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415B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415B1
KR102334415B1 KR1020150135408A KR20150135408A KR102334415B1 KR 102334415 B1 KR102334415 B1 KR 102334415B1 KR 1020150135408 A KR1020150135408 A KR 1020150135408A KR 20150135408 A KR20150135408 A KR 20150135408A KR 102334415 B1 KR102334415 B1 KR 10233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s
array
distance
antenna
fe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350A (ko
Inventor
박범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15B1/ko
Priority to US15/762,980 priority patent/US10775477B2/en
Priority to PCT/KR2016/010600 priority patent/WO2017052238A1/ko
Publication of KR2017003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radar signals or the like, e.g. radar jamming signals
    • G01S7/022Road traffic radar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13Means providing a modification of the radiation pattern for cancelling noise, clutter or interfering signals, e.g. side lobe suppression, side lobe blanking, null-steering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6Microstrip transmission lin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12Radial guide f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75Stripline f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1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front of th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2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back of th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7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e.g. form, type, material or rugge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은 상기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ANTENNA APPARATUS AND AUTOMOTIVE RADAR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드 로브(side lobe) 발생을 최소화하는 방사체 구조를 갖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 장치가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레이더 장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탐지한다. 그리고, 해당 정보가 차량의 이동에 이용됨에 따라 차량 이동성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더 장치는 안테나를 구비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한편, 차량용 레이더는 장거리용 레이더 장치(LRR; long range radar)와 근거리용 레이더 장치(SRR; short range radar)로 분류될 수 있으며, 장거리용 레이더 장치의 경우 77GHz 대역의 주파수를 주로 사용하고, 근거리용 레이더 장치의 경우 24GHz 대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어레이 안테나는 반파장 이내로 방사체를 배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이드 로브(side lobe)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안테나 채널간의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은 상기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은 하나의 채널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와 다수개의 채널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장치와, 상기 안테나장치와 연결되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은 상기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안테나장치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장치는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들은 상기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안테나 어레이의 방사체 간의 크기와 배치관계를 조정하여 사이드 로브(side lobe)를 최소화한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입력 전력과 위상을 조정하여 안테나의 방향성을 가진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구현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레이더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레이더 모듈의 구현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용 및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더 모듈(100)은 안테나장치(200), 신호처리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100)은 현재 위치의 주변 영역에서 물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레이더 모듈(100)은 전자기파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고, 물체의 동작에 의해 물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안테나장치(200)는 송신 안테나부(210)와 수신 안테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장치(200)는 레이더 모듈(100)의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안테나장치(200)는 송신 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고, 공중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신호는 레이더 모듈(100)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수신 신호는 송신 신호가 타겟(target)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레이더 모듈(100)로 유입되는 무선 신호를 나타낸다.
송신 안테나부(210)는 송신 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할 수 있고, 수신 안테나부(230)는 공중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 안테나부(210)와 수신 안테나부(230)는 단거리용 안테나일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신호처리부(300)는 레이더 모듈(100)의 무선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신호처리부(300)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300)는 송신처리부(310)와 수신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처리부(310)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처리부(310)는 송신 안테나부(210)로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처리부(310)는 발진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발진부는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및 발진기(osc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처리부(330)는 수신 안테나부(230)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처리부(330)는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처리부(330)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도시되지 않음)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는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할 수 있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레이더 모듈(1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차량 주행 중 레이더 모듈(1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레이더 모듈(100)을 제어하여, 현재 위치의 주변 영역에서 물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400)는 송신 데이터 및 수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부(400)는 송신처리부(310)를 제어하여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신 처리부(330)를 제어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송신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신 데이터로 CFAR 연산, 트래킹 연산, 타겟 선택 연산 등을 수행하여, 타겟에 대한 각도 정보, 속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모듈의 구현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더 모듈(100)은 복수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송신 안테나부(210)와 복수의 어레이로 구성된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수신 안테나부(230), 송신 안테나부(210)의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처리부(310), 수신 안테나부(230)의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처리부(330)를 인쇄회로기판(650)에 실장할 수 있다.
송신처리부(310)는 송신 안테나부(210)에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수신처리부(330)는 수신 안테나부(230)에 연결되어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부(210)와 수신 안테나부(230)의 안테나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수신 안테나부(210a)는 복수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부(210a)는 급전선로와 급전점을 포함하는 급전부와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어레이(a1)는 급전선로(211a), 급전점(220a),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선로(211a)는 복수의 방사체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급전점(220a)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급전선로(211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급전선로(211a)는 상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급전선로(211a)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급전점(220a)는 급전선로(211a) 일 단부에 배치되어 급전선로(211a)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10a)에서 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10a)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a)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a)들을 따라 배열된다. 이를 통해, 급전선로(211a)로부터 방사체(213a, 217a)들로 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체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어레이(a2)는 급전선로(212a), 급전점(221a) 및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10a)는, 사이드 로브(side lobe)를 최소화하는 방사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배치되는 방사체의 위상 중심(방사체 내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할 수 있다. 사이드 로브(side lobe)는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파의 에너지 분포가 여러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방사 에너지의 최대가 되는 방향의 로브를 주 로브라 하고, 그 외의 방향의 방사를 마이너 로브라고 하며,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방사하는 로브를 사이드 로브라고 한다. 사이드 로브 레벨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방사하는 로브 중 가장 큰 파워를 갖는 로브 수준을 말한다. 안테나 지향성의 수평 방향 패턴 중 주 로브 이외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사이드 로브가 적으면 안테나 효율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10a)는 2개의 어레이들의 방사체를 교차 배치하여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한 빔폭이 확장된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안테나 어레이는 사이드 로브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는 메인 로브와 사이드 로브의 구분이 없도록 안테나 패치간의 간격을 반파장 이내로 설계하여, 상기 메인 로브와 상기 사이드 로브의 경계가 없도록 구현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제1어레이(a1)의 방사체(213a)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14a)간의 간격(h1)은 λ/2 이하가 되고, 제2어레이의 방사체(214a와 215a)간의 간격(h2)은 λ 이하가 되고, 제1어레이(a1)의 방사체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h3)가 λ/2 이하가 되고,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 사이에 중심선(219a)과 방사체의 위상 중심의 간격(h4)은 λ/4 이하가 되도록 배치하여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급전점(220a)에서 급전선로(211a)의 중심으로 연장될수록, 방사체의 형상 및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급전선로(211a)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방사체(217a)는 급전점(220a)에 인접한 방사체보다 가로폭(l1)은 좁아지고 세로폭(l2)은 넓어지도록 배치하여 급전선로(211a)의 중심부에서 방사가 집중되어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수신 안테나부(210a)는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로서 24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수신 안테나부(210b)는 복수의 어레이로 구성된 단일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부(210b)는 급전선로와 급전점을 포함하는 급전부와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어레이(a1)는 급전선로(211b), 급전점(220b),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선로(221b)는 복수의 방사체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급전점(220b)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급전선로(221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급전선로(221b)는 상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급전선로(221b)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급전점(220b)는 분배부(219b)에 의해 급전선로(211b)와 연결되어 급전선로(221b)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10b)에서 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10b)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b)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b)들을 따라 배열된다. 이를 통해, 급전선로(211b)로부터 방사체(213b, 217b)들로 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체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어레이(a2)는 급전선로(212b), 급전점(220b), 복수의 방사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10b)는, 사이드 로브(side lobe)를 최소화하는 방사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배치되는 방사체의 위상 중심(방사체 내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어레이(a1)의 방사체(213b)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14b)간의 간격(h4)은 λ/2 이하가 되고,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14b와 215b)간의 간격(h5)은 λ 이하가 되고, 제1어레이(a1)의 방사체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h6)을 λ/2 이하로 배치하여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급전점(220b)에서 급전선로(211b, 212b)의 중심으로 연장될수록 방사체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급전선로(211b)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방사체(217b)는 급전점(220b)에 인접한 방사체보다 가로폭(l1)은 좁아지고 세로폭(l2)은 넓어지도록 배치하여 급전선로(211a)의 중심부에서 방사가 집중되어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수신 안테나부(210b)는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로서 24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복수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급전선로와 급전점을 포함하는 급전부와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어레이(a1)는 급전선로(211c), 급전점(220c),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선로(211c)는 복수의 방사체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급전점(220c)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급전선로(211c)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급전선로(211c)는 상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급전선로(211c)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급전점(220c)는 급전선로(211c)의 일단에 연결되어 급전선로(211c)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10c)에서 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20c)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c)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c)들을 따라 배열된다. 이를 통해, 급전선로(211c)로부터 방사체(213c, 217c)들로 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체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어레이(a2)는 급전선로(212c), 급전점(221c),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사이드 로브(side lobe)를 최소화하는 방사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배치되는 방사체의 위상 중심(방사체 내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어레이(a1)의 방사체(213c)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14c)간의 간격(h7)은 λ/2 이하가 되고,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14c와 215c)간의 간격(h8)은 λ 이하가 되고, 제1어레이(a1)의 방사체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h9)가 λ/2 이하가 되도록 배치하여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급전선로에 배치된 방사체들이 일정각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전점(220c)에서 급전선로(211c)의 중심으로 연장될수록 방사체의 형상과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나아가, 급전점(220c)에 인접한 방사체는 갭 커플드(gap coupled) 패치로 구현하여 급전선로(211c)의 중심부에서 방사가 집중되어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로서 24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수신 안테나부(220a)는 복수의 어레이로 구성된 단일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송수신 안테나부(220a)는 급전선로와 급전점을 포함하는 급전부와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어레이(a1)는 급전선로(221a), 급전점(228a), 복수의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선로(221a)는 복수의 방사체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급전점(228a)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급전선로(221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급전선로(221a)는 상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급전선로(221a)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급전점(228a)는 급전선로(221a)의 일단에 연결되어 급전선로(221a)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10c)에서 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송수신 안테나부(220c)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c)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급전선로(211c)들을 따라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송수신 안테나부(220c)의 복수의 방사체가 급전선로(211c)의 양측에 배치된다.
급전선로(211a)로부터 방사체(233a, 226a)들로 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복수의 방사체들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방사체들은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어레이(a2)는 급전선로(222a), 급전점(228a), 복수의 방사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안테나부(220c)는, 사이드 로브(side lobe)를 최소화하는 방사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제1어레이와 제2어레이에 배치되는 방사체의 위상 중심(방사체 내의 중심점) 간의 간격이 λ/2 이하가 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어레이(a1)의 방사체(223a)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24a)간의 간격(h10)은 λ/2 이하가 되고, 제2어레이(a2)의 방사체(224a와 225a)간의 간격(h11)은 λ 이하가 되고, 제1어레이(a1)의 방사체와 제2어레이(a2)의 방사체의 위상 중심간의 간격(h12)은 λ/2 이하로 배치하여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급전점(228a)에서 급전선로(221a)의 중심으로 연장될수록 방사체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급전선로(221a)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방사체는 급전점(228a)에 인접한 방사체보다 가로폭(l1)은 좁아지고 세로폭(l2)은 넓어지도록 배치하여 급전선로(221a)의 중심부에서 방사가 집중되어 사이드 로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수신 안테나부(210c)는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로서 77G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레이더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이더 모듈(100a)은 안테나장치(200a), 신호처리부(300a), 제어부(40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안테나장치(200a)만 상이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안테나장치(200a)는 송신 안테나부(210a)와 수신 안테나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부(210a)는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와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 안테나부(230a)는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와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장치(200a)는 레이더 모듈(100a)의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안테나장치(200a)는 송신 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고, 공중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신호는 레이더 모듈(100a)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수신 신호는 송신 신호가 타겟(target)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레이더 모듈(100a)로 유입되는 무선 신호를 나타낸다.
송신 안테나부(210a)는 송신 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 안테나 부(210a)는 단일 채널의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와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부(230a)는 공중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안테나부(230a)는 다수 채널의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와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모드 레이더 모듈의 구현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레이더 모듈(100a)은 복수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와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 복수의 어레이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와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와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의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처리부(310a),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와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의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처리부(320a)를 인쇄회로기판(650a)에 실장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100a)은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와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 사이에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가 배치될 수 있고,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와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 사이에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가 배치될 수 있다.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 및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송신처리부(310a)는, 장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20a)와 근거리용 송신 안테나부(230a)와 연결되어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1수신처리부(321a)와 제2수신처리부(323a)을 포함하는 수신처리부(320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수신처리부(321a)는 장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50a)와 연결되어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수신처리부(323a)는 근거리용 수신 안테나부(260a)와 연결되어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수신처리부(321a)는 송신처리부(310a)와 제2수신처리부(32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레이더 장치(1000)는 레이돔(500), 방수링(waterproof ring; 550), 차폐부(600),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650), 브라켓(bracket; 700), 보조 인쇄회로기판(750), 케이스(800) 및 커넥터(85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500)은 인쇄회로기판(650)을 보호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650)을 수용할 수 있고, 레이돔(500)은 케이스(800)와 체결될 수 있다. 레이돔(500)은 전파의 감쇠가 적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기절연체일 수 있다.
방수링(550)은 레이돔(500)과 케이스(80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용 레이더 장치(1000)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방수링(550)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600)는 인쇄회로기판(650)의 IC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RF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폐부(160)는 인쇄회로기판(150)의 IC 칩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50)은 안테나부와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레이더 모듈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광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호처리부느 밀리미터파 RFIC(radio frequency IC) 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700)은 인쇄회로기판(650)의 신호 처리 과정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noise)를 차단할 수 있다.
보호 인쇄회로기판(750)은 전원 및 신호 처리를 위한 회로가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800)는 커넥터(850), 보조 인쇄회로기판(750), 브라켓(700), 인쇄회로기판(650) 및 차폐부(60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넥터(850)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1000)와 외부 장치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850)는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커넥터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서로 다른 전력과 위상을 입력한 경우의 이득과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0(a)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 각각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나타내고, 도 10(b)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이득(gain)을 나타내고, 도 10(c)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나타낸다.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에 분배되는 전력의 비가 1:5이고, 90도의 위상차이를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어레이(a1)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a2)에 0.2W의 전력과 90도의 위상을 입력하는 경우, 안테나 장치는 0도에서 피크값인 약 15dB의 이득을 얻으며, -100도와 100도에서 약 5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즉, 넓은 빔폭을 가진 안테나 이득을 갖는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분배되는 전력의 비와 위상에 대해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은 차량의 사용자 입력 장치(예컨대, 핸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고, 상기 핸들의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이 동일하고 위상이 90도 차이일 수 있다. 즉, 도 10(c)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전력과 위상을 입력하여 좌우 편향 없이 전방으로 방사되는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서로 다른 전력과 위상을 입력한 경우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1(a)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 각각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나타내고, 도 11(b)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이득(gain)을 나타내고, 도 11(c)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1어레이(a1)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a2)에 동일하게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는 경우, 안테나 장치는 -50도와 +50도에서 피크값인 약 13dB의 이득을 얻으며, 0도에서 약 7.5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c)를 참조하면, 도10(c)와 비교하여 전방으로 방사가 감소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이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에 기초하여 탐지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여 -50도와 +50도에서 이득이 최대인 안테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서로 다른 전력과 위상을 입력한 경우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2(a)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 각각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나타내고, 도 12(b)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이득(gain)을 나타내고, 도 12(c)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에 기초하여 탐지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어레이(a1)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a2)에 0.2W의 전력과 90도의 위상을 입력하는 경우, 안테나 장치는 -50도에서 피크값인 약 15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즉,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여 -50도에서 이득이 최대인 안테나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도 12(c)를 참조하면, 도 11(c)와 비교하여 방사 패턴이 좌측 방향으로 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서로 다른 전력과 위상을 입력한 경우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3(a)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 각각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나타내고, 도 13(b)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이득(gain)을 나타내고, 도 13(c)는 상기 전력과 위상에 따른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1어레이(a1)에 0.2W의 전력과 9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a2)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는 경우, 안테나 장치는 +50도에서 피크값인 약 15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에 기초하여 탐지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제1어레이(a1)에 입력되는 전력이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보다 크고, 제1어레이(a1)에 입력되는 위상과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위상이 90도 차이일 수 있다.
즉, 제1어레이(a1)와 제2어레이(a2)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여 +50도에서 이득이 최대인 안테나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도 13(c)를 참조하면, 도 11(c)와 비교하여 방사 패턴이 우측 방향으로 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용 및 근거리용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4(a)는 차량(10)의 전방에 멀티 모드 차량용 레이더 장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멀티 모드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멀티 모드 레이더 모듈이 장착되어, 장거리 송수신 안테나와 근거리용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도 11과 같이 제1어레이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여 근거리용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좌측 근거리 영역(SRR1), 우측 근거리 영역(SRR2) 및 장거리용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전방 장거리 영역(LRR)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4(b)는 상기 멀티 모드 차량용 레이더 장치의 장거리 송수신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내고, 도 14(c)는 상기 멀티 모드 차량용 레이더 장치의 근거리 송수신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장거리 송수신 안테나와 근거리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중첩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차량(10)의 전방에 도 2의 근거리용 레이더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a)는 상기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도 12와 같이 제1어레이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에 0.2W의 전력과, 90도의 위상을 입력하여 좌측 근거리 영역(SRR1)을 더 넓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사용자 입력 장치(예컨대, 핸들)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용 레이더 장치에 상기 전력과 위상을 입력하여 좌측 근거리 영역(SRR1)을 더 넓게 감지할 수 있어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5(b)는 상기 차량용 레이더 장치는 도 13과 같이 제1어레이에 0.2W의 전력과, 90도의 위상을 입력하고, 제2어레이에 1W의 전력과, 0도의 위상을 입력하여 우측 근거리 영역(SRR2)을 더 넓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사용자 입력 장치(예컨대, 핸들)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용 레이더 장치에 상기 전력과 위상을 입력하여 우측 근거리 영역(SRR2)을 더 넓게 감지할 수 있어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차량(10)의 후방 중앙부에 도 2의 근거리용 레이더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이고, 도 16(b)는 차량(10)의 후방 양 측부에 도 2의 근거리용 레이더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차량용 레이더(1000)는 안테나부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제어하여 후방영역(SRR3) 및 측후방 영역(SRR1, SRR2)을 넓게 감지할 수 있고, 도 16(b)를 참조하면, 차량용 레이더(1000a, 1000b)는 안테나부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을 도 12와 도 13과 같이 제어하여 측후방영역(SRR)을 넓게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입력 전력과 위상을 조정하여 특정방향에 집중되고 사이드 로브가 최소화된 측후방 차량용 레이더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레이더 모듈
200; 안테나장치
300; 신호처리부
400; 제어부
210; 송신 안테나부
230; 수신 안테나부

Claims (26)

  1.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및
    상기 제 2 급전 선로 상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은,
    상기 급전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방향의 폭은 증가하면서 상기 제 2 방향의 폭은 감소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λ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λ 이하인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 사이의 중심선과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4 이하이고,
    상기 중심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4 이하인 안테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은,
    상기 제 1 급전 선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과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과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2 이하인 안테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제 2 급전 선로는,
    하나의 동일한 급전점으로부터 분기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점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제 2 급전 선로는,
    서로 다른 급전점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안테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은,
    상기 제 1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과 중첩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을 제외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의 폭은,
    상기 급전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안테나 장치.
  8. 하나의 채널의 송신 안테나와 다수개의 채널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장치; 및
    상기 안테나장치와 연결되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및
    상기 제 2 급전 선로 상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은,
    상기 급전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방향의 폭은 증가하면서 상기 제 2 방향의 폭은 감소하는 레이더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λ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λ 이하인 레이더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 사이의 중심선과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4 이하이고,
    상기 중심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4 이하인 레이더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은,
    상기 제 1 급전 선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과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과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2 이하인 레이더 모듈.
  12.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안테나장치를 실장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전점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급전 선로;
    상기 제 1 급전 선로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및
    상기 제 2 급전 선로 상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은,
    상기 급전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 1 방향의 폭은 증가하면서 상기 제 2 방향의 폭은 감소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λ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λ 이하인 차량용 레이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 사이의 중심선과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4 이하이고,
    상기 중심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4 이하인 차량용 레이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은,
    상기 제 1 급전 선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과 교차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과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 각각의 위상 중심 사이의 간격은, λ/2 이하인 차량용 레이더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 선로 및 상기 복수의 제 1 방사체들은 제 1 어레이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급전 선로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방사체들은 제 2 어레이를 구성하며,
    상기 제1어레이와 상기 제2어레이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에 기초하여 탐지방향을 제어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어레이와 상기 제2 어레이에 입력되는 전력과 위상이 변화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핸들이고,
    상기 위상은 상기 핸들의 조정 각도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각도가 제 1 각도이면, 상기 제1 어레이와 상기 제2 어레이에 입력되는 상기 전력은 동일하고 위상은 180도 차이가 발생하고,
    상기 조정 각도가 제 2 각도이면, 상기 제1 어레이와 상기 제2 어레이에 입력되는 상기 전력과 상기 위상은 동일하며,
    상기 조정 각도가 제 3 각도이면, 상기 제1 어레이에 입력되는 전력은 상기 제2 어레이에 입력되는 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1 어레이에 입력되는 위상은 제2 어레이에 입력되는 위상과 90도 차이가 발생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장거리용 송수신 안테나부와 근거리용 송수신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거리용 송수신 안테나부를 구성하는 안테나 어레이의 길이는,
    상기 근거리용 송수신 안테나부를 구성하는 안테나 어레이의 길이와 동일한 차량용 레이더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50135408A 2015-09-24 2015-09-24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10233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08A KR102334415B1 (ko) 2015-09-24 2015-09-24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US15/762,980 US10775477B2 (en) 2015-09-24 2016-09-22 Antenna device and vehicle radar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6/010600 WO2017052238A1 (ko) 2015-09-24 2016-09-22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08A KR102334415B1 (ko) 2015-09-24 2015-09-24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50A KR20170036350A (ko) 2017-04-03
KR102334415B1 true KR102334415B1 (ko) 2021-12-03

Family

ID=5838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08A KR102334415B1 (ko) 2015-09-24 2015-09-24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75477B2 (ko)
KR (1) KR102334415B1 (ko)
WO (1) WO2017052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2077A1 (en) * 2016-04-21 2017-10-26 Autoliv Development Ab A leaky-wave slotted microstrip antenna
JP6846437B2 (ja) * 2016-12-01 2021-03-24 日立Astemo株式会社 レーダ装置
JP6910830B2 (ja) * 2017-04-04 2021-07-28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平面アンテナ装置
KR102346202B1 (ko) * 2017-07-03 2022-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JP6953235B2 (ja) * 2017-08-28 2021-10-27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波放射方法
KR102132774B1 (ko) 2018-01-10 2020-07-21 주식회사 만도 레이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9211346A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レーダ装置
CN110174649A (zh) * 2019-05-07 2019-08-27 加特兰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射频前端收发装置、车载雷达收发系统
KR20210017042A (ko) * 2019-08-0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안테나 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38343B (zh) * 2020-05-18 2021-09-01 為昇科科技股份有限公司 蜿蜒天線結構
TWI804932B (zh) * 2020-05-18 2023-06-11 為昇科科技股份有限公司 蜿蜒天線結構
KR102366273B1 (ko) * 2020-06-30 2022-02-25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레이더 장치
TWI752780B (zh) * 2020-12-31 2022-01-1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寬波束之天線結構
KR20220100367A (ko) * 2021-01-08 2022-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커패시티브 결합 콤라인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2666163B1 (ko) * 2021-03-04 2024-05-14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타겟 검출용 레이더 장치
TWI765755B (zh) * 2021-06-25 2022-05-2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天線模組與無線收發裝置
US20240039166A1 (en) * 2022-07-29 2024-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profile high-efficiency wide-scanning antenna ar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6165A (ja) 2009-03-19 2010-10-07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アレー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3417B2 (ja) 1998-04-02 2003-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レーダ装置
DE10261027A1 (de) * 2002-12-24 2004-07-08 Robert Bosch Gmbh Winkelauflösendes Antennensystem
KR100880892B1 (ko) * 2007-04-11 2009-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안테나 및 그 안테나의 모드 제어방법
KR101507502B1 (ko) * 2009-03-30 2015-04-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대역 안테나 어레이
JP2011002277A (ja) * 2009-06-17 2011-01-06 Fujitsu Ten Ltd レーダ装置
DE102011113018A1 (de) * 2011-09-09 2013-03-14 Astyx Gmbh Abbildender Radarsensor mit schmaler Antennenkeule und weitem Winkel-Detektionsbereich
KR101338787B1 (ko) 2012-02-09 2013-12-0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레이더 배열 안테나
JP2015171019A (ja) * 2014-03-07 2015-09-2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6165A (ja) 2009-03-19 2010-10-07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アレー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5477B2 (en) 2020-09-15
WO2017052238A1 (ko) 2017-03-30
KR20170036350A (ko) 2017-04-03
US20180267139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415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102378478B1 (ko)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US10777878B2 (en) Radome and vehicular radar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033311B1 (ko) 스트립라인 급전 슬롯 배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256524B2 (en) Antenna substrate
KR20120130615A (ko) 레이더 배열 안테나
CN113348594A (zh) 天线装置和雷达装置
KR102352470B1 (ko) 어레이 안테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JP3761988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619375B1 (ko) 능동 - 수동 탐색기용 안테나
JP2019039766A (ja) レーダ装置
JP6984019B2 (ja) アンテナアレイ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
US10408931B2 (en) Radar module
US20220263234A1 (en) Vehicle antenna apparatus, method of use and manufacture
EP3249749B1 (en) Antenna device with accurate beam elevation control useable on an automated vehicle
KR102346202B1 (ko)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102346201B1 (ko)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KR102439526B1 (ko) 능동위상배열 안테나와 수동형 반사판 안테나의 동시 구현을 위한 이중대역 하이브리드형 안테나
KR102581461B1 (ko) 레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레이더 장치
JP6216268B2 (ja) アンテナ装置
JP2007006062A (ja) 無指向性アンテナ
KR20160080037A (ko) 정합 소자가 필요 없는 고이득 진행파 안테나
CN113708056A (zh) 天线装置和无线电通信设备
KR102165727B1 (ko) 지향성 안테나
KR20170087779A (ko) 레이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