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52B1 -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 Google Patents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52B1
KR102336152B1 KR1020210126054A KR20210126054A KR102336152B1 KR 102336152 B1 KR102336152 B1 KR 102336152B1 KR 1020210126054 A KR1020210126054 A KR 1020210126054A KR 20210126054 A KR20210126054 A KR 20210126054A KR 102336152 B1 KR102336152 B1 KR 10233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fuel cell
unit
generation unit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152B9 (ko
Inventor
김용주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52B1/ko
Publication of KR10233615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52B9/ko
Priority to PCT/KR2022/013345 priority patent/WO20230484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oth fuel cells and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60Electric Machines, e.g.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1Access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연료전지와 배터리 및 수소 탱크의 설치 공간을 특정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수소를 저장하고, 연료전지(52)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탱크(53); 상기 수소탱크(53)로부터 수소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서, 상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52); 상기 연료전지(52)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팩(54); 상기 배터리팩(54)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모터(6); 상기 모터(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주행부(4)로 전달하는 경로에 설치되는 변속기(7)를 포함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있어서, 콤바인의 전방에는 예취부(2)가 설치되며, 상기 콤바인의 주행부(4) 상측에는, 수소 발전부(5)를 설치하고, 상기 수소 발전부(5)에는 상기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이 수용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상측에는, 캐빈부(1), 탈곡부 및 저장부(3) 및 모터(6)가 설치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하측에는, 상기 변속기(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Combine platform with hydrogen fuel cells as power sources}
본 발명은, 연료전지와 배터리 및 수소 탱크의 설치 공간을 특정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수소 연료전지를 이용한 농업기계 등 차량에 관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3492호(2012. 02. 15. 공개)에는, 바퀴 및 조향장치가 구비된 차체; 상기 차체에 설치되며 수소가스를 공급하는 수소 봄베; 상기 수소 봄베의 수소를 정압으로 유지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소연료전지; 상기 수소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차체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의 용량으로 상승시키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바퀴에 연결된 동력전달부; 상기 캐패시터의 잉여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0200호(2005. 10. 18. 공개)에는, 배터리가 연료전지스택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연료전지스택과 함께 인버터에 직류전압을 제공하며, 연료전지스택은 주동력원으로 제공되고, 배터리는 주동력원을 지원하는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며, 인버터는 연료전지스택이나 배터리에서 인가된 직류전압을 3상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로 공급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481185호(2015. 01. 05. 등록)에는, 연료전지 스택, 수소공급장치와 공기공급장치, 그리고 열 및 물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모듈이 모듈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체형의 구동모터-감속기가 별도 프레임인 서브 프레임이 장착되며, 상기 모듈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구조로 차량의 사이드 멤버에 결합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모듈의 진동 절연성이 향상되는 연료전지 자동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969009호(2010. 07. 01. 등록)에는, 고온에서 수소를 방출시키는 제1저장합금 분말이 충진된 외부공간과, 연료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열만으로 수소를 방출시키는 제2저장합금 분말을 충진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 및 외부공간을 구획하도록 내부 및 외부공간 사이에 배열된 금속필터와, 연료전지 스택과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냉각루프의 일 구성을 이루면서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2열교환 튜브와; 상기 제1저장합금 분말의 수소 방출을 위하여 외부공간에 별도로 연결되는 독립 열교환 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저장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3492호(2012. 02. 15. 공개) 특허문헌 2 :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0200호(2005. 10. 18. 공개) 특허문헌 3 : 등록특허공보 제10-1481185호(2015. 01. 05. 등록) 특허문헌 4 : 등록특허공보 제10-0969009호(2010. 07. 01. 등록)
콤바인은 비롯한 대부분의 농업기계는 종래 화석 연료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오염 물질 및 배기 가스 배출량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친환경 수소/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농업기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수소 연료전지 농업기계는 수소탱크에서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연료전지를 통해 화학 반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농업기계를 구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동력원을 안전하게 보호 유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소탱크를 콤바인 하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연료의 충전이 용이하다.
또한, 무게를 차지하는 배터리 및 수소 연료전지가 하부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1] 수소를 저장하고, 연료전지(52)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탱크(53); 상기 수소탱크(53)로부터 수소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서, 상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52); 상기 연료전지(52)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팩(54); 상기 배터리팩(54)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모터(6); 상기 모터(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주행부(4)로 전달하는 경로에 설치되는 변속기(7)를 포함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있어서, 콤바인의 전방에는 예취부(2)가 설치되며,
상기 콤바인의 주행부(4) 상측에는, 수소 발전부(5)를 설치하고, 상기 수소 발전부(5)에는 상기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이 수용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상측에는, 캐빈부(1), 탈곡부 및 저장부(3) 및 모터(6)가 설치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하측에는, 상기 변속기(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52)와 배터리팩(54)은, 각각 상기 수소 발전부(5)의 전방 좌, 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수소탱크(53)는, 동일한 형상의 탱크를 다수 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수소 발전부(5)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수소 발전부(5)는, 콤바인 차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개폐 도어(512)에 의해 프레임 커버부(5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512)는, 상기 프레임의 좌, 우 및 후방에 설치되며, 하측에 도어 힌지(512)를 설치하여, 하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동력원을 안전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소탱크를 탈곡부 및 저장부 하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연료의 충전이 용이하다.
또한, 무게를 차지하는 배터리 및 수소 연료전지가 하부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가진다.
또한, 예취부의 후방부에 연료전지를 설치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주행하면서 정화시킨 산소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a)는 수소 발전부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수소 발전부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부 정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술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소를 저장하고, 연료전지(52)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탱크(53); 상기 수소탱크(53)로부터 수소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서, 상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52); 상기 연료전지(52)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팩(54); 상기 배터리팩(54)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모터(6); 상기 모터(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주행부(4)로 전달하는 경로에 설치되는 변속기(7)를 포함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있어서, 콤바인의 전방에는 예취부(2)가 설치되며, 상기 콤바인의 주행부(4) 상측에는, 수소 발전부(5)를 설치하고, 상기 수소 발전부(5)에는 상기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이 수용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상측에는, 캐빈부(1), 탈곡부 및 저장부(3) 및 모터(6)가 설치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하측에는, 상기 변속기(7)가 설치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도면을 살펴보면서, 상기 구설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행부(4)와 탈곡부 및 저장부(3) 사이에 수소 발전부(5)를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 발전부(5)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탈곡부 및 저장부(3)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무게를 차지하는 배터리팩(54) 및 수소탱크(53) 및 연료전지(52)를 탈곡부 및 저장부(3)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가진다.
또한, 수소탱크(53)를 개폐 가능한 수소 발전부(5) 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캐빈부(1), 예취부(2), 탈곡부 및 저장부(3), 주행부(4)]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빈부(1), 예취부(2), 탈곡부 및 저장부(3) 및 주행부(4)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종래 콤바인에서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의 구성도 종래 콤바인에서의 배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예취부(2)의 후방이며, 상기 탈곡부 및 저장부(3)와 주행부(4) 사이에 수소 발전부(5)를 배치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수소 발전부(5)]
본 발명에서 상기 수소 발전부(5)는 수소탱크(53)에 저장된 수소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를 공급받아 전기화학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자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소 발전부(5)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프레임 커버부(51)에 의해 커버되는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의 작용은, 종래 수소 발전부(5)들에서의 작용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소 발전부(5)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모터(6)를 상기 캐빈부(1)와 탈곡부 및 저정부(3) 사이에 배치한다는 점과 상기 모터(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주행부(4)로 전달하는 변속기(7)를 상기 수소 발전부(5)의 아래쪽, 주행부(4) 사이에 배치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수소 발전부(5)의 프레임(미도시)는, 상기 콤바인 차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개폐 도어(512)에 의해 프레임 커버부(5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512)는, 상기 프레임의 좌, 우 및 후방에 설치되며, 하측에 도어 힌지(512)를 설치하여, 하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의 교체 및 점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프레임의 하측에 도어 힌지(512)를 설치하여, 트럭 적재함의 개폐 구조와 같은 방식의, 개폐 도어(511)를 하측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 발전부(5)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빈부(1), 탈곡부 및 저장부(3)의 구조에 방해받지 않고, 좌, 우 및 후방측으로 자유롭게 개폐 도어(511)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소 발전부(5)는, 상기와 같이,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을 평면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캐빈부(1), 탈곡부 및 저장부(3)를 포함하는 콤바인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소 발전부(5)의 프레임 내부 공간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곽 같이,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하며, 전방부에는 연료전지(52) 및 배터리팩(54)를 배치하고, 후방부에는 수소탱크를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연료전지(52) 및 배터리팩(54)을 전방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로부터의 연료전지(52)에 원활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료전지(52) 및 배터리팩(54)의 냉각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52)에서 발생되는 물의 배출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52)의 전방에는 예취부(2)와의 사이에 공기필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를 연료전지(52)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 상기 공기필터는, 예취부(2)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탱크(53)는, 도 1 내지 도 3에도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부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탱크(53)의 교체 및 수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탱크(53)는 다수 개의 탱크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6), 변속기(7)]
본 발명에서, 모터(6)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캐빈부(1)와 탈곡부 및 저장부(3)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소 발전부(5)와 분리시켜 모터(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콤바인 전체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해진다.
물론, 상기 수소 발전부(5)의 일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6)를 수소 발전부(5)의 일측에 설치하게 되면, 변속기(7)와의 연결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6)를 수소 발전부(5)와 분리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소 발전부(5)의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에 의하여 교체 및 점검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변속기(7)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주행부(4)의 좌, 우 차륜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소 발전부(5)와 분리시켜 변속기(7)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콤바인 전체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해진다.
물론, 상기 수소 발전부(5)의 일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변속기(7)를 수소 발전부(5)의 일측에 설치하게 되면, 모터(6)와의 연결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너, 변속기(7)에 의해 주행부(7)의 차륜을 회전시켜야 한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캐빈부
2 : 예취부
3 : 탈곡부 및 저장부
4 : 주행부
5 : 수소 발전부
51 : 프레임 커버부
511 : 개폐 도어
512 : 도어 힌지
52 : 연료전지
53 : 수소탱크
54 : 배터리팩
6 : 모터
7 : 변속기

Claims (5)

  1. 수소를 저장하고, 연료전지(52)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탱크(53);
    상기 수소탱크(53)로부터 수소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서, 상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52);
    상기 연료전지(52)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팩(54);
    상기 배터리팩(54)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모터(6);
    상기 모터(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주행부(4)로 전달하는 경로에 설치되는 변속기(7)를 포함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에 있어서,
    콤바인의 전방에는 예취부(2)가 설치되며,
    상기 콤바인의 주행부(4) 상측에는, 수소 발전부(5)를 설치하고, 상기 수소 발전부(5)에는 상기 연료전지(52), 수소탱크(53) 및 배터리팩(54)이 수용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상측에는, 캐빈부(1), 탈곡부 및 저장부(3) 및 모터(6)가 설치되며,
    상기 수소 발전부(5) 하측에는, 상기 변속기(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52)와 배터리팩(54)은, 각각 상기 수소 발전부(5)의 전방 좌, 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탱크(53)는, 동일한 형상의 탱크를 다수 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수소 발전부(5)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발전부(5)는, 콤바인 차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개폐 도어(512)에 의해 프레임 커버부(5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512)는, 상기 프레임의 좌, 우 및 후방에 설치되며, 하측에 도어 힌지(512)를 설치하여, 하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KR1020210126054A 2021-09-24 2021-09-24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KR10233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054A KR102336152B1 (ko) 2021-09-24 2021-09-24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PCT/KR2022/013345 WO2023048427A1 (ko) 2021-09-24 2022-09-06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054A KR102336152B1 (ko) 2021-09-24 2021-09-24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52B1 true KR102336152B1 (ko) 2021-12-08
KR102336152B9 KR102336152B9 (ko) 2022-04-11

Family

ID=7886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054A KR102336152B1 (ko) 2021-09-24 2021-09-24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6152B1 (ko)
WO (1) WO202304842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27A1 (ko) * 2021-09-24 2023-03-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KR102526586B1 (ko) 2022-08-16 2023-04-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기 부착형 경심 제어 장치
KR102600739B1 (ko) 2022-08-09 2023-1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콤바인 플랫폼의 본체 배치 구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040A (ja) * 2002-09-17 2004-04-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伝動装置
JP2004355929A (ja) * 2003-05-28 2004-12-16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の搭載構造
KR20050100200A (ko) 2004-04-13 2005-10-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료 전지 자동차
KR100969009B1 (ko) 2008-04-11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00129878A (ko) * 2009-06-02 2010-12-10 황성조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한 연료전지 자동차
CN101971743A (zh) * 2010-09-15 2011-02-16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风氢新能源应用在采棉机上的动力装置
KR20120013492A (ko) 2010-08-05 2012-02-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KR101481185B1 (ko) 2009-11-16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모듈의 진동 절연성이 향상되는 연료전지 자동차
JP2019205409A (ja) * 2018-05-30 2019-12-0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152B1 (ko) * 2021-09-24 2021-1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040A (ja) * 2002-09-17 2004-04-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伝動装置
JP2004355929A (ja) * 2003-05-28 2004-12-16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の搭載構造
KR20050100200A (ko) 2004-04-13 2005-10-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료 전지 자동차
KR100969009B1 (ko) 2008-04-11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00129878A (ko) * 2009-06-02 2010-12-10 황성조 수소저장합금용기를 구비한 연료전지 자동차
KR101481185B1 (ko) 2009-11-16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모듈의 진동 절연성이 향상되는 연료전지 자동차
KR20120013492A (ko) 2010-08-05 2012-02-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CN101971743A (zh) * 2010-09-15 2011-02-16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风氢新能源应用在采棉机上的动力装置
JP2019205409A (ja) * 2018-05-30 2019-12-0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27A1 (ko) * 2021-09-24 2023-03-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KR102600739B1 (ko) 2022-08-09 2023-1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콤바인 플랫폼의 본체 배치 구조
WO2024034760A1 (ko) * 2022-08-09 2024-02-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소 콤바인 플랫폼의 본체 배치 구조
KR102526586B1 (ko) 2022-08-16 2023-04-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기 부착형 경심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427A1 (ko) 2023-03-30
KR102336152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152B1 (ko) 수소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콤바인 플랫폼
US11008041B2 (en) Fuel cell vehicle
JP3932185B2 (ja) 燃料電池搭載型電気自動車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ボックス
US9902249B2 (en) Electric vehicle
JP2024050559A (ja) 動力電池パック及び電気自動車
KR100614283B1 (ko) 연료 전지 장착 차량
US20170113556A1 (en) Electric vehicle
EP2253530B1 (en) Scooter type motorcycle equipped with fuel cell system
KR100745843B1 (ko) 연료전지차량
CN103213509A (zh) 车辆供电系统
JP2000514745A (ja) 電動車両に用いられる燃料電池ユニット
US9688130B2 (en) Fuel cell vehicle
US9802474B2 (en) Electric vehicle
WO2010140030A1 (en) Fuel-cell-powered vehicle
CN102449831B (zh) 燃料电池系统
JP2015157608A (ja) 電動車両
JP2017081324A (ja) 電動二輪車のバッテリシステム
US10322646B2 (en) Fuel cell vehicle
JP2000149974A (ja) 電気自動車
JP6273760B2 (ja) 燃料電池二輪車
JP2015077910A (ja) 燃料電池二輪車
JP2017105293A (ja) 電動二輪車のセンタースタンド構造
JP3235614U (ja) 車両用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3235177U (ja) 車両用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US20170113538A1 (en)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