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16B1 -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716B1
KR102333716B1 KR1020190053517A KR20190053517A KR102333716B1 KR 102333716 B1 KR102333716 B1 KR 102333716B1 KR 1020190053517 A KR1020190053517 A KR 1020190053517A KR 20190053517 A KR20190053517 A KR 20190053517A KR 102333716 B1 KR102333716 B1 KR 10233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loess
block
pellets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308A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71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0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3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8/0635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8/0645Burnable, meltable, sublima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성분인 경량 건축자재로서 석면과 황토 및 2~3mm의 세라믹을 균등비율로 형성하고, 이에 20~30%의 펠릿을 혼합하여 이를 열가마에서 700~1200℃로 가열하여 펠릿 등의 연소물을 연소시킴으로써 석면 블럭 내외부에 무수한 다공성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블럭이다.

Description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or block of asbestos}
본 발명은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면과 황토 및 세라믹을 펠릿(나무조각)을 혼합하여 고온으로 다공을 만들어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면(asbestos)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양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합을 이루는 것의 속칭이다. 이러한 석면은, 강도, 탄력성, 내열성, 단열성, 불연성, 내약품성, 방음성, 및 내마찰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산업분야의 절연재, 보강재, 충진재, 조절재, 분산재, 및 비연마재, 건축분야의 내장재, 자동차 분야의 브레이크라이닝재, 및 섬유분야의 도료 및 방염성 방직물 등의 제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석면은 미세한 섬유의 형태로 대기 중에 오래 부유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인체의 호흡기로 흡입되기 쉽고, 이러한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석면폐증, 폐암, 악성중피증 등과 같은 불치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석면은 내알칼리성과 내산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 내에서도 그 형태를 유지한 채로 오래 잔류됨으로써 심각한 질병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석면을 폐기처분할 때 그 석면을 특별관리 산업폐기물, 즉 지정폐기물로 지정하여 엄격히 규제를 하고 있다.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폐석면이나 석면함유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고온의 용융로를 이용하여 석면함유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용융로내에 투입될 석면함유 폐기물 중에 유기물 등 다른 가연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용융처리시에 다량의 가스가 발생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석면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처리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그 외에도 방수용 플라스틱 포대에 넣어 2중으로 포장하거나, 상자형 콘크리트 블럭에 넣어 밀봉처리한 후에 일반폐기물과 엄격하게 분류하여 별도로 매립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20-2010-0009446호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폐석면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상호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 블럭의 내부에 폐석면을 콘크리트와 혼합한 후 수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키고, 이를 각종 옹벽 및 축대, 호안 등지에 설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석면 고형화 블럭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즉, 종래 기술의 도 1,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고안 폐석면 고형화 블럭(1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블럭형상으로 하되, 상면 중앙에 소정 깊이만큼 가로방향으로 길게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110)과, 하면 중앙에 적층시 상기 안착홈(110)에 끼워지도록 소정 길이만큼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돌기(120)와, 일측면에 소정 깊이만큼 세로방향으로 길게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면의 안착홈(110)과 연결되는 고정홈(130)과, 타측면에 적층시 상기 고정홈(130)에 끼워지도록 소정 길이만큼 세로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면의 안착돌기(120)와 연결되는 고정돌기(140)로 구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150)을 형성하여 폐석면과 콘크리트를 혼합한 폐석면콘크리트(200)를 외부와 차단되도록 수용하고 고형화시키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러한 위협요소를 차단하고 있으나, 폐석면 고형화 블럭(100)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더 인체에 해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므로, 이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석면과 황토 및 세라믹을 펠릿(나무조각)을 혼합하여 고온으로 다공을 만들어 유해 물질 제거는 물론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석면 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주성분인 경량 건축자재로서 석면과 황토 및 2~3mm의 세라믹을 균등비율로 형성하고, 이에 20~30%의 펠릿을 혼합하여 이를 열가마에서 700~1200℃로 가열하여 펠릿 등의 연소물을 연소시킴으로써 석면 블럭 내외부에 무수한 다공성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블럭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선, 석면과 황토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와,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후 석면과 황토를 먼저 혼합하여 석면의 부위에 황토가루가 첨착되는 되는 혼합단계(S20)와, 상기 석면과 황토의 혼합단계를 거친 후 석면과 황토에 2~3mm의 세라믹 및 펠릿을 혼합하는 단계(S30)와, 상기 세라믹 및 펠릿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친 후 700~12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단위블럭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상기 단위블럭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이후에 단위블럭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블럭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석면 블럭에 따르면, 석면과 황토 및 세라믹을 펠릿(나무조각)을 혼합하여 고온으로 다공을 만들어 유해 물질 제거는 물론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종 옹벽 및 축대, 호안 등지에 설치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인체에 유해한 석면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어 위험요소로부터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폐석면 고형화 블럭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의 폐석면 고형화 블럭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럭으로서의 석면벽돌 형상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석면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벽돌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면을 이용한 블럭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블럭으로서의 석면벽돌 형상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석면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면벽돌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공성 구멍구조를 갖는 석면 블럭의 제조방법 및 석면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성분인 경량 건축자재로서 석면과 황토 및 세라믹 2~3mm에 펠릿 나무조각을 혼합하여 이를 열가마에서 700~1200℃로 가열하여 펠릿 등의 연소물을 연소시킴으로서 석면 벽돌 내외부에 무수한 다공성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석면과 황토 및 2~3mm의 세라믹을 균등비율로 형성하고, 이에 20~30%의 펠릿을 혼합한다.
상기 온도로의 가열은 석면과 황토 성분이 혼합되어 가열시에는 유해 성분이 무해 성분으로 바뀌게 된다.
즉, 석면의 부위에 황토가 첨착되어 구워지게 되면, 석면의 비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펠릿에 의하여 석면과 황토가 굳어진 사이에 펠릿이 타서 다공성 구멍을 생기게 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은 미세먼지나 빗물 등을 흘러내리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 구멍을 통해 황토의 효능으로 보면, 원할한 산소동화작용을 이루게 됨에 따라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며 이에 따라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석면, 황토 분말, 세라믹 및 연소물을 혼합하여 압축성형하여 석면 블럭(30)을 성형하고 이를 소성시켜 무수한 다공성 구멍(1)을 형성하여 블럭구조를 이룸으로서 상기 다공성 구멍(1)을 통해 미세먼지가 쌓일 경우에 다공성 구멍으로 빠지게 되고, 빠지지 못한 미세먼지는 표피의 다공성 구멍으로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비가 오면 쌓여진 먼지가 빗물과 함께 씻겨 내려가게 되어 대기를 맑게 하는 것이고, 나아가 다공성 구멍의 원할한 산소동화작용을 이루게 됨에 따라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며 이에 따라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됨은 물론, 무수한 다공성 구멍(1)에 의해 소음이 흡수되는 효과가 있어 시내의 차량 등의 운행에 방음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법정 발암물질을 자연석으로 환원할 수 있으므로, 정원석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석면 블럭으로 설치시에는 모래와 자갈을 섞어서 바닥의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다음은 석면 블럭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블럭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석면과 황토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와,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후 석면과 황토를 먼저 혼합하여 석면의 부위에 황토가루가 첨착되는 되는 혼합단계(S20)와,
상기 석면과 황토의 혼합단계를 거친 후 석면과 황토에 2~3mm의 세라믹 및 펠릿을 혼합하는 단계(S30)와,
상기 세라믹 및 펠릿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친 후 700~12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단위블럭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상기 단위블럭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이후에 단위블럭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50)으로 이루어진 석면 블럭 제조방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석면 블럭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다공성 구멍
30 : 석면 블럭

Claims (2)

  1. 삭제
  2. 우선, 석면과 황토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와,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후 석면과 황토를 먼저 혼합하여 석면의 부위에 황토가루가 첨착되는 되는 혼합단계(S20)와,
    상기 석면과 황토의 혼합단계를 거친 후 석면과 황토에 2~3mm의 세라믹 및 펠릿을 혼합하는 단계(S30)와,
    상기 세라믹 및 펠릿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친 후 700~120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단위블럭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40)와,
    상기 단위블럭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이후에 단위블럭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50)으로 이루어지되,
    주성분인 경량 건축자재로서 석면과 황토 및 2~3mm의 세라믹을 균등비율로 형성하고, 이에 20~30%의 펠릿을 혼합하여 이를 열가마에서 700~1200℃로 가열하여 펠릿 등의 연소물을 연소시킴으로써 석면 블럭 내외부에 무수한 다공성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블럭의 제조방법.
KR1020190053517A 2019-05-08 2019-05-08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17A KR102333716B1 (ko) 2019-05-08 2019-05-08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17A KR102333716B1 (ko) 2019-05-08 2019-05-08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08A KR20200129308A (ko) 2020-11-18
KR102333716B1 true KR102333716B1 (ko) 2021-12-02

Family

ID=7369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517A KR102333716B1 (ko) 2019-05-08 2019-05-08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7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36B1 (ko) 1999-11-27 2002-11-08 장인익 다공성 건축자재 및 제조방법
KR101215067B1 (ko) * 2009-12-11 2012-12-24 이세린 석면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366A (ko) * 2000-01-14 2001-08-01 장영중 통공구조를 갖는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
KR20140017172A (ko) * 2012-07-31 2014-02-11 주식회사 에코탑 폐 슬레이트 석면 무해화 및 이를 활용한 조립식 인공어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36B1 (ko) 1999-11-27 2002-11-08 장인익 다공성 건축자재 및 제조방법
KR101215067B1 (ko) * 2009-12-11 2012-12-24 이세린 석면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0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984B2 (ja) 多孔質レンガ及びその製造方法
EP120461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al insulation body
JP6055419B2 (ja) 多孔質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93509A2 (en) Aggregates
KR102333716B1 (ko) 석면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6546B1 (ko) 흙 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흙 블록
KR101182605B1 (ko) 인산석고와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포장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JP3178821B1 (ja) 建築・建設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976295B1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석재 제조방법
KR100608287B1 (ko) 무연탄 매립 석탄회 함유 소성벽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47953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5149B1 (ko) 황토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66508B1 (ko) 폐목재를 이용한 건설재료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건설재료
KR100941047B1 (ko)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비소성 황토 벽돌과 그의 제조방법
KR100888816B1 (ko) 투수성 바닥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1408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KR100495026B1 (ko) 굽지 않는 고강도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937778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JP3121024B2 (ja) レンガ・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09377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CN101749941A (zh) 热处理炉用耐火材料
KR100547955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의 시공방법
RU2107050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ризова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JP2007247155A (ja) 電磁波吸収・調湿建材
CN108689720A (zh) 一种混合海绵透水砖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