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49B1 -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49B1
KR102334349B1 KR1020190160425A KR20190160425A KR102334349B1 KR 102334349 B1 KR102334349 B1 KR 102334349B1 KR 1020190160425 A KR1020190160425 A KR 1020190160425A KR 20190160425 A KR20190160425 A KR 20190160425A KR 102334349 B1 KR102334349 B1 KR 10233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ffect
oligosaccharide
skin irr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564A (ko
Inventor
이지영
박소현
이춘몽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9016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항알러지 효과, 보습효과, 피부손상 회복효과 및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rritation Comprising Xylooligosaccharid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수분손실을 막는 보호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표피의 각질층 역시 피부에 가장 외측에 존재하면서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아 피부가 정상적인 대사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피부표면은 피지와 수분이 혼합된 피지막이 각질층을 덮고 있어,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고 피부 각질층에 적정한 수분을 유지해주어 매끄럽고 윤기 있으며 촉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량이 10 % 이하로 떨어지면 피부에서 각질이 떨어져 나가게 되고,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되어 각종 염증 및 알러지가 유발되기 쉬워진다.
노화가 일어나면서 피부의 신진대사 능력이 감소할 뿐 아니라 실내 환경, 공해, 자외선, 바람, 미세먼지, 황사, 지나친 화장품 사용이나 세제류 등 외부자극에 의해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피부과학적으로 민감성 피부란 외부의 자극 물질, 알레르기 물질, 혹은 환경 변화나 인체 내부 원인에 대해 정상인 피부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극 반응이나 피부염을 잘 일으키는 피부를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화장품을 도포할 경우 피부에 참기 어려운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를 통틀어 민감성 피부라 한다.
참기 어려운 느낌은 자극에 대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가려움증, 따가움, 타는 듯한 느낌, 당기는 느낌 등을 말하며 객관적으로는 각질이 일어나거나, 붉어지거나, 발진이 생기거나 물집 등이 생기는 것이 보이면 민감성 피부로 판단한다.
민감성 피부의 원인은 내외적으로 다양하지만 많은 전문가는 가장 근원적인 원인으로 ‘피부장벽의 약화와 손상’을 꼽는데 피부장벽이 손상되면 피부 속 수분이 쉽게 증발해 건조해지고 외부 유해성분의 침투도 쉬워져 각종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의 생리 기능이 약화되면 피부가 거칠어지고 거칠어진 피부는 피부 표면의 지방층 형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각질층의 수분 유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지질층이 약해져 알러지성, 자극성 물질의 흡수가 용이해져 외부 자극에 대한 불편함을 과도하게 느끼게 된다.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나 랑게르한스 세포는 외부의 물질에 의한 자극에 사이토카인(cytokine)을 만들어 방출하여 피부의 자극 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 반응을 야기한다. 특히 IFN-γ, TNF-α, IL-1α, IL-1β, IL-6 등의 사이토카인은 감염이나 조직 상해 등에 관여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염증 매개하는 물질로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브라디키닌(bradykinin), 일산화질소(nitric oxide), 히스타민(histamine), 보체(complement), 유착 분자(adhesion molecule) 등이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는 또한 항원 제시(antigen presentation) 및 IL-1α와 같은 사이토카인 생성을 통해 T 세포의 면역반응을 촉진시킨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는 20종에서 50여종까지의 원료를 사용하게 된다. 화장품 조성물을 자세히 살펴보면 제품 형성에 불가피한 이유로 첨가되는 가용화제, 방부제, 향로, 유화제, 자외선차단제, 기타 효능 원료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중 일부는 피부에 염증, 뾰루지, 부종, 가려움증 및 알레르기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기 위해서 피부 자극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항염증 효과가 있는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계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이나 비스테로이드계인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으나, 화장품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거나 함량이 제한적이어서 화장품에서는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화장품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하기 위해 피부에 부작용이 적고 안정한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308호는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2558호는 사과 추출물 및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물질을 연구한 결과, 자일로올리고당을 선정하고, 이의 항염증 효과, 항알러지 효과, 보습 효과, 손상 피부 회복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증 효과, 항알러지 효과, 보습 효과, 손상 피부 회복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 항알러지 효과, 보습 효과, 손상 피부 회복 효과, 피부 자극 완화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일로올리고당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일로올리고당은 항염 효과(실험예 1), 항알러지 효과(실험예 2), 보습 효과(실험예 3), 손상 피부 회복 효과(실험예 4), 피부 자극 완화 효과(실험예 5)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자극 완화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일로올리고당 (Xylooligosaccharide)은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에서 추출한 자일란(xylan)을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자일로스(xylose)가 2~10개인 β-1,4 xyloside로 결합된 당류 혼합물이다. 자일로올리고당은 저칼로리(1.0~3.0 Kcal/Mol) 감미료로서 감미도가 설탕의 약 40% 정도로 낮지만,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다는 특징이 있다. 자일로올리고당은 자연적으로 과일, 야채, 대나무, 꿀, 우유 등에 존재하는 물질이다. 다른 올리고당에 비해 하루에 0.7~7.5 g의 비교적 적은 양으로 유효섭취량을 충족시키며 장내 유익균 증식, 유해균 억제 및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건강기능식품개별인정형 원료로 등록되어 있다. 자일로올리고당은 사람의 타액, 췌장액, 소장점액, 대장액, 인공장액 등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난소화성 물질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자일로올리고당은 체내로 흡수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수 없어 소장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혈당저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장에서는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um)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등과 같은 유익균들이 자일로올리고당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대장내 유익균 개체를 증가시켜 장 건강에 도움 준다. 또한, 건강한 성인의 경우 1일 0.4~0.7g의 자일로올리고당 섭취로 비피더스균의 증식 촉진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일로올리고당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일로올리고당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일로올리고당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자일로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 완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하고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효과, 항알러지 효과, 보습효과, 손상 피부 회복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자일로올리고당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자일로올리고당은 (주)태경식품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예 1: 항염효과
실험예 1은 제조예 1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B(UVB) 램프 (Model: F15TB,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을 이용하여 자외선 10mJ/cm2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냈다. 이 섬유아세포에 상기 제조예 1을 500ppm, 1000ppm, 2000ppm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제조예 1을 넣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를 각각 500㎕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비교군으로 인도메타신 100ppm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μl을 취하여 IL-1α를 정량함으로써 식물 추출물 및 혼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IL-1α의 양은 효소 면역 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α)의 발현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125711113-pat00001
Bo :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 생성량
B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 생성량
S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 처리한 웰의 IL-1α 생성량
시료명 처리농도(ppm) 염증성 사이토 카인 발현 억제율 (%)
제조예1 500 48.24 ± 1.35
1000 61.13 ± 1.21
2000 73.14 ± 1.52
인도메타신 100 63.82 ± 1.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은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α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알러지 효과
RBL-2H3(Rat basophilic leukemia) 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과 1% 항생제가 포함된 MEM(Modified eagle medium, Sigma)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수가 5x10 5 cells/ml이 되게 계수한 후, 1㎎/㎖ IgE 항체를 첨가하여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 용액 1ml으로 2회 세척한 후, 릴리징 버퍼 260㎕와 제조예 1을 농도별로 넣은 후 동일 조건에서 10분 배양한다. 여기에 BSA(bovine serum albumin)를 넣고 동일조건에서 1시간 배양한다. 배양이 끝나면 200㎕씩 취하여 300RPM,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50㎕씩 취하여 96웰 플레이트로 옮긴 다음 기질을 50㎕씩 넣고 동일 조건에서 30분 반응시킨 다음 100mM 카보네이트 버퍼(carbonate buffer) 150㎕ 넣고 5분간 섞어주어 마이크로 플레이트 계수기 405㎚에서 결과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항히스타민제인 케토티펜 푸마레이트(ketotifen fumarate)를 사용하였다.
시료명 처리농도(ppm) β-hexosaminidase
방출 억제율(%)
제조예1 500 65.8
1000 69.1
2000 75.3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100 7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은 β-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이를 통해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비교제형예 :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의 자일로올리고당을 농도별로 포함하는 화장료(제형예 1 내지 3)를 제조하였으며, 자극완화제로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1),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2), 자극완화제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3)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
(단위: 중량%)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비교
제형예1
비교
제형예2
비교
제형예3
A 제조예1 0.5 1 2 - - -
마데카소사이드 - - - 0.1 - -
글리세린 - - - - 5 -
1,3-부틸렌글리콜 - - - - 5 -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 100 to 100 to 100
B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2 2 2 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0.7 0.7
스쿠알란 5 5 5 5 5 5
유동파라핀 3 3 3 3 3 3
트리옥타노인 5 5 5 5 5 5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 3 3 3 3 3
BHT 0.1 0.1 0.1 0.1 0.1 0.1
C 향,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3: 보습 효과
상기 제형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10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5개 그룹 (A, B, C, D 및 E)으로 나눈 후, A, B, C 그룹에는 제형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D 그룹에는 자일로올리고당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2), E그룹에는 자일로올리고당와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3)을 각각 1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매 2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2주 개선율(%) 4주 개선율(%)
제형예 1 22.5 30.1 36.4 33.8 61.8
제형예 2 22.8 32.5 38.7 42.5 69.7
제형예 3 23.5 35.7 41 51.9 74.5
비교제형예 2 22.8 35.3 42.1 54.8 84.6
비교제형예 3 22.5 23.3 22.9 3.6 1.8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다른 보습제를 함유한 화장료(비교제형예 2)와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한 화장료(제형예 1 내지 3)의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손상 피부 회복효과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은 피부를 통해 증발되는 수분(땀은 제외)을 나타내는 지표로 각질층의 손상 정도와 피부장벽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높은 수준의 TEWL은 피부장벽이 손상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TEWL의 측정은 항온(22℃) 및 항습(47%)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단위는 g/h/m2이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0.5% SLS를 16시간 첩포하여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시켰다.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한 후 시험 제품을 도포하기 전 TEWL 수치를 Tewameter TM210 (Courage+Khazaka, 독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손상된 피부에 표 3의 제형예 3과 비교제형예 1 및 3를 1일 2회씩 3일 동안 도포한 뒤 TEWL 수치의 변화를 측정하여 수학식 2에 따라 경피수분 손실의 회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25711113-pat00002
시료명 TEWL값 TEWL 회복도(%)
스트립핑 전 스트립핑 후 도포 3일후
제형예 3 6.9 17.9 8.5 85.5
비교제형예 1 7.1 18.1 8.2 90.0
비교제형예 3 6.8 18.5 15.1 29.1
표 5과 같이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제형예 1과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1,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제형예 3을 피부에 도포한 후 TEWL을 측정하여 피부 손상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 제형예 1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손상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자극 완화효과
본 발명의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 여 30명을 대상으로 양팔 하박부에 5 × 20 ㎝ 부위에 제형예 3 및 비교제형예 1의 화장료 100 중량부에 각각 자극원으로서 1% 락ㅌ트(lactic acid) 수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한 것 약 0.02g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제거하고 1시간 및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하기의 판정 기준에 의하여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고, 자극율(%)은 다음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대조예로는 1% 락트산 수용액(v/w)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나 있다.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풂
Figure 112019125711113-pat00003
시료 판정결과 자극율(%)
++ + +- -
제형예 3 + 락트산 1.0% 0 6 24 6.67%
비교제형예 1 + 락트산 1.0% 1 6 23 8.89%
대조예(락트산 1.0%) 7 15 8 - 65.55%
상기 표 6의 피부 자극성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형예 3)은 락틱산에 의한 피부자극성 실험에서 자극완화제로서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하는 비교제형예 1과 비교했을 때 자극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항알러지 효과, 보습 효과 및 피부손상 회복 효과를 갖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로올리고당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0 중량% 함유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KR1020190160425A 2019-12-05 2019-12-05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25A KR102334349B1 (ko) 2019-12-05 2019-12-05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25A KR102334349B1 (ko) 2019-12-05 2019-12-05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64A KR20210070564A (ko) 2021-06-15
KR102334349B1 true KR102334349B1 (ko) 2021-12-06

Family

ID=7641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425A KR102334349B1 (ko) 2019-12-05 2019-12-05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2711A (ja) 2000-07-11 2004-01-29 ロレア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ケラチン繊維を保護するためのc3〜c5単糖類の使用
JP2005187370A (ja) 2003-12-25 2005-07-14 Oji Paper Co Ltd 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835A (ko) * 2008-09-01 2010-03-10 (주)아모레퍼시픽 염증 억제능을 갖는 녹차 산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2711A (ja) 2000-07-11 2004-01-29 ロレア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ケラチン繊維を保護するためのc3〜c5単糖類の使用
JP2005187370A (ja) 2003-12-25 2005-07-14 Oji Paper Co Ltd 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64A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15882B (zh) 一种舒缓修护保湿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25107B (zh) 一种有效改善和修复面部激素依赖性皮炎的多肽组合物
CN110638727B (zh) 一种婴幼儿护臀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41876B1 (ko) 칸나비디올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04021A (zh) 用于皮肤过敏及皮肤屏障受损的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114161B1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CN113456568A (zh) 舒缓修护保湿皮肤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90048202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334349B1 (ko) 자일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WO2017069793A1 (en) Vaginal ge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068375B1 (ko) 생지황, 석창포, 고삼, 자초 및 황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2324A (ko)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용 다시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71600B1 (ko) 민감성피부 및 피부트러블 개선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JP5300233B2 (ja) 皮膚化粧料
KR20220112636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 하층부 수분 함유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8183A (ko) 염증성 피부병을 위한 덱스트란 설페이트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