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15B1 -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15B1
KR102369915B1 KR1020190133933A KR20190133933A KR102369915B1 KR 102369915 B1 KR102369915 B1 KR 102369915B1 KR 1020190133933 A KR1020190133933 A KR 1020190133933A KR 20190133933 A KR20190133933 A KR 20190133933A KR 102369915 B1 KR102369915 B1 KR 10236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 unit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526A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19013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15B1/ko
Priority to PCT/KR2020/002093 priority patent/WO2021080095A1/ko
Publication of KR2021004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이미지가 인쇄된 제1 표시부; 상기 제 1표시부 전면에 형성되며 제2 이미지가 인쇄된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 표시부에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 2이미지가 중첩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MULTI-LAYERED IMAGE DISPLAY}
본 발명은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및 발전과 더불어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한 광고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의 광고를 위해 실내 및 실외에 배치되어 광고 대상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광고물이 이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인보드는 공익 광고, 상업 광고, 캠페인 광고 등과 같은 다양한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기업이 특정 상품 및 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철역, 노변 등에 다양한 사인보드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사인보드는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는 곳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그려진 광고문안이 사람들에게 시각을 통해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기구가 갖추어진 경우에는 야간에도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기된 광고문안이 선명히 드러남으로써 광고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화면창을 열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교체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광고문안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광고간판은 광고문안을 바꾸기 위하여 일일이 화면창을 열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교체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도 많이 든다.
또한, 계속 동일한 이미지만이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4406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이미지가 인쇄된 제1 표시부; 상기 제 1표시부 전면에 형성되며 제2 이미지가 인쇄된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 표시부에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 2이미지가 중첩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광원부 전면에 마련되는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1 표시층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된 제1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층은, 사슬구조 고분자 집합체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층의 두께는 150 내지 200㎛로 형성되어 광의 최소 투과율이 30% 이상이 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 전면에 마련되는 제2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된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층은, 폴리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고분자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화합물) 소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층의 두께는 80 내지 280㎛로 형성되어 광의 최소 투과율이 25% 이상이 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마련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를 상호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투명한 표면 아크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LED 백라이트 또는 태양광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표시층을 모듈화하여 구성하고 광원부의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광원부의 빛에 세기에 따라 제2 이미지에 단계적으로 제1 이미지가 중첩되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100)는 제1 표시부(110), 제2 표시부(120), 광원부(130), 접착부(140), 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130)가 상기 제1 표시부(110)에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 2이미지가 중첩되어 표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110)는 제1 이미지가 인쇄되어 마련되며, 제1 표시부(110)는 제1 표시층(111) 및 제1 인쇄층(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층(111)은 상기 광원부(130)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표시층(111)은, 사슬구조 고분자 집합체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층(111)의 두께는 150 내지 200㎛로 형성되어 광의 최소 투과율이 30%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층(111)의 두께가 150㎛보다 얇으면 잉크양이 적게 먹어 이미지 표현이 어렵고, 200㎛보다 두꺼우면 이미지 표현은 좋으나 광의 투과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광의 투과율이 낮아지면 제2 표시부(120)와의 중첩 표현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층(111)의 두께는 150 내지 20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인쇄층(112)은 상기 제1 표시층(111)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된 층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120)는 상기 제 1표시부 전면에 형성되며 제2 이미지가 인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120)는 제2 표시층(121) 및 제2 인쇄층(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층(121)은 상기 제1 표시부(110) 전면에 마련되며, 폴리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고분자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화합물)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표시층(121)의 두께는 80 내지 280㎛로 형성되어 광의 최소 투과율이 25%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122)은 상기 제2 표시층(121)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된 층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는 제 1이미지보다 고해상도로 마련되어 상기 제 1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가 중첩 시 제 2이미지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이미지의 해상도는 1200*1200dpi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30)는 상기 제1 표시부(1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110)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30)는 LED 백라이트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광원부(130)는 태양광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접착부(140)는 상기 제1 표시부(110) 및 상기 제2 표시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표시부(110) 및 상기 제2 표시부(120)를 접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제1 표시부(110) 및 상기 제2 표시부(120) 사이에 상기 접착부(140)는 반드시 마련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부(110)와 상기 제2 표시부(120)는 상호 접착 없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제2 표시부(12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제1 표시부(110) 및 상기 제2 표시부(120)를 보호하도록 마련되며, 사람이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표면 아크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110), 상기 제2 표시부(120), 상기 광원부(130) 및 상기 접착부(140)는 액자 내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표시층(111)은 각각 복수의 표시유닛으로 이루어진 모듈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층(111)은 서로 광투과율이 상이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표시유닛들을 조합한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표시유닛들은 서로 광투과율이 상이하도록 두께가 조절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130)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표시층(111)은 상기 광원부(130)의 빛의 세기에 따라 상기 제2 표시층(121)에 인쇄된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표시층(111)에 인쇄된 제1 이미지가 중첩되는 부분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층(111)이 두꺼울수록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두꺼운 부분일수록 광의 세기가 더 강해져야만 제2 표시층(121)의 제2 이미지와 제1 이미지가 중첩되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상기 제1 표시층(111)을 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표시유닛을 모듈화하여 마련할 경우, 광의 세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더 많은 제1 이미지가 제2 이미지에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층(111)이 복수의 표시유닛들로 모듈화될 경우, 각 제1 이미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표시부(120) 또는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광량이나 움직임을 측정하여 광원부(130)를 온/오프 하거나, 광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110: 제1 표시부
111: 제1 표시층
112: 제1 인쇄층
120: 제2 표시부
121: 제2 표시층
122: 제2 인쇄층
130: 광원부
140: 접착부

Claims (10)

  1.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제1 이미지가 인쇄된 제1 표시부;
    상기 제 1표시부 전면에 형성되며 제2 이미지가 인쇄된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및 광원부는 하나의 액자 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 표시부에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제 2이미지가 중첩되어 상기 액자에 하나의 중첩된 이미지로 표현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광원부 전면에 마련되는 제1 표시층; 및
    상기 제1 표시층에 상기 제1 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된 제1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층은 적어도 하나는 두께가 다른 복수의 표시유닛으로 이루어진 모듈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유닛에서, 더 강한 세기의 광을 투과시키는 표시유닛일수록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광투과율을 낮추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세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더 많은 수의 제1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에 단계적으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표시부에 센서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자 외부의 광량 또는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광원부의 온/오프 또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층은,
    사슬구조 고분자 집합체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층의 두께는,
    150 내지 200㎛로 형성되어 광의 최소 투과율이 30% 이상이 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 전면에 마련되는 제2 표시층; 및
    상기 제2 표시층에 상기 제2 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된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층은,
    폴리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고분자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화합물) 소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층의 두께는,
    80 내지 280㎛로 형성되어 광의 최소 투과율이 25% 이상이 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마련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를 상호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투명한 표면 아크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LED 백라이트 또는 태양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KR1020190133933A 2019-10-25 2019-10-25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KR10236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933A KR102369915B1 (ko) 2019-10-25 2019-10-25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PCT/KR2020/002093 WO2021080095A1 (ko) 2019-10-25 2020-02-14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및 거래 플랫폼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933A KR102369915B1 (ko) 2019-10-25 2019-10-25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526A KR20210049526A (ko) 2021-05-06
KR102369915B1 true KR102369915B1 (ko) 2022-03-03

Family

ID=7591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933A KR102369915B1 (ko) 2019-10-25 2019-10-25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171A (ja) * 2003-05-20 2005-01-06 Noguchi Shoji:Kk 食品サンプ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269B1 (ko) 2007-01-02 2007-09-03 주식회사 엘림무역 이미지가변형 액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4171A (ja) * 2003-05-20 2005-01-06 Noguchi Shoji:Kk 食品サンプ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526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6198A1 (en) Flexible Backlit Display
CN106409839A (zh) 包括柔性显示面板的多视觉显示装置
US10308173B2 (en) Illuminated plate for motor vehicle
CN102016963A (zh) 电泳显示窗口
KR101970997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부착/삽입형 난간 광고 장치
US20150226906A1 (en) Front light module and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70994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폴딩도어형 광고 장치
KR102369915B1 (ko) 다층구조 이미지 디스플레이
US10127843B2 (en) Photoluminescent signage
KR200395821Y1 (ko) 광고안내판
US20100313455A1 (en) Advertising sheet laminate
KR102391807B1 (ko) 발광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102300660B1 (ko) 레이어드 이미지의 거래 플랫폼의 운영방법
JP7285538B2 (ja) 透過性制御ディスプレイ、透過性制御ディスプレイ付ホームドア及び車両用透過性制御ディスプレイ
KR100769589B1 (ko) 주야 변환용 다중 광고판
JP6695633B2 (ja) 表示装置
KR200233393Y1 (ko) 외부조명등이 구비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101967951B1 (ko) 필름발광체를 겸비한 액자형 el표지판
KR200247262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US20190086731A1 (en) Highly reflective electrostatic shutter display
KR200312959Y1 (ko) 광투과부가 형성된 광확산필름과 이를 이용한 광고간판
CN211603791U (zh) 一种薄形化hdr分区双面显示背光模组
US7808713B2 (en) Intensity-based one-way visible display system
GB2438919A (en) Reusable banner, e.g. for attachment to window.
JP2004226437A (ja) スクリーン印刷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