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40B1 -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 Google Patents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40B1
KR102335240B1 KR1020210055154A KR20210055154A KR102335240B1 KR 102335240 B1 KR102335240 B1 KR 102335240B1 KR 1020210055154 A KR1020210055154 A KR 1020210055154A KR 20210055154 A KR20210055154 A KR 20210055154A KR 102335240 B1 KR102335240 B1 KR 10233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rosspiece
fixed
crossbar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목
문상엽
Original Assignee
이희목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목, 주식회사 이도산업 filed Critical 이희목
Priority to KR102021005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횡대의 각 단부를 밀어 넣음에 따라 그 지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각 횡대의 각 단부가 후킹(hooking)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횡대의 각 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 걸림턱; 및 상기 후크 걸림턱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각 끝단에 각각의 후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로 구성되는 후크 브래킷;을 포함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지주에 각각의 횡대의 결합 고정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간단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한 경제성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Non-welding fence with two-way hook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횡대의 각 단부를 밀어 넣음에 따라 그 지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각 횡대의 각 단부가 후킹(hooking)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앵커를 사용한 앵커공법에 의해 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횡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주와 횡대의 결합하는 방식에 있어, 용접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대부분이 무용접 방식이 적용되는바, 무용접 펜스는 볼트, 리벳, 브래킷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지주와 횡대를 결합 고정한다.
종래 무용접 펜스는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지주보스에 횡대의 각 단부가 삽입된 후 상기 지주보스에 삽입된 횡대의 단부와 볼트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차량 등에 의해 횡대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한 충돌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횡대가 휨과 동시에 횡대의 각 양단이 외력이 가해진 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지주보스와 횡대의 각 단부의 체결된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체결부위 파단으로 인한 차량 이탈은 물론 보행자 상해와 같은 2차적인 사고까지 유발시키는 원인 또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횡대에 가해지는 충돌에 대하여 종래에도 횡대의 각 단부가 파단되는 문제점과 쉽게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85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통형 포스트의 양 측면에 각 크로스바의 각 단부에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는 고정판 상의 한 쌍의 돌기가 승강되면서 크로스바의 양 측면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1949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양 측면에서 그 지주를 감싸도록 서로 교차되는 각각의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연결구에 횡대의 단부가 볼트 체결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5194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지주의 연결부에 횡대의 지경 축소부와 회전 체결구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조립성은 우수할 수 있으나, 크로스바에 한 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스프링에 씌워지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는 고정판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크로스바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포스트로부터 크로스바의 각 단부가 쉽게 분리 또는 이탈되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2는 지주에 서로 교차되도록 조립하는 연결구는 물론 각 연결구에 가로대의 단부를 체결하는 과정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 또한 가로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연결부로부터 볼트 체결된 가로대의 단부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특허문헌 3은 지주와 횡대를 연결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단점은 물론 그로 인한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은 물론 이 역시 볼트에 의한 체결로 인해 충격에 대하여 볼트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단점을 그대로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8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19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5194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횡대의 각 단부를 밀어 넣음에 따라 그 지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각 횡대의 각 단부가 후킹(hooking)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각각의 횡대 단부를 후크 체결장치에 체결 고정 시 하나의 횡대가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횡대를 체결 고정 시 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횡대의 체결 고정에 따른 더욱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지주의 지주보스 상에서 횡대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양 측면에 각각의 지주보스가 적어도 1단 이상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되는 각각의 지주와, 상기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단부가 삽입되어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횡대를 포함하는 무용접 펜스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는 각각의 횡대의 각 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 걸림턱; 및 상기 지주와 지주보스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양측에 상기 각 횡대의 단부가 삽입될 때 수축된 후 다시 팽창되면서 상기 후크 걸림턱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각 끝단에 각각의 후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로 구성되는 후크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후크로드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에는 각각의 횡대의 단부가 삽입될 때 원활하게 수축되면서 안내되도록 각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 브래킷의 몸체에는 일측 횡대의 단부가 후크 브래킷에 삽입 고정된 후 타측의 횡대 단부가 삽입될 때 각 횡대의 단부 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후크 브래킷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후크 브래킷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의 폭보다 큰 직경의 후크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 스토퍼부의 양측에는 그 후크 스토퍼부의 외경에서 연장되어 횡대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각각의 연장 보강 슬리브(sleeve)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지주보스의 내면과 후크 브래킷의 후크 스토퍼부 사이에는 후크 브래킷에 횡대의 각 단부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의 지주보스에 끝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탄성 고리가 형성되는 보강 슬리브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횡대 외면에는 후크 브래킷에 하나의 횡대 단부가 결합 고정된 후 다른 하나의 횡대 단부를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한 다음 각각의 횡대가 각각의 지주보스 사이에서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의 밀림방지 플랜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횡대 단부의 외면과 지주보스 사이에는 보조 보강 슬리브가 더 개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횡대의 각 단부를 밀어 넣음에 따라 그 지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각 횡대의 각 단부가 후킹(hooking)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주에 각각의 횡대의 결합 고정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간단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한 경제성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횡대 단부를 후크 체결장치에 체결 고정 시 하나의 횡대가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횡대를 체결 고정 시 밀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횡대의 결합 고정이 안정적이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횡대의 체결 고정에 따른 더욱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횡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그로 인한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지주의 지주보스 상에서 횡대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주 상에 횡대의 결합 고정이 항시 정확한 위치로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조립 효율성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를 포함하는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용접 펜스(100)는 양 측면에 각각의 지주보스(112)가 적어도 1단 이상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성형 또는 제작되는 각각의 지주(110)와, 상기 각각의 지주보스(112)에 각 단부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횡대(12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무용접 펜스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차량 등에 의해 횡대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한 충돌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횡대가 휨과 동시에 횡대의 각 양단이 외력이 가해진 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지주보스와 횡대의 각 단부가 체결된 체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체결부위 파손으로 인한 차량 이탈은 물론 보행자 상해와 같은 2차적인 사고까지 유발시키는 원인 또한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단점으로 인해 조립성이 현저하게 떨어짐은 물론 제조단가도 상승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횡대의 각 단부를 밀어 넣음에 따라 그 지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각 횡대의 각 단부가 후킹(hooking)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펜스(100)에 적용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는 횡대(120)의 각 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 걸림턱(10) 및 상기 횡대(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후크 브래킷(20)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각각의 후크 걸림턱(10)은 각각의 횡대(120)의 각 단부 내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후크 걸림턱은 횡대의 각 단부 내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 브래킷으로 삽입된 후 걸려져 고정된다.
후크 브래킷(10)은 상기 지주(110)와 지주보스(112)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22)의 양측에 상기 각 횡대(120)의 단부가 삽입될 때 수축된 후 다시 팽창되면서 상기 후크 걸림턱(10)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각 끝단에 각각의 후크(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24)로 구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후크 브래킷은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의 끝단에 형성 후크에 의해 삽입되는 횡대의 각 단부 내면에 형성된 후크 걸림턱에 걸려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로드는 몸체의 양측에 소정 간격을 가져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횡대의 단부가 맞닿는 시점에 수축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다시 팽창되면서 후크가 후크 걸림턱에 걸려져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간단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후크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횡대의 각 단부를 삽입함에 따라 양측의 횡대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결합 고정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횡대의 후크 걸림턱에 걸려져 있는 후크 브래킷의 후크에 의해 쉽게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횡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횡대의 단부가 분리 또는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대의 각 단부가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시 그 후크 브래킷으로 더욱더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후크로드(24)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23)에는 각각의 횡대(120)의 단부가 삽입될 때 원활하게 수축되면서 안내되도록 각각의 경사면(2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후크로드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후크의 경사면을 상향으로 경지게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후크의 경사면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횡대의 단부가 접촉될 때 후크로드가 더욱더 원활하게 수축됨과 아울러 횡대의 단부 삽입 또한 미끄러지듯이 더욱더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일측의 횡대를 후크 브래킷에 삽입 고정 후 다른 타측의 횡대를 후크 브래킷에 삽입 고정시 후크 브래킷이 밀리지 않고 원활하게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후크 브래킷(20)의 몸체(22)에는 일측 횡대(120)의 단부가 후크 브래킷(20)에 삽입 고정된 후 타측의 횡대(120) 단부가 삽입될 때 각 횡대(120)의 단부 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후크 브래킷(2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후크 브래킷(20)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24)의 폭보다 큰 직경의 후크 스토퍼부(2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후크 브래킷에 일측에 횡대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의 횡대를 삽입시 후크 브래킷이 밀릴 수 있는 관계로, 상기 먼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 횡대의 단부가 후크 스토퍼부에 지지 됨으로써, 타측 횡대를 삽입하여 결합 고정시에도 후크 브래킷이 밀리지 않고 원활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후크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횡대 각 단부를 결합 고정시에도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를 포함하는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후크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각각의 횡대는 후크 브래킷에 의해서만 연결 고정됨에 따라 충격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기술저 구성을 제공한다.
후크 스토퍼부(22A)의 양측에는 그 후크 스토퍼부(22A)의 외경에서 연장되어 횡대(120)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각각의 연장 보강 슬리브(22A-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연장 보강 슬리브(22A-1)는 후크 스토퍼부(22A)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양측에 개방된 개방공간이 형성되면서 각 양단에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횡대의 각 단부는 상기 연장 보강 슬리브로 삽입된 후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된다.
그에 따라 연장 보강 슬리브는 횡대 및 후크 브래킷의 외측과 지주 및 지주 보스의 내측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횡대의 각 단부를 감싸는 역할로 인해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횡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보강 슬리브는 횡대의 각 단부가 삽입될 때 가이드와 같은 역할도 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제3 실시 예와 같이 각 횡대 및 후크 브래킷과 지주 및 지주보스 사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각각의 지주보스(112)의 내면과 후크 브래킷(20)의 후크 스토퍼부(22A) 사이에는 후크 브래킷(20)에 횡대(120)의 각 단부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의 지주보스(112)에 끝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탄성 고리(32)가 형성되는 보강 슬리브(30)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각각의 탄성 고리는 보강 슬리브에 삼변이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지주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지주보스 상에 보강 슬리브를 먼저 삽입시켜 고정한 후 후크 브래킷의 일측에 일측 횡대의 단부를 결합 고정한 후 타측 횡대의 단부를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한다.
그에 따라 보강 슬리비는 후크 브래킷 및 각 횡대의 감싸면서 지주 및 지주보스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이 또한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횡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절개 사시도 및 결합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후크 브래킷에 일측 횡대의 단부를 결합 고정 후 다른 타측 횡대를 단부를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한 다음 각각의 횡대가 지주보스 사이에서 밀림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각각의 횡대(120) 외면에는 후크 브래킷(20)에 하나의 횡대(120) 단부가 결합 고정된 후 다른 하나의 횡대(120) 단부를 후크 브래킷(20)에 결합 고정한 다음 각각의 횡대(120)가 각각의 지주보스(112) 사이에서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의 밀림방지 플랜지(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횡대 단부를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 후 다른 하나의 횡대 단부를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각각의 횡대의 외면에 형성되는 밀림방지 플랜지에 의해 지주보스 사이에서 각각의 횡대가 좌우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후크 브래킷은 물론 각각의 횡대 단부가 유동성 없이 항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지주보스 사이에서 각각의 횡대 단부를 정위치에서 결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횡대(120) 단부의 외면과 지주보스(112)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보조 보강 슬리브(50)가 더 개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보강 슬리브에 의해 각각의 횡대 단부와 지주 및 지주보스 사이에서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횡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더욱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후크 걸림턱 20 : 후크 브래킷
22 : 몸체 22A : 후크 스토퍼부
22A-1 : 연장 보강 슬리브 23 : 후크
23A : 경사면 24 : 후크로드
30 : 보강 슬리브 32 : 탄성 고리
40 : 밀림방지 플랜지 50 : 보조 보강 슬리브
100 : 무용접 펜스
110 : 지주 112 : 지주보스
120 : 횡대

Claims (7)

  1. 양 측면에 각각의 지주보스가 적어도 1단 이상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형성되는 각각의 지주와, 상기 각각의 지주보스에 각 단부가 삽입되어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횡대를 포함하는 무용접 펜스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는 각각의 횡대의 각 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 걸림턱; 및
    상기 지주와 지주보스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양측에 상기 각 횡대의 단부가 삽입될 때 수축된 후 다시 팽창되면서 상기 후크 걸림턱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각 끝단에 각각의 후크가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로 구성되는 후크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후크 브래킷의 몸체에는 일측 횡대의 단부가 후크 브래킷에 삽입 고정된 후 타측의 횡대 단부가 삽입될 때 각 횡대의 단부 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후크 브래킷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후크 브래킷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로드의 폭보다 큰 직경의 후크 스토퍼부가 형성되되, 상기 후크 스토퍼부의 양측에는 그 후크 스토퍼부의 외경에서 연장되어 횡대의 각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각각의 연장 보강 슬리브(sleeve)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로드에 형성되는 각각의 후크에는 각각의 횡대의 단부가 삽입될 때 원활하게 수축되면서 안내되도록 각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주보스의 내면과 후크 브래킷의 후크 스토퍼부 사이에는 후크 브래킷에 횡대의 각 단부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의 지주보스에 끝단에 걸려 지지되는 각각의 탄성 고리가 형성되는 보강 슬리브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횡대 외면에는 후크 브래킷에 하나의 횡대 단부가 결합 고정된 후 다른 하나의 횡대 단부를 후크 브래킷에 결합 고정한 다음 각각의 횡대가 각각의 지주보스 사이에서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의 밀림방지 플랜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횡대 단부의 외면과 지주보스 사이에는 보조 보강 슬리브가 더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KR1020210055154A 2021-04-28 2021-04-28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KR10233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154A KR102335240B1 (ko) 2021-04-28 2021-04-28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154A KR102335240B1 (ko) 2021-04-28 2021-04-28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240B1 true KR102335240B1 (ko) 2021-12-07

Family

ID=7886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154A KR102335240B1 (ko) 2021-04-28 2021-04-28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2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55B1 (ko) 2010-12-28 2012-07-19 이재문 펜스
KR101658531B1 (ko) * 2015-03-27 2016-09-21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차선 분리대
KR101781949B1 (ko) 2017-01-12 2017-09-26 덕운건설산업(주) 펜스용 가로대 연결구
KR101913838B1 (ko) * 2016-07-05 2018-12-28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2085194B1 (ko) 2020-01-06 2020-03-05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KR200491930Y1 (ko) * 2020-05-18 2020-07-02 (주)엠에스로드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55B1 (ko) 2010-12-28 2012-07-19 이재문 펜스
KR101658531B1 (ko) * 2015-03-27 2016-09-21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차선 분리대
KR101913838B1 (ko) * 2016-07-05 2018-12-28 정도산업 주식회사 휀스
KR101781949B1 (ko) 2017-01-12 2017-09-26 덕운건설산업(주) 펜스용 가로대 연결구
KR102085194B1 (ko) 2020-01-06 2020-03-05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KR200491930Y1 (ko) * 2020-05-18 2020-07-02 (주)엠에스로드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7812C (en) Flexible fencing system
US5160111A (en) Collapsible signalling post
KR101913838B1 (ko) 휀스
KR101357240B1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2213118B1 (ko) 차선분리대의 지주와 횡대의 체결 보강장치
KR101599672B1 (ko)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2335240B1 (ko) 양방향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KR100938507B1 (ko) 도로용 이단가드레일
EP3384091B1 (en) A wire rope barrier
KR102310529B1 (ko)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US4492364A (en) Chain link fence system
US5996973A (en) Fence gate support device
US4508320A (en) Fence system
US1951282A (en) Fence post
GB2393741A (en) Self adjusting fence panel
US4690384A (en) Chain link fence system
US20050067609A1 (en) Vertical fencing
US4603840A (en) Fence support member
GB2273518A (en) Attachment members for substantially rigid mesh elements
EP3377702B1 (en) Guardrail and use of post and mounting plate therein
US3867043A (en) Brace lock assembly for scaffolding
CN213064905U (zh) 一种连接稳固的新型喉箍
KR102335239B1 (ko) 회전형 후크 체결장치를 구비한 무용접 펜스
JP4387568B2 (ja) 張り出しブラケットなどの仮設足場部材
KR102299390B1 (ko) 지주와 횡대의 체결 보강장치를 구비한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