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73B1 -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 Google Patents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73B1
KR102333473B1 KR1020190178586A KR20190178586A KR102333473B1 KR 102333473 B1 KR102333473 B1 KR 102333473B1 KR 1020190178586 A KR1020190178586 A KR 1020190178586A KR 20190178586 A KR20190178586 A KR 20190178586A KR 102333473 B1 KR102333473 B1 KR 102333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ble
housing
spring
emergency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503A (ko
Inventor
정준호
정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6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작동 후, 레버가 원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충전 아웃렛을 락킹하는 잠금핀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핀을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상 해제 레버; 상기 비상 해제 레버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부; 상기 케이블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 상기 케이블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레버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Emergency release cable lever}
본 발명은 아웃렛을 락킹하는 액추에이터 고장 시, 잠금핀을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시장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개발 및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전기차는 충전기에 연결된 아웃렛을 차량에 설치된 인렛과 맞물려 인렛과 아웃렛을 통전시켜 충전할 수 있는데, 차량 인렛에는 아웃렛을 인렛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도난, 위급, 또는 안전을 위해 아웃렛이 인렛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아웃렛 락킹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있다.
도 1은 아웃렛 잠금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액추에이터의 비상 해제 레버 및 케이블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a)는 아웃렛(1)에는 아웃렛 해제 레버(2)와 이에 연결된 아웃렛 잠금 돌기(3)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웃렛 잠금 돌기(3)는 인렛(4)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아웃렛이 인렛(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 (a)와 같이 아웃렛 잠금 돌기(3)가 맞물린 것이 인식되면 아웃렛 잠금 액추에이터(5)가 동작하여 잠금핀(6)이 아웃렛 잠금 돌기(3)를 가압함으로써 아웃렛(3)이 락킹된다.
그런데 인렛 액추에이터는 차량 제어 모듈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데, 제어 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인렛 액추에이터의 구동과 관련한 부품이 고장나는 경우 락핀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락킹 상태에서 락핀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아웃렛 탈거가 불가하여 차량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며, 따라서 사용자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고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렛 액추에이터 고장 시 락핀을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작동 후, 레버가 원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가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어, 엔진룸의 미관을 양호하게 유지하며, 레버 틈으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비상해제 케이블 레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충전 아웃렛을 락킹하는 잠금핀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핀을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상 해제 레버; 상기 비상 해제 레버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부; 상기 케이블부의 타단에 연결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 상기 케이블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레버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부는, 일단이 상기 비상 해제 레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부에 결합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주에 끼워지는 케이블커버; 및 상기 케이블커버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레버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블커버에 지지되며,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체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연결부에,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스프링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절곡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체결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상기 레버부는, 내측에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내측방향으로 스프링설치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스프링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레버부가 삽입되는 레버삽입홀이 관통형성되며, 스프링지지부가 상기 레버삽입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설치돌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스프링 설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상기 스프링 설치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설치부의 외측에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며 란스걸림돌기가 돌출되는 란스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버부 삽입 시, 상기 란스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란스체결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이형지; 또는 일측에 설치되며, 타 물건과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클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에 따르면, 인렛 액추에이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액추에이터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레버부의 자동 복귀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으며, 엔진룸의 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레버부와 하우징 사이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이 개선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의 단부를 레버부 및 하우징 연결부에 꽂아서 고정하거나, 스프링설치돌기에 끼워 고정할 수 있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도 스프링을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를 형성하여, 레버부를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레버부와 하우징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방수 구역에 설치되어 그로멧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를 제공하며, 이 경우 레버부가 하우징에 란스 구조를 통해 단순히 삽입하는 작업에 의해 체결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아웃렛 잠금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케이블부, 스프링 및 레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는 본 발명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도 7에 클립을 적용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케이블부, 스프링 및 레버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부(110), 일단이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레버부(110)와 연결되는 케이블부(130), 레버부(110)와 케이블부(130)의 연결 부분을 커버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또한 레버부(110)는 하우징(120)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레버부(110)의 자동 복귀를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20) 내측에 탄성체인 스프링(140)을 더 포함한다.
레버부(110)는 케이블연결부(112)를 통해 케이블(131)의 타단과 결합되며, 케이블연결부(112)에는, 케이블(131)의 연장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체결홀(115)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케이블연결부(112)로부터 손잡이(111)가 연장형성되며, 손잡이(111)는 하우징(120)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케이블연결부(112)와 손잡이(111) 사이에는 하우징(120) 단부에 접하도록 지지리브(11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13)는 하우징(120) 일단에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며, 따라서 하우징(1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리브(113)와 손잡이(111) 사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114)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부(130)는 일단에 후크(132)가 형성되고 타단이 레버부(110)와 연결되는 케이블(131)로 이루어지며, 케이블(131)의 외주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블커버(133)와, 케이블커버(133)의 단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연결부(134)를 포함한다. 하우징연결부(134)는 케이블커버(133)의 캡(cap)과 같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케이블커버(133)를 하우징(12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연결부(134)의 외주에는 하우징체결돌기(134a)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하우징연결부(134)의 단부도 직경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을 관통하는 스프링체결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40)은 일단이 케이블부(130)에 연결되며, 타단이 레버부(110)에 연결되어 레버의 자동 복귀 기능을 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이 하우징연결부(134)에 연결되고, 타단이 레버부(110)에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스프링(140)은 하우징(120)과 레버부(110)를 연결하여 레버부(110)가 하우징(120) 내측으로 자동 복귀 하도록 하며, 케이블(131)에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케이블(131)의 작용과는 직접 관련이 없도록 형성된다.
스프링(140)은 실제 신축작용을 하는 탄성부(141)와, 탄성부(141) 일단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142), 탄성부(141) 타단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14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체결부(142)는 상술한 스프링체결홀(11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며, 제2체결부(143)는 상술한 스프링체결공(13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된다. 나아가 제2체결부(143)의 단부(143a)는 제2체결부(143)가 비의도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제1하우징(121)과 제2하우징(122)으로 구성되어, 두 부속이 케이블(131)의 외주 양 측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21)과 제2하우징(122)은 결합 시 배관과 같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여 레버부(110)가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주면에 케이블부(130)의 하우징체결돌기(134a)와 맞물릴 수 있도록 케이블체결홈(121a)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체결돌기(134a)와 케이블체결홈(121a)이 맞물림으로써 케이블부(13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결합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1하우징(121)에는 측단에 경사면(123a)이 형사된 조립돌기(123)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제2하우징(122)에는 측부에 조립돌기(12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립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사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돌기(123)가 조립홀(124)에 경사면(123a)을 타고 끼워지면서 탄성변형하며,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형태가 복원되어 조립홀(124)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하우징(121)과 제2하우징(122)이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방수구역인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케이블(131)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로멧(12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부(130)와 레버부(110)에 스프링(140)을 결합시킨 후, 그로켓을 케이블(131)의 길이방향으로 끼워 장착하고, 이후 제1하우징(121)의 조립돌기(123)와 제2하우징(122)의 조립홀(124)을 끼워맞춤으로써 본 발명 제1실시예(100)를 조립할 수 있다.
도 6의 사용상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케이블(131)의 후크(132)를 잠금핀 해제 레버(7)의 후크걸이(7a)에 걸리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도 6 (a)와 같이 손잡이(111)를 당기지 않으면 잠금핀(6)은 액추에이터(5)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레버부(110)가 하우징(120)에 밀착되어 하우징(120) 내부는 폐쇄되어 있다. 나아가 도 6 (b)와 같이 비상 해제를 위해 손잡이(111)를 당기면 스프링(140)이 인장됨과 동시에 케이블(131)이 당겨져 잠금핀 해제 레버(7)가 회전되고, 잠금핀(6)이 액추에이터(5) 내측으로 소정 거리 삽입되어 아웃렛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도 6 (c)와 같이 손잡이(111)를 놓고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40)이 원래 형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레버부(110)가 하우징(120)을 다시 폐쇄하는 원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비방수 구역에 설치 가능한 것으로서 그로멧을 적용하지 않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이다.
도 7는 본 발명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도 7에 클립을 적용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의 제2실시예(2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부(210), 일단이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레버부(210)와 연결되는 케이블부(230), 레버부(210)와 케이블부(230)의 연결 부분을 커버하는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또한 레버부(210)는 하우징(220)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레버부(210)의 자동 복귀를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220) 내측에 탄성체인 스프링(240)을 더 포함한다. 레버부(210)와 하우징(22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품의 소형화를 위해 레버부(210)는 패널 형상으로, 하우징(220)은 내부에 납작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케이블부(230)는 일단에 후크(232)가 형성되고 타단에 하우징연결부(234)가 형성된 케이블(231)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연결부(234)는 케이블(231)과 하우징(220)을 연결하기 위한 돌기이며, 특히 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커지도록 하우징연결돌기(2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연결돌기(234a)는 단턱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버부(210)는 케이블(231)과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212), 스프링(240이 수납되는 스프링설치부(215),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211)가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연결부(212)에는 상술한 하우징연결돌기(234a)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응하는 형태의 케이블연결홈(212a)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레버부(210)를 케이블(231)을 당기는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 하우징(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우징걸림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걸림돌기(213)는 케이블연결부(21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220)의 커버(225)에 걸림으로써 레버부(210)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스프링설치부(215)는 레버부(2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스프링(240)을 수납 및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 레버부(210)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함으로써, 스프링(240) 수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240)이 레버부(210)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스프링설치부(2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스프링설치부(215)에는 스프링(240)의 일단에 삽입되어 스프링(240)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설치돌기(215a)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11)는 그립이 용이하도록 파지홀(214)이 관통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레버부(210)는 하우징(220)과의 체결을 위해 레버체결란스(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체결란스(216)는 일단이 레버부(210)로부터 고정되어 연장형성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타단에 하우징(22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란스걸림돌기(216a)가 형성된다. 레버체결란스(216)는 제품의 소형화를 위해 레버부(210)가 패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레버부(210)의 측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란스걸림돌기(216a)는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20)은 일측에서 레버부(210)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타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20)은 도면상 하측면 및 측면을 형성하는 본체(221)와, 상측면을 형성하는 커버(225)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21)는, 레버부(210)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버삽입홀(222)이 관통형성된다. 나아가 레버삽입홀(222)에 레버부(210)를 삽입할 때, 레버체결란스(216)가 레버부(210) 중앙 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되며, 삽입 완료된 지점에서 란스걸림돌기(216a)가 하우징(22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본체(221)의 측부에는 레버부(210)의 삽입방향을 따라 란스체결홀(223)이 장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211)를 당기는 경우 란스걸림돌기(216a)가 란스체결홀(223)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221)에는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스프링지지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부(224)는 도 11과 같이 스프링(240)의 타단이 배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스프링(240) 지지에 유리하다.
또한 커버(225)는 하우징(220)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잡이(211)의 상부가 노출되며, 하우징걸림돌기(213)가 걸릴 수 있도록 하우징(220) 양 단 상부를 노출하고 중앙부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를 덮도록 형성함은 스프링(240) 수납을 위함이다. 나아가 커버(225)의 상면에는 형태 변형 방지를 위한 리브(225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220)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220)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접착제 도포면을 덮는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도 14와 같이 패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클립(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20)의 일면에 클립체결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250) 및 클립체결부(226)의 구체적인 형상은 클립(250)이 적용되는 밴드케이블 등의 일반적인 구조에 따른다. 또는 본 발명 하우징(220)이 프로텍터와 같은 사출품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 고정 수단 없이 본 발명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제2실시예(200)는 케이블부(230)의 하우징연결돌기(234a)를 레버부(210)의 케이블연결홈(212a)에 삽입하고, 스프링(240)의 일단을 스프링설치돌기(215a)에 끼운 후, 헤버부를 손잡이(211)부터 하우징(220) 일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삽입 후 레버체결란스(216)에 의하여 레버부(210)와 하우징(220)이 체결되며, 레버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어서 도 13의 사용상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케이블(231)의 후크(232)를 잠금핀 해제 레버(7)의 후크걸이(7a)에 걸리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도 13 (a)와 같이 손잡이(211)를 당기지 않으면 잠금핀(6)은 액추에이터(5)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레버부(210)가 하우징(220)에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3 (b)와 같이 비상 해제를 위해 손잡이(211)를 당기면 스프링(240이 인장됨과 동시에 레버부(210)가 하우징(220) 외측으로 돌출되며, 케이블(231)이 당겨져 잠금핀 해제 레버(7)가 회전되면서 잠금핀(6)이 액추에이터(5) 내측으로 소정 거리 삽입되어 아웃렛 잠금이 해제된다. 이후 도 13 (c)와 같이 손잡이(211)를 놓고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240)이 원래 형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레버부(210)가 하우징(220) 내부로 자동 복귀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액추에이터 6 잠금핀
7 잠금핀 해제 레버 7a 후크걸이
100 제1실시예
110 레버부 111 손잡이
112 케이블 연결부 113 지지리브
114 파지홈 115 스프링 체결홀
120 하우징 121 제1하우징
121a 케이블 체결홈 122 제2하우징
123 조립돌기 123a 경사면
124 조립홀 125 그로멧
130 케이블부 131 케이블
132 후크 133 케이블커버
134 하우징 연결부 134a 하우징 체결돌기
135 스프링 체결공 140스프링
141 탄성부 142 제1체결부
143 제2체결부 143a 제2체결단부
200 제2실시예
210 레버부 211 손잡이
212 케이블 연결부 212a 케이블연결홈
213 하우징걸림돌기 214 파지홀
215 스프링설치부 215a 스프링설치돌기
216 레버체결란스 216a 란스걸림돌기
220 하우징 221 본체
222 레버삽입홀 223 란스체결홀
224 스프링지지부 225 커버
226 클립체결부 230 케이블부
231 케이블 232 후크
234 하우징연결부 234a 하우징연결돌기
240 스프링 250 클립

Claims (8)

  1. 차량에 설치되며, 충전 아웃렛을 락킹하는 잠금핀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핀을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비상 해제 레버;
    상기 비상 해제 레버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부;
    상기 비상 해제 레버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부에 의해 상기 비상 해제 레버에 연결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
    상기 케이블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레버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가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레버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의 내측면 또는 케이블부의 타단에 지지되어,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부의 이동 방향으로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는,
    일단이 상기 비상 해제 레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부에 결합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외주에 끼워지는 케이블커버; 및
    상기 케이블커버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레버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블커버에 지지되며,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 체결홀이 관통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체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부에,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스프링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절곡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체결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내측에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내측방향으로 스프링설치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스프링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레버부가 삽입되는 레버삽입홀이 관통형성되며, 스프링지지부가 상기 레버삽입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설치돌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스프링 설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상기 스프링 설치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설치부의 외측에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며 란스걸림돌기가 돌출되는 란스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버부 삽입 시, 상기 란스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란스체결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이형지; 또는
    일측에 설치되며, 타 물건과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클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KR1020190178586A 2019-12-30 2019-12-30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KR102333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86A KR102333473B1 (ko) 2019-12-30 2019-12-30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86A KR102333473B1 (ko) 2019-12-30 2019-12-30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03A KR20210085503A (ko) 2021-07-08
KR102333473B1 true KR102333473B1 (ko) 2021-12-02

Family

ID=7689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86A KR102333473B1 (ko) 2019-12-30 2019-12-30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775A (ja) * 2011-05-09 2012-11-29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充電コネクタ
JP2013533399A (ja) * 2010-05-28 2013-08-22 キーケルト アーゲー 自動車用の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CN208220436U (zh) * 2018-05-22 2018-12-11 深圳华美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充电盖开启机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3399A (ja) * 2010-05-28 2013-08-22 キーケルト アーゲー 自動車用の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JP2012234775A (ja) * 2011-05-09 2012-11-29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充電コネクタ
CN208220436U (zh) * 2018-05-22 2018-12-11 深圳华美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充电盖开启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03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5210B (zh) 充电连接器
US9601862B2 (en) Charge connector
JP3521772B2 (ja) コネクタ
EP2500984A1 (en) Charging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351094B2 (en) Connector
JP6966263B2 (ja) プロテクタ
JP2002324621A (ja) コネクタ
US9263823B2 (en) Lever connector
US9385465B2 (en) Terminal spacer
EP3376609A1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JP4652950B2 (ja) 着脱式車両用アンテナ
KR102333473B1 (ko) 비상 해제 케이블 레버
CN109818189B (zh) 设备用连接器
WO2006033230A1 (ja) リヤカバーの取付構造
JP6574804B2 (ja) 防水部品
JP5606089B2 (ja) コネクタ
KR100922147B1 (ko) 램프홀더조립체
KR102550201B1 (ko) 커넥터
WO2024057954A1 (ja) コネクタ
US6700197B2 (en) Clip-attaching structure
CN107278079B (zh) 一种容置盒翻盖结构及机器人
JP2018195476A (ja) 雌コネクタおよび雌コネクタと雄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20100070833A (ko) 커넥터
WO2024009814A1 (ja) コネクタ
JP4716897B2 (ja) 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