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076B1 - 보온재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보온재 권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076B1 KR102334076B1 KR1020200074732A KR20200074732A KR102334076B1 KR 102334076 B1 KR102334076 B1 KR 102334076B1 KR 1020200074732 A KR1020200074732 A KR 1020200074732A KR 20200074732 A KR20200074732 A KR 20200074732A KR 102334076 B1 KR102334076 B1 KR 102334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winding
- rotating
- insulating material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H81/06—Covering or wrapping elongated cores
- B65H81/08—Covering or wrapping elongated cores by feeding material obliquely to the axis of the c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40—Power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보온재 권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는 일측에 개구인 헤드개구가 형성되는 링 형상을 가지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에 따라 대응되어 회전하며 보온재가 감긴 롤이 장착되는 보온재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온재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공장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에는 각종 배관이 설치되곤 한다. 이러한 배관들은 내부에 액체나 기체, 분체를 포함하는 유체를 수송하여, 건축물 내부의 각 위치에 전송하곤 하였다.
이러한 배관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는 온도 변화 등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랭기의 낮은 온도로 인해 수도관 내부에서 물이 얼어붙는 동파 사고가 대표적인 그 예라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 외부에 보온재를 처리하여 외부의 온도 변화로부터 내부 유체가 영향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보온재는 두께가 얇고 다소 너비가 있는 테이프(Tape) 형태로 생산되고, 생산된 테이프는 롤에 감겨서 작업자에게 공급된다.
작업자는 롤에 감긴 보온재를 풀어 보온재 처리를 요하는 배관의 외측면에 감는 방식으로 배관 외측면에 보온재 처리를 하곤 하였다. 또는 배관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권취를 실시하는 권취 장비를 사용하곤 하였다.
그러나, 인력으로 작업을 하게 되면 시간 및 효율에서 손실이 발생하였고, 통상적인 권취 장비는 보온재가 떨어진 이후, 중간부터 다시 권취작업을 실시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작업의 비효율성이 발생하곤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물의 어디에서도 용이하게 권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보온재 권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개구된 링 형상을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와 함께 회전하는 보온재 권취부를 포함하는 보온재 권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회전부재;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의 개구된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제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날이 형성되는 제1 기어; 동력 장치로부터 회전동력을 얻어 회전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주동기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어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제1 잠금축을 매개로 상기 헤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를 개폐하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제2 잠금축을 매개로 상기 회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개폐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재 권취부는, 상기 헤드부의 타측면과 결합되되,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여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권취기둥; 상기 제1 권취기둥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권취기둥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권취기둥; 상기 제2 권취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권취기둥의 일단부와 접하며,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2 권취기둥에 끼워져 상기 제2 권취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기동되고, 일측면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온재 권취부재; 및 상기 제2 권취기둥에 끼워지며, 상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보온재 권취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는 작업물의 어디에서도 용이하게 권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주동기어,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온재 권취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의 권취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주동기어,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온재 권취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의 권취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에서 보았을 때, 헤드부(100)에서 회전부(50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고, 회전부(500)에서 헤드부(100)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는 헤드부(100), 지지기둥(300), 회전부(500) 및 보온재 권취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는 작업물의 어디에서도 용이하게 권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100)는 헤드몸체(110) 및 제1 잠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몸체(110)는 중심부에 홀인 헤드홀(111)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개구인 헤드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몸체(110)는 헤드개구(112)의 인접한 면에 홀인 제1 체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몸체(110)는 헤드개구(112)를 중심으로 제1 체결홀(113)이 형성되지 않은 반댓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헤드몸체(110)와 연결된 제1 잠금축(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몸체(110)는 헤드몸체(11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상면과 접하는 제1 잠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130)는 예를 들어, 헤드개구(112)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고, 제1 잠금축(131)을 매개로 헤드몸체(110)와 결합되어, 제1 잠금축(13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부재(130)에는 제1 체결홀(113)에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33)는 제1 체결홀(1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체결홀(113)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130)는 제1 잠금축(13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며 헤드개구(112)의 개폐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제1 잠금부재(130)를 개방하여 헤드개구(112)를 통해 헤드홀(111)로 작업물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작업물의 삽입이 끝나면 제1 잠금부재(130)를 회전시켜, 제1 체결부재(133)를 헤드몸체(110)의 제1 체결홀(113)에 끼우는 방식으로 헤드개구(112)를 폐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는 배관의 길이에 상관없이 헤드홀(111)에 작업물을 삽입할 수 있어, 작업물의 어디에서도 용이하게 권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헤드몸체(110)는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연장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의 일측면, 예를 들어, 하방면은 보온재 권취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재(115)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은 헤드몸체(110)의 평면에서 수직한 방향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온재 권취부(700)의 각 구성들이 지지기둥(300)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져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지지기둥(3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헤드몸체(110)의 일측면, 예를 들어, 하방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회전부(500)의 제1 회전부재(53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기둥(300)은 헤드부(100) 및 회전부(500)를 상호 연결하여, 회전부(500)에서 발생한 회전에 대응되어, 헤드부(100)도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부의 분리사시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회전부(500)는 상판(510), 결합부재(520), 제1 회전부재(530), 제1 기어(540), 제2 기어(550), 주동기어(560), 주회전축(570), 회전케이스(580) 및 제2 회전부재(5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510)은 후술할 회전케이스(5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면이 제1 회전부재(53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재(530)와 접하는 상판(510)의 일측면에는 제1 회전부재(530)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면(51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 형상의 제1 회전부재(530)의 형상에 대응되어, 안착면(513) 또한 만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510)은 안착면(513)을 따라 제1 회전부재(530)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판(510)에는 주회전축(57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딩홀(512)이 형성되어, 주회전축(570)이 가이딩홀(5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주회전축(570)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가이딩홀(512)의 외주 방향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벽체인 가이딩부재(5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딩부재(511)는 주회전축(570)의 외측면과 접하여, 주회전축(570)이 고속 회전에도 단부가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차(Precession) 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부재(530)는 중심부에 홀인 제1 회전홀(531)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인 제1 회전개구(532)가 형성된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개구(532) 또한 헤드개구(112)와 동일한 방향을 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제1 잠금부재(130)를 열고 헤드개구(112)로 작업물을 삽입할 경우, 제1 회전개구(532) 또한 헤드개구(112)와 동일한 방향을 보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의 중심부에 작업물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부재(53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상방면에는 복수개의 제1 회전결합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결합홀(533)에는 결합부재(520)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재(5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나사 및 나사산을 통해 나사결합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등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재(520)는 제1 회전결합홀(533)을 관통하여, 제1 기어(540) 및 제2 회전부재(590)까지 제1 회전부재(530)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각 구성의 회전을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어(540)는 중심부에 홀인 제1 기어홀(541)이 형성되고, 일측 방향에 개구인 제1 기어개구(542)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개구(542)는 제1 회전개구(532)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개구(532)와 동일한 수직축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540)는 일측면, 예를 들어, 제1 회전결합홀(533)에 대응되는 면에 제1 기어결합홀(543)이 형성되어, 결합부재(520)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제1 회전부재(5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회전개구(532), 제1 기어개구(542) 및 헤드개구(112)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고, 같이 회전되도록 하여, 작업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540)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제1 기어날(544)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제2 기어(550)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1 기어(540)는 주동기어(560) 및 제2 기어(550)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제1 회전부재(530), 제2 회전부재(590), 지지기둥(300) 및 헤드부(100)를 포함한 각 구성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540)의 타측면, 예를 들어, 회전케이스(58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재(54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부재(547)는 회전케이스(580)의 케이스홀(58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홀(581)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어(540)는 회전케이스(580)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는 한편, 회전케이스(580)와의 접하는 면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주동기어,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2 기어(550)는 복수개, 예를 들어, 한 쌍의 원판 형태로 구비되고, 제1 기어(540) 및 주동기어(560)의 사이에 배치되되, 주동기어(560) 외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2 기어(550)는 서로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550)의 중심부에는 홀인 제2 기어홀(55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제2 기어날(55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기어(550)의 제2 기어날(551)은 제1 기어(540)의 제1 기어날(544)과 주동기어(560)의 주동기어날(561)과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2 기어(550)는 복수개의 기어들이 각 회전을 중간에서 전달하여, 각 구성들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a)를 참고하면, 제2 기어(550)의 중심부의 상호간 거리(B)는 제1 기어(540)의 제1 기어개구(542)와 가장 인접한 제1 기어날(544)인 제1 단부기어날(545) 및 제2 단부기어날(546)의 거리(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540)의 제1 기어날(544)과 제2 기어날(551)은 상호 치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개구(542)가 주동기어(56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제2 기어(550)의 제2 기어날(551)과 치합되는 제1 기어날(544)의 수는 최소가 된다.
이때, 제1 단부기어날(545) 및 제2 단부기어날(546) 사이의 간격(A)이 복수개의 제2 기어(550) 사이의 간격(B)보다 작게 되면, 제1 단부기어날(545) 또는 제2 단부기어날(546)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기어날(551)과 치합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개구(542)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기어날(544)이 제1 기어(540)는 제2 기어(550)와 상호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어(540)는 제1 기어개구(542)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2 기어(55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주동기어(560)는 복수개의 제2 기어(550)를 사이에 두고 제1 기어(54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동기어(560)는 중심부에 홀인 주동기어홀(563)이 형성되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주동기어(56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주동기어날(561)이 형성될 수 있다.
주동기어날(561)은 복수개의 제2 기어(550)의 제2 기어날(551)과 치합되어, 주동기어(560)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550)도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기어(550)와 치합된 제1 기어(54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주동기어(560)는 회전력을 제2 기어(550)를 거쳐 제1 기어(5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주동기어(560)의 주동기어홀(563)에는 주회전축(570)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주회전축(570)은 예를 들어, 주동기어홀(563)의 형상에 대응되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회전축(570)은 드릴 등의 동력 공급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릴의 드릴 척(Drill Chunk)에 주회전축(570)을 끼운 뒤 키리스 척(Keyless Chunk)을 조여 드릴과 주회전축(570)을 결합한 뒤, 드릴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토크는 주회전축(570) 및 그에 연결된 주동기어(560)를 회전시키고, 이와 접한 제2 기어(550)도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2 기어(550)와 접한 제1 기어(540)와 그와 연결된 제1 회전부재(530), 제2 회전부재(590), 지지기둥(300) 및 헤드부(10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주동기어(560) 및 주회전축(570)은 동력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의 각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케이스(580)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기어(540), 제2 기어(550) 및 주동기어(560)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 구성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540)의 끼움부재(547)와 접하는 면에는 끼움부재(547)의 형상에 대응되는 케이스홀(5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홀(581)의 일측은 개구인 케이스개구(58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제1 기어(540), 제1 회전부재(530) 및 제2 회전부재(590)의 제1 기어개구(542), 제1 회전개구(532) 및 제2 회전개구(592)와 케이스개구(582)의 방향을 서로 일치시킨 뒤, 중심부에 작업물을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회전케이스(580)는 외측면에서 상판(5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벽체(58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벽체(583)는 상판(5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부가 상판(51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케이스(580)의 상방에 위치한 제1 기어(540), 제2 기어(550) 및 주동기어(560)는 케이스벽체(583) 및 상판(510)으로 둘러쌓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회전케이스(580)는 제2 기어(550)의 제2 기어홀(553)과 접하는 면에 돌출된 보조회전축(5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회전축(587)과 제2 기어홀(553)은 상호간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기어홀(553)에 보조회전축(587)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기어(550)는 보조회전축(587)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회전축(587)은 제2 기어(550)의 위치를 고정하고,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케이스(580)는 주회전축(570)의 위치에 대응되는 면에 관통홀(585)이 형성될 수 있다. 주회전축(570)은 관통홀(585)을 통해 회전케이스(58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주동기어(560)와 결합하고, 일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는 상판(510)의 가이딩부재(511)와 접하여 회전될 수 있다. 주회전축(570)의 타단부, 예를 들어, 하단부는 회전케이스(580)의 하방에 위치하여, 드릴 등을 포함한 동력 공급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부재(590)는 회전케이스(580)의 하방에 위치하고, 중심부에 제2 회전홀(591)이 형성되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 예를 들어, 제1 기어(540)의 제1 기어개구(54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인 제2 회전개구(59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재(590)는 제1 기어(540)의 끼움부재(547)와 접하며 제1 기어(5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회전부재(590)는 결합부재(5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재(520)가 관통되는 홀인 제2 회전결합홀(59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520)는 제1 회전부재(530), 제1 기어(540) 및 제2 회전부재(590)를 상호간 결합하게 하여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재(530)의 개구인 제1 회전개구(532), 제1 기어(540)의 개구인 제1 기어개구(542) 및 제2 회전부재(590)의 개구인 제2 회전개구(592)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보도록 배치되어, 작업물이 용이하게 제1 회전홀(531), 제1 기어홀(541) 및 제2 회전홀(591)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부재(590)는 제2 회전개구(592)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재(5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부재(594)는 예를 들어, 제2 회전개구(592)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부재(590)는 제2 잠금부재(594)가 접하는 면, 예를 들어 하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잠금축(595) 및 제2 회전개구(592)를 사이에 두고 제2 잠금축(595)의 반대편에 홀인 제2 체결홀(59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잠금부재(594)는 제2 잠금축(595)을 매개로 제2 회전부재(59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잠금부재(594)는 제2 잠금축(595)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잠금부재(594)는 제2 체결홀(597)과 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59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홀(597)과 제2 체결부재(596)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 체결홀(597)에 제2 체결부재(596)를 끼움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1 잠금부재(130) 및 제2 잠금부재(594)를 개방하여, 헤드개구(112) 및 제2 회전개구(592)가 열리게 할 수 있다.
이때, 헤드개구(112), 제1 회전개구(532), 제1 기어개구(542) 및 제2 회전개구(592)는 지지기둥(300) 및 결합부재(5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서로 동일한 방향을 보고 있다. 즉, 작업자는 회전케이스(580)의 케이스개구(582)와 나머지 개구들이 같은 방향을 보게 구성들을 회전시킨 뒤, 작업물을 개구로 삽입하면 된다.
이후, 작업물의 삽입이 끝나면 제1 잠금부재(130) 및 제2 잠금부재(594)를 회전시키고, 제1 잠금부재(130)의 제1 체결부재(133)를 제1 체결홀(113)에, 제2 잠금부재(594)의 제2 체결부재(596)를 제2 체결홀(597)에 끼움결합시켜 개구들을 폐쇄할 수 있다.
작업 중 보온재 권취부(700)에 장착된 보온재를 모두 소모하는 경우, 통상적인 권취장치는 보온재를 중간에 다 소모하였으면 작업물의 단부까지 권취장치를 끌고 가서 빼내야 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제1 잠금부재(130) 및 제2 잠금부재(594)를 개방하여 작업물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에서 인출한 뒤, 새로운 보온재를 장착하고 작업물을 다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작업물의 길이에 상관없이 중단된 부분에서 다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는 용이하게 작업물을 내부에 삽입 또는 내부에서 반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온재 권취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의 권취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보온재 권취부(700)는 제1 권취기둥(710), 제2 권취기둥(730), 탄성부재(740), 보온재 권취부재(750) 및 고정부재(7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권취기둥(710)은 헤드몸체(110)의 연장부재(115)의 일측면, 예를 들어, 하방면에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는 연장부재(115)의 하방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권취기둥(710)의 길이 방향은 연장부재(115)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권취기둥(730)은 제1 권취기둥(710)의 타단부에서 제1 권취기둥(7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제1 권취기둥(710)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권취기둥(7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731)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재(770)가 나사결합을 통해 제2 권취기둥(730)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770)는 제2 권취기둥(730)의 타단부에서 끼워지고, 나사산(731)을 매개로 제2 권취기둥(73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고정부재(77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2 권취기둥(730)에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2 권취기둥(730)에는 보온재 권취부재(75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온재 권취부재(750)는 제2 권취기둥(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기동될 수 있다.
또한, 보온재 권취부재(750)는 권취판(751) 및 삽입기둥(753)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판(751)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제2 권취기둥(730)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기둥(753)은 권취판(751)의 중심부에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보온재(4)가 감긴 롤(3)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보온재 권취부재(75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각각의 보온재 권취부재(750)는 삽입기둥(753)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복수개의 삽입기둥(753)을 롤의 홀의 양 단부에 삽입한 뒤, 제2 권취기둥(730)에 롤(3)과 결합된 보온재 권취부재(750)를 삽입하는 것으로 롤(3)을 보온재 권취부(7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방에 위치한 보온재 권취부재(750)와 제1 권취기둥(710) 사이에는 탄성부재(740)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740)는 제2 권취기둥(73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제1 권취기둥(710)의 타단부와 접하고, 타단부가 복수개의 보온재 권취부재(750) 중 적어도 하나의 권취판(751)과 접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740)는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고분자수지 재질 스프링일 수 있지만, 탄성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 및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온재 권취부(700)는 보온재 권취부재(750)들이 롤(3)의 양 단부와 결합되고, 탄성부재(740)의 탄성력과 고정부재(770)의 나사결합을 통해 롤(3)과 제2 권취기둥(73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온재 권취부(700)는 보온재(4)의 폭, 다시 말해, 롤(3)의 길이에 따라 보온재 권취부재(750) 간의 거리가 변화하더라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는 보온재(4)의 폭 변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작업을 위해 배관(2)을 포함한 작업물을 헤드부(100) 및 회전부(50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한 뒤, 배관(2)의 길이 방향을 지지기둥(300)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키게 된다. 이후, 주회전축(570)의 하단부에 드릴(5)을 포함한 동력 공급 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드릴(5)에 동력을 공급하게 되면, 회전부(500)의 각 구성 및 회전부(500)와 지지기둥(300)을 매개로 연결된 헤드부(100) 및 보온재 권취부(7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배관(2) 및 지지기둥(300)과 보온재 권취부(700) 및 롤(3)은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져 있다. 이로 인해, 보온재(4)는 배관(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아닌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배관(2)에 권취되게 된다.
이때, 지지기둥(300) 중 적어도 하나는 감기는 상태인 보온재(4)의 면 부분을 가압하여 팽팽한 상태로 배관(2)의 외측면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재 권취장치(1)는 배관(2)을 포함한 작업물 표면 전체에 보온재(4)가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보온재 권취장치 2 : 배관
3 : 롤 4 : 보온재
5 : 드릴 100 : 헤드부
110 : 헤드몸체 111 : 헤드홀
112 : 헤드개구 113 :제1 체결홀
115 : 연장부재 130 : 제1 잠금부재
131 : 제1 잠금축 133 : 제1 체결부재
300 : 지지기둥 500 : 회전부
510 : 상판 511 : 가이딩부재
512 : 가이딩홀 513 : 안착면
520 : 결합부재 530 : 제1 회전부재
531 : 제1 회전홀 532 : 제1 회전개구
533 : 제1 회전결합홀 540 : 제1 기어
541 : 제1 기어홀 542 : 제1 기어개구
543 : 제1 기어결합홀 544 : 제1 기어날
545 : 제1 단부기어날 546 : 제2 단부기어날
547 : 끼움부재 550 : 제2 기어
551 : 제2 기어날 553 : 제2 기어홀
560 : 주동기어 561 : 주동기어날
563 : 주동기어홀 570 : 주회전축
580 : 회전케이스 581 : 케이스홀
582 : 케이스개구 583 : 케이스벽체
585 : 관통홀 587 : 보조회전축
590 : 제2 회전부재 591 : 제2 회전홀
592 : 제2 회전개구 593 : 제2 회전결합홀
594 : 제2 잠금부재 595 : 제2 잠금축
596 : 제2 체결부재 597 : 제2 체결홀
700 : 보온재 권취부 710 : 제1 권취기둥
730 : 제2 권취기둥 731 : 나사산
740 : 탄성부재 750 : 보온재 권취부재
751 : 권취판 753 : 삽입기둥
770 : 고정부재
3 : 롤 4 : 보온재
5 : 드릴 100 : 헤드부
110 : 헤드몸체 111 : 헤드홀
112 : 헤드개구 113 :제1 체결홀
115 : 연장부재 130 : 제1 잠금부재
131 : 제1 잠금축 133 : 제1 체결부재
300 : 지지기둥 500 : 회전부
510 : 상판 511 : 가이딩부재
512 : 가이딩홀 513 : 안착면
520 : 결합부재 530 : 제1 회전부재
531 : 제1 회전홀 532 : 제1 회전개구
533 : 제1 회전결합홀 540 : 제1 기어
541 : 제1 기어홀 542 : 제1 기어개구
543 : 제1 기어결합홀 544 : 제1 기어날
545 : 제1 단부기어날 546 : 제2 단부기어날
547 : 끼움부재 550 : 제2 기어
551 : 제2 기어날 553 : 제2 기어홀
560 : 주동기어 561 : 주동기어날
563 : 주동기어홀 570 : 주회전축
580 : 회전케이스 581 : 케이스홀
582 : 케이스개구 583 : 케이스벽체
585 : 관통홀 587 : 보조회전축
590 : 제2 회전부재 591 : 제2 회전홀
592 : 제2 회전개구 593 : 제2 회전결합홀
594 : 제2 잠금부재 595 : 제2 잠금축
596 : 제2 체결부재 597 : 제2 체결홀
700 : 보온재 권취부 710 : 제1 권취기둥
730 : 제2 권취기둥 731 : 나사산
740 : 탄성부재 750 : 보온재 권취부재
751 : 권취판 753 : 삽입기둥
770 : 고정부재
Claims (5)
- 일측에 개구된 링 형상을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와 함께 회전하는 보온재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회전부재;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의 개구된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날이 형성되는 제1 기어;
동력 장치로부터 회전동력을 얻어 회전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의 사이에서 상기 주동기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어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하나와 치합되는 보온재 권취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제1 잠금축을 매개로 상기 헤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를 개폐하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제2 잠금축을 매개로 상기 회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개폐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보온재 권취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측면에 상기 주동기어와 결합된 주회전축이 관통되는 케이스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에서 상기 헤드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벽체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를 내부에 수용하는 회전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벽체의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접하며, 상기 케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주회전축이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외측면과 접하는 면에 안착면이 형성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는 보온재 권취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 권취부는,
상기 헤드부의 타측면과 결합되되,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여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권취기둥;
상기 제1 권취기둥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권취기둥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권취기둥;
상기 제2 권취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권취기둥의 일단부와 접하며,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2 권취기둥에 끼워져 상기 제2 권취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기동되고, 일측면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온재 권취부재; 및
상기 제2 권취기둥에 끼워지며, 상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보온재 권취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보온재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447 | 2020-05-19 | ||
KR20200059447 | 2020-05-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086A KR20210143086A (ko) | 2021-11-26 |
KR102334076B1 true KR102334076B1 (ko) | 2021-12-02 |
Family
ID=7870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4732A KR102334076B1 (ko) | 2020-05-19 | 2020-06-19 | 보온재 권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407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035B1 (ko) * | 2006-02-16 | 2006-08-22 | 주식회사 세명기업 | 자동차용 고무호스의 가압식 테이핑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32179U (ja) * | 1984-07-30 | 1986-02-26 |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 テ−ピング機 |
US5573627A (en) * | 1995-02-15 | 1996-11-12 |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 Portable taping machine |
-
2020
- 2020-06-19 KR KR1020200074732A patent/KR1023340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035B1 (ko) * | 2006-02-16 | 2006-08-22 | 주식회사 세명기업 | 자동차용 고무호스의 가압식 테이핑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086A (ko) | 2021-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85932A1 (en) | Core drill assembly with the ability to control angle of drilling | |
US6676343B2 (en) | Hole enlarging bit for power drills | |
US2491543A (en) | Release nut | |
KR102334076B1 (ko) | 보온재 권취장치 | |
WO2020116360A1 (ja) | 配管内点検ロボット | |
US3138183A (en) | Rotary saw control means | |
GB2165480A (en) | Handle attachment for a hand-held device | |
US2620840A (en) | Right angle drilling fixture | |
JP2669684B2 (ja) | 穿孔装置 | |
US20050244238A1 (en) | Hole resizing arbor for power drills | |
US6990876B2 (en) | Power tongs | |
US2718058A (en) | Pipe cutter of the rotary type, including a plurality of wrench receiving sockets | |
EP0175003A2 (en) | Adjustable interior pipe cutter | |
EP2442001A2 (en) | Stop valve | |
KR100687540B1 (ko) | 힌지 장치 | |
JP3705782B2 (ja) | 棒材切断装置および円板状回転切断工具 | |
US5529442A (en) | Motorized tap tool driving apparatus | |
JP2016205060A (ja) | 電動サムターン | |
KR20200001773A (ko) | 턴버클 회전장치 | |
CN210715980U (zh) | 管道机构 | |
JP2018035865A (ja) | 弁開閉用クランクハンドル | |
JP3638918B2 (ja) | 棒材切断装置 | |
JP3010648U (ja) | 金属製棒材切断装置 | |
CA1226121A (en) | Adjustable interior pipe cutter | |
KR101128233B1 (ko) | 밸브의 잠금 상태 안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