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513B1 -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513B1
KR102336513B1 KR1020200187003A KR20200187003A KR102336513B1 KR 102336513 B1 KR102336513 B1 KR 102336513B1 KR 1020200187003 A KR1020200187003 A KR 1020200187003A KR 20200187003 A KR20200187003 A KR 20200187003A KR 102336513 B1 KR102336513 B1 KR 10233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unctional material
layer
material layer
photo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섭
이돈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Priority to KR102020018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513B1/ko
Priority to CN202111681656.0A priority patent/CN11468613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25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3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primer coating

Abstract

일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표면에 UV 경화에 의해 수축 가능한 기능성소재층이 형성됨으로써, 제품에 보호 필름을 적용한 뒤 UV 광조사를 통해 컬을 발생하여 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의 곡면부를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WITH IMPROVED CURVED SURFACE PROTECTION}
본 발명은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의 곡면부에 적용되는 보호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부의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에 채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종으로 가장자리에 곡률을 주어 휘게 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전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면에만 곡면이 형성되어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곡면 디스플레이는 디자인 면에서 선호되는 반면 곡면부의 파손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기존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던 보호 필름 외에, 곡면부에 적용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의 보호 필름은 투명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반면, 유연성이 부족하여 곡면을 따라 충분히 밀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유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소재의 보호 필름은 곡면에 밀착하는데 유리하지만, 표면 경도가 낮고 투명성도 좋지 않아서 지문 인식 등의 기능에 불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ET 필름을 열성형에 의해 곡면 형태로 고정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다양한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어렵고, 또한 PET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우레탄을 혼입한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내구성이 약하고 광학적 특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2018-0009224 호
기존의 보호 필름은 제품의 편평한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었으나, 보호 필름이 갖는 반발력 및 복원 특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곡면부에는 부착이 어렵고 부착하더라도 쉽게 들뜨게 되어 보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기존의 보호 필름의 기재층의 표면에 UV 경화에 의해 수축 가능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에 보호 필름을 적용한 뒤 UV 광조사를 통해 컬을 발생하여 곡면에 밀착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곡면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부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능성소재층; 및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한 변이 150 mm인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365 nm 파장의 UV 광을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 시에 가장자리에 20 mm 이상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1) 기재층의 일면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뒤 1차 UV 경화시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며,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는,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1) 기재층의 일면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뒤 1차 UV 경화시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보호 필름을 얻는 단계; (3)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을 곡면부에 적용하는 단계; 및 (4) 상기 기능성소재층을 2차 UV 경화시켜 상기 보호 필름에 컬을 발생시켜 곡면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며,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고, 상기 2차 UV 경화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500 mJ/cm2 내지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는, 곡면부의 보호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일면에 UV 경화에 의해 수축 가능한 기능성소재층이 형성됨으로써, 제품에 보호 필름을 적용한 뒤 UV 광조사를 통해 컬을 발생하여 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소재가 상온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므로 표면에 택(tack)이 없어 이물 부착에 따른 오염이 적고 공정성이 우수하며, 1차 UV 경화에 의해 기재화된 뒤 2차 UV 경화에 의해 곡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UV 경화와 열 경화가 조합된 공정에 비해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의 곡면부를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보호 필름에 UV 광조사 시에 가장자리의 컬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1차 UV 광조사를 통해 제조된 보호 필름을 곡면에 적용하여 2차 UV 광조사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이하의 구현예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것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하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하에 대한 기준은 대상을 관찰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구현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물성 값, 치수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 범위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보호 필름의 특성
일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표면에 UV 경화에 의해 수축 가능한 기능성소재층이 형성됨으로써, 제품에 보호 필름을 적용한 뒤 UV 광조사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컬을 발생하여 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10)은 UV 광을 조사 시에 기재층(1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기능성소재층(200)이 수축함으로써, 기재층(100) 측으로 볼록하고 기능성소재층(200) 측으로 오목한(또는 하드코팅층(500) 측으로 볼록하고 또는 점착층(300) 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컬이 발생하게 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한 변이 150 mm인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365 nm 파장의 UV 광을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 시에 가장자리에 20 mm 이상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컬 변화는 보호 필름(10)을 점착층이 위를 향하도록(즉 기재층이 기능성소재층 및 점착층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편평한 바닥 위에 올려 놓고 UV 광조사 시에 바닥으로부터 가장자리의 들뜬 높이(h)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필름의 UV 광조사에 의한 컬 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 먼저 상기 보호 필름을 한 변이 150 mm인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필름 샘플을 얻는다. 필름 샘플을 편평한 바닥 위에 올려 놓고 상온에서 바닥으로부터 양 가장자리의 들뜬 높이(mm)를 측정하고 이 중 최대값을 초기 컬로 정한다. 이후 필름 샘플에 365 nm 파장의 UV 광을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한다. 상기 UV 광은 예를 들어 365 nm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메탈 램프 또는 수은 램프와 같은 UV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일 수 있다. UV 광조사 이후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보호 필름의 양 가장자리의 들뜬 높이(mm) 중 최대값을 측정하고, 초기 컬과의 차이값을 구한다. 상기 차이값이 UV 광조사에 의해 발생한 컬 변화이다.
상기 보호 필름의 UV 광조사에 의한 컬 변화는 20 mm 이상, 25 mm 이상, 30 mm 이상, 35 mm 이상, 또는 45 m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컬 변화가 20 mm 미만일 경우 곡면부에 대한 밀착이 불완전하여 부착 시에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 필름의 초기 컬은 일정 수준 이내인 것이 필름의 취급성 및 적용성 면에서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UV 광조사 이전에 가장자리에 10 mm 이내 높이의 컬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필름의 초기 컬은 5 mm 이내, 또는 3 mm 이내 높이일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층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10)은 기재층(100); 상기 기재층(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능성소재층(200); 및 상기 기능성소재층(200)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300)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상기 보호 필름(10)은 상기 점착층(300)의 표면에 합지된 이형층(400); 상기 기재층(100)의 타면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500); 및 상기 하드코팅층(500)의 표면에 부착된 보호층(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층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층
상기 기재층은 상기 보호 필름에서 다른 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환형올레핀중합체(COP),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PA),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 수지, 또는 이들의 얼로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1축 연신된 고분자 필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1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높은 투명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85% 이상, 구체적으로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 내지 150 ㎛인 것이 하드코팅층을 잘 지지하면서 컬 발생에 보다 유리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 이상, 35 ㎛ 이상, 50 ㎛ 이상, 또는 75 ㎛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50 ㎛ 이하, 125 ㎛ 이하, 100 ㎛ 이하, 75 ㎛ 이하,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 내지 100 ㎛, 또는 50 ㎛ 내지 150 ㎛일 수 있다.
기능성소재층
상기 기능성소재층은 UV 광조사 시에 수축에 의해 보호 필름에 컬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능성소재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조절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온 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60℃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60℃ 내지 8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기능성소재층 표면의 끈적임에 의해 이물이 부착되거나 취급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성소재층은 상기 UV 광조사 이전에 점착력을 갖지 않고, 구체적으로 상기 UV 광조사 이전의 점착력은 약 0 gf/inch일 수 있다.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기재화에 필요한 1차 경화를 위한 선형 중합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선형 중합에도 관여하지만, 기재화된 이후에 UV 광조사에 의한 2차 경화를 위한 가교 반응에 더 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기 UV 광조사 이전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UV 광조사 이후에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에 의한 가교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V 광조사 시에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다량으로 반응함으로써, 수지 내의 배재 부피(excluded volume)를 줄여 수축될 수 있고, 그 결과 보호 필름에 컬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소재층은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2종 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는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는 제 1 광개시제; 및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는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광개시제의 작용 파장 대역은 208 nm 내지 275 nm, 또는 208 nm 내지 245 nm일 수 있고, 상기 제 2 광개시제의 작용 파장 대역은 330 nm 내지 390 nm, 또는 340 nm 내지 385 nm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 및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의 UV 광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 및 500 mJ/cm2 내지 1000 mJ/cm2의 양의 UV 광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케톤계 광개시제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방향족 그룹 또는 지환족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포스핀계 광개시제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방향족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을 들 수 있다.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두께는 10 ㎛ 내지 15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두께는 10 ㎛ 이상, 20 ㎛ 이상, 30 ㎛ 이상, 40 ㎛ 이상, 또는 50 ㎛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50 ㎛ 이하, 130 ㎛ 이하, 110 ㎛ 이하, 90 ㎛ 이하, 또는 70 ㎛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두께는 10 ㎛ 내지 100 ㎛, 10 ㎛ 내지 50 ㎛, 또는 50 ㎛ 내지 150 ㎛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곡면에 대한 부착성은 기재층의 두께 뿐만 아니라 기능성소재층의 두께에도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기재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 곡면 부착성이 떨어지지만, 기재층이 두껍더라도 기능성소재층의 두께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UV 광조사에 의한 컬 변화가 커져서 곡면 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기능성소재층이 아래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0.5 < T1 / T2 < 2 ... (1)
상기 식에서 T1은 상기 기재층의 두께(㎛)이고, T2는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두께(㎛)이며 10 ㎛ 내지 150 ㎛의 범위 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T1/T2 값은 0.7 이상, 또는 0.9 이상일 수 있으며, 또한 1.7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점착층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은 제품의 곡면부에 대한 부착력을 부여하고 제품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없애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자외선에 의해 황변되지 않고 UV 흡수제의 분산성이 양호한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혹은 2종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수지는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접착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자외선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에폭시 경화제 및 아지리딘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점착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중량%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점착층은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광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티옥산톤(thioxanthone)계, α-하이드록시 케톤(α-hydroxy ketone)계, 케톤(ketone)계,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계 및 아크릴 포스파인 옥사이드(acryl phosphine oxide)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유리 파손시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에 대해 10 N/inch 이상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은 유리에 대해 10 N/inch 내지 30 N/inch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공정 및 외부 이물에 의한 눌림성을 억제하기 위해, -4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 구체적으로 -40℃ 내지 -15℃, 또는 -30℃ 내지 -15℃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5 ㎛ 내지 30 ㎛, 또는 10 ㎛ 내지 2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눌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하드코팅층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외부 자극 및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 스크래치, 및 외관 변형을 방지하고, 내마모, 내스크래치, 내지문, 방오, 항균 등의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UV 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표면 경도를 높여 높은 하드코팅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UV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UV 경화성 수지로는 UV 광 조사에 의해 가교 및 경화되는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양이온 중합형과 라디칼 중합형의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의 예로는 에폭시계 수지나 비닐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에폭시계 수지로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노블라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형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기를 갖고, 가교 경화를 통해 3차원 망목 구조가 되는 아크릴계 프리폴리머(경질 프리폴리머)가 하드코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프리폴리머의 예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컨대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트)아크릴산과의 반응을 통해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컨대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카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신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하거나, 또는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컨대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또는 노블락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고리와 (메트)아크릴산과의 반응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방오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광개시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코팅층은 방오제를 포함하여, 지문, 얼룩, 스크래치 등이 방지되고 표면 경도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오제는 실리콘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변성아크릴기능성실록산, 플루오로폴리에테르 및 플루오로아크릴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레벨링제는 비실리콘아크릴화합물 및 플루오로아크릴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하드코팅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3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이상, 3 ㎛ 이상, 또는 5 ㎛ 이상일 수 있고, 또한 50 ㎛ 이하, 30 ㎛ 이하, 20 ㎛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내지 50 ㎛, 3 ㎛ 내지 30 ㎛, 또는 5 ㎛ 내지 20 ㎛일 수 있다.
보호층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부착된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보호 필름을 제품에 부착하기 전까지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후에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환형올레핀중합체(COP),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P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하드코팅층과 접촉하는 표면에 점착제를 포함하여 부착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이 가능하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30 ㎛ 내지 150 ㎛일 수 있다.
이형층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층의 표면에 합지된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상기 점착층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추후 점착층을 제품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 제거된다.
상기 이형층은 상기 점착층과 합지되는 표면에 이형을 위한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멜라민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요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파라핀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은 (1) 기재층의 일면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뒤 1차 UV 경화시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한다.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된다.
상기 단계 (1)의 조성물은 상기 1차 UV 경화 이후 상온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조성물은 무용제 타입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성소재층을 UV 경화만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내의 용제의 함량은 3 중량% 미만, 또는 1 중량% 미만일 수 있고, 특히 0 중량%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성물이 용제로 희석되는 용제 타입인 경우, 기능성소재층의 기재화를 위해 열 경화도 필요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단계 (1)의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3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5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모노머 등과 반응하여 주쇄를 형성한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000 내지 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상온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2 몰부 내지 6 몰부; 카프로락톤계 폴리올 4 몰부 내지 8 몰부;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1 몰부 내지 5 몰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중량평균분자량 100 내지 50,000의 카프로락톤계 폴리올,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축합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카프로락톤계 폴리올을 비주석계 촉매의 존재(1~1000 ppm) 하에서 반응시킨 뒤,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추가로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용제 대신 조성물을 희석하기 위해 사용되며, 낮은 UV 광량 조건에서도 반응이 이루어지게 하고 조성물의 점도를 낮춰 조성물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조성물 내 함량이 부족할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과량일 경우 기재화에 충분한 경화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그룹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거나 갖지 않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그룹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사이클릭트리메틸올프로판 포말아크릴레이트(CTFA), o-페닐페놀 EO 아크릴레이트(OPPEA),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벤질 아크릴레이트(BZA),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및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EOEO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2차 UV 경화 시에 다량으로 반응하여 분자 내의 배재 부피를 줄여 기능성소재층을 수축시킴으로써 보호 필름의 컬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조성물 내 함량이 부족할 경우 2차 UV 경화 시에 수축이 적어 곡면부에 부착하기 위한 컬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2관능 이상, 또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HEICTA),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DPPA),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의 보호 방법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의 곡면부를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1차 UV 광조사(UV1)에 의해 기능성소재층이 형성된 보호 필름(10)을, 제품의 곡면부(20)에 적용한 뒤 2차 UV 광조사(UV2)에 의해 컬을 발생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곡면부의 보호 방법은, (1) 기재층의 일면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뒤 1차 UV 경화시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을 곡면부에 적용하는 단계; 및 (4) 상기 기능성소재층을 2차 UV 경화시켜 상기 보호 필름에 컬을 발생시켜 곡면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한다.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1차 UV 경화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반응을 유도하여 기능성소재층을 기재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1차 UV 경화 시에는 작용하지 않고 남아 있다가, 2차 UV 경화 시에 분해되어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에 의한 가교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기능성소재층의 수축에 의한 보호 필름의 컬을 발생시킨다.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고, 상기 2차 UV 경화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500 mJ/cm2 내지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4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고, 상기 2차 UV 경화는 340 nm 내지 38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500 mJ/cm2 내지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UV 경화를 위한 광조사 시에 조사 광량이 부족할 경우 기재화에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택(tack)이 발생할 수 있고, 조사 광량이 초과할 경우 기능성소재층에 수축 변형을 일으켜 제품화를 위한 이후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UV 경화를 위한 광조사 시에, 조사 광량이 부족할 경우 기능성소재층의 수축과 보호 필름의 컬 변화가 작아 곡면 부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보호 필름은 상기 2차 UV 경화 이전에 가장자리에 10 mm 이내 높이의 컬을 갖고, 상기 2차 UV 경화 시에 가장자리에 20 mm 이상 높이의 컬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가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구현 가능한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호 필름의 제조예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4 몰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약 25,000의 카프로락톤계 디올 6 몰부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비주석(non-tin)계 촉매를 500 ppm 첨가하여 교반한 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2 몰부를 투입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CTFA 및 IBOA) 30 중량부, 다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MIRAMER M500) 50 중량부, 제 1 광개시제(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1 중량부, 및 제 2 광개시제(2,4,6-트리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용제 타입의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1차 UV 광조사를 수행하여 일면이 하드코팅 처리된 두께 5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표면에,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뒤 1차 UV 광조사를 수행하여 두께 30 ㎛의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였다. 1차 UV 광조사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램프를 사용하여 약 100 mJ/cm2의 광량으로 수행되었다.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광학투명점착제(OCA)를 코팅하여 두께 10 ㎛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한 변이 150 mm인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필름 샘플을 얻었다.
시험예
(1) 1차 UV 광조사 시의 광량에 따른 컬 발생 평가
상기 제조예와 같은 방식으로 필름 샘플을 제조하되, 1차 UV 광조사의 광량을 하기 표와 같이 변화시켰다. 그 결과 제조된 필름 샘플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 초기 컬: 제조된 각 필름 샘플의 초기 컬을 측정하기 위해, 점착층이 상방을 향하도록 필름 샘플을 바닥에 놓고, 상온에서 바닥으로부터 필름 샘플의 양 가장자리의 들뜬 높이(mm) 중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 기재화 평가: 1차 UV 광조사 이후 기능성소재층의 표면 경화 상태 및 끈적임(tack) 정도를 확인하였다.
○: 경화 상태 양호하고 끈적임 없음, △: 부분경화/끈적임 있음, X: 미경화
구 분 샘플 1A 샘플 1B 샘플 1C 샘플 1D 샘플 1E 샘플 1F
1차 광량(mJ/cm2) 100 200 50 80 250 300
초기 컬(mm) 0 3 0 0 15 25
기재화 평가 X
상기 표에서 보듯이, 샘플 1A 및 1B와 같이 100~200 mJ/cm2 광량 조건에서는 초기 컬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기재화가 양호하였다. 반면 샘플 1C 및 1D와 같이 50~80 mJ/cm2 광량 조건에서는 기능성소재층이 미경화되거나 끈적임이 발생하였고, 샘플 1E 및 1F와 같이 250~300 mJ/cm2 광량 조건에서는 초기 컬이 10 mm를 초과하여 이후 공정을 진행하기에 부적합하였다.
(2) 2차 UV 광조사 시의 광량에 따른 컬 및 들뜸 평가
상기 제조예와 같은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되, 1차 UV 광조사를 100~200 mJ/cm2의 광량으로 하였다. 이후 샘플에 피크 파장 365 nm인 UV 램프를 사용하여 2차 UV 광조사를 하기 표와 같은 광량으로 수행하였다. 2차 UV 광조사 시에 다음과 같은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 컬 변화: 제조된 각 필름 샘플의 초기 컬을 측정하기 위해, 점착층이 상방을 향하도록 필름 샘플을 바닥에 놓고, 상온에서 바닥으로부터 필름 샘플의 양 가장자리의 들뜬 높이(mm) 중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이후 필름 샘플에 2차 UV 광조사를 수행한 뒤, 같은 방식으로 컬을 측정하였다. 상기 2차 UV 광조사 이후 측정된 컬 높이에서 초기 컬의 높이를 빼서 컬 변화를 산출하였다.
- 곡면 부착 평가: 필름 샘플을 점착층이 닿도록 곡면부(재질: 글래스 , 곡률: 3.2 mm)에 올려 놓고 2차 UV 광조사를 수행하며 부착한 뒤 샘플을 관찰하였다.
○: 곡면에 밀착하여 부착됨, X: 곡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
구 분 샘플 2A 샘플 2B 샘플 2C 샘플 2D 샘플 2E 샘플 2F 샘플 2G 샘플 2H
1차 광량(mJ/cm2) 100 100 200 200 100 100 200 200
2차 광량(mJ/cm2) 500 1000 500 1000 200 300 200 300
컬 변화(mm) 25 40 30 45 5 8 5 10
곡면 부착 평가 X X X X
상기 표에서 보듯이, 샘플 2A 내지 2D와 같이 2차 광조사 시의 광량이 500~1000 mJ/cm2인 경우 컬 변화가 20 mm 이상이였고, 곡면에 밀착하여 부착되었다. 반면 샘플 2E 내지 2H와 같이 2차 광조사 시의 광량이 200~300 mJ/cm2인 경우 컬 변화가 10 mm 이하였고, 곡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이 관찰되었다.
(3) 층 두께에 따른 들뜸 평가
상기 제조예와 같은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되, 기재층 및 기능성소재층의 두께를 하기 표와 같이 각각 조절하였다. 제조된 샘플에 대해 상기 (2)와 같은 방식으로 곡면 부착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구 분 샘플 3A 샘플 3B 샘플 3C 샘플 3D 샘플 3E 샘플 3F
기재층 두께(㎛) 23 23 38 38 55 55
기능성소재층 두께(㎛) 30 20 30 20 40 30
곡면 부착 평가
구 분 샘플 3G 샘플 3H 샘플 3I 샘플 3J 샘플 3K
기재층 두께(㎛) 23 38 55 80 80
기능성소재층 두께(㎛) 10 10 20 60 40
곡면 부착 평가 X X X X
상기 표에서 보듯이, 기재층 두께에 비례하여 기능성소재층을 일정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할 경우 컬 변화가 커져서 곡면 부착이 양호하였다. 반면, 기재층 두께 대비 기능성소재의 두께가 얇을 경우 곡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이 관찰되었다.
(4) 기능성소재층 조성에 따른 성능 평가
상기 제조예와 같은 방식으로 샘플을 제조하되, 기능성소재층을 위한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내의 성분 배합량을 아래 표와 같이 조절하였다. 샘플 제조 시에 상기 (1)과 같은 방식으로 기재화 평가를 수행하고, 제조 이후 상기 (2)와 같은 방식으로 컬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 기재화 양호/컬 변화 20 mm 이상, X: 기재화 불안정/컬 변화 20 mm 미만
구 분 샘플 4A 샘플 4B 샘플 4C 샘플 4D 샘플 4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g) 100 100 100 100 100
아크릴레이트 모노머(g) 30 10 60 30 30
다관능 아크릴레이트(g) 50 50 50 10 90
1차 광조사 후 기재화 평가 X X - -
2차 광조사 후 컬 변화 - - X
상기 표에서 보듯이,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내의 성분 배합량에 따라, 1차 UV 광조사 후의 기재화 및 2차 광조사 후의 컬 변화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샘플 4A 내지 4C를 비교할 때, 희석용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배합량에 따라 기능성소재층 표면의 경화나 끈적임 정도가 달라졌다. 또한 샘플 4A, 4D 및 4E를 비교할 때, 추가적인 경화를 위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배합량에 따라 2차 UV 광조사 후의 컬 변화 정도가 달라졌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스마트폰, 태블릿 기기, 노트북, PC,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워치, TV, 기타 이동통신 기기나 각종 전자제품 또는 의료용 장비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10: 보호 필름, 20: 곡면부,
100: 기재층, 200: 기능성소재층,
300: 점착층, 400: 이형층,
500: 하드코팅층, 600: 보호층,
h: 높이, UV: UV 광조사,
UV1: 1차 UV 광조사, UV2: 2차 UV 광조사.

Claims (16)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능성소재층; 및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한 변이 150 mm인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365 nm 파장의 UV 광을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 시에 가장자리에 20 mm 이상 높이의 컬(curl) 변화를 갖고,
    상기 기재층 및 상기 기능성소재층이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보호 필름:
    0.5 < T1 / T2 < 2 ... (1)
    상기 식에서
    T1은 상기 기재층의 두께(㎛)이고,
    T2는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두께(㎛)이며 10 ㎛ 내지 150 ㎛의 범위 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UV 광조사 이전에 가장자리에 10 mm 이내 높이의 컬을 갖는,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는 제 1 광개시제; 및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는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개시제가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 및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의 UV 광에 의해 라디칼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가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 및 500 mJ/cm2 내지 1000 mJ/cm2의 양의 UV 광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생성하는, 보호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온 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보호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소재층이 상기 UV 광조사 이전에 0 gf/inch의 점착력을 갖는, 보호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기 UV 광조사 이전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선형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UV 광조사 이후에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에 의한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점착층의 표면에 합지된 이형층;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부착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보호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면부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보호 필름.
  11. (1) 기재층의 일면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뒤 1차 UV 경화시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며,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는, 제 1 항의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조성물이 무용제 타입이고, 상기 1차 UV 경화 이후 상온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조성물이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2 몰부 내지 6 몰부;
    카프로락톤계 폴리올 4 몰부 내지 8 몰부; 및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1 몰부 내지 5 몰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15. (1) 기재층의 일면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제 1 광개시제 및 제 2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뒤 1차 UV 경화시켜 기능성소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보호 필름을 얻는 단계;
    (3)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층을 곡면부에 적용하는 단계; 및
    (4) 상기 기능성소재층을 2차 UV 경화시켜 상기 보호 필름에 컬을 발생시켜 곡면부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광개시제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고,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에서 작용하며, 상기 1차 UV 경화는 208 nm 내지 2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100 mJ/cm2 내지 2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고, 상기 2차 UV 경화는 320 nm 내지 395 nm의 파장 대역의 UV 광을 500 mJ/cm2 내지 1000 mJ/cm2의 양으로 조사하여 수행되고,
    상기 기재층과 기능성소재층이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곡면부의 보호방법:
    0.5 < T1 / T2 < 2 ... (1)
    상기 식에서
    T1은 상기 기재층의 두께(㎛)이고,
    T2는 상기 기능성소재층의 두께(㎛)이며 10 ㎛ 내지 150 ㎛의 범위 내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2차 UV 경화 이전에 가장자리에 10 mm 이내 높이의 컬을 갖고,
    상기 2차 UV 경화 시에 가장자리에 20 mm 이상 높이의 컬 변화를 갖는, 곡면부의 보호방법.
KR1020200187003A 2020-12-30 2020-12-30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KR10233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003A KR102336513B1 (ko) 2020-12-30 2020-12-30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CN202111681656.0A CN114686130B (zh) 2020-12-30 2021-12-29 具有得以提高的曲面保护功能的保护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003A KR102336513B1 (ko) 2020-12-30 2020-12-30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513B1 true KR102336513B1 (ko) 2021-12-07

Family

ID=7886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003A KR102336513B1 (ko) 2020-12-30 2020-12-30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6513B1 (ko)
CN (1) CN114686130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956A (ko) * 2013-10-15 2016-06-27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시트, 및 그 용도
KR20180009224A (ko) 2016-07-18 2018-01-26 문정호 3d 포밍 고경도 다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00084070A (ko) * 2018-12-31 2020-07-10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9152B2 (ja) * 2006-02-02 2013-07-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588588B2 (ja) * 2007-02-20 2014-09-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窓ガラス用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自動車窓ガラスの製造方法
JP5617843B2 (ja) * 2009-09-30 2014-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6170383A (ja) * 2015-03-10 2016-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液晶パネル
CN110105896B (zh) * 2019-06-18 2022-02-18 佛山固泰明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屏幕保护膜及其制备方法
CN111534244B (zh) * 2020-05-12 2022-07-05 江西蓝海芯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曲面显示屏的保护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956A (ko) * 2013-10-15 2016-06-27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시트, 및 그 용도
KR20180009224A (ko) 2016-07-18 2018-01-26 문정호 3d 포밍 고경도 다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00084070A (ko) * 2018-12-31 2020-07-10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86130A (zh) 2022-07-01
CN114686130B (zh)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587190B1 (ko) 플라스틱 필름
KR100864349B1 (ko) 필름 보호층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및 광학 시트
KR101110534B1 (ko) 표면 보호 필름
KR101802575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180194969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optical laminate using the same
KR102381676B1 (ko) 접착력 가변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239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한 필름
US10570264B2 (en)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coating layer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forming coating layer using the same
KR101479813B1 (ko) 반경화 감압 점착필름
CN112566784B (zh) 表面保护膜、表面保护膜层叠体及表面保护膜的制造方法
JP637268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749722B1 (ko)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36513B1 (ko) 향상된 곡면 보호 기능을 갖는 보호 필름
KR20140111392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점착필름
US20170130103A1 (en) Curable composition
KR20190089651A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적층체
KR20210127828A (ko) 모바일 기기용 보호 필름 및 이에 적합한 모바일 기기용 보호 필름 제조 방법
KR20220080450A (ko) 광학 적층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1393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점착필름
KR20140121093A (ko) 광학용 감압 점착제 조성물
KR20240017555A (ko)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2349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4285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KR102306588B1 (ko) 점착성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