-08-04 2018-08-03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和接收下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30A KR102338507B1 (ko) 2017-08-04 2017-08-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15A KR20190014915A (ko) 2019-02-13
KR102338507B1 true KR102338507B1 (ko) 2021-12-13

Family

ID=6316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030A KR102338507B1 (ko) 2017-08-04 2017-08-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7114B2 (ko)
EP (2) EP3681090B1 (ko)
KR (1) KR102338507B1 (ko)
CN (1) CN1093914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47B1 (ko) * 2017-08-10 2022-02-18 애플 인크. 뉴 라디오에 대한 선점 지시들
US10952273B2 (en) * 2017-08-10 2021-03-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cting and correcting radio link failures based on different usage scenarios
US11234227B2 (en) * 2017-09-07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based reuse exception rules
WO2019050451A1 (en) 2017-09-11 2019-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EMPTION INDICATION FOR NEW RADIO
JP2019075609A (ja) * 2017-10-12 2019-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277862B2 (en) 2017-10-26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configured grant
US11751204B2 (en) 2017-10-27 2023-09-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Group common DCI for wireless resources
CA3024549A1 (en) * 2017-11-16 2019-05-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wer control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EP3714652B1 (en) * 2017-11-22 2022-11-30 ZTE Corporation An efficient control signaling method and system
JP6724245B2 (ja) * 2017-12-08 2020-07-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を送信又は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1323989B2 (en) * 2018-02-26 2022-05-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ind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KR102434253B1 (ko) * 2018-10-12 2022-08-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반복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KR20200077895A (ko) 2018-12-21 202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블라인드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595154B1 (ko) 2019-02-11 2023-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239939B2 (en) * 2019-03-22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service types
CN109996264B (zh) * 2019-03-27 2022-01-07 西北工业大学深圳研究院 非正交多址系统中最大化安全能量效率的功率分配方法
WO2020210991A1 (zh) * 2019-04-16 2020-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重传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034856B (zh) * 2019-04-18 2020-06-30 北京邮电大学 一种无人机非正交多址接入波束宽度的设计方法
CN111865510B (zh) * 2019-04-30 2021-11-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harq-ack的传输方法、用户设备及网络侧设备
EP3873138A4 (en) 2019-05-17 2021-12-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438124B2 (en) * 2019-08-28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on notifications in wireless backhaul systems
WO2021056330A1 (zh) * 2019-09-26 2021-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和装置
CN114930756A (zh) * 2019-10-02 2022-08-19 欧芬诺有限责任公司 新无线电未许可频带中的下行链路控制信道监测
WO2021087822A1 (zh) * 2019-11-06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系统信息接收方法、发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800527B2 (en) * 2019-12-02 2023-10-24 Intel Corporation Control resource set configuration 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above 52.6 GHz
US11924895B2 (en) * 2020-02-14 2024-03-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new radio layer two relay
CN111405520B (zh) * 2020-03-23 2022-03-1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研究所 两跳接入和终端直通的网络寻址机制与时隙调度方法
US11849371B2 (en) * 2020-08-24 2023-12-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low latency positioning using fast uplink signaling
CN112713980A (zh) * 2020-12-04 2021-04-27 成都金诺信高科技有限公司 车联网通信传输控制方法
WO2022150944A1 (en) * 2021-01-12 2022-07-21 Qualcomm Incorporated Blind decoding limit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12995314A (zh) * 2021-02-23 2021-06-18 北京贝耀信科技有限公司 一种将信息储存到区块链系统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8669A1 (en) 2012-03-16 2013-09-19 Intel Corporation IMPROVEMENTS I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US20160353421A1 (en) * 2012-03-21 2016-12-01 Mediatek Inc. Method for Search Space Configuration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9208B2 (en) * 2009-04-30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PDCCH search space design for LTE-A multi-carrier operation
EP3288212B1 (en) * 2009-06-02 2022-09-2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lind decoding for carrier aggregation and for randomly generating search spaces as a function of the carrier index, rnti and subframe index
WO2011047462A2 (en) * 2009-09-21 2011-04-28 Nortel Networks Limit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downlink high-order mimo
JP5726189B2 (ja) * 2010-07-21 2015-05-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受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05024792B (zh) * 2010-07-21 2018-09-11 太阳专利信托公司 通信装置和通信方法
US9326272B2 (en) * 2010-09-03 2016-04-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DK2704350T3 (en) * 2010-09-07 2019-04-01 Sun Patent Trust TRANSFER / RECEIVE DOWNLINK MANAGEMENT INFORMATION WITHIN A FIRST RESOURCE AREA AND / OR OTHER RESOURCES
US20130039291A1 (en) * 2011-08-12 2013-02-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sign on Enhanced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System
IN2014CN03084A (ko) * 2011-11-04 2015-07-03 Intel Corp
JP5379256B2 (ja) * 2012-03-14 2013-12-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167574B2 (en) 2012-09-28 2015-10-20 Intel Corporation Blind decoding for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CN104519515B (zh) * 2013-09-27 2019-07-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下行配置信息通知、获取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10264564B2 (en) * 2015-01-30 2019-04-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assive carrier aggregation
CN106954260B (zh) * 2016-01-07 2023-05-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和装置
JP6876238B2 (ja) * 2016-11-02 2021-05-2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8023704B (zh) * 2016-11-04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参考信号的方法、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US10736083B2 (en) * 2017-05-01 2020-08-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uplink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8669A1 (en) 2012-03-16 2013-09-19 Intel Corporation IMPROVEMENTS I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US20160353421A1 (en) * 2012-03-21 2016-12-01 Mediatek Inc. Method for Search Space Configuration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15A (ko) 2019-02-13
EP3439222A3 (en) 2019-06-05
US10567114B2 (en) 2020-02-18
US20190044649A1 (en) 2019-02-07
CN109391459A (zh) 2019-02-26
CN109391459B (zh) 2021-09-17
EP3439222A2 (en) 2019-02-06
EP3439222B1 (en) 2020-09-30
EP3681090B1 (en) 2021-05-05
EP3681090A1 (en)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5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7702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uplink channels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4250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4540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35890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48896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48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72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80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하향 제어채널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642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813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826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자원영역 설정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202001451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383906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및 데이터 신호의 사용자 구분 방법 및 장치
US111339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499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723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8013559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dmrs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53174A (ko)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