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03B1 -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03B1
KR102335403B1 KR1020210077873A KR20210077873A KR102335403B1 KR 102335403 B1 KR102335403 B1 KR 102335403B1 KR 1020210077873 A KR1020210077873 A KR 1020210077873A KR 20210077873 A KR20210077873 A KR 20210077873A KR 102335403 B1 KR102335403 B1 KR 10233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xing
ventilation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양지석
정동호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청남공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남공조(주) filed Critical 청남공조(주)
Priority to KR102021007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환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유입블럭과 공기 정화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이동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환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 가이드유닛; 및 상기 혼합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정화블럭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외부의 외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튜브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환기와 외기의 혼합을 위한 혼합유로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혼합튜브들을 구비한 공기 혼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Flow mix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서 열성층화를 방지할 수 있고 온도 분포와 기류 속도의 불균일화를 방지하며,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의 국소오염을 최소화하며 열교환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9년 세계 73개국을 대상으로 한 초미세먼지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초미세먼지 농도 2위이며,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가장 높은 전 세계 도시 100개 중 국내 도시 44개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정부가 발간한 대기환경연보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초미세먼지 발생일이 50일에서 60일에 달하고 시간 단위별로 고농도 기간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정부는 2020년 실내 공기질 관리법을 개정하여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기준을 상향하였으며, 향후에 적용될 수 있는 권고 기준을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다. 향후 강화된 공기질 기준을 고려하면 공기 여과장치(공기조화기)의 성능은 지속적으로 상향될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질 확보를 위하여 환기공기(환기(還氣))와 외기공기(외기(外氣))를 약 4:1의 비율로 혼합하고, 그 혼합된 혼합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환기와 외기의 공기 유동은 공기조화기의 구조 특성 상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열성층화 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유동에 의한 열성층화 현상으로 인해 온도 분포와 기류 속도의 불균일화를 초래하고,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의 국소오염을 발생시키고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352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환기와 외기의 혼합 시 열성층화 현상을 방지하고 온도 분포와 기류 속도의 불균일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필터의 국소오염을 최소화하며 장치의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열교환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는, 환기를 유입시키는 환기 유입블럭과, 상기 환기 유입블럭에서 이동된 상기 환기와 외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서로 혼합된 혼합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구비한 공기 정화블럭과, 상기 공기 정화블럭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블럭과, 열교환된 상기 정화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블럭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유입블럭과 공기 정화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이동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환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 가이드유닛; 및 상기 혼합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정화블럭 내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외부의 외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튜브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환기와 외기의 혼합을 위한 혼합유로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혼합튜브들을 구비한 공기 혼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환기 유입블럭과 공기 정화블럭을 서로 소통시키는 소통케이스; 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소통케이스 내부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공기 이동유로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블레이드; 상기 공기 정화블럭 측의 소통케이스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공기 확산로를 형성하는 확산케이스; 상기 공기 확산로를 개별적인 복수의 공기 확산로들로 분할시킬 수 있도록 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확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 확산로에서 간격을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되는 수평블레이드들과, 각각의 수평블레이드들과 간격을 형성하며 교차되는 수직블레이드들을 구비한 제2가이드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블레이드는, 상기 수직블레이드들이 상기 공기 확산로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블레이드들이 상기 환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은, 상기 복수의 혼합유로들과, 유입된 상기 외기가 이동되는 상기 혼합튜브의 내부를 서로 소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공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은, 상기 관통공들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유로들로 분출되는 외기의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튜브의 내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은,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과 마주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비대향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는, 공기 가이드유닛이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입블럭과 공기 정화블럭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이동유로를 형성하고, 공기 가이드유닛의 가이드 블레이드가 환기를 공기 혼합유닛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며, 공기 혼합유닛이 공기 가이드유닛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공기 혼합유닛의 유입호퍼가 외기를 공기 정화블럭으로 유입시키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이 판상의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이격되어 혼합유로들을 형성하고 상기 환기와 외기를 서로 혼합시켜 정화유닛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환기와 외기의 혼합 시 열성층화 현상을 방지하고 온도 분포와 기류 속도의 불균일화를 억제하며, 필터의 국소오염을 최소화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유지시키고, 열교환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에서 Ⅱ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가이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에서 Ⅳ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가이드유닛의 확산케이스 및 제2가이드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혼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에서 Ⅵ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가이드유닛과 공기 혼합유닛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혼합유닛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혼합튜브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F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혼합튜브들에 형성된 관통공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S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는 환기 유입블럭(10), 공기 정화블럭(20), 열교환블럭(30) 및 공기 토출블럭(40)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입블럭(10)은, 정화대상 공간 내에서 이물질 등을 포함한 환기를 유입시키고, 그 환기를 공기 정화블럭(20)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이송팬(P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블럭(20)은, 환기 유입블럭(10)에서 이동된 환기와 외부에서 유입된 외기를 서로 혼합시켜 혼합공기를 생성하고, 그 혼합공기를 정화유닛(21)으로 정화시킨다. 상기 열교환블럭(30)은 상기 정화유닛(21)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열교환코일(31)로 열교환한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블럭(40)은 열교환 된 정화공기를 토출팬(P2)으로 외부에 토출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외기(外氣)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환기(還氣)는 건축물의 실내와 같은 정화대상공간 내에서 존재하며 다양한 이물질 등을 포함한 정화대상 공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에서 Ⅱ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가이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에서 Ⅳ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가이드유닛의 확산케이스 및 제2가이드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혼합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에서 Ⅵ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가이드유닛과 공기 혼합유닛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공기 혼합유닛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혼합튜브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F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혼합튜브들에 형성된 관통공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S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는 공기 가이드유닛(100) 및 공기 혼합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은 상기 환기 유입블럭(10)과 공기 정화블럭(20) 사이에 설치되어 그 환기 유입블럭(10)과 공기 정화블럭(20)을 서로 소통시키는 공기이동유로(11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 가이드 유닛(100)은, 그 공기이동유로(110)에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환기 유입블럭(10)의 내부공간(11)에서 공기 정화블럭(20)측으로 환기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은 환기 유입블럭(10)으로 유입되고 내부공간(11)에서 일시적으로 수용된 환기를 상기 공기이동유로(1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들(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그 공기이동유로(110)를 경유하는 환기를 공기 정화블럭(20)측에서 확산시킨다.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은 환기 유입블럭(10) 및 공기 정화블럭(20)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그 환기 유입블럭(10) 및 공기 정화블럭(2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의 가이드 블레이드(120)들도 상기 그 환기 유입블럭(10) 및 공기 정화블럭(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은, 상기 공기 정화블럭(20)내에 설치되어 외부의 외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과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외기와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에 의해 이동된 환기를 서로 혼합하여 혼합공기를 생성시킨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은 유입호퍼(210)와 혼합튜브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의 유입호퍼(210)는 공기 정화블럭(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공기 정화블럭(20)의 내부를 서로 소통시킴으로써, 그 공기 정화블럭(20)으로 외기를 유입시킨다.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의 혼합튜브들(220)은, 상기 유입호퍼(210)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판형태의 튜브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외기를 공기 정화블럭(20)의 내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환기와 외기의 혼합을 위한 혼합유로들(2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유로들(221)은 혼합튜브들(220)간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공기 가이드유닛(100)에 의해 공기 정화블럭(20)으로 이동되며 확산된 환기와 외기가 일시적으로 머물며 통과되게 하여 서로 혼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과 인접하게 배치된 정화유닛(21)측으로 혼합된 공기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는, 공기 가이드유닛(100)이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입블럭(10)과 공기 정화블럭(2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이동유로(110)를 형성하고, 공기 가이드유닛(100)의 가이드 블레이드(120)가 환기를 공기 혼합유닛(200)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며, 공기 혼합유닛(200)이 공기 가이드유닛(100)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공기 혼합유닛(200)의 유입호퍼(210)가 외기를 공기 정화블럭(20)으로 유입시키며, 공기 혼합유닛(200)의 혼합튜브들(220)이 판형태의 튜브구조로 이루어져 이격되고 환기를 배출시키며 혼합유로들(221)을 형성하고 상기 외기와 환기를 서로 혼합시켜 정화유닛(21)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외기와 환기의 혼합 시 열성층화 현상을 방지하고 온도 분포와 기류 속도의 불균일화를 억제하며, 필터의 국소오염을 최소화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유지시키고, 열교환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은 소통케이스(130), 제1가이드블레이드(140), 확산케이스(150) 및 제2가이드블레이드(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통케이스(130)는, 환기 유입블럭(10)과 공기 정화블럭(20) 사이에 설치되고, 그 환기 유입블럭(10)의 내부공간(11)과 공기 정화블럭(20)를 서로 소통시킨다. 상기 소통케이스(130)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가이드블레이드(140)를 지지한다.
상기 제1가이드블레이드(140)는,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통케이스(130) 내부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복수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1)과 공기 정화블럭(20) 사이에 환기 이동을 위한 복수의 공기 이동유로(10)를 형성한다. 상기 제1가이드블레이드(140)는 상기 소통케이스(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형태 또는 각도 조절 가능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블레이드(140)는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 즉 에어포일(airfoil)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환기를 공기 혼합유닛(200)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확산케이스(150)는, 공기 정화블럭(20) 측의 상기 소통케이스(130)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공기 확산로(151)를 형성한다. 즉 상기 확산케이스(150)는 상기 소통케이스(130)의 일측(공기 정화블럭을 향하는 일측)에서부터 방사형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공기 이동유로(110)를 경유하며 제1가이드블레이드(140)에 의해 공기 정화블럭(20)측으로 가이드된 환기를 공기 혼합유닛(200) 측으로 확산시켜, 그 환기가 공기 혼합유닛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일시적으로 머물며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가이드블레이드(160)는 상기 확산케이스(150)에 의해 확산되는 환기의 확산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을 향해 이동하는 환기의 기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가이드블레이드(160)는 수평블레이드들(161) 및 수직블레이드들(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블레이드들(161)은 복수로 구비되고 판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확산케이스(1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확산로(151)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다단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공기 확산로(151)를 다단형태로 분할한다. 상기 수직블레이드들(162)은 상기 공기 확산로(151)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기 수평블레이드들(161)과 간격을 형성하며 교차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기 확산로(151)를 개별적인 복수의 공기 확산로들로 분할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직블레이드들(162)은 상기 공기 확산로(151)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평블레이드들(161)은 외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공기 확산로(151)들은 이러한 수직블레이드들(162) 및 수평블레이드들(162)의 구조로 인해, 최상부 공기 확산로에서 최하부 공기 확산로까지 각각의 공기 확산로(151)의 면적과 형태를 서로 상이하게 구현하여, 외기의 확산 방향과 확산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외기의 기류 속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은 소통케이스(130)가 환기 유입블럭(10)과 공기 정화블럭(20) 사이에 설치되고, 그 소통케이스(130)에 에어포일 형태의 제1가이드블레이드(140)가 설치되어 복수의 공기 이동유로(110)를 형성하고, 소통케이스의 일측에 확산케이스(150)를 구비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공기 확산로(151)를 형성하고, 그 공기 확산로(151)에 수평블레이드들(161)과 수직블레이드들(162)이 간격을 형성하며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확산로(151)를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공기 가이드유닛(100)을 통과하는 환기의 기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 환기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환기의 이동에 따라 장치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하고, 환기의 온도 분포와 기류 속도의 불균일화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기 확산로(151)를 통과한 환기를 외기와 혼합시키기 위한,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의 혼합튜브들(220)은 복수의 관통공들(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혼합튜브들(220)은 상기 유입호퍼(210)와 소통되는 판상의 튜브형태로 이루어져서,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20)의 내부로 이동되게 하고, 그 외기를 상기 관통공들(222)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일예로, 상기 공기 혼합유닛(200)의 유입호퍼(210)에 의해 유입된 외부의 외기는, 상기 혼합튜브들(220)의 내부로 이동되고, 그 내부에서 상기 관통공들(222)을 통과하여 혼합튜브들(220) 사이의 혼합유로들(221)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외기는 공기 가이드유닛(100)을 통과하여 확산되는 환기와 함께 일시적으로 상기 혼합유로들(221)에 머물게 되면서, 그 환기와 함께 균일한 분포로 혼합된 후 균일한 속도로 상기 정화유닛(21)으로 이동된다.
또한, 외기의 이동을 위한 상기 혼합튜브들(220)의 내부 면적은,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동일(W=W)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도 9의 (a) 참조), 그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게(W>W') 이루어질 수도 있다(도 9의 (b) 참조). 이처럼 상기 혼합튜브들(220)은,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내부(유입된 외기의 이동을 위한 내부)면적이 점차 좁아짐으로써, 상기 관통공들(222)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유로들(221)로 분출되는 외기의 유량을 증대시키고, 상기 혼합유로(221)의 상측과 하측에서 균일하게 혼합공기(외기와 환기의 혼합에 의한 혼합공기)가 생성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정화유닛(21)으로 이동되는 혼합공기의 열성층화현상을 방지하고, 그 정화유닛의 국소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아울러 상기 혼합튜브들(220)은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100)과 마주하는 대향면과 그 대향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비대향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환기의 이동에 따른 마찰 시 받게 되는 압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환기 및 혼합공기의 원활한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도 8의 (b) 참조).
한편, 상기 혼합튜브들(220)에 형성된 관통공들(222)은 테이퍼진 형태의 상기 혼합튜브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크기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관통공들(222)을 통과하는 외기의 분출 시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들(222)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도 10 참조).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P1: 이송팬 P2: 환기팬
10: 환기 유입블럭 11: 내부공간
20: 공기 정화블럭 21: 정화유닛
30: 열교환블럭 31: 열교환코일
40: 공기 토출블럭 100: 공기 가이드유닛
110: 공기 이동유로 120: 가이드 블레이드
130: 소통케이스 140: 제1가이드블레이드
150: 확산케이스 151: 공기 확산로
160: 제2가이드블레이드 161: 수평블레이드들
162: 수직블레이드들 200: 공기 혼합유닛
210: 유입호퍼 220: 혼합튜브들
221: 혼합유로들 222: 관통공들

Claims (6)

  1. 환기를 유입시키는 환기 유입블럭과, 상기 환기 유입블럭에서 이동된 상기 환기와 외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서로 혼합된 혼합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구비한 공기 정화블럭과, 상기 공기 정화블럭에 의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블럭과, 열교환된 상기 정화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블럭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유입블럭과 공기 정화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이동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환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기 가이드유닛; 및
    상기 혼합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정화블럭 내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외부의 외기를 상기 공기 정화블럭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에 연결되고 상기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튜브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환기와 외기의 혼합을 위한 혼합유로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혼합튜브들을 구비한 공기 혼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환기 유입블럭과 공기 정화블럭을 서로 소통시키는 소통케이스; 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소통케이스 내부에서 간격을 형성하며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공기 이동유로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블레이드; 상기 공기 정화블럭 측의 소통케이스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공기 확산로를 형성하는 확산케이스; 상기 공기 확산로를 개별적인 복수의 공기 확산로들로 분할시킬 수 있도록 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확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 확산로에서 간격을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되는 수평블레이드들과, 각각의 수평블레이드들과 간격을 형성하며 교차되는 수직블레이드들을 구비한 제2가이드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은, 유입된 상기 외기가 이동되는 상기 혼합튜브의 내부를, 상기 복수의 혼합유로들과 서로 소통시키는 복수의 관통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은, 상기 관통공들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유로들로 분출되는 외기의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기의 유입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튜브의 내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상기 제1가이드블레이드는, 상기 환기를 공기 혼합유닛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선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들은, 상기 관통공들을 통과하는 외기의 분출 시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상기 혼합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크기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블레이드는,
    상기 수직블레이드들이 상기 공기 확산로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블레이드들이 상기 환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혼합유닛의 혼합튜브들은,
    상기 공기 가이드유닛과 마주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비대향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KR1020210077873A 2021-06-16 2021-06-16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KR10233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73A KR102335403B1 (ko) 2021-06-16 2021-06-16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73A KR102335403B1 (ko) 2021-06-16 2021-06-16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403B1 true KR102335403B1 (ko) 2021-12-06

Family

ID=7890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873A KR102335403B1 (ko) 2021-06-16 2021-06-16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4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4046A1 (de) * 1978-10-10 1980-04-17 Kessler & Luch Gmbh Mischkammer fuer klimaanlagen
US6612923B1 (en) * 2002-09-23 2003-09-02 Brian M Flynn Warm tube mixing box
JP2005016905A (ja) * 2003-06-27 2005-01-20 Kyoritsu Air Tech Inc 低温空調用吹出口
KR101496971B1 (ko) * 2014-12-26 2015-03-04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공기믹싱챔버를 갖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4046A1 (de) * 1978-10-10 1980-04-17 Kessler & Luch Gmbh Mischkammer fuer klimaanlagen
US6612923B1 (en) * 2002-09-23 2003-09-02 Brian M Flynn Warm tube mixing box
JP2005016905A (ja) * 2003-06-27 2005-01-20 Kyoritsu Air Tech Inc 低温空調用吹出口
KR101496971B1 (ko) * 2014-12-26 2015-03-04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공기믹싱챔버를 갖는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233B2 (en) Cooling beam with VAV-function via a regulating strip
JP2948199B2 (ja) 案内羽根入り吸込エルボ
EP0260736B1 (en) A method of mixing two or more gas flows
CN1045817C (zh) 具有导叶的弯头
US4319521A (en) Air distribution system
IE920336A1 (en) Filter/ventilator apparatus for use in clean rooms
CA2366889C (en) Air mixing device having series of parallel airflow passages
US4940475A (en) Variable capacity evaporative humidifier
KR102335403B1 (ko) 공기조화기 유동 혼합장치
CA2730883A1 (en) Stepped down gas mixing device
US11859867B2 (en) Premixed low-nitrogen gas boiler
US4679495A (en) Air diffuser
US5364305A (en) Air mixer
CN108626148A (zh) 风机及屋顶机
US20020047219A1 (en) Cooling tower
FI120245B (fi) Tuloilmalaite
JPH11316045A (ja) 可変冷温風ミキシング分岐ダクト装置
JP2022167258A (ja) 空気浄化ユニット
TW202221262A (zh) 空調系統及其控制方法
US10462934B2 (en) Penthouse cooling/return air distribution assembly
CN114623502B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8779924B (zh) 供应空气的装置
CN216977120U (zh) 混风装置
US20240035681A1 (en) Air treatment device
CN218033720U (zh) 温度控制设备及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