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25B1 -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 Google Patents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25B1
KR102335225B1 KR1020207005356A KR20207005356A KR102335225B1 KR 102335225 B1 KR102335225 B1 KR 102335225B1 KR 1020207005356 A KR1020207005356 A KR 1020207005356A KR 20207005356 A KR20207005356 A KR 20207005356A KR 102335225 B1 KR102335225 B1 KR 10233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weft
stitching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273A (ko
Inventor
유구근
채영백
Original Assignee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은 복수의 제 1 경사와, 복수의 제 1 위사를 가지는 제 1 직물층과, 복수의 제 2 경사와, 복수의 제 2 위사를 가지는 제 2 직물층, 제 1, 2 직물층 사이에 형성되는 다운 충진부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으로 구획하는 접결부로서, 제 1 경사와 제 2 경사가 1회 교차하거나, 접결위사에 의해 적어도 2회 이상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접결부;를 포함한다. 제 1, 2 직물층은, 접결위사의 개수가 2n인 경우(n은 1이상)에는 접결부를 중심으로 교차배치되고, 접결위사의 개수가 2n+1인 경우(n은 0이상)에는 교차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본 발명은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운은 보온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거위 또는 오리의 털을 사용하여 의류나 침구류 등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다운은 오리나 거위의 목, 가슴 부분의 털과 깃털이 혼합되어 있으며, 털과 깃털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운제품은 다운충전부에 다운이 충전된 구조를 갖게 되며, 여기서 다운충전부는 겉감과 안감 사이를 재봉하여 복수개로 구획되도록 제작하여 왔다. 다운충전부의 구획을 통해 다운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의류 또는 침구류등 제품의 전체적으로 다운이 균일하게 퍼져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봉제선을 통해 충전된 다운이 빠져나오는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어 왔으며, 다운충전부가 갈수록 가늘어지는 최근 트렌드에 따라, 봉제 땀 수가 더욱 많아지므로 다운 누출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무봉제 이중직 직물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무봉제로 다운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직물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운이 충진되는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킨 직물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온성을 향상시킨 직물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정비용과 공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직물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무봉직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은 복수의 제 1 경사와, 복수의 제 1 위사를 가지는 제 1 직물층; 복수의 제 2 경사와, 복수의 제 2 위사를 가지는 제 2 직물층; 상기 제 1, 2 직물층 사이에 형성되는 다운 충진부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으로 구획하는 접결부로서, 상기 제 1 경사와 상기 제 2 경사가 1회 교차하거나, 접결위사에 의해 적어도 2회 이상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접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직물층은, 상기 접결위사의 개수가 2n인 경우(n은 1이상)에는 상기 접결부를 중심으로 교차배치되고, 상기 접결위사의 개수가 2n+1인 경우(n은 0이상)에는 교차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경사, 제2 경사,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각각,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Mechanical stretch), 스판덱스사,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터사를 포함하는 커버링사, 및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터사를 코어 또는 시스에 포함하는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위사, 접결위사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원사; 상기 제 1 원사보다 단면의 종횡비가 큰 제 2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위사 중 상기 접결부와 인접한 적어도 일부 위사는 상기 제 2 원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결위사는, 상기 제 2 원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사 및 제 2 위사 중 적어도 하나는 5 내지 70 데니어 (denier)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 제1 위사, 제2 경사 및 제2 위사는 5 내지 70 데니어 (denier)에 있으며, 상기 제1 직물층 및 제2 직물층은 경사밀도가 157 내지 207 pieces/cm이고, 위사밀도가 126 내지 142 pieces/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무봉직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은 복수의 제 1 경사와, 복수의 제 1 위사를 가지는 제 1 직물층; 복수의 제 2 경사와, 복수의 제 2 위사를 가지는 제 2 직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직물층은, 상기 제 1, 2 직물층 사이에 형성되는 다운충진부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으로 구획하는 접결부로서, 상기 제 1, 2 경사가 적어도 1회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접결부; 상기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위사는, 제 1 원사; 상기 제 1 원사보다 종횡비가 큰 제 2 원사로서, 상기 공간형성부에서 상기 접결부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제 2 원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위사는, 상기 제 1, 2 경사가 적어도 2회 교차하도록 상기 접결부에 위치하는 접결위사로서, 상기 제 1 원사보다 종횡비가 큰 접결위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무봉직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은 복수의 제 1 경사와, 복수의 제 1 위사를 가지는 제 1 직물층; 복수의 제 2 경사와, 복수의 제 2 위사를 가지는 제 2 직물층; 상기 제 1, 2 직물층 사이에 형성되는 다운충진부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으로 구획하는 접결부로서, 상기 제 1, 2 경사가 적어도 1회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접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직물층은, 상기 접결부에서의 상기 제 1, 2 경사의 교차횟수에 따라, 상기 접결부를 중심으로 교차배치여부를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물원단에 봉제선없이 직물층을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제선을 없앰으로서 직물원단에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물원단의 봉제선을 없앰으로서 다운이 충진되는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직물층을 동시에 제직할 수 있어서 공정비용, 공정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직물층의 전처리, 염색가공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 5,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경사와 위사를 도시한 도면.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제 2 원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9,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경사와 위사에 대한 제 2 원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직물원단(1)의 경사와 위사를 확대한 도면이다.
직물원단(1)은 제 1, 2 직물층(10, 20)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층(10, 20)은 경사와 위사의 반복적으로 직교함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직물층(10)은 복수의 제 1 경사(11), 복수의 제 1 위사(12)를 포함하고, 제 2 직물층(20)은 복수의 제 2 경사(21), 복수의 제 2 위사(22)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원단(1)은 제 1, 2 직물층(10, 20) 사이에 형성되어 다운이 충진되는 다운충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충진부(30)에는 덕다운, 구스다운 등의 충전물이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다운충진부(30)에는 용도에 따라 인공 솜, 양모, 명주등의 각종 충진재 또는 공기가 충진될 수 있다.
직물원단(1)은 다운충진부(30)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32)으로 구획하는 접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결부(40)는 제 1, 2 직물층(10, 20)이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결부(40)에서 복수의 제 1, 2 경사(11, 21)는 상호 교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결부(40)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직물원단(1)은 공간형성부(14, 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직물층(10, 20)에서 접결부(40)를 제외한 부분을 공간형성부(14, 24)라 정의할 수 있다. 접결부(40)와 공간형성부(14, 24)는 제 1, 2 직물층(10, 2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공간형성부(14, 24)는 다운충진공간(32)을 형성할 수 있다. 접결부(40)와 공간형성부(14, 24)는 제 1, 2 직물층(10, 20)에서 상호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 2의 X축방향을 따라 접결부(40)와 공간형성부(14, 24)는 상호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직물원단(1)은 제 1, 2 직물층(10, 20)이 교차배치될 수 있다. 즉, 접결부(40)를 중심으로 제 1, 2 직물층(10, 20)의 위치가 외측과 내측으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직물층(10, 20)은 접결부(40)를 중심으로 도 1, 2의 Y축 방향으로 위치가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후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접결부(40)의 종류에 따라 제 1, 2 직물층(10, 20)는 교차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직물층(10, 20)의 교차배치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직물원단(1)의 복수의 제 1 경사(11), 제 2 경사(21), 제 1 위사(12) 및 제 2 위사(22)는 서로 독립적으로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Mechanical stretch), 스판덱스사,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터사를 포함하는 커버링사, 및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터사를 코어 또는 시스에 포함하는 복합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위사(12)와 제 2 위사(2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사는 5 내지 70 데니어 (denier)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경사, 제1 위사, 제2 경사 및 제2 위사는 5 내지 70 데니어 (denier)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직물층(10) 및 제 2 직물층(20)은 경사밀도가 157 내지 207 pieces/cm이고, 위사밀도가 126 내지 142 pieces/c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도 범위 및 밀도 범위에서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갖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섬도가 5 데니어 미만이면 다운충진부(30)에 배치된 충진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충진물이 외부로 비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70 데니어 초과이면 다운용 의류의 과중량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경사밀도가 157 pieces/cm 미만이거나 위사밀도가 126 pieces/cm 미만이면 충진물이 유출되는 문제가 있고, 경사밀도가 207 pieces/cm 초과이거나 위사밀도가 142 pieces/cm 초과이면 제직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4, 5,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경사와 위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접결부(40)는 제 1, 2 직물층(10, 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운충진부(30)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3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직물원단(1)은 접결부(40)를 통해 봉제선없이 직물층들(10, 20)을 구획할 수 있고, 접결부(40)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다운충진공간(32)에 보온재를 충진할 수 있어서, 균형있는 충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다운충진공간(32)을 구비할 수 있어서, 시간이 지나도 보온재가 다운충진부(30)의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물원단(1)은 접결부(40)를 통해 봉제선을 없앨 수 있어서, 직물원단(1)에 패턴 적용에 대한 제한을 방지할 수 있다.
접결부(40)는 제 1, 2 경사(11, 21)가 적어도 1회이상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결부(40)는 제 1, 2 경사(11, 21)의 교차횟수 또는 제 1, 2 직물층(10, 20)의 교차에 따라 구분되는 제 1 내지 3 접결부(41, 42, 43)를 포함할 수 있다.
접결부(40)는 도 4와 같이 제 1, 2 경사(11, 21)가 1회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 1, 2 경사(11, 21)가 1회 교차하는 접결부(40)를 제 1 접결부(41)로 칭할 수 있다. 제 1 접결부(41)는 제 1, 2 직물층(10, 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운충진부(30)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3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1 접결부(41)에 의한 경우 제 1, 2 직물층(10, 20)은 제 1 접결부(41)를 중심으로 위치가 교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직물층(10)이 제 2 직물층(20)보다 외측에 위치하였다고 가정할 때, 제 1 접결부(41)에 의해 제 1 접결부(41)를 중심으로 제 2 직물층(20)이 제 1 직물층(10)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교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제 1 직물층(10)의 공간형성부(14)와 제 2 직물층(20)의 공간형성부(24)는 제 1 접결부(41)를 중심으로 교차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접결부(40)는 도 4, 5와 같이 제 1, 2 경사(11, 21)가 적어도 2회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결부(40)는 접결위사(45)를 포함할 수 있다. 접결위사(45)는 제 1, 2 위사(12, 2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사로 구성될 수 있다. 접결위사(45)는 제 1, 2 위사(12, 22) 중 접결부(40)에 위치하는 위사를 접결위사(45)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결위사(45)는 제 1, 2 위사(12, 22)와 구분되는 별도의 위사로 정의될 수도 있다. 접결부(40)에서 접결위사(45)는 그 개수에 따라 접결부(40)를 중심으로 제 1, 2 직물층(10, 20)의 위치가 교차되거나 교차되지 않을 수 있다.
직물원단(1)의 접결부(40)는 접결위사(45)를 복수개 구성함으로서, 도 2와 같이 접결부(40)가 면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결부(40)는 다운충진공간(32)을 안정적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다운충진공간(32)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접결위사(45)가 홀수개 마련되는 접결부(40)를 제 2 접결부(42)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접결위사(45)가 짝수개 마련되는 접결부(40)를 제 3 접결부(43)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앞서 설명한 제 1 접결부(41)는 접결위사(45)가 생략된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제 2 접결부(42)는 접결위사(45)를 홀수개, 즉 2n+1(n은 0이상)개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접결부(42)에 의한 경우, 제 1 접결부(41)와는 달리 제 1, 2 직물층(10, 20)의 위치가 교차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직물층(10)이 제 2 직물층(20)보다 외측에 위치하였다고 가정할 때, 제 2 접결부(42)가 형성되더라도 제 1 직물층(10)이 제 2 직물층(20)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접결부(43)는 접결위사(45)가 짝수개, 즉 2n(n은 1이상)개 마련될 수 있다. 제 3 접결부(43)에 의한 경우, 제 1 접결부(41)와 같이 제 1, 2 직물층(10, 20)의 위치가 교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직물층(10)이 제 2 직물층(20)보다 외측에 위치하였다고 가정할 때, 제 3 접결부(43)를 중심으로 제 2 직물층(20)이 제 1 직물층(10)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교차될 수 있다.
제 1, 3 접결부(40)에 의한 경우 제 1, 2 직물층(10, 20)의 위치가 교차되게 마련되고, 제 2 접결부(42)에 의한 경우 제 1, 2 직물층(10, 20)의 위치가 교차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그러므로 제 1, 2 직물층(10, 20)의 교차여부를 기준으로 제 1, 3 접결부(40)를 제 1 접결부(41)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결위사(45)는 2n개이되, n은 0이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결부(40)를 통해 직물원단(1)의 봉제선을 없앰으로서, 다운이 충진되는 공간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 1, 2 직물층(10, 20)의 교차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므로, 다양한 직물소재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직물층을 동시에 제직할 수 있어서 공정비용, 공정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직물층의 전처리, 염색가공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제 2 원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9,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경사와 위사에 대한 제 2 원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2 위사(12, 22), 접결위사(45)의 단면적 종횡비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위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사의 단면적 종횡비는 다른 위사의 단면적 종횡비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 2 위사(12, 22), 접결위사(45)는 별도의 위사일수도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결위사(45)는 제 1, 2 위사(12, 22) 중 어느 하나의 위사의 일부일 수 있다.
위사들(12, 22, 45)은 제 1 원사(51)와, 제 1 원사(51)보다 종횡비가 큰 제 2 원사(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원사(52)는 제 1 원사(51)보다 단면적에서 세로높이에 대한 가로폭의 길이가 크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원사(52)는 제 1 원사(51)보다 더 넓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원사(52)는 도 7A와 같이 단면이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 높이보다 큰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 2 원사(52)의 단면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제 1 원사(51)보다 종횡비가 크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일례로 제 2 원사(52)는 도 7B와 같이 단면이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 높이보다 크도록 형성되되, 가로방향상에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원사(52)는 도 8과 같이 제 1, 2 위사(12, 22)에서 접결부(4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2 위사(12, 22)는 그 중 접결부(4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원사(5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2 위사(12, 22) 중 접결부(40)와 인접한 공간형성부(14, 24)에 위치한 부분은 제 2 원사(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원사(52)는 접결부(4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2 경사(11, 21)의 길이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단면의 가로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제 2 원사(52)의 단면의 가로방향으로의 신축성을 통해 제 1, 2 직물층(10, 20)의 접결부(40)와 인접한 부분에서 다운충진공간(32)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원사(52)는 도 9과 같이 접결부(4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접결부(40)의 접결위사(45)는 제 2 원사(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접결위사(45)는 제 2 원사(52)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 제 2 접결부(42)의 접결위사(45)로 제 2 원사(52)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결위사(45)가 복수개가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접결위사(45) 중 적어도 일부가 제 2 원사(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결부(40)에 대해 다운충진공간(32)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원사(52)는 도 10와 같이 접결부(40)와, 접결부(40)와 인접한 제 1, 2 위사(12, 2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이 제 1, 2 원사 중 접결부(40)와 인접한 위사와, 접결부(40)의 접결위사(45)는 제 2 원사(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결부(40)와, 제 1, 2 직물층(10, 20)에서 접결부(40)와 인접한 부분에 대해 다운충진공간(32)의 밀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직물원단 10 : 제 1 직물층
11 : 제 1 경사 12 : 제 1 위사
20 : 제 2 직물층 21 : 제 2 경사
22 : 제 2 위사 30 : 다운충진부
32 : 다운충진공간 40 : 접결부
41 : 제 1 접결부 42 : 제 2 접결부
43 : 제 3 접결부 45 : 접결위사
51 : 제 1 원사 52 : 제 2 원사

Claims (10)

  1. 복수의 제 1 경사와, 복수의 제 1 위사를 가지는 제 1 직물층;
    복수의 제 2 경사와, 복수의 제 2 위사를 가지는 제 2 직물층;
    상기 제 1, 2 직물층 사이에 형성되는 다운 충진부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으로 구획하는 접결부로서, 상기 제 1 경사와 상기 제 2 경사가 1회 교차하거나, 접결위사에 의해 적어도 2회 이상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접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직물층은,
    상기 접결위사의 개수가 2n인 경우(n은 1이상)에는 상기 접결부를 중심으로 교차배치되고,
    상기 접결위사의 개수가 2n+1인 경우(n은 0이상)에는 교차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2 위사 및 접결위사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원사; 및
    상기 제 1 원사보다 단면의 종횡비가 큰 제 2 원사;를 포함하는,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제2 경사,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각각,
    나일론사, 폴리에스터사,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Mechanical stretch), 스판덱스사,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터사를 포함하는 커버링사, 및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터사를 코어 또는 시스에 포함하는 복합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위사 중 상기 접결부와 인접한 적어도 일부 위사는 상기 제 2 원사로 구성되는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결위사는, 상기 제 2 원사로 구성되는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사 및 제 2 위사 중 적어도 하나는 5 내지 70 데니어 (denier)인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제1 위사, 제2 경사 및 제2 위사는 5 내지 70 데니어 (denier)에 있으며, 상기 제1 직물층 및 제2 직물층은 경사밀도가 157 내지 207 pieces/cm이고, 위사밀도가 126 내지 142 pieces/cm인 무봉제 다운용 직물원단.
  8. 복수의 제 1 경사와, 복수의 제 1 위사를 가지는 제 1 직물층;
    복수의 제 2 경사와, 복수의 제 2 위사를 가지는 제 2 직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직물층은,
    상기 제 1, 2 직물층 사이에 형성되는 다운충진부를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으로 구획하는 접결부로서, 상기 제 1, 2 경사가 적어도 1회 교차하도록 마련되는 접결부;
    상기 복수의 다운충진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위사는,
    제 1 원사;
    상기 제 1 원사보다 종횡비가 큰 제 2 원사로서, 상기 공간형성부에서 상기 접결부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제 2 원사;를 포함하는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 원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위사는,
    상기 제 1, 2 경사가 적어도 2회 교차하도록 상기 접결부에 위치하는 접결위사로서, 상기 제 1 원사보다 종횡비가 큰 접결위사;를 포함하는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 원단.
  10. 삭제
KR1020207005356A 2019-05-23 2019-05-23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KR102335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223 WO2020235728A1 (ko) 2019-05-23 2019-05-23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73A KR20200135273A (ko) 2020-12-02
KR102335225B1 true KR102335225B1 (ko) 2021-12-06

Family

ID=7345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356A KR102335225B1 (ko) 2019-05-23 2019-05-23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01633B2 (ko)
KR (1) KR102335225B1 (ko)
WO (1) WO20202357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8888A (ko) 2022-11-28 2024-06-04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바이오 섬유을 포함하는 무봉제 다중직 직물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7389B2 (en) * 2015-11-09 2018-03-06 Kammok Holdings, Llc Single piece hammock strap with integral woven eyelets
CN112956760A (zh) * 2021-02-26 2021-06-15 上海睿希时装有限公司 一种采用编织工艺的羽绒服及其制作方法
KR102533965B1 (ko) * 2021-11-18 2023-05-18 조학희 제직 기술을 이용한 침구류 및 의류 원단
CN114794624B (zh) * 2022-05-11 2023-08-29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羽绒服面料无缝一体织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07Y1 (ko) * 2000-06-28 2000-12-01 홍석동 벌키성 식입위사가 식입되는 농업용 보온원단
KR200313377Y1 (ko) * 2002-11-05 2003-05-14 (주)풍전티.티 보온공기층을 가진 방풍지
KR101874737B1 (ko) * 2017-01-26 2018-07-04 이수만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경사로 한 중공주름직물
KR102024134B1 (ko) * 2019-03-29 2019-09-23 김미혜 스트레치 튜브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스트레치 튜브원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118B1 (ko) * 2002-11-06 2008-08-21 주식회사 코오롱 공기부품성을 갖는 이중직물
US9920460B2 (en) * 2009-06-18 2018-03-20 Toray Industries, Inc. Down-proof woven fabric
JP5620761B2 (ja) * 2010-09-07 2014-11-05 東洋紡Stc株式会社 高密度織物
KR101446266B1 (ko) *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히코 다수의 다운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직 직물의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7518443A (ja) * 2015-04-30 2017-07-06 ザ ノース フェイス アパレ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North Face Apparel Corp. 断熱充填材料のためのバッフル構築体
JP6496275B2 (ja) * 2016-06-10 2019-04-03 東洋紡Stc株式会社 洗濯耐久性を有する高通気性織物
US10480105B2 (en) * 2016-06-30 2019-11-19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Zoned fabric systems and methods
KR101914280B1 (ko) * 2017-10-23 2018-11-01 이호숙 삼중직 보온 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
DE102018205136A1 (de) * 2018-04-05 2019-10-10 Adidas Ag Bekleidungsartikel
KR101933013B1 (ko) * 2018-08-23 2019-03-15 허석규 폐수 슬러지 톤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07Y1 (ko) * 2000-06-28 2000-12-01 홍석동 벌키성 식입위사가 식입되는 농업용 보온원단
KR200313377Y1 (ko) * 2002-11-05 2003-05-14 (주)풍전티.티 보온공기층을 가진 방풍지
KR101874737B1 (ko) * 2017-01-26 2018-07-04 이수만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경사로 한 중공주름직물
KR102024134B1 (ko) * 2019-03-29 2019-09-23 김미혜 스트레치 튜브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스트레치 튜브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8888A (ko) 2022-11-28 2024-06-04 원창머티리얼 주식회사 바이오 섬유을 포함하는 무봉제 다중직 직물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1633B2 (en) 2022-08-02
WO2020235728A1 (ko) 2020-11-26
KR20200135273A (ko) 2020-12-02
US20210404095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225B1 (ko) 무봉제 이중직 다운용 직물원단
US11457682B2 (en) Baffle constructs for insulative fill materials
US4518640A (en) Warp knitted ware with reinforcing threads
US20070200329A1 (en) Woven air bag with integrally woven 3-D tethers
US7076974B1 (en) Warp knitting fabric
CN109371528B (zh) 防绒无缝双层面料同织方法
CN111683550A (zh) 具有保温腔室的结构体
JPS6131221B2 (ko)
CN102325939A (zh) 造纸机网毯及其制造方法
KR101914280B1 (ko) 삼중직 보온 직물지와 이를 이용한 패딩지 및 패딩제품
CA2394710C (en) Mesh fabric
US20230277292A1 (en) Artificial blood vessel
US11851788B2 (en) Cover fabri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seat cover fabric
KR102044007B1 (ko) 보온 이중 직물지 및 이를 이용한 패딩물
CN212611131U (zh) 一种羽绒服通道布
KR102024134B1 (ko) 스트레치 튜브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스트레치 튜브원단
CN111676566A (zh) 一种羽绒服通道布及其缝制方法
KR102533965B1 (ko) 제직 기술을 이용한 침구류 및 의류 원단
WO2020157613A1 (en) Open mesh leno fabric, a bag made from it, and a method of making the leno fabric
JP7101949B1 (ja) 多重織物
CN218910717U (zh) 一种具有多层架空层叠结构的经编针织面料
CN213507400U (zh) 多层织物
KR102100138B1 (ko) 제직성 및 볼륨감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KR102562847B1 (ko) 직물 제직을 통해 형성되는 충전 백들을 갖는 침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N220503341U (zh) 一种抗皱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