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74B1 -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 Google Patents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874B1
KR102333874B1 KR1020190167850A KR20190167850A KR102333874B1 KR 102333874 B1 KR102333874 B1 KR 102333874B1 KR 1020190167850 A KR1020190167850 A KR 1020190167850A KR 20190167850 A KR20190167850 A KR 20190167850A KR 102333874 B1 KR102333874 B1 KR 10233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seedling
strawberry
environment
ea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531A (ko
Inventor
정현경
정윤경
전명희
이영석
조창휘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19016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딸기의 자묘를 생육하여 런너 발생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삽식된 자묘에 화아 분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PROPAGATION METHOD FOR EARLY PRODUCTION OF STRAWBERRY}
본 발명은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딸기 모종의 번식 방법은 씨앗을 통한 발아가 아닌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로 번식한다. 특히, 딸기는 줄기가 뻗어 나가면서 지면과 접촉한 줄기가 발근 및 활착(rooting)되는 형식으로 재배된다. 딸기 재배농가에서는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의 번식을 통상적으로 런너(Runner) 번식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작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는 노지(露地)에서 딸기 모종을 육묘하였다.
딸기의 런너 발생은 고온 장일조건에서 촉진되나 우리나라 육묘시기인 3월에서 8월의 고온으로 고품질 우량묘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화아분화는 저온 단일조건에서 유도되므로 여름에서 가을로 계절이 변하는 시기에만 화아가 형성되어 5월부터 11월 초순까지는 딸기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딸기 수확시기의 촉성화를 위한 기술로 화아분화(flower bud differentiation)를 인위적으로 앞당기는 방법이 있다. 딸기의 화아분화는 저온, 단일조건 및 질소농도 등의 복합적인 요소의 영향을 받으며, 분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장일에서 발육이 촉진되고 특히 온도는 일장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며 일장은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특징을 지닌다. 화아분화의 촉진을 위해 종래 예냉고를 이용한 암흑냉장법이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묘소질이 심하게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온도와 일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화아분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야냉육묘법이 보급되었으며 화아분화에 필요한 기간은 20일 정도라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야냉육묘 과정에서 육묘대차를 입,출고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며 또한 육묘대차의 입,출고 시간이 다른 작업과 겹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많고 농촌의 노동력 고령화로 인해 노동력을 절감시키면서 딸기의 화아분화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일장, 양액의 조성 등 딸기 재배 환경 조절이 용이하고, 런너 발생기와 화아분화기 시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고품질 우량 딸기묘 생산이 가능하고, 재배 시 단위면적당 생산 가능 자묘수가 많아져 공간효율성 및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딸기의 자묘를 생육하여 런너 발생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삽식된 자묘에 화아 분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 발생 환경은, 고온 장일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고온 장일 조건은,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는 23 ℃ 내지 28 ℃이고, 광원 조사 시간은 13 시간 내지 19 시간이고, 광량은 180 μmol·m-2·s-1 내지 360 μmol·m-2·s-1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 발생 환경은, 양액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bity; EC)가 1.0 내지 1.6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는, 상기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2 ℃ 내지 5 ℃에서 냉장 보관하고, 상기 냉장 보관된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장 보관된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한 이후 육묘 시스템 내부를 상대습도 90 %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저온 단일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저온 단일 조건은,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는 18 ℃ 내지 22 ℃이고, 광원 조사 시간은 11 시간 내지 15 시간이고, 광량은 180 μmol·m-2·s-1 내지 360 μmol·m-2·s-1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1000 mg/L 내지 7500 mg/L 의 질소원 농도 조건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양액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bity; EC)가 0.2 내지 0.8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육묘 시스템은, 외부 병원균이 차단된 내부에서 다단식 육묘베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는 50 주/m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의해 화아 분화 처리된 자묘는, 자연적으로 화아 분화가 이루어지는 관행 육묘법에 비하여 30일 이상 조기 개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외부 병원균이 차단된 식물공장 내에서 공간효율이 높은 다단식 베드를 활용한 딸기 육묘 시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가 높아지고 연중 우량묘 생산이 가능하다.
식물공장 내부 환경을 화아분화에 적합한 조건 조성이 용이하여 화아 분화를 촉진하므로 딸기의 정식을 앞당겨 단가가 높게 형성되는 11월~2월 중에 딸기를 생산하므로써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을 이용하여 딸기 묘를 증식하는 경우 폐쇄형 육묘 시스템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기존 육묘법과 비교하여 균일한 딸기 묘를 급속히 증식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묘의 생산량을 예측하여 증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딸기의 온도별 광량별 광합성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량, 생장온도 25 ℃21 ℃에 따른 자묘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묘 삽식후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공장 이용 딸기 자묘 개화 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방에 따른 일장 시간에 따른 딸기 자묘 개화 개체수 및 개화 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아(flower bud)"는 식물에서 꽃이 될 눈으로암술과 수술이 성장할 때까지 턱이나 화관에 의해 보호된다. 기관 형성은 일반적으로 턱에서부터 시작되며, 화관, 수술로 이어지고 마지막에 암술이 생긴다. 턱이나 화관은 생식에 직접 관여하는 수술과 암술이 성장할 때까지 닫혀서 꽃눈의 내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딸기(strawberry)"는 잎자루는 길고 비교적 큰 3개의 잎이 달리며 각각은 둥글고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봄에 몇 개의 꽃자루가 나와 몇 개에서 십수 개의 흰색 꽃이 달리는데 꽃잎이 다섯개이고 암술과 수술이 노란색이며 씨방이 발달하여 과실이 되는 것이 아니라 꽃턱이 발달하여 육질화되며 과실은 표면에 깨와 같이 박히는 수과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딸기의 자묘를 생육하여 런너 발생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삽식된 자묘에 화아 분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런너 발생 환경 제공 단계 (110), 자묘 일시 채묘 및 삽식 단계 (120) 및 화아 분화 환경 제공 단계 (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육묘 시스템 내에서 적절한 환경을 제어하여 딸기 묘를 증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 시스템은, 외부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딸기 묘를 균일하게 생산하기 위하여 단열성이 뛰어난 폐쇄형 공간 내에 묘 생산에 적합한 육묘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일 수 있다. 딸기의 육묘 환경이 외부의 자연환경과 격리됨으로써 병해충의 발생 없이 딸기의 런너 플랜트를 영양번식 시킬 수 있어 고품질 균일묘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적기에 이식시킴으로서 딸기의 생육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는 육묘 시스템 내부에서 다단식 육묘베드에 딸기 묘를 정식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육묘 시스템은, 외부 병원균이 차단된 내부에서 다단식 육묘베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육묘 시스템은 식물을 키워내는 "식물공장"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육묘 시스템은 외부 병원균뿐만 아니라 병해충을 차단된 폐쇄형일 수 있다. 상기 다단식 육묘베드를 이용하여 딸기 재배 시 단위면적당 생산가능 자묘수가 많아져 공간효율성이 높아진다.
딸기의 런너 발생은 고온 장일조건에서 촉진되나 화아 분화는 저온 단일조건에서 유도되므로 여름에서 가을로 계절이 변하는 시기에만 화아가 형성되어 5월부터 11월 초순까지는 딸기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육묘 시스템 내 온도, 일장, 영양액 질소 농도의 환경조건을 런너 발생기와 자묘 화아분화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적합한 환경, 즉, 온도, 일장, 양액의 조성 등의 환경 조절이 용이하므로 런너 발생기와 화아분화기 각각 시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어 자묘의 개화시기 조절이 가능하여 고품질 우량 딸기묘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행의 육묘법 보다 딸기의 단가가 높게 형성되는 시기에 딸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 발생 환경 제공 단계 (110)는, 딸기의 자묘를 생육하여 런너 발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딸기의 자묘는 양액통이 있는 다단식 육묘베드에 정식되어 생육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 발생 환경은, 고온 장일 조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고온 장일조건에서 런너 발생이 촉진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온 장일 조건은,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는 23 ℃ 내지 28 ℃이고, 광원 조사 시간은 13 시간 내지 19 시간이고, 광량은 180 μmol·m-2·s-1 내지 360 μmol·m-2·s-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온도가 23 ℃ 미만, 광원 조사 시간이 13 시간 미만, 광량 수치가 180 μmol·m-2·s-1 미만인 경우, 런너 발생이 지연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온도가 28 ℃ 초과, 광원 조사 시간이 19 시간 초과, 광량 수치가 360 μmol·m-2·s-1를 초과하여도 런너 발생의 실질적인 변화는 크기 없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딸기의 런너 발생은 고온에서 촉진되나 저온성 작물인 딸기의 특성상 호흡에 의한 동화산물 소모를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가 25 ℃내외의 온도에서 런너를 발생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광원 조사 시간은 15 시간 내지 17 시간이고, 광량 200 μmol·m-2·s-1 내지 350 μmol·m-2·s-1 조건에서 런너를 발생시켰을 때 주당 런너수, 자묘수 발생이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 발생 환경은, 양액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bity; EC)가 1.0 내지 1.6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딸기 전용 양액의 조성비율은, 대량원소의 농도가 N은 7.0 me/l 내지 15.0 me/l, P는 3.0 me/l, K는 6.0 me/l 내지 7.0 me/l, Ca은 8.0 me/l 내지 9.0 me/l, Mg는 3.0 me/l 내지 4.0 me/l의 비율로 조성하고, pH는 6.3~6.5, EC는 1.52 (/cm)ms 내지 2.30 (/cm)ms인 용액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자묘 일시 채묘 및 삽식 단계 (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는, 상기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2 ℃ 내지 5 ℃에서 냉장 보관하고, 상기 냉장 보관된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은 자묘의 일시채묘 후 발근 촉진을 위해 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 일 내지 4 일 동안 저온 저장고에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된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한 이후 육묘 시스템 내부를 상대습도 90 %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대습도는 식물 공장 내에 가습기를 가동시켜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저온 단일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저온 단일 조건은,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는 18 ℃ 내지 22 ℃이고, 광원 조사 시간은 11 시간 내지 15 시간이고, 광량은 180 μmol·m-2·s-1 내지 360 μmol·m-2·s-1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온도가 18 ℃ 미만, 광원 조사 시간이 11 시간 미만, 광량 수치가 180 μmol·m-2·s-1 미만인 경우, 화아조질 발달이 진행되지 않고 지연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온도가 22 ℃ 초과, 광원 조사 시간이 15 시간 초과, 광량 수치가 360 μmol·m-2·s-1 초과인 경우 화아조직 발달 상태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1000 mg/L 내지 7500 mg/L 의 질소원 농도 조건인 것일 수 있다. 묘의 질소수준이 화아분화 개시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온도, 일장에 의한 화성유도작용에 대한 감수성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저온 단일에 대한 감수성은 묘의 질소수준이 낮을수록 민감해진다. 작형과 화아분화 개시기의 관계를 질소수준에서 보면, 촉성재배의 경우 개화를 촉진하기 위해 묘의 질소수준을 낮게 유지하여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양액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bity; EC)가 0.2 내지 0.8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액 EC는 0.4 내지 0.6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는 50 주/m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생산가능 자묘수를 높이기 위한 식물공장내 다단식 육묘베드 이용 딸기 육묘한 것일 수 있다. 종래의 딸기 육묘는 수평으로 연결된 육묘 트레이에 런너를 개별 유인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200 평 온실 기준 20,000 주 (30 주/m2) 생산이 가능하며 런너 유인 노동력과 시설 소요 면적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육묘 시스템 내 다단식 육묘베드를 활용한 딸기 육묘법으로서 1 m2 당 생산가능한 자묘수가 50주 이상으로 종래 육묘법보다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가 증가하여 공간효율성이 높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의해 화아 분화 처리된 자묘는, 자연적으로 화아 분화가 이루어지는 관행 육묘법에 비하여 30일 이상 조기 개화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딸기의 화아조직 발달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딸기 육묘 농가에서 조기 개화에 의한 조기 출하를 목표로 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폐쇄형 딸기 묘 육묘방법은 인공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밀폐된 육묘 시스템 안에서 다단식 베드를 설치하여 여기에 증식체를 증식하게 된다. 다단식 베드는 다단식 베드 규격은 66 cm x 1.84 m x 2.4 m (단간 0.57 m)였다. 주당 배지량 6.9 L, 재식주수 16 주/m2, 펄라이트 배지를 이용하여 묘를 정식하였다. 딸기의 품종은 "설향"이었다.
런너 발생기 환경조건은 고온 장일조건에서 런너 발생을 촉진시켰다. 식물공장 내부 온도 25 ℃, 형광등 광원, 일장 16 시간, 광량 200~300 μmol·m-2·s-1, 원예연구소 딸기 양액 EC 1.3로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딸기의 온도별 광량별 광합성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량, 생장온도 25 ℃, 21 ℃에 따른 자묘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1은 딸기의 일장, 광량조건에 따른 런너 및 자묘 발생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9129786726-pat00001
모주 정식후 99일 생장시 주당 자묘수, 런너수, DMRT at 5%
딸기의 런너 발생은 고온에서 촉진되나 저온성 작물인 딸기의 특성상 호흡에 의한 동화산물 소모를 줄이기 위해 25 ℃ 내외의 온도에서 런너를 발생시켰다. 도 3, 도 4 및 표 1을 확인하면, 일장 16h, 광량 200~336 μmol·m-2·s-1 조건에서 런너를 발생시켰을 때 주당 런너수, 자묘수 발생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묘 삽식후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1 ℃, 25 ℃ 온도조건에 따른 런너발생 비교 결과 광조건보다는 온도 조건이 딸기 런너 및 자묘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량 조건은 자묘 삽식후 생존율에 영향이 있었고 288-300 μmol·m-2·s-1의 광량조건에서 자묘 삽식후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화아 분화기 환경조건은 저온 단일 낮은 질소농도조건에서 화아분화가 촉진시킨다. 온도 조건 변화 20±1 ℃일장 13h, 양액 EC 0.5로 조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공장 이용 딸기 자묘 개화 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방에 따른 일장 시간에 따른 딸기 자묘 개화 개체수 및 개화 시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13 시간 일장에서 생장한 자묘의 경우 9월 22일 첫 개화가 시작되었고, 1화방 평균 개화일수는 11월 2일로 자연적으로 화아분화가 이루어지는 관행 육묘법보다 조기 개화한 것을 알 수 있다. 2화방 평균 개화일은 12월 18일, 3화방의 평균 개화일은 1월 15일이었다. 식물공장에서 화아분화 처리된 딸기의 자묘는 관행의 육묘법에 비하여 최대 33일가량 조기 개화하였으며 이는 가격 경쟁력이 높은 시기에 딸기 조기 생산이 가능하게 한다 (2017년 월별 딸기 1 kg당 도매가격 변화추이: 11월 14,350원, 12월 12,832원, 1월 13,150원, 2월 10,430원, 3월 7,609원).
런너발생 후 화아분화기로의 전환은, 자묘의 일시채묘 후 발근 촉진을 위해 저온 저장고에 3일 동안 냉장 보관하는 것이다. 런너판에 삽식 후 식물공장 내 가습기 가동시켜 상대습도 90 % 이상 유지하였다. 식물공장의 환경 변화를 통한 런너 발생기와 화아분화기의 전환하였다. 온도 변화는 25 ℃에서 20±1 ℃이였고, 인공광 제공 시간은 16 시간에서 13 시간으로 변화하였고, EC 변화는 1.3에서 0.5였다.
관행의 딸기 육묘는 수평으로 연결된 육묘트레이에 런너를 개별 유인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200평 온실 기준 20,000주 (30주/m2) 생산이 가능하며 런너 유인 노동력과 시설 소요 면적이 컸다.
단위면적당 생산가능 자묘수를 높이기 위한 식물공장내 다단식 베드 이용하여 딸기 육묘한 결과, 본 발명은 식물공장 내 다단식 육묘베드를 활용한 딸기 육묘법으로서 1m2 당 생산가능한 자묘수가 52주로 관행 육묘법보다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가 증가하여 공간효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 73%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은, 딸기의 화아조직 발달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딸기 육묘 농가에서 조기 개화에 의한 조기 출하를 목표로 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딸기의 자묘를 생육하여 런너 발생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삽식된 자묘에 화아 분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런너 발생 환경은, 고온 장일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고온 장일 조건은,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는 23 ℃ 내지 28 ℃이고,
    광원 조사 시간은 13 시간 내지 19 시간이고,
    광량은 180 μmol·m-2·s-1 내지 360 μmol·m-2·s-1인 것이고,
    상기 런너 발생 환경은, 양액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bity; EC)가 1.0 내지 1.6인 것이고,
    상기 런너가 발생한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육모판에 삽식하는 단계는,
    상기 자묘를 일시 채묘한 후 2 ℃ 내지 5 ℃에서 냉장 보관하고,
    상기 냉장 보관된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하는 것이고,
    상기 냉장 보관된 자묘를 절단하여 육모판에 삽식한 이후 육묘 시스템 내부를 상대습도 90 %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저온 단일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저온 단일 조건은,
    육묘 시스템의 내부 온도는 18 ℃ 내지 22 ℃이고,
    광원 조사 시간은 11 시간 내지 15 시간이고,
    광량은 180 μmol·m-2·s-1 내지 360 μmol·m-2·s-1인 것이고,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1000 mg/L 내지 7500 mg/L 의 질소원 농도 조건인 것이고,
    상기 화아 분화 환경은, 양액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bity; EC)가 0.2 내지 0.8인 것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육묘 시스템은, 외부 병원균이 차단된 내부에서 다단식 육묘베드를 사용하는 것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생산 자묘수는 50 주/m2 이상인 것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에 의해 화아 분화 처리된 자묘는, 자연적으로 화아 분화가 이루어지는 관행 육묘법에 비하여 30일 이상 조기 개화된 것인,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KR1020190167850A 2019-12-16 2019-12-16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KR10233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50A KR102333874B1 (ko) 2019-12-16 2019-12-16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50A KR102333874B1 (ko) 2019-12-16 2019-12-16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31A KR20210076531A (ko) 2021-06-24
KR102333874B1 true KR102333874B1 (ko) 2021-12-06

Family

ID=7660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850A KR102333874B1 (ko) 2019-12-16 2019-12-16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959A (ko) * 1999-08-24 1999-11-05 전일순 딸기『공중채묘』방식에 의한 자묘 삽목시 발근율 향상 방법
KR101210680B1 (ko) * 2010-10-20 2012-12-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폐쇄형 육묘 시스템을 이용한 딸기 묘 육묘 방법
KR101845060B1 (ko) * 2015-06-29 2018-05-18 박규남 딸기 육묘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31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8697B2 (ja) 植物の栽培方法
CN101884294B (zh) 一种缩短杂交柑橘童期的方法
Khah et al. Flowering, fruit set and development of the fruit and seed of sweet pepper (i Capsicum annuum L.) cultivated under conditions of high ambient temperature
JP2007195509A (ja) 花芽付き桜桃矮化苗木の育成方法
Sønsteby et al. Quantitative long-day flowering response in the perpetual-flowering F1 strawberry cultivar Elan
JP6795176B2 (ja) 植物の栽培方法
CN103250572B (zh) 高香型凤凰单丛茶丰产速生苗繁育方法
CN102172190A (zh) 让苹果盆景当年结果到春节上市的培育方法
CN110122297A (zh) 一种薄壳山核桃两段容器育苗方法
JP2008259458A (ja) マンゴー通年栽培方法
CN110301308A (zh) 番茄一次性成熟采收的栽培方法
CN108464202B (zh) 一种草莓穴盘苗的南繁北育方法
CN105766619B (zh) 一种黄花菜种子的培育方法
JP2010115144A (ja) トルコギキョウの栽培方法
JP2004275154A (ja) サクランボの栽培方法
CN109819892A (zh) 一种草果优良单株的组织培养方法
CN106234126A (zh) 大棚樱桃的栽培方法
TW201434386A (zh) 以根圈溫度控制所爲之土耳其桔梗的葉尖焦枯症抑制方法
KR101434276B1 (ko) 예냉처리를 이용한 다년생 식물의 재배 방법
KR102333874B1 (ko) 딸기 조기 생산을 위한 육묘 방법
KR101281934B1 (ko) 나도풍란 신품종 프린스
KR20230103105A (ko) 저온암흑처리를 이용한 딸기 육묘 방법
KR101210680B1 (ko) 폐쇄형 육묘 시스템을 이용한 딸기 묘 육묘 방법
CN105284590A (zh) 早熟束腰形丝瓜的育种方法
JP2008048655A (ja) オーニソガラム・シルソイデスの球根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