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955B1 -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955B1
KR102331955B1 KR1020190163800A KR20190163800A KR102331955B1 KR 102331955 B1 KR102331955 B1 KR 102331955B1 KR 1020190163800 A KR1020190163800 A KR 1020190163800A KR 20190163800 A KR20190163800 A KR 20190163800A KR 102331955 B1 KR102331955 B1 KR 10233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vocal
pair
breathing training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215A (ko
Inventor
김관현
Original Assignee
김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현 filed Critical 김관현
Priority to KR102019016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9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피스의 좌우에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단순 호흡훈련은 물론 입과 구강을 벌려서 발성하거나,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구강을 움직이면서 발성 훈련을 할 수 있는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공기저항 조절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통기홀이 관통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통기홀에서 연통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단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마우스피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좌우측 내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에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저항 조절몸체는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하며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Assistant instrument for vocal breathing training}
본 발명은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피스의 좌우에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단순 호흡훈련은 물론 입과 구강을 벌려서 발성하거나,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구강을 움직이면서 발성 훈련을 할 수 있는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오디션프로그램 음악프로그램 또는 노래를 부를수있는 티비프로그램 노래방등이 많아지면서 노래를 잘 부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아직까지 노래를 배우려면 호흡연습과 발성연습을 해야하는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서 배우지 않고는 한계가 있다. 또한 오랜시간동안 수련 같은 연습을 해야하기 때문에 많은시간이 소요된다.
성대는 베르누이의 효과에의해 서로접촉을 하며 진동하게 되어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데 성대음을 잘 내기위해서는 연습과 수업(레슨)을 받아야만 좋은목소리로 노래를 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인 외에 음성직업전문인(교사,목사,배우,성우,아나운서,상담사 등)과 음성질환자(근긴장성 발성장애, 성대결절, 성대마비, 쉰목소리 등)들이 목소리를 잘내기 위해서 음성치료 등을 받고 있다.
그리고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서 발성연습을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고음을 잘내기 위해서, 또는 피치브레이크(음이탈)이 나지 않기 위해서, 좋은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 큰성량으로 노래를 부르기 위해서, 여러가지 이유로 연습을 한다. 또한 큰소리로 말하는 직업인과 많은 말을 하는 직업인, 음성을 잘못사용해서 생기는 음성질환자 등이 해당이 될 수 있다.
노래를 잘 부르고 싶지만 목(성도)의 좁혀짐으로 인해 고음이 안 올라가고 피치브레이크가 발생하며 목(성도)의 협착으로 인해 목주변이 긴장을 해서 긴장성을 유발시키고 과도한 긴장으로 인해 성대가 자연스럽게 진동이 되지 않아 성량이 적고 또한 큰소리를 낼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성대의 전체면이 붙으면 질량과 부피가 무거워져 고음을 낼 수 없고 피치브레이크 현상이 생긴다. 그리고 호흡의 힘으로 밀어서 소리를 내게 되면 성대는 지치고 더 이상 노래를 부를수 없게 된다.
한편, 시중에는 호흡을 훈련시키는 보조훈련기구들은 많이 나오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발성을 도와줄 만한 훈련기구는 딱히 없기 때문에 호흡훈련은 물론 발성과 노래를 도와주는 발성호흡 훈련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14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06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09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56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57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459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의 좌우에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단순 호흡훈련은 물론 입과 구강을 벌려서 발성하거나,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구강을 움직이면서 발성 훈련을 할 수 있는 호흡훈련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공기저항 조절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는 통기홀이 관통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통기홀에서 연통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단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마우스피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좌우측 내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에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저항 조절몸체는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하며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있어서, 외통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조절홀이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연결관부에 끼워지고 전단부에는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이 외통 내에서 이동하면서 공기조절홀을 막거나 개방하면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있어서, 외통은 상기 연결관부에 끼워지는 결합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에서 2갈래로 나눠지며 공기조절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분기관부로 구성되며, 각 분기관부에는 피스톤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있어서, 탄성체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고정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있어서, 탄성체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삽입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발포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는 마우스피스의 좌우에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단순 호흡훈련은 물론 입과 구강을 벌려서 발성하거나,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구강을 움직이면서 발성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기 시 저항을 만들어 구강 내에서의 공기 압력을 증가시키고 구강과 인두강의 확장으로 성대 진동을 원활하게 하고 후두의 하강으로 성도의 길이가 증가하여 공명현상을 증가시켜 목을 열어줌으로써 발성이나 가창을 할 때 목을 조이는 현상이나 피치 브레이크 현상을 제거시키며 교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과 다른 구조의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과 다른 구조의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후술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과 다른 구조의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10)는 크게 마우스피스(100)와, 상기 마우스피스(100)에 결합되는 공기저항 조절몸체(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00)는 사용자의 입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고무 또는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100)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하도록 후방이 개방된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마우스피스 본체(110)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좌우측 내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구(117)와, 상기 삽입구(117) 내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는 통기홀(112)이 관통 형성된 전면부(111)와, 상기 통기홀(112)에서 연통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관부(113)와, 상기 전면부(111)의 좌우 양단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부(111)는 입술과 앞니 사이에 게재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기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111)의 중앙 영역은 좌우 영역보다 상하로 볼록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호기시(숨을 내뱉거나 발성을 할 때) 바람이 입술과 치아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부(115)는 사용자의 볼과 좌우측 이빨 사이에 게재되는 부분으로서, 삽입구(117)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부(113)는 공기저항 조절몸체(200)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호흡훈련만을 위해 개발된 마우스피스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입에 넣고 물고 있는 상태에서 호흡만 하기 때문에 구강을 움직이면서 해야하는 발성호흡훈련은 할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피스 본체 내부에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마우스피스 본체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도 구강을 열고 발성할 수 있으며, 또한 구강을 움직이면서 발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120)는 입을 벌리거나 오물릴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구(117)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구강 구조나 발성훈련을 위해 수축할 수 있는 상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크기, 모양, 구조의 탄성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1)와, 상기 외피(121) 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122)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122) 사이에 고정설치된 스프링(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피(121)는 수축과 신장이 가능한 탄성을 제공하고 인체에 무해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과 하면은 각각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입을 움직일 때 이빨과의 마찰을 높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20)는 이빨이 벌어졌을 때 윗니와 아랫니의 각도를 고려하여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판(122)은 경사지게 배치되고 복수의 스프링(123)의 길이도 후방에 배치된 것보다 전방에 배치된 스프링(123)이 더 길게 구성된다.
사용자가 입을 벌려 발성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120)는 스프링(123)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벌어지게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입을 오므려 발성을 하고자 하는 경우 윗니와 아랫니 간격이 좁아지면서 스프링이 압축된다.
기존의 호흡훈련용 마우스피스는 마우스피스를 고정하기 위해 이빨로 물고만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입을 더 크게 벌리거나 오물릴 수가 없어 발성 훈련을 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탄성체를 통해 구강을 기존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1)와, 상기 외피(121) 내에 삽입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발포한 발포체(125)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120)를 발포체(125)로 구성하는 경우 상하로 수축, 신장되는 범위를 앞서 설명한 스프링의 경우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포체의 발포 정도, 압축 강도, 밀도, 소재 등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가공할 수도 있고, 발성호흡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를 착용하게 되면 '아,오,우,에,이' 등의 발성을 하기 위해서는 입을 벌려야 하는데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윗치아와 아랫치아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 본체(110)에 탄성체(120)가 설치되기 때문에 입을 많이 벌린 상태에서 발성을 할 수도 있고, 탄성체(120)를 이빨로 가압하면 스프링(123)이 수축하기 때문에 입을 움직여도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공간을 줄여 입을 좁힌 상태에서도 발성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저항 조절몸체(200)는 연결관부에 결합하며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220)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외통(21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조절홀(211)이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연결관부(113)에 끼워지고 전단부에는 상기 피스톤(220)이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20)이 외통(210) 내에서 이동하면서 각 공기조절홀(211)을 막거나 개방하면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발성을 하거나 숨을 내뱉을 때 공기압으로 인해 밀릴 수도 있고, 사용자가 피스톤(220) 끝단에 마련된 손잡이부(221)를 잡고 전후로 움직이면서 공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부(113)에 끼워지는 결합관부(213)와, 상기 결합관부(213)에서 두 갈래로 나눠지며 공기조절홀(211)이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분기관부(214)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분기관부(214)에는 피스톤(220)이 삽입되어 양쪽에서 공기 흡입양 또는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 훈련기구를 사용하면 공기가 상복부와 폐의 압력으로 인해 성대를 통과하여 구강을 지나 훈련기구로 항하게 되는데, 이때 훈련기구의 피스톤이 입구를 막아 공기의 배출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생기는 저항으로 인해 구강에 압력이 증가하고 볼이 팽창하게 되며 이 압력이 인두강과 구강을 넓혀 목(성도)이 좁아지는 걸 강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본래 성문이 닫혀 있으면 성문하압은 생성되고, 성문상압은 입이 열려 있으면 대기압과 같아지게 된다. 하지만 입으로 나가는 공기가 훈련기구의 마우스피스에 의해 저항이 생기면 대기압과 같았던 성문상압이 증가되어 성문하압과 성문상압의 압력의 차이가 줄게 된다. 이 경우 성대의 상연만 진동하고 이로 인해 피치가 높아져 고음을 내기가 쉬워지게 된다. 또한 구강, 인두강이 넓어져 후두의 위치가 낮은 위치로 내려와 성도의 길이가 길어져 공명이 극대화되고 후두도 넓어져 성대가 자연스럽고 무리하지 않게 베르누이의 효과로 진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를 사용할 경우 마우스피스로 구강을 막고 피스톤을 이용해 공기조절홀을 막아 저항을 조절하게 되는데, 공기조절홀을 전부 막은 상태에서는 호기시 폐에서 나와 입으로 나가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해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입(구강)과 볼 팽창되면서 인두강도 넓혀지고 성문상압도 증가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을 조절해서 공기조절홀을 일부 개방하면 일정량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성대음을 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Transglottal Pressure 원리에 의해 두성화에 유용하여 성구전환을 자연스럽게 하고 피치 브레이크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는 목 열기에도 효과가 있다. 호기 시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의해 저항을 만들어 구강 내에서의 공기 압력을 증가시키고 구강과 인두강의 확장으로 성대 진동을 원활하게 하고 후두의 하강으로 성도의 길이가 증가하여 공명현상을 증가시켜 목을 열어줌으로써 발성이나 가창을 할 때 목을 조이는 현상이나 피치 브레이크 현상을 제거시키며 교정해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는 일반적인 마우스피스와 마찬가지로 들숨(흡기)시 저항을 만들어 숨을 들이마시는 호기시 근력을 훈련하게 해주며 횡경막을 운동시키고, 날숨(호기)시에도 저항을 만들어 더 세게 불게하여 공기를 내뱉는 근력을 훈련시켜 폐활량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7과 다른 구조의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는 도 7의 외통과 대비할 때 좌우 한 쌍의 분기관부(214)가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일측에 마련된 분기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조절홀(211)이 형성되고 피스톤(220)이 삽입되지만, 타측에 마련된 분기관부에는 끝단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공기조절홀(211a)가 형성되며 회전체(230)가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공기조절홀(220)을 개폐하고, 상기 회전체(230)는 밀폐부(231)와, 절개된 구조의 개구부(232)가 마련되어 공기조절홀(211a)에 밀폐부(231)가 배치되면 밀폐되고 개구부(232)가 배치되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분기관부(214)를 피스톤과 회전체를 통해 조합함으로써 공기 배출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피스의 연결관부(113)와 상기 연결관부(113)에 삽입되는 결합관부(213)를 타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결합관부(213)가 분기관부(214)보다 작은 직경이 되도록 한다. 이 경우 결합관부(213)의 하단과 분기관부(214)의 하단에는 단턱(217)이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관부(213)를 통해 분기관부(214)로 유입된 사용자의 침이 역류하여 마우스피스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피스의 연결관부(113)를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큰 타원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원형에 비해 입 모양과 비슷해지기 때문에 호흡시 연결관부(113)에 의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발성호흡에 보다 유리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100 : 마우스피스 110 : 마우스피스 본체
111 : 전면부 112 : 통기홀
113 : 연결관부 115 : 측면부
117 : 삽입구 120 : 탄성체
121 : 외피 121a : 미끄럼방지용 돌기
122 : 지지판 123 : 스프링
125 : 발포체
200 : 공기저항 조절몸체 210 : 외통
211 : 공기조절홀 213 : 결합관부
214 : 분기관부 220 : 피스톤
221 : 손잡이부

Claims (5)

  1.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공기저항 조절몸체로 구성되는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통기홀이 관통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통기홀에서 연통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전면부의 좌우 양단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마우스피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좌우측 내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에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저항 조절몸체는,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하며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되,
    상기 외통은 상기 연결관부에 끼워지는 결합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에서 2갈래로 나눠지며 공기조절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분기관부로 구성되며,
    각 분기관부에는 피스톤이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분기관부 내에서 이동하면서 공기조절홀을 막거나 개방하면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고정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삽입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발포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KR1020190163800A 2019-12-10 2019-12-10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KR10233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00A KR102331955B1 (ko) 2019-12-10 2019-12-10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00A KR102331955B1 (ko) 2019-12-10 2019-12-10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15A KR20210073215A (ko) 2021-06-18
KR102331955B1 true KR102331955B1 (ko) 2021-11-26

Family

ID=7662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800A KR102331955B1 (ko) 2019-12-10 2019-12-10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999B1 (ko) 2022-01-13 2022-06-27 김관현 발성 및 호흡 훈련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발성훈련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1885A (en) 1994-12-30 1997-12-30 Hale; Kelly T. Pressure equalizing scuba diver mouthpiece and accessories
JP2007325917A (ja) * 2006-05-09 2007-12-20 Toshiharu Yuda マウスピース
KR101981404B1 (ko) * 2017-12-27 2019-05-22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호흡근 훈련 시스템
CN110152253A (zh) * 2019-05-18 2019-08-23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笛子形状的呼吸功能锻炼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86B1 (ko) 2017-03-15 2019-05-08 홍성태 스마트 호흡 훈련기
KR101995667B1 (ko) 2018-04-05 2019-07-02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치료용 호흡훈련 보조기구
KR101924596B1 (ko) 2018-09-28 2018-12-03 (주)지에이치이노텍 호흡 재활 장치
KR102000660B1 (ko) 2019-05-21 2019-07-16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 재활 운동기기
KR102021096B1 (ko) 2019-07-30 2019-09-11 (주)지에이치이노텍 호흡 재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1885A (en) 1994-12-30 1997-12-30 Hale; Kelly T. Pressure equalizing scuba diver mouthpiece and accessories
JP2007325917A (ja) * 2006-05-09 2007-12-20 Toshiharu Yuda マウスピース
KR101981404B1 (ko) * 2017-12-27 2019-05-22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호흡근 훈련 시스템
CN110152253A (zh) * 2019-05-18 2019-08-23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笛子形状的呼吸功能锻炼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999B1 (ko) 2022-01-13 2022-06-27 김관현 발성 및 호흡 훈련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발성훈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15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er Solutions for singers: Tools for performers and teachers
US20030140925A1 (en) System for conditioning expiratory muscles for an improved respiratory system
KR102331958B1 (ko) 발성호흡훈련용 마우스피스
US10369321B2 (en) Voice therapy and vocal training device
Welch et al. Solo voice
KR102331955B1 (ko)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Dayme The performer's voice: realizing your vocal potential
Davids et al. Vocal technique: A guide to classical and contemporary styles for conductors, teachers, and singers
JP3193835U (ja) 発声補助装置
US20170348504A1 (en) Doctorvox: voice therapy and vocal training device
KR102413999B1 (ko) 발성 및 호흡 훈련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발성훈련방법
CN212998203U (zh) 腹式呼吸发声练习辅助器
CN210674139U (zh) 一种呼吸训练器
JP6521338B2 (ja) 延長吹口およびオカリナ
LeFevre Techniques for maintaining a low larynx and open throat in classical singing
RU2361282C2 (ru) Способ развития и настройки голоса
JP3236342U (ja) 鼻呼吸練習補助器用マウスピース
US2022013925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therapy
CN217220016U (zh) 呼吸训练装置
David Designing a program of vocal hygiene for singers
KR200300833Y1 (ko) 폐활량 증진 기구
TWM613460U (zh) 具氣流調整功能之腹式呼吸發聲練習輔助器
CN210448007U (zh) 一种具有气压指示功能的呼吸功能锻炼用面罩
Leavens The Horn and the Voice: A Study in Comparative Techniques
JPS62116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