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93B1 -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693B1
KR102334693B1 KR1020210012935A KR20210012935A KR102334693B1 KR 102334693 B1 KR102334693 B1 KR 102334693B1 KR 1020210012935 A KR1020210012935 A KR 1020210012935A KR 20210012935 A KR20210012935 A KR 20210012935A KR 102334693 B1 KR102334693 B1 KR 10233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iofilm
unit
stirring device
carr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진
Original Assignee
한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진 filed Critical 한석진
Priority to KR102021001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93B1/ko
Priority to KR1020210112232A priority patent/KR10251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15/00396
    • B01F15/02
    • B01F15/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6Plates; Walls; Drawers; Multilayer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14Scaffolds; Matr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16Particles; Beads; Granular material; Encap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반응 및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 유니트,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담체 유니트에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는 복수의 관통구가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견고한 구조의 외곽 담체와 상대적으로 비표면적과 공극율이 큰 생물막 담체로 구성되어 미생물 부착증식과 교반을 병행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반응액을 교반하는 교반장치, 반응액이 체류하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 및 각도만큼 서로 이격 및 경사지도록 배치된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으로 구성되고 교반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유동과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의 충돌 및 난류 생성에 의해 열교환 효율 및 반응 효율이 증대되고 스케일 형성이 방지될 수 있는 반응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The Mixing Apparatus with the Function of Biofilm Growth, The Spiral Heating Medium Circulation Tube and The Reactors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반장치와 생물막 담체 및 반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막 담체가 구비되어 미생물의 부착증식과 교반이 함께 이루어지고 미생물을 고농도로 증식할 수 있는 교반장치 및 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공장의 발효조, 하폐수처리시설의 생물학적 반응기 등에는 교반기와 생물막 담체가 충전되기도 하며 식품공장의 발효조와 하폐수처리시설의 슬러지 소화조 등에는 가온시설이 설치되는데, 생물학적 반응기에서는 미생물과 기질의 접촉증대, 고형물의 현탁, 반응기의 소요용량 감소 및 반응시간의 단축을 위해 높은 농도의 미생물을 증식하고 미생물 증식을 위한 적정 온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한 관건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교반기와 유동상 또는 고정상의 생물막 담체가 별개로 구성 및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유동상 생물막 담체의 경우 교반기와 충돌하므로 망체와 같은 보호수단이 추가 소요된다. 또, 고정상 생물막 담체의 경우 수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한 사각지대가 발생되고 적절하게 탈막(Sloughing)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가온이 필요한 생물학적 반응기의 경우 종래의 기술에서는 반응액의 일부를 반응기의 외부로 인출하여 히터로 가열 후 다시 반응기로 재순환 및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반응액의 일부를 인출하여 직접 가열하고 다시 반응기 내의 다른 반응액에 희석시켜서 반응기 전체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경우 미생물이 포함된 반응액을 적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온해야 하는 문제점과 열교환기의 내부에 열매체가 아닌 반응액이 순환하므로 스케일이 과다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지금까지 반응액을 교반하는 교반장치와 미생물을 부착증식하는 생물막 담체들이 다양하게 제시 및 공개되어 있는데, 반응기의 내부에서 유동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유동상 또는 고정상의 생물막 담체들로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반장치는 등록특허 제10-1986098호「스컴 블레이드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용 다축 교반기」, 등록특허 제10-2132395호「콘 타입의 교반기 탱크용 임펠러」, 등록특허 제10-2126649호「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임펠러 폴딩 구조」, 등록특허 제10-2089219호「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회전축」, 등록특허 제10-1987731호「교반기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형 임펠러의 구조」, 등록특허 제10-2085154호「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등록특허 제10-2131970호「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기」, 등록특허 제10-2185180호「접이식 교반기」 등이 제시 및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등록특허 기술들은 교반기의 성능개선, 구조적 안정성 개선, 내구성 개선 등에 치중되어 있으며 생물막 담체와 서로 간섭되는 문제점 등은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또, 종래기술에 따른 생물막 담체는 등록특허 제10-1900215호「오폐수 정화용 고정상 담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등록특허 제10-2131858호「탈질용 담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무산소조」, 등록특허 제10-0991970호「고도처리 유동형 바이오 담체」, 등록특허 제10-0987130호「유동상 담체 및 유동상 담체와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수처리공법」, 등록특허 제10-0877060호「난분해성 산업폐수처리를 위해 슬러지 탄화물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폼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등록특허 제10-0829882호「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등록특허 제10-0676686호「친수성을 갖으며 표면적이 증가한 유동상 플라스틱 미생물담체」, 등록특허 제10-0786815호「하·폐수 고도처리용 섬유상 담체 유닛」, 등록특허 제10-0604400호「미생물을 유기고분자 물질로 포괄 고정시킨 생물학적 유기여재를 이용한 생물학적 필터시스템」, 등록특허 제10-0661074호「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스크류 막대모양의 미생물접촉 담체」, 등록특허 제10-0661079호「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유공각형의 미생물접촉 담체」, 등록특허 제10-1297978호「하폐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폐피혁 부산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함유한 친수성 다공성 담체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0632386호「고분자 복합재료로 구성된 미생물막 담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와 악취가스의 생물학적 여과방법」들이 제시 및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등록특허 기술들은 생물막 담체의 성분, 구성, 제조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교반기와 생물막 담체의 간섭 문제, 사수구역 발생 및 탈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또, 슬러지를 생물학적으로 발효하는 소화조 등과 같은 반응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410722호「호기성 발효열을 가온에너지로 사용하는 혐기 발효시스템 및 방법」, 등록특허 제10-0592332호「고효율 혐기 소화조 장치」, 등록특허 제10-1807843호「고온형 혐기 소화처리 장치 및 소화처리 방법」, 등록특허 제10-1272243호「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시스템」, 등록특허 제10-1143897호「해수를 이용한 습윤성 바이오메스의 소화발효조」, 등록특허 제10-1842230호「소화조 가열방식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등록특허 제10-1047871호「태양열 및 촉매를 이용한 유기성 액상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장치」, 등록특허 제10-1087035호「고온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등이 제시 및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등록특허 기술에서의 혐기성 소화조 등의 반응장치에서는 발효열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방법, 가열에 이용되는 열원 확보, 열교환 시스템의 구성 등에 관한 것으로 반응액의 일부를 인출하여 적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야 하는 문제점과 열교환기의 관로 내부에 스케일 침착 문제 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응기를 교반하는 교반장치와 생물막 담체가 서로 간섭하거나 충돌하지 않고 사수구역이 최소화되고 적절한 전단력에 의해 원활한 탈막이 이루어지는 교반장치 및 생물막 담체와 열전달효율이 우수하고 스케일 형성이 최소화 되고 적절한 난류가 형성될 수 있는 가온기능이 구비된 반응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86098호(등록일자: 2019.05.30.)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32395호(등록일자: 2020.07.0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26649호(등록일자: 2020.06.1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89219호(등록일자: 2020.03.09.)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87731호(등록일자: 2019.06.0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85154호(등록일자: 2020.02.2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31970호(등록일자: 2020.07.0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85180호(등록일자: 2020.11.2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00251호(등록일자: 2018.09.1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31858호(등록일자: 2020.07.0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1970호(등록일자: 2010.10.29.)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7130호(등록일자: 2010.10.0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77060호(등록일자: 2008.12.2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29882호(등록일자: 2008.05.0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6686호(등록일자: 2007.01.2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6815호(등록일자: 2007.12.1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04400호(등록일자: 2006.07.1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1074호(등록일자: 2006.12.1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1079호(등록일자: 2006.12.1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7978호(등록일자: 2013.08.1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32386호(등록일자: 2006.09.2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10722호(등록일자: 2014.06.1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92332호(등록일자: 2006.06.1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7843호(등록일자: 2017.12.0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72243호(등록일자: 2013.05.3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3897호(등록일자: 2012.05.0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42230호(등록일자: 2018.03.20.)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7871호(등록일자: 2011.07.0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7035호(등록일자: 2011.11.21.)
본 발명은 상술한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충돌 및 간섭하지 않고 사수구역이 최소화되며 미생물의 고농도 증식이 가능한 생물막 담체 및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열효율이 우수하고 스케일 형성이 방지되며 적절한 난류형성에 의해 반응효율이 증대되는 반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 유니트;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담체 유니트에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담체 유니트가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구조의 외곽 담체;와 상기 외곽 담체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구; 상기 외곽 담체의 내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비표면적과 공극율이 큰 생물막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생물의 부착증식과 반응 대상물의 교반을 병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사상체가 중첩되어 구성된 섬유상 담체;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복수의 입상체로 구성된 입상 담체;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는 복수의 개방형 공극이 구비되어 있는 스펀지상 담체;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 부재;와 상기 판상 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튜브형 돌기부; 및 상기 튜브형 돌기부에 구성된 파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반응액의 유입이 차단되어 있는 밀폐형 공극;과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어 있는 개방형 공극; 및 반응액이 전후면을 관통하여 유통될 수 있는 유통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형 공극의 크기 및 개수의 증감에 의해 비중이 조절되고, 상기 개방형 공극의 크기 및 개수의 증감에 의해 비표면적이 조절되며, 상기 유통유로의 크기 및 개수의 증감에 의해 유통유량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유통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통 지지부는 복수의 관통구; 및 상기 외곽 담체의 전후면을 서로 관통시키는 유통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통 지지부는 상기 외곽 담체의 수용부 내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담체 유니트는 반응액 중에서 하중 부하가 경감 되도록 가중평균 비중이 0.9∼1.1 범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외곽 담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리브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살의 폭(w)과 배치 각도(θ) 및 배치 간격(ℓ)의 증감에 의해 리브살의 측면으로 분류되는 교반유량과 후면으로 분류되어 담체 유니트와 접촉하는 반응유량의 비율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교반용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는 상기 블레이드의 앞면과 뒷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통유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하나 이상의 교반용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차;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차에 전달하는 회전축; 및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생물막 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물막 담체는 상기 블레이드의 앞면과 뒷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사상체가 중첩되어 구성된 섬유상 담체;와 복수의 입상체가 접착되어 구성된 입상 담체;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는 복수의 개방형 공극이 구비되어 있는 스펀지상 담체;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 부재;와 상기 판상 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튜브형 돌기부; 및 상기 튜브형 돌기부에 구성된 파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반응액의 유입이 차단되어 있는 밀폐형 공극;과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어 있는 개방형 공극; 및 반응액이 전후면을 관통하여 유통될 수 있는 유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형 공극의 크기 및 개수의 증감에 의해 비중이 조절되고, 상기 개방형 공극의 크기 및 개수의 증감에 의해 비표면적이 조절되며, 상기 유통유로의 크기 및 개수의 증감에 의해 유통유량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생물막이 부착된 상태에서 반응액의 상부 수면에 부상될 수 있도록 비중이 0.90~0.98 범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통유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반응장치는, 수체가 유입, 체류 및 유출되면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반응기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반응액을 교반하는 회전차 및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반장치;와 수체가 유입, 체류 및 유출되면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 열매체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열매체 순환관; 및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유동시키는 열매체 유동수단;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순환관은 미리 정해진 간격 및 각도만큼 서로 이격 및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구성된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이며;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에 회전유동이 작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은 상기 교반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유동에 의해 외부 표면이 세척되고 스케일 형성이 방지되며; 상기 회전유동과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의 충돌 및 난류 생성에 의해 열교환 효율 및 반응 효율이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2°∼ 5°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열매체를 냉각하거나 가온하는 열교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체류하는 반응 대상물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온도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상기 교반장치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는 회전방향 변경수단;을 더 포함하고, 정회전하는 상기 교반장치에서 생성되는 회전유동에 의해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의 어느 일측 표면이 세척되고, 역회전하는 상기 교반장치에서 생성되는 반대방향의 회전유동에 의해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의 다른 일측 표면이 세척됨으로써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의 전체 표면이 세척 및 스케일 형성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입상의 유동상 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상 매체는 유동하면서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과 충돌하여 외부 표면에 스케일 형성이 방지되도록 상기 반응기 내부에 충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상기 유동상 매체는, 크기는 직경 5~20mm 범위이고, 비중은 반응액 중에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는 0.95~1.05 범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상기 유동상 매체에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개방형 공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상 매체는 무독성의 소재로 구성되고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생물막 담체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중력식 침전지, 응집침전지, 부상분리장치, 여과장치, 막분리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액분리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응장치에서, 생물학적 반응기, 물리화학적 반응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는 교반기와 생물막 담체가 하나의 구동부 및 회전축에 의해 회전 작동하도록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교반기의 임펠러와 생물막 담체의 충돌 및 사수구역 형성이 방지되고 적절하게 탈막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이 구비된 반응장치는 열효율이 개선되고 스케일 형성이 최소화되며 반응기 내에 적절한 난류를 고르게 형성하여 반응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의 개념도인 상기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의 개념도인 상기 도 2 및 도 3의 C-C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유니트에 포함되는 생물막 담체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유니트에 포함되는 생물막 담체 제4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2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형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3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제2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1은 생물학적 반응기에 설치되어 반응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능과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함께 구비되어 있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1),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 유니트(20) 및 구동부(11)의 회전력을 상기 담체 유니트(20)에 전달하는 회전축(12)을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비표면적과 공극율이 크고 무독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내외부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11)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반응액을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반기능이 구비된 담체 유니트(20)에 추가하여 교반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교반용 회전차(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반응 대상물을 교반시킬 수 있도록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이가 넓은 판상이 일반적이며, 미생물이 잘 부착증식 될 수 있도록 생체독성이 없는 무독성의 소재로 구성되고, 부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이 제공 될 수 있도록 공극율과 비표면적이 큰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구동부(11)의 회전력을 교반력으로 전환할 수 있고 동시에 표면에 부착증식하는 생물막과 반응 대상물의 접촉빈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회전축(12)에 연동되어 회전 작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담체 유니트(20)에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회전축(12)에 직접 고정 설치되거나 거치대(14)를 통하여 회전축(12)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10)에 추가하여 반응 대상물이 체류하면서 반응이 이루어지고 미생물이 부유증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반응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장치(10)는 상기 반응기(50)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반응 대상물을 교반시키는 동시에 상기 담체 유니트(20)에 부착증식하는 미생물과 기질의 접촉을 증가시켜서 효율적인 생물학적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장치(100)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반장치(10)에 구비되어 있는 담체 유니트(20)의 내외부 표면에는 미생물이 부착증식하여 생물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생물막과 반응액 중의 기질이 원활하게 접촉되고 접촉빈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주로 반응액에 잠겨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침적형이 일반적이다. 또, 과잉 부착된 생물막은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반응액과의 충돌 및 전단력에 의해 탈막(Slough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탈막된 생물막의 파편에 포함된 미생물과 반응액 중에서 자생된 부유 미생물이 유동하면서 부유증식하게 된다. 따라서 부유증식과 부착증식이 병행하는 복합증식이 이루어지므로 반응기(50)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반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10)는 교반기능에 추가하여 반응액과 생물막의 접촉을 증대시키고 미생물의 복합증식이 이루어지므로 생물학적 반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의 개념도인 상기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의 개념도인 상기 도 2 및 도 3의 C-C 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도 3, 도 4에 있어서, 도 2는 상기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의 담체 유니트(20)는 생체독성이 없고 비표면적과 공극율이 크고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생물막 담체(22)와 복수의 관통구(24)가 구비되어 있고 외곽의 형상은 주로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이가 넓은 판상이며 상기 생물막 담체(22)를 수용하는 수용부[도 2에서 생물막 담체(22)가 충전되어 있는 공간]가 구비되어 외측을 둘러싸는 외곽 담체(21)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 담체(21)의 수용부에는 생물막 담체(22)가 충전되어 있는 구성이다. 담체 유니트(20)를 구성하는 상기 외곽 담체(21)에는 회전축(12) 또는 거치대(1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25)가 구비되므로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거치대(14)를 통하여 회전축(12)에 설치되거나 회전축(12)에 직접 설치되어 구동부(11)에 연동되어 회전 작동하게 된다. 구동부(11)에 의하여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회전하면 반응액의 유동이 발생되고 교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생물막 담체(22)는 비표면적과 공극율이 큰 구성이므로 유동에 대응하는 물리적 구조가 취약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외곽 담체(21)는 생물막 담체(22)를 수용하여 보호 및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상기 외곽 담체(21)는 복수의 관통구(2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반응기(50) 내의 반응 대상물이 외곽 담체(21)의 수용부에 배치된 생물막 담체(22)에게로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외곽 담체(21) 자체도 내외부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로써 기능하게 된다.
미생물이 부착증식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이 제공되는 담체 유니트(20)는 공극율과 비표면적이 큰 편임에도 불구하고 담체의 전체 체적 중에서 공극 부분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소재가 차지하는 부피가 상당히 큰 편이다. 이와 같이 소재의 부피가 크게 구성되므로 소재의 비중이 큰 경우에는 담체 유니트(20)는 무거운 중량물을 형성하게 되고 회전축(12), 거치대(14), 구동부(11)에 부과되는 하중부하의 증대로 인해 부재의 단면이 증대하게 되고 회전을 위한 동력소요도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비중이 지나치게 작은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반응액에 잠길 때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회전축(12), 거치대(14) 및 구동부(11) 등에 다른 형태의 하중부하인 부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게하중 또는 부력하중에 의해 회전축(12)과 거치대(14) 등 구조체의 단면을 증대시키는 점은 동일하다. 또, 상기 담체 유니트(20)에는 생물막이 부착증식하게 됨으로 부착된 생물막의 중량에 의한 하중부하가 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비표면적과 공극율이 큰 생물막 담체(22)와 복수의 관통구(24)가 구비되어 있는 외곽 담체(21)가 조합 구성되는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가중평균 비중을 0.9∼1.1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 1.0을 약간 상회하는 반응액에 비중범위 0.9~1.1인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잠겨 있을 때 반응액의 부력에 의해 회전축(12) 및 거치대(14) 등에 작용하는 담체 유니트(20)의 상대비중은 0±0.1의 범위이므로 무게와 부력에 의한 하중부하가 적은 담체 유니트(20)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생물막 담체(22)는, 섬유상, 입상, 스펀지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물막 담체(22)로서 섬유상 담체(미도시)는 합성수지 사상체가 중첩되어 접착되거나, 편직 또는 직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섬유의 직경이 지나치게 미세한 경우 비표면적은 증대시킬 수 있으나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된다. 또, 지나치게 굵은 경우에는 무게와 체적에 비해 비표면적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섬유상 담체는 주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되 직경 0.4~1.2mm 범위의 사상체로 구성하고 가급적 표면을 거칠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곽 담체(21)의 수용부에 충전되는 상기 섬유상 담체는 상기 외곽 담체(21)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나 유동하는 반응액과 지속적인 접촉 및 굴신에 의해 드물게는 일부 섬유가 끊어지거나 탈리될 수 있다. 상기 섬유상 담체가 기포가 포함되지 않고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등과 같은 비중이 큰 소재의 사상체로 구성되는 경우 사상체가 탈리되면 반응기(50)의 바닥에 침전되므로 제거가 어렵고 퇴적 슬러지에 혼입됨으로 슬러지의 퇴비화 등 재활용과 매립 등 처리처분에 장애물이 된다. 따라서 사상체가 탈리되는 경우에도 반응기(50)의 바닥에 퇴적되지 않고 수면으로 부상되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비중이 1.0 미만이 되도록 소재를 선택하거나 내부에 기포가 포함되어 겉보기 비중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의 표면에 부착증식하는 생물막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1.01∼1.02 범위이므로 생물막이 부착증식된 상태에서도 탈리된 사상체가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상체는 비중이 0.90∼0.96 범위이며 무독성의 합성수지 소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담체 유니트(20)에 의해 상승 수류가 형성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기우러진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전면은 상기 도 3에서처럼 반응기(50) 상부 측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담체 유니트(20)에 의해 상승 유동을 형성하고 반응기(50)의 다른 구간에서는 반대 방향인 하강 유동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반응기(50) 내부의 반응액 전체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전면을 하부 측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담체 유니트(20)에 의해 하강 유동을 형성하고 반응기(50)의 다른 구간에서는 상승 유동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전면은 반응기(50)의 외곽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반응액이 반응기(50)의 외곽 측을 향하도록 유동을 형성함으로써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유동방향을 회전축(12)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공간이 확대되는 외곽 방향의 유동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형 교반장치(10)를 반응 대상물이 체류하고 생물학적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50)에 설치 작동하면, 상기 반응기(50) 내부에서 미생물의 복합증식이 이루어지므로 생물학적 반응의 효율을 증대시키며 혐기성 반응조는 물론, 포기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호기성 반응조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10)의 담체 유니트(20)에 충전되는 생물막 담체(22)의 제2실시예는 비표면적과 생체 친화성이 큰 복수의 입상 담체(미도시)에 관한 것이다. 구동부(11)에 의하여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회전하면 반응액의 유동이 발생되고 교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입상 담체는 낱개의 입상체들을 모아서 수용부에 충전하여 담체 유니트(20)의 비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구(24)와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는 망상체인 상기 외곽 담체(21)는 입상 담체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외곽 담체(21)는 복수의 관통구(2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반응액이 외곽 담체(21)의 수용부에 배치된 입상 담체에게로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외곽 담체(21) 자체가 내외부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미생물이 부착증식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이 제공되는 담체 유니트(20)는 비표면적이 큰 구조인 경우에도 전체 담체에서 공극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소재가 차지하는 부피가 상당히 크게 차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소재의 부피가 큰 편이므로 비중이 큰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담체 유니트(20)는 무거운 중량물을 형성하게 되고 회전축(12), 거치대(14), 구동부(11)에 하중부하의 증대로 인한 부재의 단면 및 동력 소요가 가중될 수 있다. 반면에, 비중이 지나치게 작은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반응액 중에 담체 유니트(20)가 잠길 때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회전축(12), 거치대(14) 및 구동부(11) 등에 다른 형태의 하중부하인 부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게하중은 물론 부력하중이 과중한 경우에는 회전축(12)과 거치대(14) 등 구조체의 단면 소요를 증대시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또, 상기 담체 유니트(20)에는 생물막이 부착증식하게 됨으로 부착된 생물막의 중량에 의한 하중부하가 더욱 증가되게 된다. 따라서 입상 담체와 복수의 관통구(24)가 구비되어 있는 외곽 담체(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가중평균 비중을 0.9∼1.1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면 비중 1.0을 약간 상회하는 반응액에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잠겨 있을 때 부력이 작용하므로 회전축(12) 및 거치대(14) 등에 작용하는 담체 유니트(20)의 상대비중은 0±0.1의 범위가 된다. 따라서 반응액 중에서는 무게와 부력에 의한 하중부하를 거의 받지 않는 담체 유니트(20)가 구비된 교반장치(10)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상 담체는,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소재의 입상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입상체의 입경이 지나치게 미세한 경우 비표면적은 증대될 수 있으나 외곽 담체(21)에 형성되는 관통구(24)도 미세하게 구성되어야 하므로 반응액의 유통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 지나치게 입경이 큰 경우에는 무게와 체적에 비해 비표면적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로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입상 담체는 직경 5~15mm 범위의 입상체로 구성하되 가급적 표면을 거칠게 구성하고 공극이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어 있는 관통형의 공극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곽 담체(21)의 수용부에 충전되어 있는 상기 입상 담체는 상기 외곽 담체(21)에 의해 보호되며 이탈이 방지되고 있으나 유동하는 반응액 중에서 입상 담체들과 외곽 담체(21)와의 지속적인 접촉 및 충돌에 의해 드물게는 일부가 파손되고 파편이 외곽 담체(21)의 관통구(24)를 통하여 수용부 밖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입상 담체가 기포가 포함되지 않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세라믹 등과 같은 비중이 큰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로 이탈되면 이탈된 입상체가 반응기(50)의 바닥에 침전되므로 제거가 어렵고 퇴적 슬러지에 혼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입상 담체가 탈리되는 경우에도 반응기(50)의 바닥에 퇴적되지 않고 수면으로 부상되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비중이 1.0 미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의 표면에 부착증식하는 생물막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1.01∼1.02 범위 이므로 생물막이 부착증식된 상태에서도 탈리된 입상체가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입상체는 비중이 0.90∼0.96 범위이며 무독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PVC, PU, 세라믹 등과 같은 비중이 1 보다 큰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상 담체의 내부에 밀폐형의 공극인 기포를 포함시키고 밀폐형 공극의 크기와 개수를 조절하여 겉보기 비중을 0.90∼0.96 범위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생물막의 증식을 위해 관통형의 공극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 담체는 외곽 담체(21)의 내부에서 유동하고 상호 충돌하게 됨으로 생물막의 탈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미생물이 과다 부착되는 고농도의 반응에 유리하다.
상기 입상 담체는 상기 외곽 담체(21) 내측의 수용부에 낱개로 충전하거나 복수의 입상체들을 연통 공극이 구비되도록 접착시켜서 입상체 접착형 담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접착 성형되는 주로 판상인 상기 입상 담체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반응액이 유통될 수 있는 유통유로(2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입상 담체는 생물막이 부착 성형되는 경우에도 반응액의 상부로 부상될 수 있도록 비중이 0.90~0.96 범위이고, 상기 담체 유니트(20)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입상 담체 및 외곽 담체(21)의 가중평균 비중은 반응액 중에서 하중부하가 경감 되도록 비중이 0.9∼1.1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생물막 담체(22)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개방형 공극이 구비되어 있는 스펀지상 담체(미도시)일 수 있다. 합성수지를 발포시킨 일반적인 스펀지는 공극이 밀폐형이므로 공극 내부에서 미생물이 부착증식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스펀지상 담체는 밀폐 공극을 파열시켜서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형 공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지상 담체의 비중은 상기한 섬유상 담체 및 입상 담체에서처럼 0.90~0.96 범위이고, 상기 스펀지상 담체 및 외곽 담체(21)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가중평균 비중은 반응액 중에서 하중부하가 경감 되도록 비중이 0.9∼1.1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유니트(20)에는 하나 이상의 유통 지지부(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통 지지부(23)는 복수의 관통구(24) 및 상기 외곽 담체(21)의 전후면을 서로 관통시키는 유통유로(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통 지지부(23)는 상기 외곽 담체(21)의 수용부 내측에 구비되며 외곽 담체(21)의 전면과 후면을 서로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하고 전후면을 관통하는 유통유로(28)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유통유로(28)의 측면에는 외곽 담체(21)에서처럼 복수의 관통구(24)가 구비되어 수용부 및 생물막 담체(22) 측으로 반응액을 유입시켜서 반응효율이 증대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유니트에 포함되는 생물막 담체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유니트에 포함되는 생물막 담체 제4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유니트(20)에 포함되는 제4실시예의 생물막 담체(22)는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 부재(27), 상기 판상 부재(27)에 구비된 복수의 유통유로(28), 상기 유통유로(28)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튜브형의 단관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관부(29)에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절개되어 반응액이 측면으로도 유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단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관부(29)는 비표면적이 넓고 구조적으로 안정되도록 단면이 주로 육각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실시예의 생물막 담체(22)는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비표면적이 넓고 반응액의 유통과 접촉이 원활한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2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20) 제2실시예는 두께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구성된 복수의 리브살(26)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리브살(26)들은 상기 외곽 담체(21)에 구비되며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회전하면서 진행하는 방향(a) 즉, 담체 유니트(20)가 회전하면서 형성되는 원형궤적의 접선방향(a)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 θ 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 상기 리브살(26)들은 미리 정해진 간격(ℓ) 만큼 서로 이격 배치되되, 일정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리브살(26)은 내외부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증식할 수 있으므로 그 자체로서 담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편, 반응액이 외곽 담체(21)의 내측 수용부에 고르게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 상기 리브살(26)들은 담체 유니트(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진행방향(a)으로부터 경사진 측면으로 반응액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서 교반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리브살(26)들의 폭(w)이 넓을수록, 배치각도 θ가 클수록, 배치 간격(ℓ)이 좁을수록 측면 방향으로의 유동량은 증가되고 상기 리브살(26) 후방의 담체로 유입되는 유량은 감소하게 된다. 또, 상기 리브살(26)들의 폭(w)이 좁을수록, 배치각도 θ가 작을수록, 배치간격(ℓ)이 넓을수록 상기 리브살(26)에 의한 반응액의 유동량은 줄어들고 후방의 담체로 유입되는 유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브살(26)들의 폭(w), 배치각도(θ), 배치간격(ℓ)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측면 방향으로 유도되는 유량인 교반유량과 외곽담체의 내측으로 유도되는 유량인 생물학적 반응 유량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리브살(26)은 외곽 담체(21)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외곽 담체(21)의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어 있는 섬유상 담체 또는 입상 담체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망체로써 기능하게 된다.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도 6에서처럼 거치대(14)와 같은 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선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 방향으로 꺾여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또, 전면 측이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거나 곡면인 경우 상기 리브살(26)의 경사각을 정하는 기준선은 반드시 진행 방향 즉, 회전원과의 법선 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전면 측 외곽선 또는 상기 담체 유니트(20) 전면의 양측 끝부분 지점을 서로 연결한 선분을 기준선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등 경사각의 기준선은 외곽 담체(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형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담체 유니트 제3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형 교반장치에 구비되는 제3실시예의 담체 유니트(20)는 비표면적을 크게 하고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복수의 공극과 반응액이 관통될 수 있는 유통유로(28)를 포함하고 주로 세라믹과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외형은 주로 반응액의 교반에 유리한 판상이며, 상기한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담체 유니트(20)와 달리 외곽 담체(21)와 내부에 충전되는 담체로 구분되지 않고 단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로 연통형 공극(미도시)의 내부 표면과 유통유로(28) 및 담체의 외부 표면에 생물막이 부착증식하게 된다.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낱개의 입상체들을 접착시켜서 입상체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유통유로(28)가 구비된 판상으로 성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유통유로(28)의 단면적과 경사각도(θ) 및 배치 개수에 의해 유통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실시예의 담체 유니트(20)는 상기한 외곽 담체(21)의 내측 수용부에 충전되는 생물막 담체(22)일 수 있다.
또, 상기 제3실시예의 담체 유니트(20)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비중을 0.9∼1.1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중 1.0을 약간 상회하는 반응액에 잠겨 있을 때 반응액의 부력이 작용하므로 회전축(12) 및 거치대(14) 등에 작용하는 담체 유니트(20)의 상대비중은 0±0.1의 범위이므로 반응액 중에서는 무게와 부력에 의한 하중부하를 거의 받지 않는 담체 유니트(20)가 구비된 교반장치(10)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소재로 구성되고 복수의 연통형 공극이 구비될 수 있는데 비중이 작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중이 경감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내구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세라믹 등과 같은 비중이 큰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내부에 밀폐형의 공극인 기포를 포함시켜서 겉보기 비중을 0.9∼1.1 범위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응액이 공극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유체 유입이 차단 및 밀폐되어 있는 복수의 밀폐형 공극과 반응액이 공극의 내부까지 유통될 수 있는 복수의 연통형 공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형 공극의 크기 및 개수를 증감시켜서 상기 담체 유니트(20)의 겉보기 비중을 0.9~1.1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연통형 공극의 크기 및 개수를 증감시켜서 비표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유통유로(28)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비표면적을 더욱 증대시켜서 생물막의 부착증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교반장치(10)는, 회전하면서 반응 대상물을 교반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이가 넓은 판상이며, 상기 블레이드(15)의 앞면과 뒷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 상기 블레이드(15)와 담체 유니트(20)를 견고하게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고정부(25a)가 구비된다.
반응액이 내측으로 관통되는 다공성의 담체 유니트(20)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에서 보다 이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5)가 더 포함되므로 교반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견고하다. 또, 상기 블레이드(15)에는 전면과 후면이 서로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유통유로(28)를 구비함으로 담체 유니트(20) 측으로 반응액을 직접 유도하여 접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10)는 담체 유니트(20)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15)는 상기 구동부(11)에 연동되어 회전작동되며, 상기 담체 유니트(20)는 상기 블레이드(15)의 앞면과 뒷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에 설치되되, 교반력의 증대 및 생물막에 과다한 전단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주로 블레이드(15)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블레이드(15)에 설치되는 미생물의 부착증식수단은 외곽 담체(21)와 생물막 담체(22)가 결합되어 있는 담체 유니트(20)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섬유상 담체, 입상 담체, 스펀지상 담체, 도 5a 및 도 5b에서 제시된 판상 담체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시된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10)는 공극율이 크고 다공성이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고 물리적인 외력에 취약하고 쉽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5)가 구비되므로 생물막 담체(22) 또는 담체 유니트(20)의 구조적인 취약점이 보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상기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이 포함하는 반응장치(100)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1)와 반응액을 교반하는 회전차(13) 및 회전축(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반장치(10), 반응 대상물이 체류하면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50), 열매체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열매체 순환관 및 상기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유동시키는 열매체 유동수단(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매체 순환관은, 주로 원형으로 밴딩된 복수의 관이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고 서로 연통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된 나선형의 열매체 순환관이며, 주로 상기 생물학적 반응기(50)의 내벽의 측면을 따라서 설치된다.
상기 교반장치(10)는 회전차(13) 및 회전축(12)이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의 중심부 측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교반장치(10)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50) 내부의 회전유동과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의 외부표면과의 충돌에 의해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의 외부 표면이 세척되어 열매체 순환관의 표면에 스케일 형성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과 회전유동의 충돌로 인해 난류가 생성되고 생성된 난류로 인해 열교환 효율 및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을 포함하는 반응장치(100)는, 열매체를 냉각하거나 가온하는 열교환장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60)는 생물학적 반응기(50)의 내부에 체류하는 반응 대상물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미생물의 증식에 적합한 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혐기성 소화조 또는 호기성 소화조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반응기(50)에서 교반장치(10)는 주로 반응조의 중앙부에 회전축(12)이 직립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따라서 반응액의 유동은 수평방향으로 플랫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나선형의 열매체 순환관도 플랫하게 설치되는 경우 교반수류가 열매체 순환관과 평행하게 유동하게 되므로 열매체 순환관과의 충돌 및 난류 형성이 저조하게 됨으로 스케일 형성을 방지하는 세척력이 부족하게 되고 반응효율 및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의 경사각이 지나치게 큰 경우 반응액의 유동에 장애물이 되며 유체의 유동이 저하됨으로 반응기(50) 전체의 순환 및 혼합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매체 순환관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2°∼ 5°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회전하는 상기 교반장치(10)에서 생성되는 회전유동에 의해 상기 열매체 순환관의 어느 일측 표면이 세척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회전유동과 직접 충돌하지 않는 상기 열매체 순환관의 다른 일측에는 스케일이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장치(1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는 회전방향 변경수단(미도시)을 더 포함시키고, 역회전하는 상기 교반장치(10)에서 생성되는 반대방향의 회전유동에 의해 상기 열매체 순환관의 다른 일측 표면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열매체 순환관의 전체 표면이 세척 및 스케일 형성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반장치(10)에 회전방향 변경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열매체 순환관의 표면 전체에 스케일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을 포함하는 반응장치(100)는, 반응액 중에서 유동하는 입상의 유동상 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50)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유동상 매체와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의 충돌에 의해 열매체 순환관의 외부 표면에 스케일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을 포함하는 반응장치(100)에 충전되는 상기 유동상 매체는, 크기는 직경 5~20mm 범위이고, 비중은 반응액 중에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는 0.95∼1.05 범위인 세라믹과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상의 유동상 매체는 열매체 순환관과 지속적으로 충돌하게 됨으로 외부 표면에 미생물의 부착증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상 매체의 내측에 생물막이 부착될 수 있는 표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공극을 구비하되 반응액이 유통될 수 있는 개방형 공극이 구비된 생물막 담체(22)일 수 있다.
또, 상기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40)을 포함하는 반응장치(100)에 구비되는 교반장치(10)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9에 제시된 담체 유니트(20)가 포함되는 교반장치(10)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상기 교반장치(10)에 구비되어 있는 담체 유니트(20)의 내외부 표면에는 미생물이 부착증식하여 생물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생물막과 반응액 중의 기질이 원활하게 접촉이 이루어지고 접촉빈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생물막이 부착된 담체 유니트(20)가 반응액 중에서 회전하면서 기질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과잉 부착된 생물막은 상기 담체 유니트(20)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반응액과의 충돌 및 전단력으로 인해 탈막(Sloughing)이 이루어지고 탈막된 생물막 파편은 반응액 중에서 유동하면서 부유증식하게 된다. 또, 부유증식 미생물이 담체 유니트(20)에 부착증식하게 되고 생물막을 형성하기도 함으로 반응기(50)에는 생물막에 의한 부착증식에 추가하여 반응액 중에서 생성된 부유 미생물과 생물막 파편에 포함된 미생물의 부유증식이 병행하게 된다. 그런데 반응기(50)의 체류시간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부유미생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상장치 또는 중력식 침전지 등과 같은 고액분리수단(70)을 추가 구비하고 유출 반응액을 고액분리 시켜서 분리된 부유미생물을 반송수단(80)을 통하여 반응기(50)로 재 유입시켜서 부유증식과 부착증식이 병행하는 복합증식에 의하여 반응기(50)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반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10)는 교반기능에 추가하여 반응액과 생물막의 접촉효율 및 접촉빈도를 증대시키고 상기 교반장치(10)가 구비된 반응기(50)에 부유슬러지를 반송시킴으로써 미생물이 부착증식 및 부유증식이 병행하는 복합증식이 이루어지므로 반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반응장치(100)에 유입되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전단에는 고액분리수단(70)을 추가 설치하고 고형물이 분리된 여액을 상기 반응장치(100)에 유입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제2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200)는 반응장치(100)의 전단계에는 고액분리수단(71)이 설치되고 고액분리된 상징수는 별도의 물리화학적 또 생물학적 반응기(50)로 구성된 분리액 처리장치(90)에서 처리된 후 후속되는 고액분리수단(72)을 거쳐서 유출되는 구성이다. 또, 고형물이 포함된 고농도 여액은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100)에서 생물학적 반응이 이루어지고 후속되는 고액분리수단(70)을 거쳐서 유출되는 수처리장치(200)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장치(100)에는 생물화학적 반응기 또는 물리화학적 반응기가 추가 구비된 다양한 수처리장치(200)를 구성할 수 있다.
10: 교반장치 11: 구동부
12: 회전축 13: 회전차
14: 거치대 15: 블레이드
20: 담체 유니트 21: 외곽 담체
22: 생물막 담체 23: 유통 지지부
24: 관통구 25,25a: 고정부
26: 리브살 27: 판상 부재
28: 유통유로 29: 단관부
30: 파단부 40: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50: 반응기 60: 열교환장치
61: 유동수단 70,71,72: 고액분리수단
80: 반송수단 90: 분리액 처리장치
100: 반응장치 200: 수처리장치

Claims (11)

  1.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 유니트;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담체 유니트에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담체 유니트가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는,
    외측을 둘러싸는 외곽 담체;
    상기 외곽 담체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구;
    상기 외곽 담체의 내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공극을 구비하는 생물막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생물의 부착증식과 반응 대상물의 교반을 병행하며,
    상기 생물막 담체는,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 부재;
    상기 판상 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튜브형 단관부; 및
    상기 튜브형 단관부에 구성된 파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
  2.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 유니트;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담체 유니트에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담체 유니트가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는,
    외측을 둘러싸는 외곽 담체;
    상기 외곽 담체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구;
    상기 외곽 담체의 내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공극을 구비하는 생물막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생물의 부착증식과 반응 대상물의 교반을 병행하며,
    하나 이상의 유통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통 지지부는, 복수의 관통구; 및
    상기 외곽 담체의 전후면을 서로 관통시키는 유통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통 지지부는 상기 외곽 담체의 전면과 후면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
  3.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담체 유니트;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담체 유니트에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담체 유니트가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 유니트는,
    외측을 둘러싸는 외곽 담체;
    상기 외곽 담체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구;
    상기 외곽 담체의 내측에 구성되어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공극을 구비하는 생물막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생물의 부착증식과 반응 대상물의 교반을 병행하며,
    상기 외곽 담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리브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살의 폭(w)과 배치 각도(θ) 및 배치 간격(ℓ)의 증감에 의해 리브살의 측면으로 분류되는 교반유량과 후면으로 분류되어 담체 유니트와 접촉하는 반응유량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막 담체는, 사상체가 중첩되어 구성된 섬유상 담체; 복수의 입상체로 구성된 입상 담체; 적어도 어느 일측이 외부 표면과 연통되는 복수의 개방형 공극이 구비되어 있는 스펀지상 담체;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
  5.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하나 이상의 교반용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차;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차에 전달하는 회전축;
    미생물이 부착증식하는 생물막 담체; 및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유통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물막 담체는,
    넓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 부재;
    상기 판상 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튜브형 단관부; 및
    상기 튜브형 단관부에 구성된 파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의 앞면과 뒷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반응장치로서,
    수체가 유입, 체류 및 유출되면서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반응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를 포함하는 반응장치.
  7. 제6항에 따른 반응장치를 포함하고, 중력식 침전지, 응집침전지, 부상분리장치, 여과장치, 막분리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액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012935A 2021-01-29 2021-01-29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KR10233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35A KR102334693B1 (ko) 2021-01-29 2021-01-29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KR1020210112232A KR102513307B1 (ko) 2021-01-29 2021-08-25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935A KR102334693B1 (ko) 2021-01-29 2021-01-29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232A Division KR102513307B1 (ko) 2021-01-29 2021-08-25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93B1 true KR102334693B1 (ko) 2021-12-07

Family

ID=788681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935A KR102334693B1 (ko) 2021-01-29 2021-01-29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KR1020210112232A KR102513307B1 (ko) 2021-01-29 2021-08-25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232A KR102513307B1 (ko) 2021-01-29 2021-08-25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4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6270A (zh) * 2022-11-21 2023-01-31 山东颐工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vc加工改性剂生产热混合设备
CN116721869A (zh) * 2023-07-06 2023-09-08 扬州日精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预热功能的薄膜电容器封装机及封装方法
CN117599730A (zh) * 2024-01-17 2024-02-27 河北昊泽化工有限公司 一种化工聚合反应釜

Citation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680A (ja) * 2000-07-13 2002-01-29 Takeda Chem Ind Ltd 機械撹拌式水処理用担体、および機械撹拌式水処理用装置
KR20050119373A (ko) * 2004-06-16 2005-12-21 정임순 교반형 하이드로싸이클론 방식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반응기
KR100592332B1 (ko) 2006-01-19 2006-06-26 (주) 테크윈 고효율 혐기 소화조 장치
KR100604400B1 (ko) 2003-04-23 2006-07-26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미생물을 유기고분자 물질로 포괄고정시킨 생물학적유기여재를 이용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
KR100632386B1 (ko) 2004-12-30 2006-10-12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고분자 복합재료로 구성된 미생물막 담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와 악취가스의 생물학적 여과 방법
KR100661074B1 (ko) 2006-01-10 2006-12-22 (주)천지엔비텍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스크류막대모양의 미생물접촉 담체
KR100661079B1 (ko) 2006-01-10 2006-12-22 (주)천지엔비텍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유공각형의 미생물 접촉담체
KR100676686B1 (ko) 2005-12-27 2007-02-01 손병갑 친수성을 갖으며 표면적이 증가한 유동상 플라스틱 미생물담체
KR100786815B1 (ko) 2007-07-03 2007-12-21 유림토건(주) 하ㆍ폐수 고도처리용 섬유상 담체 유닛
KR100829882B1 (ko) 2007-04-02 2008-05-16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100877060B1 (ko) 2007-07-02 2009-0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분해성 산업 폐수 처리를 위해 슬러지 탄화물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폼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987130B1 (ko) 2010-04-07 2010-10-11 (주)상록이티씨 유동상 담체 및 유동상 담체와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수처리공법
KR100991970B1 (ko) 2009-10-21 2010-11-04 이동민 고도처리 유동형 바이오 담체
KR101047871B1 (ko) 2011-01-07 2011-07-08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태양열 및 촉매를 이용한 유기성 액상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20110107469A (ko) * 2010-03-25 2011-10-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처리 장치
KR101087035B1 (ko) 2009-02-20 2011-11-30 심순택 고온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KR101143897B1 (ko) 2009-12-31 2012-05-14 성경일 해수를 이용한 습윤성 바이오매스의 소화발효조
KR101272243B1 (ko) 2013-05-07 2013-06-11 새한환경기술(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 시스템
KR101297978B1 (ko) 2013-05-28 2013-08-23 주식회사 지이테크 하/폐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폐피혁부산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함유한 친수성 다공성 담체 제조방법
KR101410722B1 (ko) 2013-02-18 2014-06-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호기성 발효열을 가온에너지로 사용하는 혐기 발효시스템 및 방법
KR101807843B1 (ko) 2016-07-29 2017-12-12 주식회사 케이티씨 고온형 혐기 소화처리 장치 및 소화처리 방법
KR101842230B1 (ko) 2016-01-27 2018-05-04 엔플러스(주) 소화조 가열방식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1900251B1 (ko) 2018-01-26 2018-09-19 (주)엘앤에이치 에코환경 오폐수 정화용 고정상 담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KR20180109774A (ko) * 2018-08-22 2018-10-08 한상배 회전에 의해 유동성과 반응효율이 개선되는 유동상 생물막담체
KR101986098B1 (ko) 2017-08-07 2019-06-05 김유학 스컴 블레이드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KR101987731B1 (ko) 2019-02-27 2019-09-26 윤팔석 교반기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형 임펠러의 구조
KR102085154B1 (ko) 2019-09-09 2020-03-05 이에스피 주식회사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KR102089219B1 (ko) 2019-08-21 2020-03-13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회전축
KR102126649B1 (ko) 2020-02-25 2020-06-24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임펠러 폴딩 구조
KR102131970B1 (ko) 2020-01-06 2020-07-08 김유학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기
KR102132395B1 (ko) 2020-06-17 2020-07-09 주식회사 하도 콘 타입의 교반기 탱크용 임펠러
KR102131858B1 (ko) 2018-03-14 2020-07-21 세원엠앤에프 주식회사 탈질용 담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무산소조
KR102185180B1 (ko) 2020-07-15 2020-12-01 김수현 접이식 교반기

Patent Citation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680A (ja) * 2000-07-13 2002-01-29 Takeda Chem Ind Ltd 機械撹拌式水処理用担体、および機械撹拌式水処理用装置
KR100604400B1 (ko) 2003-04-23 2006-07-26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미생물을 유기고분자 물질로 포괄고정시킨 생물학적유기여재를 이용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
KR20050119373A (ko) * 2004-06-16 2005-12-21 정임순 교반형 하이드로싸이클론 방식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반응기
KR100632386B1 (ko) 2004-12-30 2006-10-12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고분자 복합재료로 구성된 미생물막 담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와 악취가스의 생물학적 여과 방법
KR100676686B1 (ko) 2005-12-27 2007-02-01 손병갑 친수성을 갖으며 표면적이 증가한 유동상 플라스틱 미생물담체
KR100661079B1 (ko) 2006-01-10 2006-12-22 (주)천지엔비텍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유공각형의 미생물 접촉담체
KR100661074B1 (ko) 2006-01-10 2006-12-22 (주)천지엔비텍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스크류막대모양의 미생물접촉 담체
KR100592332B1 (ko) 2006-01-19 2006-06-26 (주) 테크윈 고효율 혐기 소화조 장치
KR100829882B1 (ko) 2007-04-02 2008-05-16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100877060B1 (ko) 2007-07-02 2009-0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분해성 산업 폐수 처리를 위해 슬러지 탄화물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폼 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786815B1 (ko) 2007-07-03 2007-12-21 유림토건(주) 하ㆍ폐수 고도처리용 섬유상 담체 유닛
KR101087035B1 (ko) 2009-02-20 2011-11-30 심순택 고온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KR100991970B1 (ko) 2009-10-21 2010-11-04 이동민 고도처리 유동형 바이오 담체
KR101143897B1 (ko) 2009-12-31 2012-05-14 성경일 해수를 이용한 습윤성 바이오매스의 소화발효조
KR20110107469A (ko) * 2010-03-25 2011-10-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처리 장치
KR100987130B1 (ko) 2010-04-07 2010-10-11 (주)상록이티씨 유동상 담체 및 유동상 담체와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수처리공법
KR101047871B1 (ko) 2011-01-07 2011-07-08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태양열 및 촉매를 이용한 유기성 액상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1410722B1 (ko) 2013-02-18 2014-06-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호기성 발효열을 가온에너지로 사용하는 혐기 발효시스템 및 방법
KR101272243B1 (ko) 2013-05-07 2013-06-11 새한환경기술(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 시스템
KR101297978B1 (ko) 2013-05-28 2013-08-23 주식회사 지이테크 하/폐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폐피혁부산물에서 추출한 젤라틴을 함유한 친수성 다공성 담체 제조방법
KR101842230B1 (ko) 2016-01-27 2018-05-04 엔플러스(주) 소화조 가열방식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1807843B1 (ko) 2016-07-29 2017-12-12 주식회사 케이티씨 고온형 혐기 소화처리 장치 및 소화처리 방법
KR101986098B1 (ko) 2017-08-07 2019-06-05 김유학 스컴 블레이드가 설치된 소화조용 누유 방지형 다축 교반기
KR101900251B1 (ko) 2018-01-26 2018-09-19 (주)엘앤에이치 에코환경 오폐수 정화용 고정상 담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KR102131858B1 (ko) 2018-03-14 2020-07-21 세원엠앤에프 주식회사 탈질용 담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무산소조
KR20180109774A (ko) * 2018-08-22 2018-10-08 한상배 회전에 의해 유동성과 반응효율이 개선되는 유동상 생물막담체
KR101987731B1 (ko) 2019-02-27 2019-09-26 윤팔석 교반기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형 임펠러의 구조
KR102089219B1 (ko) 2019-08-21 2020-03-13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회전축
KR102085154B1 (ko) 2019-09-09 2020-03-05 이에스피 주식회사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KR102131970B1 (ko) 2020-01-06 2020-07-08 김유학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기
KR102126649B1 (ko) 2020-02-25 2020-06-24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임펠러 폴딩 구조
KR102132395B1 (ko) 2020-06-17 2020-07-09 주식회사 하도 콘 타입의 교반기 탱크용 임펠러
KR102185180B1 (ko) 2020-07-15 2020-12-01 김수현 접이식 교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6270A (zh) * 2022-11-21 2023-01-31 山东颐工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vc加工改性剂生产热混合设备
CN116721869A (zh) * 2023-07-06 2023-09-08 扬州日精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预热功能的薄膜电容器封装机及封装方法
CN117599730A (zh) * 2024-01-17 2024-02-27 河北昊泽化工有限公司 一种化工聚合反应釜
CN117599730B (zh) * 2024-01-17 2024-04-19 河北昊泽化工有限公司 一种化工聚合反应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039A (ko) 2022-08-05
KR102513307B1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693B1 (ko)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CN101977853A (zh) 用于处理废水的方法和装置
JP2017521234A (ja) バイオフィルム材、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の方法
JP6825144B1 (ja) 嫌気性処理装置および嫌気性処理方法
CN108455799A (zh) 污水处理系统以及方法
CN109912029A (zh) 一种自流内循环好氧颗粒污泥连续流反应器
EP0745562A2 (en) Purification system for groundwater or wastewater; biochemical reactor and liquid-transport stirring apparatus
CN105948412A (zh) Fbr-uasb-a/obr处理工业废水的组合工艺
CN208218617U (zh) 污水处理系统
CN109052867A (zh) 一种基于改性活性载体的分散生活污水ega处理装置及处理工艺
JP2008246483A (ja)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
CN211999358U (zh) 一种渗滤液处理系统
JP4568528B2 (ja) 水処理装置
KR100872381B1 (ko) 조류를 가용분해하여 탄소원을 공급하는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CN209065682U (zh) 一种基于改性活性载体的分散生活污水ega处理装置
JPH10296283A (ja) 担体併用生物反応槽の担体分離方法
CN110891906A (zh) 生物反应器
JP2001029975A (ja) 担体攪拌分離装置
CN208883567U (zh) 一种多功能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US5753110A (en) Biochemical reactor of liquid current type, groundwater and wastewater purifying system equipped therewith, and liquid transport-stirring apparatus that employs the transport means used in said reactor and system
CN102826655B (zh) 一种泥膜共生复合式膜生物反应器及其污水处理和回用的方法
US20230020881A1 (en) High-precision, high-efficiency recirculation system for preserving multiple-density biomass and attached biofilm in wastewater treatment bioreactors
JP4765041B2 (ja) 水処理装置
JP2006205030A (ja) メタン発酵処理方法及び装置
CN215855334U (zh) Mbbr生物填料耦合陶瓷平板膜生化反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