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55B1 - 스마트 도로시설물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로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855B1
KR102333855B1 KR1020200014580A KR20200014580A KR102333855B1 KR 102333855 B1 KR102333855 B1 KR 102333855B1 KR 1020200014580 A KR1020200014580 A KR 1020200014580A KR 20200014580 A KR20200014580 A KR 20200014580A KR 102333855 B1 KR102333855 B1 KR 10233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road
unit
road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801A (ko
Inventor
이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01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5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 등의 5G 통신 음영 지역에서 위급정보를 원활히 중계해주고, 긴급버튼이 조작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도로에 설치된 다양한 방범장치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 추적을 위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을 감지하거나 설치된 긴급버튼의 조작에 따라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에 전송하고, 감시 영상을 촬영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며, 주변 도로시설물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원격에 중계해주는 도로 시설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도로시설수단을 이용하여 방범 기능과 위급상황 시 비상장치로 활용하며, 동시에 도로정보나 건물 정보와 같은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로시설물{Smart road facility}
본 발명은 스마트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 등의 5G 통신 음영 지역에서 위급정보를 원활히 중계해주고, 긴급버튼이 조작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도로에 설치된 다양한 방범장치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방범장치, 도로명판, 건물 번호판 등 다양한 정보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로명판이나 건물 번호판 등과 같이 도로 정보나 건물 정보를 알려주는 시설물을 "도로시설물"이라 명명한다.
방범장치는 방범 카메라와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방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신장치로 원격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원격에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방범장치는 다른 도로시설물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방범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 및 방범 카메라, 통신 장치 및 전력 장치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로명판은 도로 명에 관한 정보를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초행길인 경우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도로명판은 주간에 식별력이 있지만 야간이나 눈, 비, 또는 안개로 인해 시야가 불량한 경우에는 그 식별력이 현저하게 낮아지면서 진행차량 및 식별자가 도로명판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주변 가로등 또는 조명이 없는 도로명판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도록 도로명판 내에 간접조명을 제공하는 별도의 조명용 램프를 설치한 방법도 개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발광다이오드(LED)와 발광 램프를 이용하여 식별력을 높이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건물번호판은 전국적으로 새로운 주소 체계가 시행됨에 따라 모든 건물에는 일정한 규격 및 디자인의 건물 번호판을 의무적으로 부착해야 한다. 건물 번호판에는 해당 건물의 새로운 주소가 표시되어 있어 보행자에게 건물에 대한 주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건물 번호판은 주로 건물 외벽에 부착되기 때문에 야간 식별을 위해 광원으로 사용되는 램프의 전원 공급을 건물 내 또는 주변의 전력선을 이용할 경우, 시공이 복잡해지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근래에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는 자가발전 장치를 이용하는 건물 번호판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로명판이나 건물번호판과 같은 도로시설물은 단순히 도로정보나 건물 주소 정보를 알려주는 단순한 역할만 하며, 이를 통해 비상장치로 사용하거나 다른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해주거나, 자체적으로 방범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범장치나 도로명판이나 건물번호판 등은 각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현재 도로에는 방범설비나 도로 명판설비 및 건물번호판 설비 등이 난무하여, 도로 미관을 해치며, 각각의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협소공간일 경우 공간 제약이 따르는 단점도 있다.
또한, 근래에는 대부분 사람이 3G, LTE나 5G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대부분 휴대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폰은 기지국이라는 장비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영역에서만 통신이 이루어질 뿐 기지국과 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음영 지역)에서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과 같은 곳에서는 통신 음영 지역이 많아 위급 상황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호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간판을 이용하여 위급 상황 표시를 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일반 사무실, 마트 또는 편의점과 같은 상점 내에 구비되며, 소비자로 위장하여 상점에 들어온 사람이 강도로 돌변하여 상점 애에 전시된 제품이라 현금의 갈취를 위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위급 상황을 표시해줌과 동시에 위급신호를 송신하여 원격에서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인명 사고 및 재산상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도 간판을 이용하여 위급 상황에 대한 신고나 위급상황 표시는 가능하나, 스마트폰의 통신 음영에 대해서는 해결책이 없으며, 주변 다른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해주는 것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04871(2015.09.16. 공개)(위급 상화 표시 기능을 갖는 간판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도로시설물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 등의 5G 통신 음영 지역에서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원활히 중계해주고, 긴급버튼이 조작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도로에 설치된 다양한 방범장치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도로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에 설치된 다양한 방범장치를 융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스마트 도로시설물을 제공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다양한 도로시설물을 간소화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최적의 방범 및 도로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도로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로시설물"은, 위치 추적을 위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을 감지하거나 설치된 긴급버튼의 조작에 따라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에 전송하고, 주변 도로시설물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원격에 중계해주는 도로 시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로 시설수단은 도로명판, 건물번호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로 시설수단은 감시지역을 영상으로 감시하며,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감시지역을 변경하고, 움직이는 물체 감지시 자동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인공지능(AI)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로 시설수단은 긴급버튼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긴급버튼 감지부;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통해 긴급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 상기 긴급버튼 감지부에 의해 긴급버튼 조작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감지부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긴급신호와 위치정보 및 감시 영상을 기초로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비상정보를 원격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로 시설수단은 주변 도로시설물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에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긴급버튼 감지부 또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신호 생성부; 현재 도로 시설수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과 상기 비상신호 생성부에서 생성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비상정보로 생성하여 원격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는 비상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를 통해 획득한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거나, 생성한 비상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여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에 전송하는 중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 등의 5G 통신 음영 지역에서도 주변 위급정보를 원활히 중계해주고, 긴급버튼이 조작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범 역할을 함으로써 도로에 방치된 다른 방범장치를 대신할 수 있어, 방치된 다른 주변 시설물을 제거로 도로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장치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로시설물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도로시설수단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로시설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로시설물의 개념도로서, 지주(1)에 위급 상황 시 조작을 위한 긴급버튼(20)이 설치되며, 지주(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10)이나 주변 도로시설물(201 - 205) 등과 연동을 통해 비상 정보를 생성 또는 중계하여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전송하는 도로시설수단(100)이 마련된다.
여기서 주변 도로시설물(201 - 205)은 도로정보를 알려주는 도로 명판이나 건물주소를 알려주는 건물번호판 또는 방범용 카메라와 통신장치를 통해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장치일 수 있다.
도로시설수단(100)은 도로명판이나 건물번호판과 같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시설수단(100)은 위치 추적을 위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긴급 상황을 감지하거나 설치된 긴급버튼(20)의 조작에 따라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전송하고, 주변 도로시설물(201 - 205)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관제 센터(300)는 도로 시설물을 관리하는 기관, 방범 기능을 담당하는 관공서 등일 수 있다. 표현은 관제 센터(300)라고 했지만 실제 관제 센터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담당자에게 후속 조치를 요청하는 명령이나 전송할 수 있는 서버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도로 시설수단(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지역을 영상으로 감시하며,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감시지역을 변경하고, 움직이는 물체 감지시 자동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인공지능(AI) 카메라(1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공지능 카메라(101)를 일체형으로 융합하면, 방범 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 별도의 방범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중복 설치의 낭비를 방지하고, 협소한 공간일 경우 설치 공간의 제약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인공지능 카메라(101)는 움직이는 물체의 자동 추적을 위한 이동체 감지기, 촬영대상이나 촬영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촬영 제어를 위한 제어기, 구동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기는 원격에서 전송되는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감시지역 즉, 감시위치를 변경하여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 시설수단(100)은 긴급버튼(20)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긴급버튼 감지부(102), 사용자 단말(10)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단말(10)과 통신을 통해 긴급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 상기 긴급버튼 감지부(102)에 의해 긴급버튼 조작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긴급신호와 위치정보 및 감시 영상을 기초로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05), 영상 정보나 비상정보 또는 발생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06), 상기 제어부(105)에서 출력되는 비상정보를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전송하는 통신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07)는 LoRa, LTE, 3G, 5G 통신망을 통해 비상정보를 원격에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나 중계기와 같은 역할만을 수행하여 수신한 비상정보를 원격통신이 가능한 통신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 중계장치의 역할로 통신부(107)를 구현할 경우, 5G와 같은 통신 음영 지역이 발생하는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과 같은 곳에서도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비상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비상신호 또는 비상정보를 원활하게 중계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로 시설수단(100)은 주변 도로시설물(201 - 205)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하는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104)는 IoT 센서와 같은 사물인터넷 장비, 방범을 위한 방범 장치, 스마트 도로명판이나 스마트 건물번호판 등과 같은 장비와 연동하여, 비상 정보를 수집하거나, 자신의 비상정보를 연동하는 주변 도로시설물에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자신의 비상정보를 연동하는 주변 도로시설물에 전송해주는 방식은, 자신이 중계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나 직접적으로 원격에 비상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인접한 다른 도로시설물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비상정보를 전달하여 중계를 요청할 때 효율적이다.
상기 제어부(10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101)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101)에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영상 획득부(121), 상기 긴급버튼 감지부(102) 또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신호 생성부(122), 현재 도로 시설수단(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123), 상기 영상 획득부(121)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과 상기 비상신호 생성부(122)에서 생성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 생성부(123)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비상정보로 생성하여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전송하는 비상정보 송신부(1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104)를 통해 획득한 주변 도로시설물(201 - 205)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거나, 생성한 비상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여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201 - 205)에 전송하는 중계정보 생성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도로시설수단(10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전원공급장치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태양광발전장치 등을 이용한 자가발전장비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둘레길과 같이 상용전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내장 배터리 또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로시설물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에 의해 도로시설수단(100)이 도로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로시설수단(100)은 방범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에도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이므로, 도로시설수단(100)이 커버하는 방범 영역이나 중계 영역 역시 매우 광범위하며 치밀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 대한민국 전역의 모든 도로에는 방범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으나, 도로명판이나 건물표지판 등은 대부분 설치되어 있어, 스마트 도로시설물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전역의 안전망이나 정보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인공지능 카메라(101)는 자체적으로 방범 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정된 영역을 촬영한다. 여기서 인공지능 카메라(101)에는 이동체 감지기가 구비되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다. 영상 감시 도중에 이동체 감지기에 의해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방범 카메라가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면서 촬영을 한다. 이로써 인적이 드문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인공지능 카메라(101)가 자동으로 사용자를 추적하여 촬영을 하기 때문에, 위급 상황에서 비상정보를 자동으로 관제 센터에 송출하여 위급상황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공지능 카메라(101)는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나,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각도 변경 및 회전을 통해 감시지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인공지능 카메라(101)에는 기본적인 방범 카메라에 구비되는 틸팅이나 회전 등이 가능한 기구가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인공지능 카메라(101)를 도로시설수단(100)에 일체형으로 융합하면, 방범 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 별도의 방범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중복 설치의 낭비를 방지하고, 협소한 공간일 경우 설치 공간의 제약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에서 위급상황을 맞이한 사용자는 지주에 설치된 긴급버튼(20)을 조작할 수 있다. 긴급버튼(20)이 조작되면 긴급버튼 감지부(102)에는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고,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긴급버튼 조작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5)에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여기서 위급 상황 시 비상신호를 송출하거나 위치 추적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제 센터(300) 등에 제공하는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위급 상황 시 위치 추적을 하고, 자신이 발생하는 비상 신호를 중계하도록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실행시켜 사용자 등록을 한다. 사용자 등록이 이루어지면 위치추적 및 신분 확인 등에 동의한 상태이므로, 사용자 추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추적 기능을 이용하면 장애인이나 미아, 아동 및 노인들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여, 미아 방지나 치매 노인들의 탐색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 등과 같이 5G 음영 지역으로 인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위급 상황을 타인에게 알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상 신호를 발신한다.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화면에 생성되는 비상 아이콘을 누르거나 별도로 메인 화면에 필수적으로 표시되는 비상 아이콘을 눌러 비상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아이콘이 눌러지면 내장된 근거리 무선모듈에서 비상 신호를 근거리 무선신호로 만들어 송출을 하게 된다.
이렇게 송출되는 비상 신호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를 통해 제어부(105)에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위급 상황 시 비상 신호를 발신하는 수동적인 방식이며,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페어링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사용자를 추적하는 자동 방식도 가능하다. 자동 방식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없는 위급 상황에서도 자동으로 사용자를 추적하여 비상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5)는 시스템 운영중에 긴급버튼 감지부(102)에 의해 긴급버튼 조작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긴급신호와 현재 위치정보 및 감시 영상을 기초로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제어부(105)의 영상 획득부(121)는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101)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여 비상정보 송신부(125)에 전달한다. 아울러 비상신호 생성부(122)는 상기 긴급버튼 감지부(102) 또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103)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비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정보 송신부(1250에 전달한다. 아울러 위치정보 생성부(123)는 현재 도로 시설수단(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정보 송신부(125)에 전달한다. 여기서 위치정보 생성부(123)는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비상정보 송신부(125)에 전달하거나, 스마트 도로시설물 설치시 미리 등록된 설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비상정보 송신부(125)에 전달할 수 있다. 비상정보 송신부(125)는 상기 영상 획득부(121)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과 상기 비상신호 생성부(122)에서 생성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 생성부(123)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비상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한 비상 정보는 통신부(107)로 전달하여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비상정보가 송신되도록 한다.
통신부(107)는 상기 제어부(105)에서 출력되는 비상정보를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변조한 후, 안테나(108)를 통해 원격의 관제 센터(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107)는 LoRa, LTE, 3G, 5G 통신망을 통해 비상정보를 원격에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나 중계기와 같은 역할만을 수행하여 수신한 비상정보를 원격통신이 가능한 통신 중계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중계장치의 역할로 통신부(107)를 구현할 경우, 5G와 같은 통신 음영 지역이 발생하는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과 같은 곳에서도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비상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비상신호 또는 비상정보를 원활하게 중계해 줄 수 있게 된다.
통신부(107)는 스마트 도로시설물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거리 무선 통신이 직접적으로 가능한 환경에서는 LTE나 5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정보를 관제 센터(300)에 전송하고, 원거리 무선 통신이 직접적으로 불가능한 환경 즉, 둘레길과 같이 인적이 드물어 기지국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주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나 중계장치로 비상정보를 전달하여 관제센터(300)에 비상정보가 중계되도록 한다. 후자일 경우에는, LoRa 통신 등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나 중계장치에 비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5G 통신 음영 지역이나 방범 장치 등이 설치되기 어려운 후미진 골목길이나 둘레길 등에서, 도로 정보나 건물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직접적인 방범 기능으로 동작하며, 아울러 사용자 추적 또는 긴급 버튼 조작에 따른 위급 상황 등을 인지하고,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어, 대한민국 전역의 안전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로시설물 역할을 하면서 직접적인 방범 기능도 가능하므로, 기존 별도로 설치된 방범 장치나 방치된 다양한 방범 설비 등을 제거하고, 스마트 도로시설물로 방범 기능을 융합하여 통합적인 단일 시설로 방범은 물론 정보 제공까지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주변 도로시설물과 연동을 통해 정보를 중계해주어, 안전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도로 시설수단(100)은 주변 도로시설물(201 - 205)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하는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104)를 구비한다.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104)는 IoT 센서와 같은 사물인터넷 장비, 방범을 위한 방범 장치, 스마트 도로명판이나 스마트 건물번호판 등과 같은 장비와 연동하여 비상 정보를 수집하거나, 자신의 비상정보를 연동하는 주변 도로시설물에 전송해준다. 여기서 자신이 중계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직접적으로 원격에 비상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인접한 다른 도로시설물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비상정보를 전달하여 중계를 요청한다.
다른 주변 도로시설물 역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거나 원거리 통신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방식으로 비상정보를 도로시설수단(100)에 전송한다.
도로시설수단(100)의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104)는 주변 도로시설물로부터 전송된 비상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05)에 전달한다. 여기서 비상 정보에는 위급 상황 신호, 감시 영상,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5)의 중계정보 생성부(124)는 주변 도로시설물로부터 요청받은 비상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여 통신부(107)에 전달한다. 통신부(107)는 LoRa, LTE, 3G, 5G 통신망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비상정보를 관제센터에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나 중계기와 같은 역할만을 수행하여 수신한 주변 도로시설물의 비상정보를 원격통신이 가능한 통신 중계장치로 전송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로시설물은 방범 기능, 정보 제공장치는 물론 다른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해주는 중계기능까지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 지주 10: 사용자 단말
20: 긴급버튼 100: 도로시설수단
101: 인공지능(AI) 카메라 102: 긴급버튼 감지부
103: 사용자 단말 감지부 104: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
105: 제어부 106: 저장부
107: 통신부 108: 안테나
121: 영상 획득부 122: 비상신호 생성부
123: 위치정보 생성부 124: 중계정보 생성부
125: 비상정보 송신부 201 - 205: 주변 도로시설물
300: 관제 센터

Claims (7)

  1. 도로시설물을 이용하여 방범 및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스마트 도로시설물로서,
    위치 추적을 위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긴급 상황을 감지하거나 설치된 긴급버튼의 조작에 따라 긴급 상황을 감지하면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에 전송하고, 감시 영상을 촬영하여 방범 기능을 수행하며, 주변 도로시설물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원격에 중계해주는 도로 시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로 시설수단은 감시지역을 영상으로 감시하며,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에 따라 감시지역을 변경하고, 움직이는 물체 감지시 자동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인공지능(AI)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는 위급 상황에서 비상정보를 자동으로 관제 센터에 송출하여 위급상황에 대해 신속한 대처를 구현하며,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는 움직이는 물체의 자동 추적을 위한 이동체 감지기, 촬영대상이나 촬영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촬영 제어를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시설수단은 긴급버튼 조작신호가 감지되거나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긴급신호와 위치정보 및 감시 영상을 기초로 비상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주변 도로시설물과 연동을 통해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는 사물인터넷 장비, 방범을 위한 방범 장치, 스마트 도로명판이나 스마트 건물번호판과 연동하고, 자신이 중계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나 직접적으로 원격에 비상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인접한 상기 주변 도로시설물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비상정보를 전달하여 중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시설물.
  2. 청구항 1에서, 상기 도로 시설수단은 도로명판, 건물번호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시설물.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도로 시설수단은 긴급버튼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긴급버튼 감지부;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통해 긴급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비상정보를 원격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시설물.
  5. 삭제
  6. 청구항 4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를 통해 출력되는 감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에 감시지역 변경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긴급버튼 감지부 또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를 통해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신호 생성부; 현재 도로 시설수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한 감시 영상과 상기 비상신호 생성부에서 생성한 비상신호 및 위치정보 생성부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를 비상정보로 생성하여 원격의 관제 센터에 전송하는 비상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시설물.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를 통해 획득한 주변 도로시설물의 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거나, 생성한 비상정보를 중계정보로 생성하여 주변 도로시설물 연동부에 전송하는 중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로시설물.







KR1020200014580A 2020-02-07 2020-02-07 스마트 도로시설물 KR10233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80A KR102333855B1 (ko) 2020-02-07 2020-02-07 스마트 도로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80A KR102333855B1 (ko) 2020-02-07 2020-02-07 스마트 도로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01A KR20210100801A (ko) 2021-08-18
KR102333855B1 true KR102333855B1 (ko) 2021-12-03

Family

ID=7746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80A KR102333855B1 (ko) 2020-02-07 2020-02-07 스마트 도로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046B1 (ko) * 2015-10-16 2016-09-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스마트 벨 제어장치
KR102015959B1 (ko) * 2018-08-16 2019-08-28 주식회사 플랜비 사물 인터넷 카메라를 이용하는 딥러닝 기반의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71A (ko) 2014-03-06 2015-09-16 김홍민 위급 상황 표시 기능을 갖는 간판 시스템
KR20180068241A (ko) * 2016-12-13 2018-06-21 에스명심 주식회사 방범용 전광 표지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046B1 (ko) * 2015-10-16 2016-09-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스마트 벨 제어장치
KR102015959B1 (ko) * 2018-08-16 2019-08-28 주식회사 플랜비 사물 인터넷 카메라를 이용하는 딥러닝 기반의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01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858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US20210027060A1 (en) Person search system
KR101829040B1 (ko)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KR101895215B1 (ko) 태양광과 일반전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력형 무선비상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976150B1 (ko) 능동형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JP2013153304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映像送信方法
KR101657046B1 (ko) 스마트 벨 제어장치
JP2019117446A (ja) 自律移動体および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60093504A (ko) 드론을 이용한 안전 경로 안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JP2011141787A (ja) 防犯システム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KR101837005B1 (ko) 안전알림 태양광조명장치
KR101895213B1 (ko) 태양광 무선비상 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333855B1 (ko) 스마트 도로시설물
KR101426732B1 (ko) 유괴 및 미아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KR20110038438A (ko) 보행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89584A (ja) 視覚障害者誘導システム
KR102428477B1 (ko) 이동객체 검출을 위한 이동식 cctv 카메라 시스템.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KR20170018361A (ko)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20160006533A (ko) 지그비 수신장치를 탑재한 아이피 카메라 시스템
JP3187291U (ja) 携帯端末の無線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