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07B1 -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907B1
KR102336907B1 KR1020200078939A KR20200078939A KR102336907B1 KR 102336907 B1 KR102336907 B1 KR 102336907B1 KR 1020200078939 A KR1020200078939 A KR 1020200078939A KR 20200078939 A KR20200078939 A KR 20200078939A KR 102336907 B1 KR102336907 B1 KR 10233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ed
signal line
screen door
pad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최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브이첨단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브이첨단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브이첨단소재
Priority to KR102020007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건물의 자동 스크린 도어 또는 지하철 역의 스크린 도어에 투명 LED 필름형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다수 장착된 LED가 점멸하면서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도어를 통해 외부 일반 시민에게 미려한 광고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 이용객들의 방해를 받지않고도 안전 비상구 기능이 가능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Screen door advertising apparatus using transparent LED film}
본 발명은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건물의 자동 스크린 도어 또는 지하철 역의 스크린 도어에 투명 LED 필름형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다수 장착된 LED가 점멸하면서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도어를 통해 외부 일반 시민에게 미려한 광고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 이용객들의 방해를 받지않고도 안전 비상구 기능이 가능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고 장치는 플렉스 간판이나, 단순히 문자나 도형이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있는 간판, 또는 불투명 배경 판의 뒤쪽에 형광등이나 네온등이 설치되어 있는 간판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고 장치는 눈에 잘 띄는 건물 외벽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광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종래의 광고 장치는 노출면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인쇄되거나 조형물이 부착되어 설치되고, 주간에는 자연광에 의해 전시되고 야간에는 내장한 광원을 이용하여 전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광고 장치는 내부의 광원으로 형광등이나 배열등과 같이 전력소비가 크고 발열이 심한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운용비용과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다양한 광고 연출에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크린 도어는 일반 건물이나 지하철 역 등의 출입구나 승강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장 상에서 고정된 고정 도어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가동 도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 도어에는 안내를 위한 광고가 인쇄된 시트지 형태의 광고물이 부착되고, 이러한 시트지 형태의 인쇄 광고물은 고정된 형태의 시트 광고지를 통한 단순 내용을 전달할 뿐 다양한 광고 정보의 연출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자동 스크린 도어 또는 지하철 역의 스크린 도어에 투명 LED 필름형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다수 장착된 LED가 점멸하면서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도어를 통해 외부 일반 시민에게 미려한 광고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 이용객들의 방해를 받지않고도 안전 비상구 기능이 가능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투명 LED 필름에 접착된 다수의 LED는 실리콘 계열의 방염 기준을 만족하는 실리콘 필름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외부 환경(비, 눈, 이물, 습기 등)으로부터 완전 차폐하여 보호할 수 있는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ED 구동을 위해 연성회로 기판인 투명 LED 필름에 설치된 특정 신호선의 불량이나 장착된 LED의 이탈 또는 물리적 손상에 의해 해당 LED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인접한 LED에 디지털 신호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로서, 승강장 상에서 고정된 고정 도어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가동 도어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도어 프레임; 상기 가동 도어의 유리에 각각 부착되며,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은,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 상기 투명 LED 필름의 상부에 도트 매트릭스 형태로 장착되는 다수의 LED; 및 상기 다수의 LED의 상부로 도포되어 완전히 커버하며, 상기 가동 도어의 유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층은 실리콘 계열의 방염 기준을 만족하는 필름이며, 상기 투명 LED 필름은 다수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배선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 도어를 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스크린 도어 프레임 상측에 배치된 슬라이딩 구조 기구를 통하여 신호 및 전원배선용 케이블을 내장하고, 컨트롤러 형태의 상기 제어 모듈을 일측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현할 다양한 색상의 광고 문자나 광고 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점등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 LED 필름은, 상기 LED가 SMT 공정에 의해 솔더링되는 복수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가 연성회로기판 표면상에 전후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들간에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 및 상기 각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상기 연성기판 표면에 배선되며, 상기 접속단자들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 신호선 입력 패드, 신호선 출력 패드, 전원선 공급 패드,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 및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LED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제 1 접속단자의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와,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인접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접속단자의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접속단자로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가 상기 제 2 접속단자로 전달되는 백업신호선이 더 형성되어지되, 각 접속단자는 해당 신호선 입력 패드와 해당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보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선은 접속단자들의 양측에 VCC 단자 및 GND 단자로 연결되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각 접속단자들의 전원선 공급 패드는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VCC 단자로 연결되는 VCC 공급 패드와 접지로 연결되는 상기 GND 단자로 연결되는 GND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자동 스크린 도어 또는 지하철 역의 스크린 도어에 투명 LED 필름형 LED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다수 장착된 LED가 점멸하면서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도어를 통해 외부 일반 시민에게 미려한 광고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 이용객들의 방해를 받지않고도 안전 비상구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 LED 필름에 접착된 다수의 LED는 실리콘 계열의 방염 기준을 만족하는 필름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외부 환경(비, 눈, 이물, 습기 등)으로부터 완전 차폐하여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ED를 구동시키기 위해 접속단자들간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 이외에 별도의 백업신호선을 기판상에 더 형성시킴과 아울러, 장착된 LED가 이탈 또는 물리적 손상에 의해 각 접속단자의 백업신호연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각 접속단자에 바이패스 보조선을 더 형성하여 인접한 LED에 디지털 신호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운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에서 고정 도어 및 가동 도어의 유리에 각각 부착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를 이용한 광고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a에서 고정 도어 및 가동 도어의 유리에 각각 부착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1)는, 승강장 상에서 고정된 고정 도어(11)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가동 도어(12)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도어 프레임(10); 상기 가동 도어(12)의 유리에 각각 부착되며,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 및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 도어 프레임(10)은 승강장에서 두 개의 고정 도어(11), 두 개의 가동 도어(12)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 도어(11)는 승객이 대기하는 승강장을 선로측과 구분하는 안전벽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승강장 상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 도어(12)는 상기 고정 도어들(11)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승강장 상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 도어(11)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두 개의 고정 도어와 두 개의 가동 도어가 한 세트의 스크린 도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고정 도어 중 하나에는 비상시에 고정 도어를 통해 전동차 승객이 승강장측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상문의 개폐는 선로측에 설치되는 비상 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는 고정 도어(11) 및 가동 도어(12)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일반 건물(화장품 숍이나 고급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및 커피 전문점을 포함하는 매장 등)에 고정 도어와 가동 동어의 형태로 개폐 가능한 모든 스크린 도어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크린 도어 프레임(10)의 두 개의 가동 도어(12)의 유리에 설치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통해 다양한 광고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두 개의 가동 도어(12)에 설치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구동을 통해 광고를 통한 상품 광고 및 이미지 광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은, 스크린 도어 프레임(10)의 개폐되는 두 개의 가동 도어(12)의 유리에 설치되며, 다수 장착된 LED(22)가 점멸하면서 미리 설정된 다양한 색상의 광고 문자나 광고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이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이 개폐되는 두 개의 가동 도어(12)의 유리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두 개의 고정 도어(11)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은,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21)과,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21)의 상부에 도트 매트릭스 형태로 장착되는 다수의 LED(22)와, LED(22)의 상부로 도포되어 다수의 LED(22)를 완전히 커버하며, 스크린 도어 프레임(10)의 두 개의 가동 도어(12)의 유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 층으로서의 방염 기준을 만족하는 실리콘 필름(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 LED 필름(21)에 접착된 다수의 LED(22)는 실리콘 필름(23)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외부 환경(비, 눈, 이물, 습기 등)으로부터 완전 차폐하여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21)은 다수의 LED(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배선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것으로, 필름의 무게가 입방미터당 1kg 이하의 가볍고 3mm 이하의 얇은 필름 성능의 두께를 통하여 안전 비상구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IC에 의해 제어되는 LED가 SMT 공정에 의해 솔더링되도록 복수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가 기판의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2열 또는 3열을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이러한 접속단자에는 신호선과 전원선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21)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스크린 도어 프레임(10)의 가동 도어(12)에 설치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의 동작 즉, 점등 구동을 각각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다양한 색상의 광고 문자나 광고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가동 도어(12)를 레일(2) 상에서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스크린 도어 프레임 상측에 배치된 슬라이딩 구조 기구를 그대로 이용하여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 및 전원 배선 케이블(3)를 개재하여 제어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도어(12)의 상부에는 기존의 슬라이딩 구조의 기구를 통하여 신호 및 전원배선용 케이블(3)을 내장하고, 상부 고정위치에 컨트롤러와 전원 스위칭 박스 형태의 제어 모듈(30)을 구비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활용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 모듈(30)은 SMPS 등과 같은 전원 공급부(31),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통해 표현할 다양한 색상의 광고 문자나 광고 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2),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점등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2) 및 제어부(33)는 MCU 보드의 형태로 내장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 모듈(30)은 자체 내에 저장부를 통해 광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나, 외부 기기로부터 새로운 광고 정보를 유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각종 광고 정보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를 이용한 광고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30)을 통해 스크린 도어의 가동 도어(12)에 설치된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20)을 조합하여 점등 구동 제어를 통해 하나의 대화면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광고 문자를 나타내고 있으나 광고 그래픽을 정지 또는 움직이는 상태로도 가능하며, 2개의 가동 도어(12)가 각각 서로 다른 내용의 광고 내용을 문자나 그래픽을 정지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은 다수의 LED(22; 도 3 참조)가 SMT 공정에 의해 솔더링되도록 복수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210)가 기판의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2열을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이러한 접속단자(210)에는 신호선(220)과 전원선(230)이 각각 연결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210)의 신호선(220)과 전원선(230)은 신호 및 전원 배선 케이블(3)를 개재하여 제어 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은 6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210)가 기판상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패드는 접속단자(2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2열로 배치형성된다.
도 5의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접속단자(210)의 우측 상단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211), GND 패드(212),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 신호선 출력 패드(214), VCC 공급 패드(215) 및 신호선 입력 패드(216)가 배치되며, 각각의 패드는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3 개의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211), GND 패드(212), 및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와 신호선 출력 패드(214), VCC 공급 패드(215) 및 신호선 입력 패드(216)가 접속단자(2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대향되어 좌우 2열로 배치형성된다.
이와 같이 6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단자(210a)의 후방에는 제 1 접속단자(210a)의 패드배치와 동일한 제 2 접속단자(210b)가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 패드들에는 신호선(220)과 전원선(230)이 연결되어 제어 모듈(30)을 통해 디지털 신호가 신호선(220)을 통해 전송되거나,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선(230)을 따라 접속단자(210)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선(230)은 접속단자들의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접속단자(210)의 GND 패드(212) 및 VCC 공급 패드(215)가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전원선(230)의 대칭적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GND 핀(단자)과 VCC 공급 핀(단자)에 연결되도록 하여, 접속단자(210)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접속단자(210)의 양측으로 네트형의 금속전극(231)이 배치되고, 접속단자(210)가 전원선(230)을 통해 네트형 전극(231)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230)은 접속단자들의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접속단자(210)의 대칭적으로 대향하게 형성된 2개의 전원 공급 패드 즉, LED 모듈의 전원단자 핀의 특성상 대칭적으로 대향된 GND 패드(212) 및 VCC 공급 패드(215)가 양측의 전원선(230)과 연결(음극 및 양극)되도록 하여, 접속단자(210)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접속단자(210)의 양측으로 네트형의 금속전극(231)이 배치되고, 접속단자(210)가 전원선(230)을 통해 네트형 전극(231)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네트형의 금속전극(231)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7과 같은 스트레이트 타입의 전극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신호선(220)은 전후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제 2 접속단자(210a, 210b)를 연결시켜 디지털 신호가 연속하여 전송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신호선(220)은 2열로 배치되어 좌우양측으로 이격되는 패드의 좌측 열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신호선(220)은 접속단자(2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제 1 접속단자(210a)의 신호선 출력 패드(214)와 상기 제 1 접속단자(210a)와 인접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접속단자(210b)에서 접속단자(2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신호선 입력 패드(216)에 연결되어 접속단자(210)들의 좌측열에 형성되어 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는 접속단자(210)들로 디지털 신호가 전달되는 신호선(220) 이외 별도의 백업신호선(240)을 더 형성시켜 신호선(220)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지 않더라도, 백업신호선(240)을 통해 디지털 신호가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백업 신호선(240)은 접속단자(2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211)와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 사이를 연이어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211) 및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 사이를 연결하여 접속단자(210)들의 우측열에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서는 이러한 백업신호선(240)을 우측에 신호선(220)을 좌측에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인접형성시키지 않고, 상호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거리를 두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백업신호선(240)과 신호선(220)과의 거리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기판에 형성시켜, PET 재질로 이루어진 연성회로기판의 유동에 의해 배선들이 상호간섭되지 않도록 SMT 작업공정에서의 공차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각 접속단자(210)의 신호선 입력 패드(216)는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보조선(250)을 구비하도록 하여 접속단자(210)들에 장착된 LED(미도시)가 이탈 또는 물리적 손상에 의해 고장이 나서 좌측라인으로 배열된 해당 신호선 입력 패드(216)가 해당 신호선 출력 패드(214)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고, 우측라인으로 배열된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211)와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의 신호 연결이 끈어지더라도 신호선 입력 패드(216)에서 바로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와 연결되어 해당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전달할 수 있음으로 인접한 접속단자와 연결된 LED를 정상동작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보조선(250)은 각 접속단자(210)에서 좌측에 형성되는 신호선 입력 패드(216)와 우측의 대각선 방향에 형성되는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 사이를 대각형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진다.
한편, 바이패스 보조선(250)이 각 접속단자(210)에서 좌측에 형성되는 신호선 입력 패드(216)와 우측의 형성되는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213) 사이를 대각라인 형상으로 연결 형성되어 GND 패드(212) 및/또는 신호선 출력 패드(214)와 겹치지 않도록하여 쇼트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종래에는 겹치는 경우에 쇼트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층 처리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절연층 처리가 요구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 모듈의 전원단자 핀의 다른 디자인 형상으로서, 접속단자(310)들의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원선(330)에 형성되는 GND 핀 및 VCC 공급핀이 평형한 대칭이 아니라 대각형상으로 상호 대향되어 형성되어 이에 연결되는 GND 패드(312) 및 VCC 공급 패드(315)가 역시 대각된 형태로 배열되는 구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은 드라이브 IC에 의해 제어되는 LED가 SMT 공정에 의해 솔더링되도록 복수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310)가 기판의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3열을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물론, 이러한 접속단자(310)에는 신호선(320)과 전원선(330)이 각각 연결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은 6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310)가 기판상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패드는 전원선(330)에 대향되게 대각으로 형성되는 GND 핀 및 VCC 공급핀에 연결되는 GND 패드(312) 및 VCC 공급 패드(315)가 역시 대각형상으로 배열되어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3열로 배치형성된다.
도 8의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접속단자(310)의 우측 상단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311), GND 패드(312),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313), 신호선 출력 패드(314), VCC 공급 패드(315) 및 신호선 입력 패드(316)가 배치되며, 각각의 패드는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2 개의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311) 및 GND 패드(312)는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2 개의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313) 및 신호선 입력 패드(316)는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선상으로, 그리고 신호선 출력 패드(314) 및 VCC 공급 패드(315)는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대향되어 좌우 3열로 배치형성된다.
이와 같이 6개의 패드로 3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단자(310a)의 후방에는 제 1 접속단자(310a)의 패드배치와 동일한 제 2 접속단자(310b)가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 패드들에는 신호선(320)과 전원선(330)이 연결되어 독립적인 집적회로부로서의 드라이버 IC(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가 신호선(320)을 통해 전송되거나,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선(330)을 따라 접속단자(310)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선(330)은 접속단자(310)들의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접속단자(310)의 GND 패드(312) 및 VCC 공급 패드(315)가 좌우로 대각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전원선(330)의 대각형태로 대향되게 형성된 GND 핀과 VCC 공급 핀에 연결되도록 하여, 접속단자(310)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접속단자(310)의 양측으로 스트레이트 타입의 금속전극(도면 번호 미부여)이 배치되고, 접속단자(310)가 전원선(330)을 통해 전극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금속전극을 나타내고 있으나, 네트 타입의 전극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전원선(330)은 접속단자들의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접속단자(310)의 대각형태로 대향하게 형성된 2개의 전원 공급 패드 즉, LED 모듈의 전원단자 핀의 특성상 대각으로 대향된 GND 패드(312) 및 VCC 공급 패드(315)가 양측의 전원선(330)과 연결(음극 및 양극)되도록 하여, 접속단자(310)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접속단자(310)의 양측으로 금속전극(도면 번호 미부여)이 배치되고, 접속단자(310)가 전원선(330)을 통해 전극과 연결된다.
상기 신호선(320)은 전후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제 2 접속단자(310a, 310b)를 연결시켜 디지털 신호가 연속하여 전송되도록 하는데, 도 8에서와 같이, 신호선(320)은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접속단자(310a)의 신호선 출력 패드(314)와 상기 제 1 접속단자(310a)와 인접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접속단자(310b)에서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선상에 형성된 신호선 입력 패드(316) 간에 경사진 형태로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는 접속단자(310)들로 디지털 신호가 전달되는 신호선(320) 이외 별도의 백업신호선(340)을 더 형성시켜 신호선(320)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지 않더라도, 백업신호선(340)을 통해 디지털 신호가 연속하여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백업 신호선(340)은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선상에 형성된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313)와 상기 제 1 접속단자(310a)와 인접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접속단자(310b)에서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311) 간에 경사진 형태의 상기 경사진 신호선(320)과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서는 이러한 경사진 형태의 백업신호선(340)을 좌측에 역시 경사진 신호선(320)을 이격하도록 나란히 배치하여 인접형성시키지 않고, 상호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거리를 두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백업신호선(340)과 신호선(320)과의 거리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기판에 형성시켜, PET 재질로 이루어진 연성회로기판의 유동에 의해 배선들이 상호간섭되지 않도록 SMT 작업공정에서의 공차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선상에 형성된 각 접속단자(310)의 신호선 입력 패드(316)는 접속단자(310)들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선상에 형성된 각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313)와 수평형태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보조선(350)을 구비하도록 하여 접속단자(310)들에 장착된 LED(미도시)가 이탈 또는 물리적 손상에 의해 고장이 나서 해당 신호선 입력 패드(316)가 해당 신호선 출력 패드(314)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고,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311)와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313)의 신호 연결이 끈어지더라도 신호선 입력 패드(316)에서 바로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313)와 연결되어 해당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전달할 수 있음으로 인접한 접속단자와 연결된 LED를 정상동작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2: 레일 3: 신호 및 전원 배선 케이블
10: 스크린 도어 프레임
11: 고정 도어 12: 가동 도어
20: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
21: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 22: LED
23: 접착제 층으로서의 실리콘 필름
30: 제어 모듈
31: 전원 공급부 32: 저장부
33: 제어부
210, 310 : 접속단자
211, 311 :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 212, 312 : GND 패드 213, 313 :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 214, 314 : 신호선 출력 패드 215, 315 : VOC 공급 패드 216, 316 : 신호선 입력 패드
220, 320 : 신호선
230, 330 : 전원선
231 : 전극
240, 340 : 백업신호선
250, 350: 바이패스 보조선

Claims (7)

  1.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로서,
    승강장 상에서 고정된 고정 도어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가동 도어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도어 프레임;
    상기 가동 도어의 유리에 각각 부착되며,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은, 연성회로기판인 투명 LED 필름, 상기 투명 LED 필름의 상부에 도트 매트릭스 형태로 장착되는 다수의 LED 및 상기 다수의 LED의 상부로 도포되어 완전히 커버하며 상기 가동 도어의 유리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LED 필름은, 상기 LED가 SMT 공정에 의해 솔더링되는 복수개의 패드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가 연성회로기판 표면상에 전후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들간에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 및 상기 각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상기 연성회로기판 표면에 배선되며, 상기 접속단자들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 신호선 입력 패드, 신호선 출력 패드, 전원선 공급 패드,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 및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LED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제 1 접속단자의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와, 상기 제 1 접속단자와 인접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접속단자의 백업신호선 입력 패드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접속단자로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가 상기 제 2 접속단자로 전달되는 백업신호선이 더 형성되어지되, 각 접속단자는 해당 신호선 입력 패드와 해당 백업신호선 출력 패드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보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층은 실리콘 필름이며,
    상기 투명 LED 필름은 다수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트 매트릭스 배선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도어를 레일 상에서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스크린 도어 프레임 상측에 배치된 슬라이딩 구조 기구를 통하여 신호 및 전원배선용 케이블을 내장하고, 컨트롤러 형태의 상기 제어 모듈을 일측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현할 다양한 색상의 광고 문자나 광고 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투명 LED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점등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접속단자들의 양측에 VCC 단자 및 GND 단자로 연결되도록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각 접속단자들의 전원선 공급 패드는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VCC 단자로 연결되는 VCC 공급 패드와 접지로 연결되는 상기 GND 단자로 연결되는 GND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KR1020200078939A 2020-06-29 2020-06-29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KR10233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39A KR102336907B1 (ko) 2020-06-29 2020-06-29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39A KR102336907B1 (ko) 2020-06-29 2020-06-29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907B1 true KR102336907B1 (ko) 2021-12-09

Family

ID=7886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39A KR102336907B1 (ko) 2020-06-29 2020-06-29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2392A (zh) * 2022-04-27 2022-07-29 快优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大型半透显示装置的驱动分控模组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537B1 (ko) * 2016-07-05 2016-11-29 조두희 재난안전 미디어 승강문
KR20170126526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의 투명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KR20170126527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KR20180059320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솔루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폴딩도어형 광고 장치
KR102027416B1 (ko) * 2019-05-31 2019-10-01 (주) 액트 Led 투명 전광판용 필름기판을 이용한 led 투명 전광판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526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의 투명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KR20170126527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KR101680537B1 (ko) * 2016-07-05 2016-11-29 조두희 재난안전 미디어 승강문
KR20180059320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솔루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폴딩도어형 광고 장치
KR102027416B1 (ko) * 2019-05-31 2019-10-01 (주) 액트 Led 투명 전광판용 필름기판을 이용한 led 투명 전광판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2392A (zh) * 2022-04-27 2022-07-29 快优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大型半透显示装置的驱动分控模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3002B2 (en) Window including integrated display signage
ITMI972245A1 (it) Insegna di visualizzazione con mezzi per migliorare la visibilita'
KR20110003698A (ko) 투명 정보 전달 윈도우
JP2004530932A (ja) 複合表示板
CN107703650B (zh) 显示装置
BRPI0612977A2 (pt) painel de visão unidirecional eletroluminescente
US10665153B2 (en) Illuminated display
US11391885B2 (en) Light bar assembly, backlight unit, display unit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336907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스크린 도어 광고 장치
KR20180079550A (ko) 표시패널
KR20180012679A (ko)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0338A (ko) 백라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10062170A (ko) 액정표시장치
CN108398818A (zh)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70041436A (ko) 플렉서블 엘이디 전광판 발광모듈
KR102363525B1 (ko) Led 투명 전광판용 연성회로기판
KR200395821Y1 (ko) 광고안내판
CN210181972U (zh) 一种柔性led汽车广告屏
KR101785565B1 (ko) 투명 led 전광판
WO2016173096A1 (zh) 一种结合led显示和反射式显示的装置
KR101967951B1 (ko) 필름발광체를 겸비한 액자형 el표지판
KR100769589B1 (ko) 주야 변환용 다중 광고판
US20240074289A1 (en) Insulated glass unit with transparent oled panel and mobili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283015Y1 (ko) 옥외 광고 표시장치
KR102369915B1 (ko)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