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72B1 -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72B1
KR102333472B1 KR1020190177655A KR20190177655A KR102333472B1 KR 102333472 B1 KR102333472 B1 KR 102333472B1 KR 1020190177655 A KR1020190177655 A KR 1020190177655A KR 20190177655 A KR20190177655 A KR 20190177655A KR 102333472 B1 KR102333472 B1 KR 10233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impact
sensor
valu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039A (ko
Inventor
노진영
김해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충격 센서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각 충격 센서들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는 시점 및 충격값의 크기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실제 충격이 인가되었는지, 또는 차량 방지턱을 통과하거나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이 비충격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이벤트 영상을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제 충격 상황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이벤트 영상 저장을 방지하여 최적의 메모리 공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잦은 이벤트 영상 저장으로 인한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ving event images}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영상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의 상황을 이벤트 영상으로서 저장할 수 있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사고 발생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영상 기록 장치(블랙박스)를 설치하는 차량이 보편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영상 기록 장치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 주요한 기능이 내부에 충격 센서를 포함하여, 충격 센서에 의해서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이 감지될 때의 영상을 별도의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고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기능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 사고와 같이 실제로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가 아닌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충격 센서의 출력값을 기준으로 충격으로 인식(노면 진동, 방지턱, 요철 등)하여 불필요한 이벤트 영상 녹화를 빈번히 수행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불필요한 이벤트 영상 저장이 많아지는 경우, 실제 중요한 이벤트 영상들이 덮어쓰기되어 지워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메모리의 잦은 쓰기 동작으로 인해서 메모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주차중인 차량에서 잦은 이벤트 영상 저장이 실행되면 차량 배터리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비하게 되어 차량 방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사고와 관계된 실제 충격과, 차량의 방지턱 통과 또는 비포장 도로의 주행과 같이 충격 센서로부터 충격에 대응되는 신호가 출력되지만 실제로는 유의미한 충격이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여 이벤트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충격 센서; 상기 복수의 충격 센서들로부터 각각 입력된 충격값을 이용하여, 충격값이 입력된 상황이 실제 충격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실제 충격 이벤트로 판정되면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출력하는 충격 판정부; 및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에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충격 센서는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 및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였다면, 상기 충격 센서 1의 충격값의 변화율,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변화율, 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합의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판정부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단위로 충격값을 누적 합산하고, 이들 간의 변화율을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지 않았다면,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후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고,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충격값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조사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간의 시간차가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및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서라운드 뷰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나타내는 충격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에 포함된 어떤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상기 영상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으로서, (a)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차량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 및 차량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에서 출력된 충격값을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충격 감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격 센서 1의 충격값의 변화율,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변화율, 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합의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b)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촬영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사전에 정의된 시간 단위로 충격값을 누적 합산하고, 이들 간의 변화율을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은, (f)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후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고,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입력된 충격값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b)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촬영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충격 센서 1 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간의 시간차가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및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서라운드 뷰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 및 상기 사운드 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나타내는 충격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 및 상기 사운드 뷰 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충격 센서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각 충격 센서들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는 시점 및 충격값의 크기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실제 충격이 인가되었는지, 또는 차량 방지턱을 통과하거나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이 비충격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이벤트 영상을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제 충격 상황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이벤트 영상 저장을 방지하여 최적의 메모리 공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잦은 이벤트 영상 저장으로 인한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측정된 시간에 따른 충격값의 변화 추이와 변화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이 과속 방지턱과 같은 장애물을 통과할 때의 이벤트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상 저장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100)은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충격 센서들(G1,G2), 충격 판정부(110), 영상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전방 카메라(141) 및 후방 카메라(142)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카메라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내부에 임시 저장부(131) 및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충격 센서들(G1,G2)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충격 센서 1(G1) 및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충격 센서 2(G2)로 구성되고,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는 거리 GD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는 자이로 센서로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는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진동 및 움직임 등)을 측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측정 전압값을 지속적으로 충격 판정부(11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는 자이로 센서로 구현되어 10ms 마다 측정 전압값을 충격 판정부(110)로 출력하는데, 측정 전압값 출력 간격은 센서의 사양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충격 판정부(110)는 충격 센서들(G1,G2)로부터 입력된 측정 전압값을 이용하여, 차량에 이벤트 영상 녹화가 필요한 실제 충격이 가해졌는지, 또는 차량이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거나 비포장 도로를 주행함으로 인해서 실제 충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충격 센서들(G1,G2)로부터 충격에 해당하는 측정값들이 입력되었는지를 판정하고, 실체 충격이라고 판정되면 판정 결과로서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충격 판정부(11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방 카메라(141)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하고, 후방 카메라(142)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하며,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는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영상 제어부(120)는 카메라부(14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메모리부(130)의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하고, 충격 판정부(110)로부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충격 발생 시점에 대응되는 시간에 촬영되어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하고, 영상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시점에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의 기능과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먼저, 차량 주행이 시작되면 전방 카메라(141) 및 후방 카메라(142)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 데이터 및 후방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하고, 영상 제어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의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함으로써, 임시 녹화 및 영상 저장을 수행한다(S210).
아울러, 주행중에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는 차량을 통해서 전해지는 충격(진동)을 감지하여 생성한 측정 전압값(이하, "충격값"으로 칭함)을 충격 판정부(110)로 출력하고, 충격 판정부(110)는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을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충격 감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
충격 판정부(110)에서 판정한 결과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충격 판정부(1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S230 단계 내지 제 S250 단계를 수행하여 차량에 인가된 충격이 사고로 인해서 발생한 실제 충격인지, 또는 과속 방지턱 또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함으로 인해서 발생된 비실제 충격인지를 확인한다.
먼저, 충격 판정부(110)는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에서 모두 임계치 이상의 충격값이 동시에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 센서 1(G1) 및 2는 각각 10ms 단위로 충격값을 출력하고, 본 발명은 100ms 내에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로부터 모두 충격값이 입력되면 충격값이 동시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이러한 시간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S230 단계에서,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로부터 동시에 충격값이 입력되어,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이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였다고 판단되면, 충격 판정부(110)는 충격값 변화율을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충격값 변화율이 임계치를 미만이면 제 S260 단계로 진행하고, 충격값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이면 제 S270 단계로 진행한다(S240).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이 실제 사고로 인한 충격을 인가받은 경우에도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지만, 차량이 비포장 도로(예컨대, 자갈밭 등)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는 동시에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판정부(110)는 이러한 두 가지 경우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번에 입력된 충격값과 이전에 입력된 충격값을 비교하여, 충격값이 급증하여 그 변화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S27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S260 단계로 진행한다.
제 240 단계에서, 충격값 변화율을 구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 단위(예컨대, 500ms 단위)로 누적 합산된 충격 센서 1(G1)과 충격 센서 2(G2)의 충격값을 합산하고, 이들 간의 변화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방식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 는 전체적인 충격값은 크지만 변화율(a1, a2)이 크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이는,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이 비슷한 크기의 충격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이다.
도 3의 (b)는 전체적인 충격값은 작지만, 특정 구간에서 충격값이 갑자기 크게 증가하여 변화율(a3)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는 평평한 도로를 주행하다가 차량의 추돌이나 충돌 등에 의해서 차량에 큰 충격이 전해진 경우이다.
한편, 제 240 단계에서, 계산의 편의를 위해서, 일정한 시간 단위(예컨대, 500ms 단위)로 충격 센서 1(G1) 또는 충격 센서 2(G2)의 충격값을 누적 합산하고, 이들 간의 변화율을 임계치와 비교할 수도 있다.
제 S270 단계에서, 충격 판정부(110)는 센서들이 충격을 감지하여 해당 충격값이 입력되었던 시간에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되었던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하고, 영상 제어부(120)는 요청된 시간의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함으로써 충격 이벤트를 영상을 녹화 저장한다(S270). 이 때, 영상 제어부(120)로 전방 카메라(141) 및 후방 카메라(142)뿐만 아니라,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도 함께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S240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충격값 변화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이, 충격은 감지되지만 일정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차량에 인가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충격 판정부(110)는 충격 이벤트를 미적용하여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하지 않고, 따라서, 임시 저장부(1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하는 것과 같은 충격 이벤트는 적용되지 않는다(S260).
한편, 제 S230 단계에서 조사한 결과,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에서 동시에 충격이 감지되지 않고, 시간차를 두고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로부터 각각 충격값이 입력되는 경우, 충격 판정부(110)는 차량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G1)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후 차량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G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고, 충격 센서 1(G1)로부터 입력된 충격값과 충격 센서 2(G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조사한다(S250). 여기서 오차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이 과속 방지턱과 같은 장애물을 통과할 때의 이벤트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평지를 주항하는 경우에는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 모두 일정한 크기의 충격값을 출력하고, 해당 충격값들은 충격 판정부(110)가 충격으로 인식하는 임계치(EG)를 넘지 못한다.
차량의 주행 중에, 도 4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과속 방지턱을 넘게 되는 경우에,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G1)이 먼저 평지 주행시보다 크고, 충격 임계치를 초과하는 충격값을 충격 판정부(110)로 출력하게 된다. 이 때,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G2)는 차체로부터 충격을 전달받으므로 평지를 주행할 때보다 큰 충격값을 충격 판정부(110)로 출력하지만, 아직 뒷 바퀴가 평지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그 충격값은 충격 센서 1(G1)의 충격값보다는 작다.
그 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바퀴가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고, 뒷 바퀴가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G1)의 충격값은 크게 감소하고,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는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G2)의 충격값은 크게 증가한다.
이렇게, 차량이 과속 방지턱을 모두 통과하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에서 출력되는 충격값은 다시 (a)과 유사한 값으로 출력된다. 상기 제 S250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 조건을 만족한다면, 충격 판정부(110)는 상술한 제 S260 단계로 진행하여 충격 이벤트를 미적용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이는 이유를 알 수 없는 충격이 차량에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므로, 충격 판정부(110)는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영상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영상 제어부(120)는 상술한 S270 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영상을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상 저장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충격 센서들(G1,G2)이 자이로 센서들로 구현되는 경우에, 충격 센서들(G1,G2)은 x축, y축, z축 각각의 벡터값으로서 충격값을 출력할 수 있고, 충격 판정부(110)는 이들 벡터의 합으로 충격 방향 및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S270 단계에서, 충격 판정부(110)가 영상 제어부(120)로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출력할 때,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 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나타내는 충격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서 카메라부(140)에 포함된 어떤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저장할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센서 1(G1) 및 충격 센서 2(G2) 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나타내는 충격 인가 방향이 우측 전방이라면, 충격 판정부(110)는 전방 카메라(141) 및 우측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로부터 입력된 영상만을 저장하도록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인가 방향이 전방 및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나누어서, 충격 인가 방향이 좌측 전방이면 전방 카메라(141) 및 좌측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 우측 전방이면 전방 카메라(141) 및 우측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 좌측 후방이면 후방 카메라(142) 및 좌측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 우측 후방이면 후방 카메라(142) 및 우측 서라운드 뷰 카메라(143)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영상 저장부(133)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G1: 충격 센서 1 G2: 충격 센서 2
100: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110: 충격 판정부 120: 영상 제어부
130: 메모리부 131: 임시 저장부
133: 이벤트 영상 저장부
140 : 카메라부 141: 전방 카메라
142: 후방 카메라 143: 서라운드 뷰 카메라

Claims (12)

  1.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충격 센서;
    상기 복수의 충격 센서들로부터 각각 입력된 충격값을 이용하여, 충격값이 입력된 상황이 실제 충격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실제 충격 이벤트로 판정되면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출력하는 충격 판정부; 및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에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격 센서는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 및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였다면,
    상기 충격 센서 1의 충격값의 변화율,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변화율, 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합의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지 않았다면,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후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고,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충격값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조사하여,
    상기 충격 센서 1 보다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먼저 입력되거나,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입력된 충격값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판정부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단위로 충격값을 누적 합산하고, 이들 간의 변화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간의 시간차가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7. 제 1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및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서라운드 뷰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판정부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나타내는 충격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에 포함된 어떤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저장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이벤트 영상 저장 명령을 상기 영상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8.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으로서,
    (a)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차량 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1 및 차량 후방에 설치된 충격 센서 2에서 출력된 충격값을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충격 감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격 센서 1의 충격값의 변화율,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변화율, 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의 충격값의 합의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변화율이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b)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촬영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f)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가 동시에 충격을 감지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후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되고,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입력된 충격값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및
    (g) 상기 충격 센서 1 보다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먼저 입력되거나, 상기 충격 센서 1로부터 입력된 충격값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사전에 정의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b)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촬영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사전에 정의된 시간 단위로 충격값을 누적 합산하고, 이들 간의 변화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충격 센서 1 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과,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충격값이 입력된 시간간의 시간차가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충격 센서 2에서 동시에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
  12. 제 8 항, 제 9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및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서라운드 뷰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 및 상기 사운드 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충격 센서 1 및 상기 충격 센서 2로부터 입력된 충격값이 나타내는 충격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 및 상기 사운드 뷰 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벤트 영상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저장 방법.
KR1020190177655A 2019-12-30 2019-12-30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33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55A KR102333472B1 (ko) 2019-12-30 2019-12-30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55A KR102333472B1 (ko) 2019-12-30 2019-12-30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39A KR20210085039A (ko) 2021-07-08
KR102333472B1 true KR102333472B1 (ko) 2021-12-02

Family

ID=7689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55A KR102333472B1 (ko) 2019-12-30 2019-12-30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880B1 (ko) * 2023-01-30 2023-07-20 (주)엠큐아이 Cctv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02B1 (ko) * 2008-11-19 2011-01-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의 충격 이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53268B1 (ko) * 2017-12-28 2019-12-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이벤트 판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644A (ko) * 2016-04-25 2017-11-02 해성옵틱스(주) 차량의 주변 정보 감시와 기록을 위한 카메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02B1 (ko) * 2008-11-19 2011-01-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의 충격 이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53268B1 (ko) * 2017-12-28 2019-12-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이벤트 판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39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9942B2 (en) Mobile object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8996199B2 (en) Vehicle accident history recorder
JP4812659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70269188A1 (en) Image correction method for drive recorder, drive recorder, and drive recorder system
KR101526668B1 (ko) 차량의 접촉사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6693357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896135B (zh) 车辆的控制方法、装置、车辆以及存储介质
JP5535665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047538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영상 저장 장치 및 방법
JPH07304473A (ja) 車両周辺画像データ記録装置
KR102333472B1 (ko) 이벤트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
JP2019197378A (ja) 車両検知装置、車両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331328A (zh) 用于记录车辆行车视频的设备和方法
JP5478159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7370446B2 (ja) 車載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279994Y1 (ko) 차량용 블랙 박스
US20220194158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98039A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9246B1 (ko) 가변 임계값을 이용한 이벤트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0996608B1 (ko) 차량용 드라이브 레코더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0486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7280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07083964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2547348B1 (ko) 차량의 주행 영상 기록 방법 및 장치
US20240021026A1 (en) Determining a Location of a Damage Applied to a Park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