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495B1 -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495B1
KR102338495B1 KR1020190137325A KR20190137325A KR102338495B1 KR 102338495 B1 KR102338495 B1 KR 102338495B1 KR 1020190137325 A KR1020190137325 A KR 1020190137325A KR 20190137325 A KR20190137325 A KR 20190137325A KR 102338495 B1 KR102338495 B1 KR 10233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theter
call
biopsy device
adminis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713A (ko
Inventor
양인철
천권수
강호철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메딕스
Priority to KR102019013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4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생검 이후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를 용이하게 지혈할 수 있는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물 투여부에 착탈가능한 약물 카테터를 통해서 표적부위에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약물에 의해서 외침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직 생검 후에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표적부위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에 약물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Biopsy device with drug injection}
본 발명은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직 생검 후에 조직의 적출부위에 용이하게 약물을 분사할 수 있는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직생검(tissue biopsy)은 환자의 병이 있는 부위의 조직을 약간 잘라내어, 직접 눈이나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일을 말한다.
현재 인체내 각 장기의 병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며 특히 장기 이식후 이식 장기의 상태를 알기 위하여 조직검사는 필수적인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에서 인체내 장기 조직을 검사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고안된 바늘을 이용하여 조직을 획득하는 소위 경피적 바늘 조직 검사(percutaneous needle biopsy)가 보편화된 검사법이다.
임상에서 많이 시행되는 예로 간이나 신장내 종괴가 발견된 경우 양성과 악성의 확진을 위하여 시행하며 신장이식이나 간이식후에 이식 장기의 상태를 위하여 routine 으로 시행한다. 그러나, 확인을 위한 바늘 조직검사는 조직 검사 후 발생하는 출혈이 문제이다. 대부분의 경우 인체내 응고 기전이 활성화되어 자연 지혈이 되나 드물게는 지혈이 안되고, 계속적인 출혈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들은 지혈제의 분사가 가능한 생체조직 생검 장치(등록특허 제10-1451003호, 특허문헌 1)를 개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조직생검을 위한 제1관과 지혈물질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관을 포함하는 듀얼관 형태의 생체조직 생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지혈물질의 분사는 가능하나 외침이 듀얼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외침을 삽입하기 위한 표적부위가 넓어져 출혈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상기 표적부위 내에서 내침이 적용되는 부위와 지혈물질이 적용되는 부위가 서로 달라 출혈부위를 효과적으로 지혈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조직생검 이후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를 용이하게 지혈할 수 있는 생검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5100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직생검 이후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를 용이하게 지혈할 수 있는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
본체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외침;
외침의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내침;
본체에 형성되어, 외침의 중공과 연통되는 약물 투여부; 및
약물 투여부에 착탈되어 외침의 일측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카테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 카테터는, 내침이 외침으로부터 탈거된 후에 약물 투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는, 약물 투여부에 착탈가능한 약물 카테터를 통해서 표적부위에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약물에 의해서 외침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직 생검 후에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표적부위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에 약물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약물 카테터에 대한 작동기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슬라이딩 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슬라이딩 수단에 대한 작동기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작동기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직 생검 후에 조직의 적출부위에 용이하게 약물을 분사할 수 있는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본체;
본체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외침;
외침의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내침;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외침의 중공과 연통되는 약물 투여부; 및
약물 투여부에 착탈되어 외침의 일측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카테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 카테터는, 내침이 외침으로부터 탈거된 후에 약물 투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는, 약물 투여부에 착탈가능한 약물 카테터를 통해서 표적부위에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약물에 의해서 외침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직 생검 후에 생체조직 생검 장치를 표적부위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에 약물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중 "생체조직 생검 장치"란, 인체의 장기(신장, 폐장, 간장, 신장, 비장, 췌장 등)의 조직 병리(pathology)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생검(tissue biopsy)을 실시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라 함은, 상기 조직 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생검을 실시한 표적부위에 약물 전달이 가능한 생검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은 지혈물질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는 조직생검 이후 조직이 적출된 부위로부터 상기 생검 장치를 분리하지 않고도 조직이 적출된 부위 또는 출혈이 발생된 부위에 용이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체조직 생검 장치"는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또는 "생검 장치"와 혼용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중 "일측" 이란, 사용 상태에서의 표적부위와 인접하게 되는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체조직 생검 장치에서 표적부위와 인접하는 측을 의미한다. "일단"은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한 부분, 즉, 한 끝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적부위와 인접하게 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한 끝을 의미한다.
아울러, "타측" 이란, 사용 상태에서 표적부위와 반대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체조직 생검 장치에서 표적부위와 반대되는 측을 의미한다. "타단"은 표적부위와 반대되는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한 끝을 의미한다.
또한, "표적부위(target site)"라 함은 조직생검을 실시하기 위한 부위, 또는조직을 일부분 적출한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적부위는 지혈하고자 하는 생체부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조직이 제거된 환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표적부위"는 "생체조직"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약물 카테터에 대한 작동기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슬라이딩 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슬라이딩 수단에 대한 작동기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의 작동기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는 본체(100), 외침(200), 내침(300) 및 약물 투여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외침(200), 상기 외침(200)의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내침(300),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어, 외침(200)의 중공과 연통되는 약물 투여부(400) 및 상기 약물 투여부(400)에 착탈되어 외침(200)의 일측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카테터(4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약물 카테터(410)는, 내침(300)이 외침(200)으로부터 탈거된 후에 약물 투여부(4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는, 상기 약물 투여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부(400)에 착탈 가능한 약물 카테터(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약물 투여부(400)는 약물이 투여되는 공간 또는 약물 카테터(41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본체(100)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외침(2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약물 투여부(400)는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물의 이동 거리를 짧게하여, 약물의 주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물이 표적부위로 전달되는 시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약물 투여부(400)의 내부에는 약물 투여부(400)로 투여되는 약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수단(미도시)은 약물뿐만 아니라 외침(200)의 중공을 통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역류방지 수단은 체크밸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수단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다.
한편, 외침(200)은 약물 투여부(400)의 중공과 연통되는 연통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구(220)를 통해서 약물 투여부(400)의 중공은 외침(2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는 약물 투여부(400)에 착탈되는 약물 카테터(410)를 통해서 표적부위에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약물에 의해서 외침(200)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카테터(410)를 통해서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외침(200)의 중공에서 내침(300)을 분리시킨 후에 상기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카테터(410)는 카테터 몸체(411)와 튜브(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카테터 몸체(411)는 일측에 튜브(412)가 연통되고, 타측에는 약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타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 몸체(411)의 타단에는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시린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412)는 약물 투여부(400)를 통해서 외침(200)의 중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412)는 외침(200)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어, 튜브(412)의 일단은 외침(200)의 팁부(210)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검 장치(10)는 조직 생검 후에 상기 약물 카테터(410)의 튜브(412)를 약물 투여부(400)의 내부공간에 장착하고, 상기 약물 카테터(410)에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약물에 의해서 외침(200)이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약물 카테터(410)는 내침(300)을 수용하고 있던 외침(200)의 중공을 이동통로로 하여, 표적부위까지 안전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침(200)과는 별개로 약물을 표적부위까지 전달할 수 있는 약물 카테터(410)에 의해서 소정의 점도를 갖고 있는 약물도 외침(200)의 중공의 막힘없이 표적부위까지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점도를 갖는 약물에 의해서 약물 카테터(410)의 튜브(412)가 막힐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약물 투여부(400)에 결합되는 약물 카테터(410)의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약물 투여부(400)는 약물주입 카테터(410)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약물 가이드부(도 4 참조, 4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 가이드부(401)이 상기 약물주입 카테터(41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소정부분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물 카테터(410)는 약물 투여부(400)를 통해서 표적부위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나,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약물 카테터(410)는 내침(300)이 제거되는 본체(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약물의 종류에 따라 약물 투여부(400)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투여부(400)에 약물을 함유하는 시린지를 결합하여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물은 지혈물질일 수 있으며, 액체형태 또는 파우더 형태의 다양한 약물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브린 글루(fibrin glue), 염화칼슘제, 트롬빈, 비타민C, 비타민 K, 콜라겐, 젤라틴 및 미세젤폼(gelfoam)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파우더 형태의 약물이 투여되는 경우, 추가의 공기 주입에 의해서 표적부위로 지혈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를 이용하여, 조직이 적출된 표적부위에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직생검이 완료되면, 푸셔(520)를 통해서 외침(200)으로부터 내침(300)을 탈거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침(300)이 탈거된 생검 장치(10)에 약물 카테터(410)를 약물 투여부(400)에 결합시킨다(도 2(a), (b)). 그리고, 약물 카테터(41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약물 카테터(410)에 약물을 포함하는 실린지(420)를 장착하여, 표적부위에 약물을 투여한다.
도면상에는 약물 카테터(410)를 약물 투여부(400)에 결합 시킨 후 약물을 포함하는 실린지(420)를 장착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실린지(420)에 약물 카테터(410)를 장착한 후, 상기 약물 카테터(410)를 약물 투여부(4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상기 약물은 지혈물질일 수 있으며, 액체형태 약물이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실린지(420)는 적어도 두 개의 실린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두 개의 실린지가 병렬구조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실린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지혈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실린지에 수용되는 두 종류의 지혈물질이 피스톤(미도시)의 조작에 의해서 카테터 몸체(411)로 전달됨으로써, 두 종류의 지혈물질이 동일하게 섞여 튜브(412)를 통해서 표적부위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두 종류의 지혈물질은 피브리노겐 농축물과 트롬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는, 본체(100), 외침(200), 내침(300) 및 약물 투여부(400)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체(100)에 구비되며, 내침(300)의 타측과 연결되어 내침(300)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내침(300)을 외침(200)의 중공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00)는 일부분에 상기 외침(200)의 연통구(220)와 연통되는 약물 투여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의 타단에는 내침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침 가이드부(130)는 분리된 내침(300)을 재결합할 때,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침(200)은 본체(100)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이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공이라 함은 외침(200) 내부의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내침(300)이 외침(200)의 중공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상과 크기, 모양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아울러, 약물 투여부(400)의 중공과 연통되는 연통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침(200)은 일측 선단부에 팁(tip)의 형태를 갖는 팁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팁(tip)은 선단 또는 날 끝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적 부위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침(200)의 팁부(210)는 표적 부위에 직접 삽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외침(200)의 중공은 내침(300)이 이동 가능한 공간일 수 있으며, 약물 카테터(410)의 튜브(412)가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하게 되는 약물이 주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침(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침(200)의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침(300)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홈(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홈(310)을 통하여 생체조직 검사를 위한 표적 부위의 조직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침(300)은 슬라이딩 수단(500)에 의해서 내침(300)을 외침(200)의 중공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내침(300)을 외침(200)의 중공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동되어 표적부위로 삽입시켜, 생체조직을 채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수단(500)은 슬라이딩 바(510), 푸셔(520), 누름편(530) 및 탄성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바(510)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본체(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연결부(201)에 결합되고, 타측은 푸셔(520)와 체결가능한 체결홀(51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푸셔(520)는 내침(300)의 타측과 연결되어, 내침(30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푸셔(520)는 상기 슬라이딩 바(510)의 체결홀(511)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돌기(531)가 형성된 누름편(5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수단(500)은 상기 외침(200)을 장전시키고, 상기 외침(200)을 순간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탄성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00) 내부에는 외침(200)의 타측이 결합되는 연결부(201)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바(510)는 상기 연결부(201)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바(510)의 일측은 본체(100) 내부의 연결부(201)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510)의 타측은 누름편(53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돌기(531)와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누름편(530)은 푸셔(520)에 포함될 수 있어, 상기 누름편(530)과 체결된 체결돌기(531)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딩 바(510)는 푸셔(520)와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슬라이딩 바(510)에 의해서 푸셔(520)가 생검 장치(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530)은 푸셔(520)의 횡방향으로 소정부위 돌출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소정면적의 홀(53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편(530)에 형성된 홀(532)의 면적은 슬라이딩 바(510)의 타측이 삽입 가능한 정도의 면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홀(532)에는 누름편(530)이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결돌기(53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531)는 슬라이딩 바(51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홀(51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압력에 의해 누름편(530)은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체결돌기(531)는 체결홀(5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누름편(530)은 돌출된 부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531)는 체결홀(51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푸셔(520)와 연결되는 내침(300)을 외침(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편(530)이 돌출된 반대방향에는 스프링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편(530)은 푸셔(520) 내에서 상기 스프링부재(533)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의 압력에 의해 누름편(530)으로부터 슬라이딩 바(510)를 분리시켜, 상기 내침(300)을 외침(200)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외침(200) 내부에 있는 내침(300)을 타측으로 잡아당겨 외침(200)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내침(300)의 홈(310)에 수용된 조직을 통해 생체조직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검 장치(10)는 내침(300)과 외침(200)의 분리 없이 외침(200)의 일측으로 채취된 조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면, 그 명칭과 형상, 크기, 모양, 재질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540)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내침(3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푸셔(520)와 연결부(20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사용자는 푸셔(520)를 본체(100)의 타측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연결부(201)와 연결되는 외침(200) 장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540)는 탄성부재 걸림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외침(200)과 푸셔(520) 사이에서 수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푸셔(520)를 슈팅하는 경우, 탄성부재 걸림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수축된 탄성부재(540)는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면서 외침(200)을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작동기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의 본체(100)는, 내침(300)의 이동거리의 설정 및 확인할 수 있는 길이 표시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표시기(120)는 외침(200)의 밖으로 노출되는 내침(300)의 홈(310)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의 슬라이딩 수단(500)에 대한 작동기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체(100)의 타단에 푸셔(520)를 장전한다. 이때, 푸셔(520)와 슬라이딩 바(510)는 각각 체결돌기(531)와 체결홀(51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6(a)).
다음으로, 푸셔(520)를 타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이때, 외침(200)과 내침(300)은 뒤로 당겨져 장전될 수 있다. 그리고, 표적부위에 외침(200)을 삽입한 후, 푸셔(520)를 일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이때, 내침(300)은 소정부위 외침(2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520)를 한번 더 일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이러한 경우, 외침(200)이 일측으로 전진 이동하고, 내침(300)의 홈(310)에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도 6(b))
이후, 푸셔(520)의 누름편(530)을 가압하여 푸셔(520)와 슬라이딩 바(510)의 체결돌기(531)와 체결홀(511)을 분리시키고, 생검 장치(10)는 유지시키고 푸셔(52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침(200)으로부터 내침(300)을 완전히 분리시킨다(도 6(c)).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생검 장치(10)의 작동기작을 설명한다.
먼저, 생검 장치(10)를 준비한다. 이때, 길이표시기는 "O" 으로 세팅되어 있다(a). 그리고, 사용자는 길이표시기를 보고, 푸셔를 타측으로 당겨 내침(300)을 장전시킨다. 예를 들면, 길이표시기가 "10 또는 20" 이 될 때까지 상기 푸셔를 타측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푸셔(520)를 타측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푸셔부와 외침(200)을 연결하는 연결부(201)에 의해서 외침(200)과 내침(300)이 뒤로 당겨져 장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이표시기에 나타나는 숫자는 외침(200)의 밖으로 돌출되는 내침(300)의 홈(310)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내침(300)의 홈(310)의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의 양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검사를 수행할 표적부위로 외침(200)을 삽입 시술하기 위하여, 외침(200)의 일단을 표적부위와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표적부위로 외침(200)을 삽입한다. 참고로, 내침(300)이 외침(200)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b, c).
다음으로, 외침(200)의 일부분이 표적부위에 삽입 되었으면, 푸셔를 일방향으로 전진시켜 내침(300)의 소정부위를 외침(200) 밖으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푸셔를 한번 더 일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연결부(201)에 장전되어있던 스프링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면서 외침(200)이 일측으로 전진 이동하고, 내침(300)의 홈(310)에 조직이 채취될 수 있다(d).
이후, 푸셔(520)의 누름편(530)을 가압하여 푸셔(520)와 슬라이딩 바(510)의 체결돌기(531)와 체결홀(511)을 분리시킨다(e). 그리고, 생검 장치(10)는 유지시키고 푸셔(52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외침(200)으로부터 내침(300)을 완전히 분리시킨다(f, g).
그리고, 내침(300)이 탈거된 생검 장치(10)에 약물 카테터(410)를 약물 투여부(4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약물 카테터(410)의 튜브(412)의 일단은 표적부위에 접촉시킨다(h). 그리고, 약물 카테터(41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약물 카테터(410)에 지혈제를 장착하여, 표적부위에 지혈제를 투여하여 출혈부위를 지혈시킨다(i, j).
상기와 같이, 조직의 적출과 지혈이 완료되면, 표적부위에서 외침(200)을 제거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직이 적출된 환부에서는 출혈이 발생되는데 지속적인 출혈이 발생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지혈물질을 투입시켜 빠르게 지혈할 수 있다.
한편, 조직 생검은 평균 3번정도 이루어지는데, 첫번째 조직 생검은 푸셔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직 생검을 준비할 수 있으며, 두번째 이후의 조직 생검은 첫번째 조직 생검에서 채취한 조직을 덜어낸 후에 푸셔를 본체(100)에 결합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조직 생검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조직 생검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 되어지고 한정되어 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표적부위
10: 생체조직 생검 장치
100: 본체
110: 파지부 120: 길이 표시기
130: 내침 가이드부
200: 외침
201: 연결부 210: 팁부
220: 연통구
300: 내침
310: 홈
400: 약물 투여부 401: 약물 가이드부
410: 약물 카테터 411: 카테터 몸체
412: 튜브
420: 실린지
500: 슬라이딩 수단
510: 슬라이딩 바 511: 체결홀
520: 푸셔 530: 누름편
531: 체결돌기 532: 홀
540: 탄성부재

Claims (10)

  1. 본체;
    본체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외침;
    외침의 중공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내침;
    본체에 형성되어, 외침의 중공과 연통되는 약물 투여부; 및
    약물 투여부에 착탈 가능하며 외침의 일측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카테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 카테터는, 내침이 외침으로부터 탈거된 후에 약물 투여부에 결합되고,
    상기 약물 카테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된 카테터 몸체 및 카테터 몸체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약물을 가이드 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상기 약물 투여부를 통해서 상기 외침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이 상기 외침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외침은 약물 투여부와 연통되는 연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 구비되며, 내침의 타측과 연결되어 내침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내침을 외침의 중공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내침은, 슬라이딩 수단의 조작에 의해서 외침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수단은,
    본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
    슬라이딩 바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홀;
    내침의 타측과 연결되어, 내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푸셔; 및
    푸셔에 설치되며,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누름편; 을 포함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누름편은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체결홀로부터 분리되어, 푸셔와 연결되는 내침을 외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내침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약물은, 지혈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내침의 이동거리의 설정 및 확인할 수 있는 길이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생검 장치.
KR1020190137325A 2019-10-31 2019-10-31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KR10233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325A KR102338495B1 (ko) 2019-10-31 2019-10-31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325A KR102338495B1 (ko) 2019-10-31 2019-10-31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713A KR20210051713A (ko) 2021-05-10
KR102338495B1 true KR102338495B1 (ko) 2021-12-13

Family

ID=7591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325A KR102338495B1 (ko) 2019-10-31 2019-10-31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4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694A (ja) * 2001-06-12 2002-12-17 Tasuku:Kk 生検針
US20070123797A1 (en) 2004-06-01 2007-05-31 William Krause Automated biopsy and delivery device
US20090131822A1 (en) * 2007-11-20 2009-05-21 Hibner John A Biopsy Device With Sharps Reduction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334A (en) * 1991-12-16 1993-08-17 Bennett Lavon L Core biopsy needle units for use with automated biopsy guns
KR101451003B1 (ko) 2013-02-25 2014-10-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생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694A (ja) * 2001-06-12 2002-12-17 Tasuku:Kk 生検針
US20070123797A1 (en) 2004-06-01 2007-05-31 William Krause Automated biopsy and delivery device
US20090131822A1 (en) * 2007-11-20 2009-05-21 Hibner John A Biopsy Device With Sharps Reduction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713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039B2 (en) Biotissue sampling apparatus
US7169114B2 (en) Biopsy and delivery device
US6280399B1 (en) Substance delivery device for use with a procedure performing instrument
US6702760B2 (en) Biopsy and coagulant device
JP4909265B2 (ja) 引き抜き機構を備えた注射装置
US20030009194A1 (en) Tissue tract sealing device
US20140058252A1 (en) Single hand control device for ultrasound guided injections
US20110098596A1 (en) Practical and Safe Needle Biopsy Device
US20110202014A1 (en) Adapter device for application of small amounts of fat graft material by use of syringes
CN215273198U (zh) 医疗器具总成
JP2019513498A (ja) 眼科用抽出・注入装置
US10172596B2 (en) Biological tissue biopsy device
CN209405474U (zh) 一种新型腔镜用药物注射装置
CZ298721B6 (cs) Bezpečnostní injekční zařízení pro kapalné nebo polotuhé přípravky
KR20210048662A (ko) 주사기
US2021019624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pirating bone marrow
KR102338495B1 (ko) 약물 분사가 가능한 생검 장치
US20130046200A1 (en) Instrument For Concurrent Injection Of Anesthesia And Removal Of Specimens From A Body
CN115337084A (zh) 医用穿刺装置和医疗器具总成
EP1889572A2 (en) Biopsy and delivery device
KR20230012019A (ko) 유리체 샘플링이 조합된 유리체내 주입 장치
CN115337083A (zh) 医疗器具总成
US20150151078A1 (en) Catheter
CN112654375A (zh) 采血组件
WO2004073784A2 (de) Medizinische drahtpist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