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154B1 -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154B1
KR102085154B1 KR1020190111475A KR20190111475A KR102085154B1 KR 102085154 B1 KR102085154 B1 KR 102085154B1 KR 1020190111475 A KR1020190111475 A KR 1020190111475A KR 20190111475 A KR20190111475 A KR 20190111475A KR 102085154 B1 KR102085154 B1 KR 10208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lade
bracket
boss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곤
김병연
Original Assignee
이에스피 주식회사
김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피 주식회사, 김병연 filed Critical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01F7/00341
    • B01F2015/00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구동샤프트의 끝단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체결보스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허브;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보스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허브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허브에 체결되는 블레이드의 결합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어 받음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블레이드를 유선형으로 제작하여 표면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응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IMPELLER FOR AGITATOR WITH ANGLE ADJUSTABLE BLADE}
본 발명은 교반기용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블레이드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교반기용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은 취수장에서 원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약품실 및 혼화조에서 약품 투입기 및 혼화기, 펌프에 의하여 약품을 투입 이를 혼화시킨 후 응집조에서 미세한 부유물질(탁질류)등을 응집시킨 다음 침전조에서 응집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제거하여 금속여과지 및 정수지로 보내지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정수 처리된다.
이때, 혼화조나 응집조 등과 같이 내부에 채워진 물이 교반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수조(이하 '교반조'라 약칭한다)에는 임펠러가 장착된 교반기가 구비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는, 구동샤프트(10)의 끝단에 결합되는 허브(20)와, 허브(20)에 고정된 체결브라켓(30)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40)는 평판 형상의 강판을 수 회에 걸쳐 절곡하거나, 별도의 전용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샤프트(10)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샤프트(10)에 일체로 결합된 허브(20) 및 블레이드(40)가 회전하면서 교반조 내부에 채워진 물을 유동시키고, 이에 따라 교반조 내부의 이물질을 응집시키게 된다.
이때, 응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반조 내부의 조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40)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선택해야 하는데,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는 블레이드(40)의 경사각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교반조 내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응집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는 평판 형상의 금속판을 수 회에 걸쳐 절곡하여 블레이드(40)를 제작하므로, 상기 블레이드(40)에 다수 개의 모서리가 생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40)를 수중에서 회전시킬 때 물이 블레이드(40)의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흐르지 못하고 모서리 부위에서 와류가 발생하는바, 응집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KR 10-199856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블레이드 표면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하여 응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반기용 임펠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구동샤프트의 끝단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체결보스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허브;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보스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허브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보스에는, 상기 체결보스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헤드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체결보스는 돌출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보스와 형합되도록 내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가 상기 체결홀에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보스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의 체결홀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체결보스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었을 때 헤드가 상기 체결브라켓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유선형을 이루되 폭방향 양단보다 폭방향 중심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된 측의 곡률이 가장 크고 상기 체결브라켓과 멀어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받음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브라켓 중 상기 허브와 접하는 부위에는 체결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허브의 외측면 중 상기 체결눈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브라켓의 회전반경을 따라 체결눈금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허브에 체결되는 블레이드의 결합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어 받음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블레이드를 유선형으로 제작하여 표면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응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허브의 체결보스에 체결브라켓이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에 포함되는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허브와 체결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블레이드의 받음각 변경에 따른 유속과 G값 변화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의 분해사시도이다.
교반기용 임펠러는 교반조 내에 채워진 물을 유동시켜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응집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교반조에 채워진 물을 저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이때, 교반기의 응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펠러의 G값이 일정 수준으로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G값은 블레이드의 경사각도 즉, 블레이드의 받음각에 따라 변경되는바, 여러가지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받음각을 적절하게 선정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블레이드의 받음각을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G값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구동샤프트(100)의 끝단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100)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체결보스(210)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허브(200)와, 상기 체결보스(210)가 삽입되는 체결홀(31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보스(2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보스(210)가 삽입되는 체결브라켓(300)과, 상기 체결브라켓(300)을 상기 허브(200)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브라켓(300)에 고정결합되는 블레이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500)가 볼팅홀(320)에 체결되는 별도의 볼트(미도시)에 의해 체결브라켓(300)에 결합되는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블레이드(500)는 용접이나 브레이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500)는 체결브라켓(300)에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도 체결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체결홀(310)에 체결보스(21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브라켓(300)의 장착각도를 조절한 후 체결볼트(400)를 체결보스(2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교반조에 채워진 물의 상태나 이물질의 특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500)를 수평에 가깝도록 뉘이거나 상기 블레이드(500)를 수직에 가깝도록 세워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최적의 응집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나의 체결볼트(400)로 체결브라켓(300)을 체결보스(21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보스(210)에는 상기 체결보스(2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나사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400)는 헤드가 상기 체결브라켓(300)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홀(212)에 나사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볼트(400)에 의해 체결브라켓(300)이 체결보스(210)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허브(200)의 체결보스(210)에 체결브라켓(300)이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체결보스(210)가 길이방향 양단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 체결볼트(400)를 체결하더라도 상기 체결보스(210)의 외측면이 체결홀(310)의 내측면에 압착되지 못하므로 상기 체결브라켓(300)이 체결보스(2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임펠러를 회전시켜 블레이드(500)에 수압이 인가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상기 체결브라켓(300)은 블레이드(500)가 수평에 가깝게 뉘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상기 체결브라켓(300)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체결보스(210)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보스(210)의 외측면이 체결홀(310)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보스(210)는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되 돌출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310)은 상기 체결보스(210)와 형합되도록 내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보스(210)와 체결홀(310)에 테이퍼가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400)가 체결보스(21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보스(210)가 체결브라켓(300) 측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체결보스(210)의 외측면이 체결홀(310)의 내측면에 압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보스(210)의 외측면이 모두 체결홀(310)의 내측면에 압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브라켓(300)에 큰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체결브라켓(300)이 체결보스(210)를 중심으로 쉽게 회전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체결볼트(400)가 최대한 강하게 나사결합된 상태에서는 체결브라켓(300)을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체결브라켓(30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볼트(400)를 약간 푼 후 체결브라켓(300)을 회전시켜야 할 것이다. 물론, 체결브라켓(300)의 회전 조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체결브라켓(30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볼트(400)를 또 다시 최대한으로 조여야 할 것이다.
한편, 체결볼트(400)의 헤드가 체결브라켓(300)의 외측면에 안착되면 즉, 체결볼트(400)의 헤드가 체결브라켓(3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가 회전할 때 체결볼트(400)의 헤드 부위에서 와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400)는 체결보스(210)의 나사홀(212)에 완전히 나사결합되었을 때 헤드가 체결브라켓(300)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보스(210)가 상기 체결홀(310)에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보스(2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의 체결홀(310)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400)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310)은 체결볼트(400)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므로, 상기 체결볼트(400)가 상기 체결보스(210)의 나사홀(212)에 나사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볼트(400)의 헤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3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안착돌기(312)에 안착된다.
한편, 체결볼트(400)가 나사홀(212)에 나사결합되었을 때 체결보스(210)의 끝단이 안착돌기(312)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볼트(400)를 최대한 조이더라도 체결보스(210)의 외측면이 체결홀(310)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힘이 증가하지 아니하는바, 상기 체결보스(210)의 끝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돌기(312)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에 포함되는 블레이드(500)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블레이드(500)의 횡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블레이드(500)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블레이드(500)는 수중에서 회전 시 와류를 발생시키지 아니하도록 모서리가 없는 곡면 형상,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을 이루도록 폭방향 양단보다 폭방향 중심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프로펠러나 비행기 날개는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Goettingen 또는 Munk, NACA 코드를 기준으로 설계되는데, 상기 블레이드(500) 역시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물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Goettingen 또는 Munk, NACA 코드를 기준으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곡면의 최대 두께(Tmax)가 나오는 지점은 시위가 시작하는 지점으로부터 전체 길이의 약 1/3 ~ 1/4 지점이며, 곡면의 최대 두께(Tmax)는 시위길이의 약 15%~20%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500)는 상기 체결브라켓(300)에 결합된 측의 곡률이 가장 크고(도 6(a) 참조), 상기 체결브라켓(300)과 멀어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블레이드(500)의 끝단은 거의 직선에 가깝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도 6(b) 참조). 이때, 상기 블레이드(500)는 모든 영역에서의 이물질 응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체결브라켓(300)에 결합된 측의 폭(ℓ1)과 끝단 측의 폭(ℓ2)이 동일하거나, 체결브라켓(300)에 결합된 측의 폭(ℓ1)보다 끝단 측의 폭(ℓ2)이 작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허브(200)와 체결브라켓(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는데, 사용자가 체결브라켓(300)을 회전시켜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조절할 때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이 현재 몇 도 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는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브라켓(300) 중 상기 허브(200)와 접하는 부위에는 체결눈금(330)이 표시되고, 상기 허브(200)의 외측면 중 상기 체결눈금(330)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브라켓(300)의 회전반경을 따라 체결눈금(33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브눈금(220)과 체결눈금(33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체결눈금(330)이 허브눈금(220)의 어느 눈금과 대응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블레이드(500)의 현재 받음각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허브눈금(220)과 체결눈금(330)은 체결브라켓(300)의 결합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어디에도 표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블레이드(500)의 받음각 변경에 따른 유속과 G값 변화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에 장착되는 블레이드(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보스(2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받음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Case 1과 같이 큰 받음각을 갖도록 거의 수직으로 세워질 수도 있고, Case 2, Case 3와 같이 받음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도 있으며, Case 4와 같이 매우 작은 받음각을 갖도록 거의 수평으로 뉘어질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를 회전시켰을 때와, 도 8에 도시된 Case 1 ~ Case 4 상태의 교반기용 임펠러를 회전시켰을 때의 유속 및 G값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도 10은 각 Case 별 교반기용 임펠러를 교반조 내에서 회전시켰을 때 유속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도면으로서, 도 9는 저면도이고, 도 10은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교반조 내의 유속 패턴이 한 종류로만 나타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를 사용하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유속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Case 1과 같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매우 크게 설정하였을 때에는 하향으로의 유속이 매우 낮고, Case 4와 같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매우 작게 설정하였을 때에도 하향으로의 유속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며, Case 2 및 Case 3과 같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이 적당한 경우에는 종래와 비슷한 유속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과 도 12는 각 Case 별 교반기용 임펠러를 교반조 내에서 회전시켰을 때 G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도면으로서, 도 11은 저면도이고, 도 12는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기용 임펠러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교반조 내의 G값 패턴이 한 종류로만 나타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를 사용하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G값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Case 1과 같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매우 크게 설정하였을 때에는 G값 매우 낮고, Case 2 및 Case 4와 같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설정하였을 때에는 G값이 약간 높아지며, Case 3과 같이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설정하였을 때에는 10에 가까운 G값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용 임펠러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블레이드(500)의 받음각을 조절하여 교반조 내의 유속 패턴 및 G값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교반조의 규격이나 물의 특성, 이물질의 특성이 변경되더라도 최적의 응집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구동샤프트 200 : 허브
210 : 체결보스 212 : 나사홀
220 : 허브눈금 300 : 체결브라켓
310 : 체결홀 312 : 안착돌기
320 : 볼팅홀 330 : 체결눈금
400 : 체결볼트 500 : 블레이드

Claims (8)

  1. 구동샤프트의 끝단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체결보스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허브;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보스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보스가 삽입되는 체결브라켓;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허브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보스에는 상기 체결보스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헤드가 상기 체결브라켓에 압착되도록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체결보스는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되 돌출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보스와 형합되도록 내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보스가 상기 체결홀에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보스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의 체결홀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가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체결보스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었을 때 헤드가 상기 체결브라켓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유선형을 이루되 폭방향 양단보다 폭방향 중심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된 측의 곡률이 가장 크고 상기 체결브라켓과 멀어질수록 곡률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임펠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임펠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받음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브라켓 중 상기 허브와 접하는 부위에는 체결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허브의 외측면 중 상기 체결눈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체결브라켓의 회전반경을 따라 체결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임펠러.
KR1020190111475A 2019-09-09 2019-09-09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KR10208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75A KR102085154B1 (ko) 2019-09-09 2019-09-09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75A KR102085154B1 (ko) 2019-09-09 2019-09-09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154B1 true KR102085154B1 (ko) 2020-03-05

Family

ID=6980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475A KR102085154B1 (ko) 2019-09-09 2019-09-09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6430A (zh) * 2020-06-10 2020-09-01 南京维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潜水搅拌机
KR102334693B1 (ko) 2021-01-29 2021-12-07 한석진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CN116373107A (zh) * 2022-12-27 2023-07-04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混凝土施工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285Y1 (ko) * 1990-11-23 1992-09-17 박정용 선풍기의 조립식 날개 구조
US5615952A (en) * 1995-02-02 1997-04-01 Ali S.P.A. - Carpigiani Group Stirrer for machines for making ice cream or the like
JP2000033253A (ja) * 1998-05-12 2000-02-02 Satake Chemical Equipment Mfg Ltd 撹拌翼
KR101288285B1 (ko) * 2013-04-30 2013-07-26 고일영 교체가 용이한 수처리장의 교반장치용 임펠러
KR20160118604A (ko) * 2015-04-02 2016-10-12 윤현주 축사용 팬장치
KR101998567B1 (ko) 2019-03-11 2019-07-11 주식회사 신정기공 응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285Y1 (ko) * 1990-11-23 1992-09-17 박정용 선풍기의 조립식 날개 구조
US5615952A (en) * 1995-02-02 1997-04-01 Ali S.P.A. - Carpigiani Group Stirrer for machines for making ice cream or the like
JP2000033253A (ja) * 1998-05-12 2000-02-02 Satake Chemical Equipment Mfg Ltd 撹拌翼
KR101288285B1 (ko) * 2013-04-30 2013-07-26 고일영 교체가 용이한 수처리장의 교반장치용 임펠러
KR20160118604A (ko) * 2015-04-02 2016-10-12 윤현주 축사용 팬장치
KR101998567B1 (ko) 2019-03-11 2019-07-11 주식회사 신정기공 응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6430A (zh) * 2020-06-10 2020-09-01 南京维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潜水搅拌机
KR102334693B1 (ko) 2021-01-29 2021-12-07 한석진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KR20220110039A (ko) 2021-01-29 2022-08-05 한석진 생물막 부착증식 기능이 구비된 교반장치와 나선형 열매체 순환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장치와 수처리장치
CN116373107A (zh) * 2022-12-27 2023-07-04 扬州扬工机械有限公司 一种混凝土施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154B1 (ko) 블레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기용 임펠러
AU2010223193B2 (en) Impeller for mixing slurry in metallurgical processes
US5813837A (en) Axial-flow impeller for mixing liquids
EP0880993B1 (en) Impeller assembly with asymmetric concave blades
EP0469302B1 (en) Mixing impellers and impeller systems for mixing and blending liquids and liquid suspensions having a wide range of viscosities
AU592923B2 (en) M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799862A (en) Impellers
US10369535B2 (en) Rapid stirring machine
US7114844B2 (en) A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908241A (en) Coil impeller mixing device
US9731256B2 (en) Mixing impeller with leading edges minimizing accumulations on blades
JP5413243B2 (ja) 攪拌装置および攪拌方法
EP0441505A1 (en) Agitators
US20170113196A1 (en) Stirring propeller
EP2151276A1 (en) Stirring device
EP3171970A1 (de) Rührorganvorrichtung
US8876369B1 (en) Apparatus for mixing liquids and/or solids with liquids
US106540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apid stirrer, and rapid stirrer
KR100523466B1 (ko) 발전소용 교반기 날개
US4074953A (en) Surface aerator
KR100436248B1 (ko) 수처리용 교반기 날개
WO2000035570A2 (en) High efficiency impelle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JP2011251202A (ja) 攪拌混合器
CN107138064A (zh) 用于搅拌器的叶轮的叶片,叶轮和搅拌器
CN216171752U (zh) 一种浆液箱搅拌阻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