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241A - 방범용 전광 표지판 - Google Patents

방범용 전광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241A
KR20180068241A KR1020160169962A KR20160169962A KR20180068241A KR 20180068241 A KR20180068241 A KR 20180068241A KR 1020160169962 A KR1020160169962 A KR 1020160169962A KR 20160169962 A KR20160169962 A KR 20160169962A KR 20180068241 A KR20180068241 A KR 20180068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image
user terminal
photographed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에스명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명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명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241A/ko
Publication of KR20180068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댄스 게임 장치가 제공되며, 서비스 피제공 단말을 통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의 비콘 코드를 등록하여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피제공 단말의 식별 코드와 BLE 단말의 비콘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전송기의 식별 코드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LE 단말에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게시(Advertising)를 실시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전송기에서 BLE 단말의 비콘 코드를 탐색(Observing)하면,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전송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전송기의 위치 정보 및 비콘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비콘 코드와 매핑된 서비스 피제공 단말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범용 전광 표지판 및 이의 구동 방법{APPARATUS FOR SECURITY LED SIGN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방범용 전광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발전으로 LED를 구동하여 표지판을 발광시킴과 동시에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명 주소의 시행이 전면화되면서 도로명 주소 표지판이 설치되어 안내 표지판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저녁이 되면 표지판을 보기 어렵거나, 방범 기능까지는 탑재되지 않아 그 활용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때, 표지판에 방범 기능 및 빛을 조사하는 표지판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926578호(2009.11.12 공고)에는, 라이트를 구비한 안내 표지판과 조도센서를 구비하여, 조도센서의 조도값에 의하여 안내표지판을 발광시키고 비상버튼 동작시 안내표지판의 라이트가 점등되도록 하고, 야간에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만, 각각의 표지판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표지판마다 전원 박스가 탑재되거나 전원 라인이 매설되어야 하는 대규모 공사가 전제되어야 하고, 관제센터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네트워크 및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영상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추적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일지라도 모든 영상을 검토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으로 야간이나 흐린 날에는 표지판이 잘보이도록 LED를 구동하고, 표지판이 설치된 지점에 대향하는 구역을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전송하되 버퍼를 이용하여 끊김 또는 순서가 바뀌는 일이 없도록 하고, 무선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음으로 네트워크 구축 및 이에 대한 비용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검색자의 시간 및 데이터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로명 주소가 표기된 표지판, 표지판에 위치하고, 조도 센서의 조도값에 기초하여 표지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표지판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LED부, 표지판의 대향하는 영역에서 촬영된 물체를 식별하여 추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의 접근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통신으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되도록 채널을 형성하고, 촬영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태양전지모듈로 전기를 발전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태양전지모듈로 전기를 발전하여 축전지를 충전하는 단계, 충전된 축전지가 기 설정된 전위 이상인 경우, 표지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표지판의 대향하는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표지판에 위치한 조도 센서의 조도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조도값 미만인 경우, 표지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LED를 구동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엑세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관제 센터의 피드백을 통하여 인증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으로 야간이나 흐린 날에는 표지판이 잘보이도록 LED를 구동하고, 표지판이 설치된 지점에 대향하는 구역을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전송하되 버퍼를 이용하여 끊김 또는 순서가 바뀌는 일이 없도록 하고, 무선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음으로 네트워크 구축 및 이에 대한 비용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검색자의 시간 및 데이터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범용 전광 표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판에서 객체를 식별 및 추적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시스템이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범용 전광 표지 시스템(1)은,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및 관제 센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방범용 전광 표지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제 센터(5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사용자 단말(400) 및 관제 센터(5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및 관제 센터(5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센터(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및 관제 센터(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및 관제 센터(5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표지판의 형태로 영상을 촬영하고 소리를 녹음하며, 텍스트를 기재하고 있는 부분을 향하여 빛을 발광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영상 및 녹음된 소리를 저장하고,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400) 및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로 영상 및 녹음된 소리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요청이 있는 경우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촬영된 사물을 식별하여 식별 객체를 태그하여 프레임별로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인증된 사용자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400)에서 요청하는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도에 기초하여 빛을 발광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빛을 발광하는 소스(Source)를 태양광 발전으로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소스는 빛을 조사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에 포함된 모든 구성의 구동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관제 센터(50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공유 요청 또는 실시간 모니터링 요청 등의 명령을 수신한 경우, 관제 센터(500)에서 요청한 공유 단말(미도시)로 촬영된 실시간 화면을 공유하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을 관리하고,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소리를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별로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는, 관제 센터(500)로부터 영상의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구현 방법에 따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관제 센터(500)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위치, 식별자를 태깅하여 영상 또는 소리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이 설치되는 장소가 각각 다르고, 촬영하는 위치 등도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자신의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고유 식별 코드를 넣어서 통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는, 고유 식별 코드를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위치 및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자체를 식별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고유 식별 코드가 아니더라도,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영상을 요청할 때, 자신이 원하는 시간, 객체의 종류 등을 함께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이미 인증되어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에 등록된 단말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찰 단말, 구조 단말 등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은, 일반인의 단말일 경우, 미리 인증을 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열람을 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는, 구현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에서 촬영되는 화면을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센터(500)는,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로부터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촬영 및 녹음 데이터를 수신 또는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센터(500)는, 사용자 단말(400)을 인증하여 사용자 단말(400)에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영상을 공유, 조회 등을 가능하도록 하는 센터일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센터(500)는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와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관제 센터(500)는, 구조 단말(미도시), 경찰 단말(미도시)로 공유 또는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거나,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현재 촬영되는 화면을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관제 센터(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범용 전광 표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판에서 객체를 식별 및 추적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시스템이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LED(111)와 조도 센서(113)를 포함하는 LED부(110), 카메라(121)와 저장 장치(123)를 포함하는 카메라부(120), 무선 통신부(130), 태양전지모듈(141)과 축전지(143)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또는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400)로 어린이 안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어린이 안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 사용자 단말(400) 및 관제 센터(5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범용 전광 표지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표지판(160)에 위치하고, 조도 센서(113)의 조도값에 기초하여 표지판(160)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표지판(160)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LED부(110), 표지판(160)의 대향하는 영역에서 촬영된 물체를 식별하여 추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부(120),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의 접근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통신으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되도록 채널을 형성하고, 촬영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관제 센터(500)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130), 태양전지모듈(141)로 전기를 발전하여 축전지(143)를 충전하고,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140), 도로명 주소가 표기된 표지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지판(160)은, 도로명 주소가 아닌 다른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무관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카메라부(120)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턴 온되어, 촬영된 영상을 관제 센터(5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시간, 장소 및 영상 내에 포함된 촬영객체를 구분하여 태그하여 저장하고, 촬영객체는, 사람, 이동수단 및 동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영상을 공유하고 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특정 객체를 찾고자 하는 사람일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미아가 발생했다거나, 자동차가 뺑소니 사고 후 도주했다거나, 개를 잃어버렸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부(120)는 각각 어린이, 자동차, 개 등의 객체를 구분하여 태깅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는 객체별로 저장을 할 때, 어느 구간부터 어느 구간까지는 어느 객체인지를 알게 하기 위해, 프레임 구간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태그를 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B 구간은 개(동물), C-D 구간은 자동차 등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구간은 겹칠 수도 있고, 한 화면에 복수의 객체가 위치할 수도 있으므로, 하나의 프레임은 복수의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는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마이크를 통하여 기 저장된 음성과 유사한 음성이 수집되는 경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하는 영상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관제 센터(500) 또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구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120)는 범죄와 관련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카메라부(12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중 저장된 이미지와 유사도를 초과하는 영상이 촬영되고 있거나 촬영된 경우, 관제 센터(500) 또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구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꺅" 소리가 난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도둑이 칼을 들이대며 조용히 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흉기 또는 흉기로 인하여 끌려가고 있는 모습 등의 이미지가 포착된 경우,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되어 저장된 소리(빅데이터로 편차 포함)와 일치하거나, 기 저장된 이미지와 동일할 경우에는, 위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이 상황을 포착하도록 경찰 또는 구조 대원을 보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죄 등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 등을 막거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촬영된 영상으로의 접근 요청이 사용자 단말(400)에서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이 인증된 단말인지의 여부를 관제 센터(500)로 확인 요청하고, 관제 센터(500)로부터 사용자 단말(400)이 인증된 단말이라는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400)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시간 및 촬영객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시간 및 촬영객체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등과 같이 인증된 단말은 항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되지만, 일반인이 촬영된 영상을 감시할 수 있는 경우, 개인 정보 유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미아 신고를 한 사용자라거나, 개를 찾아야 하는 사용자 또는 뺑소니의 주범을 찾아야 하는 사용자 등 허가를 받거나 사유를 제출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에 한해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촬영객체에 대한 정보가 이미지로 수신된 경우, 수신된 이미지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촬영객체가 포함된 구간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수신된 이미지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촬영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촬영객체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촬영객체가 포함된 구간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발전부(140)는, 태양전지모듈(141)에서 발전이 시작되어 축전지(143)가 기준 전위 이상인 경우, 카메라부(120)를 동작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조도 센서(113)의 조도값이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LED부(110)의 LED(111)를 턴 온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위는 LED(111)를 구동하고, 카메라(121)를 구동시키는 전위를 만족하는 전위일 수 있고, 모든 구성 요소의 구동을 위한 전위가 충족되어야 하는 전위일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에서 실행되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의 작동 방법은, 태양전지모듈(141)로 전기를 발전하여 축전지(143)를 충전하고, 충전된 축전지(143)가 기 설정된 전위 이상인 경우, 표지판(16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표지판(160)의 대향하는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제 센터(500)로 전송하고, 표지판(160)에 위치한 조도 센서(113)의 조도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조도값 미만인 경우, 표지판(160)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LED(111)를 구동한다. 그리고 나서,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엑세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관제 센터(500)의 피드백을 통하여 인증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400)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촬영객체의 식별자 및 시간이 입력된 경우, 식별자 및 시간과 일치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어린이 안전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121)가 촬영을 실시할 때, 저장 장치(123)는 촬영 객체를 식별하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요청하는 요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빠르게 찾을 수 있고, 무선 통신부(130)도 트랜스코딩 및 스트리밍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축전지(143)에 저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400)에서, 남자, xx시부터~xx시까지를 요청한 경우, xx시부터 xx시까지 촬영된 남자가 포함된 프레임이 추출되고,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b) 기 설정된 소리와 유사한 소리가 수집된 경우, 구조 요청을 관제 센터(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c) 방범용 전광 표지판(100)은, 기 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화창한 낮에는 충전을 하며 구동을 실시하고, 기 설정된 조도 미만인 경우, 예를 들어 밤에는 충전된 전위를 이용하여 LED(111)를 발광시킬 수 있다. 그리고, (d) 객체의 종류별로 특정하여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이 구동되면(S5100), 축전지가 충전되고(S5200), 현재 전위가 기 설정된 전위를 초과하게 되면(S5300), 카메라가 작동되고(S5400), 영상이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송출된다(S5500).
이때, 조도 센서의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S5600), LED가 구동되며 빛을 발광하게 되고(S5710), 그렇지 않은 경우 LED는 오프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S5730).
한편, 인증 단말의 스트리밍이 요청되는 경우(S5800), 객체를 검색한 후 인증 단말로 스트리밍을 실시하게 된다(S5910).
그리고, 외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술한 루프를 회귀하며 돌도록 한다(S5920).
상술한 단계들(S5100~S5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4를 통해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전광 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방범용 전광 표지판에 있어서,
    도로명 주소가 표기된 표지판;
    상기 표지판에 위치하고, 조도 센서의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표지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상기 표지판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LED부;
    상기 표지판의 대향하는 영역에서 촬영된 물체를 식별하여 추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으로의 접근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통신으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되도록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태양전지모듈로 전기를 발전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상기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
    를 포함하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전이 시작되어 축전지가 기준 전위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값이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LED부의 LED를 턴 온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 방범용 전광 표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공급된 전원에 의해 턴 온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관제 센터로 전송함과 동시에 시간, 장소 및 영상 내에 포함된 촬영객체를 구분하여 태그하여 저장하고,
    상기 촬영객체는, 사람, 이동수단 및 동물로 구분되는 것인, 방범용 전광 표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의 접근 요청이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의 여부를 상기 관제 센터로 확인 요청하고,
    상기 관제 센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단말이라는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 및 촬영객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시간 및 촬영객체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방범용 전광 표지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촬영객체에 대한 정보가 이미지로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이미지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촬영객체가 포함된 구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촬영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촬영객체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촬영객체가 포함된 구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방범용 전광 표지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기 저장된 음성과 유사한 음성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영상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 센터 또는 상기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구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범죄와 관련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저장된 이미지와 유사도를 초과하는 영상이 촬영되고 있거나 촬영된 경우, 상기 관제 센터 또는 상기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구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방범용 전광 표지판.
  7. 태양광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에서 실행되는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태양전지모듈로 전기를 발전하여 축전지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된 축전지가 기 설정된 전위 이상인 경우, 상기 표지판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하여 표지판의 대향하는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지판에 위치한 조도 센서의 조도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조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표지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LED를 구동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엑세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제 센터의 피드백을 통하여 인증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객체의 식별자 및 시간이 입력된 경우, 상기 식별자 및 시간과 일치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방범용 전광 표지판의 작동 방법.
KR1020160169962A 2016-12-13 2016-12-13 방범용 전광 표지판 KR20180068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62A KR20180068241A (ko) 2016-12-13 2016-12-13 방범용 전광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62A KR20180068241A (ko) 2016-12-13 2016-12-13 방범용 전광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41A true KR20180068241A (ko) 2018-06-21

Family

ID=6280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962A KR20180068241A (ko) 2016-12-13 2016-12-13 방범용 전광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2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801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스마트 도로시설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801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이형정보기술 스마트 도로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93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digital signage
JP5237380B2 (ja) 交通監視システム
KR100982398B1 (ko)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US20110285535A1 (en) Mobile Asset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0182952B1 (en) Wheelchai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4838426A (zh) 用于资产识别的概念
EP2875629A1 (en) Asset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11151192B1 (en) Preserving locally stored video data in response to metadata-based search requests on a cloud-based database
KR101562005B1 (ko) 방범시스템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승강장 및 그 방법
CN104702668A (zh) 特定目标的信息采集和应用系统及其应用方法
US114165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oading still images of matching plates in response to an alert hit list using distributed LPR acquisition
US10446068B2 (en) Vehicle messaging system
RU2374692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за движением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2164391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8241A (ko) 방범용 전광 표지판
CN206726449U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平台的道路交通违规行为分析预警系统
KR102139651B1 (ko) 아동청소년 교육시설 성범죄자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4140586A (ja) 侵入監視システムとその制御装置と監視用端末装置と侵入監視プログラム
US20220214036A1 (en) Synchronized beacon criminal activity deterrent
ES2718067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poner a disposición informaciones
CN206370842U (zh) 一种政务信息发布装置和系统
KR101047307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을 이용한 경로이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경로이탈 정보 제공 방법
Subramanian et al. Automatic railway gate control system using GPS
KR20220047186A (ko) 경관 스마트폴
KR102188344B1 (ko)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9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11

Effective date: 201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