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096B1 - 호흡 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호흡 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096B1
KR102021096B1 KR1020190092251A KR20190092251A KR102021096B1 KR 102021096 B1 KR102021096 B1 KR 102021096B1 KR 1020190092251 A KR1020190092251 A KR 1020190092251A KR 20190092251 A KR20190092251 A KR 20190092251A KR 102021096 B1 KR102021096 B1 KR 10202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le
heavy
communication passage
receiv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유홍
Original Assignee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이치이노텍 filed Critical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to KR102019009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6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deflected by the fluid stream, e.g. fl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챔버부와, 상기 수용챔버부의 일측부에 관통되는 제1연통유로부와, 상기 수용챔버부의 상부에 관통되어 외부와 연통되되 상기 수용챔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통유로부와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제2연통유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회전됨에 따라 각 단부가 상기 제1연통유로부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수용챔버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으로부터 복수개소 방사상으로 돌설되되,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로서 구비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흡 재활 장치{apparatus for respiration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호흡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호흡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많은 공해 물질이 배출되고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나 미세 먼지 등으로 인해 폐질환이나 기관지 질환과 같은 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의 수가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흉부 물리 치료, 심리 치료 등과 같은 포괄적인 호흡 재활 치료도 함께 받게 된다. 여기서, 호흡 재활 치료로는 체위 배액 요법, 호흡 운동 등이 있다.
이때, 상기 호흡 운동을 통해 기관지 내의 분비물 제거, 기관지 경직의 완화 및 폐조직의 확장 내지 폐활량 증가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호흡 형태의 개선 및 호흡 조절법을 습득하여 운동 능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일상생활의 수행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호흡 운동은 호기 및 흡기를 통해 양방향의 호흡 양상 교정과 호흡근을 강화시켜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고, 기도내의 분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기침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치료 중의 하나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특별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도 심신의 안정을 위하여 자신의 체질과 환경에 맞는 호흡법을 규칙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호기 호흡 및 이완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호흡 훈련장치를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호흡 훈련장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내지 폐활량 등에 따른 양방향 호흡운동시 사용자의 호흡 근력에 맞게 훈련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호흡 훈련장치는 호흡 근력 운동을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부재가 사용자의 입이 물림되는 마우스피스에 연통된 유로를 막는 경우 호흡 압력을 발생시켜도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호흡 훈련장치는 상술된 이유로 인해 사용편의성 및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8436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챔버부와, 상기 수용챔버부의 일측부에 관통되는 제1연통유로부와, 상기 수용챔버부의 상부에 관통되어 외부와 연통되되 상기 수용챔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통유로부와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제2연통유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회전됨에 따라 각 단부가 상기 제1연통유로부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수용챔버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으로부터 복수개소 방사상으로 돌설되되,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로서 구비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회전날개 단부 사이에 상기 제1연통유로부에 관통된 제1관통공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 간격은 상기 제1관통공의 원주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날개 중 다른 나머지보다 큰 중량으로 구비되어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회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중량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고중량날개는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하부로 배치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고중량날개 및 제2고중량날개와,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상부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중량날개 및 상기 제2고중량날개의 사이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고중량날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수용챔버부와 외부 사이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매개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공기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공기유동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유동조절홀이 관통 형성되며, 공기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조절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블레이드부의 회전날개 각 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연통유로부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호흡기관의 흉벽진동에 의한 호기식 근육 강화운동을 제공하며 휴대가 용이한 컴팩트한 구조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호기운동이 정지될때마다 블레이드부의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중력에 의해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회전날개 단부 사이에 제1연통유로부에 관통된 제1관통공이 배치되는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자동 복원되어 공기 연통흐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므로 호흡재활훈련의 만족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수용챔버부에 연결된 제2연통유로부의 외측단에 외부와의 공기 연통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통해 호흡 압력 및 호흡량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제2연통유로부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량 및 호흡압력을 측정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고정부를 통해 하나의 장치를 호흡 재활 운동, 검사 등의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호환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는 진동 호기식 호흡근 강화운동(Vibr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v-PEP)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100)는 바디부(20), 블레이드부(30), 그리고 공기유동조절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는 상기 바디부(20)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마우스피스(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10)는 상기 바디부(20)의 제1연통유로부(22)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이 물림되어 유해세균에 대한 노출도가 높은 상기 마우스피스(10)가 상기 바디부(20)와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므로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10)는 상기 바디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10)는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10)의 일단부는 사용자가 입에 물기 용이하도록 표준화된 구강의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우스피스(10)는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며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입으로 상기 마우스피스(10)를 물 수 있도록 설계 및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는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부(30)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공간(21a)이 형성되는 수용챔버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챔버부(21)는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부(30)가 삽입 배치되도록 일면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0)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개구된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챔버부(21)와 결합되는 결합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커버(24)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직경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챔버부(21)의 개구된 일면측 내면에도 체결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챔버부(21)와 상기 결합커버(24)가 상호간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커버(24)의 외면에는 상기 수용챔버부(21)와의 나사 결합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그립바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그립바의 사이 부분은 상기 수용공간(21a)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커버(24)는 상기 블레이드부(30)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물론 불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챔버부(21)의 타측 내면에는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축(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축삽입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축삽입홈은 상기 회전축(30a)의 직경을 초과하는 직경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삽입홈은 상기 회전축(30a)에 삽입되어 회전을 매개하는 축연결부재(30b)의 직경에 대응되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커버(24)의 내면에는 상기 제1축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축삽입홈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축(30a) 양단이 상기 제1축삽입홈 및 상기 제2축삽입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일측부에 관통되되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관통공(22a)이 형성되는 제1연통유로부(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연통유로부(22)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내측단이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일측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의 내측단에는 상기 수용공간(21a)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관통공(22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관통공(22a)이 2개소 관통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의 외측단은 상기 마우스피스(10)와 상호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의 외측단측 직경이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의 중앙측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와 결합되는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단부측 직경은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의 외측단측 직경 이상으로 구비되되 실질적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호기 운동을 통해 공기가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관통공(22a)을 경유하여 상기 수용공간(21a)으로 유동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흡기 운동을 통해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21a)에서 상기 제1관통공(22a)을 경유하여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상부에 관통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공(23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와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제2연통유로부(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부라 함은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의 외부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내측단이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내측단에는 상기 수용공간(21a)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통공(23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관통공(23a)이 2개소 관통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관통공(23a)의 내측단 테두리에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부로 연장 돌설되는 밀폐돌출부(2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돌출부(23b)의 돌출 길이는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각 단부와 미세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돌출부(23b)의 단부 및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각 단부,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진동발생부(35) 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어 공기 밀폐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발생부(35)가 상기 제2관통공(23a)을 밀폐시 상기 밀폐돌출부(23b)에 의해 공기 밀폐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공기유동조절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조절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상기 제1연통유로부(22)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23)는 상호간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통유로부(22)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23)가 상호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배치 각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호기 운동을 통해 공기가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관통공(22a)을 경유하여 상기 수용공간(21a)으로 유동된 후 상기 제2관통공(2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흡기 운동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제2관통공(23a)을 경유하여 상기 수용공간(21a) 및 상기 제1관통공(22a)으로 유동되어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수용공간(21a)에 삽입되어 호흡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30a)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축(30a)의 양단부는 상기 제1축삽입홈 및 상기 제2축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축삽입홈에는 링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축연결부재(30b)가 삽입되며, 상기 축연결부재(30b)에 상기 회전축(30a)의 일단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축삽입홈에도 축연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축(30a)이 상기 수용챔버부(21) 및 상기 결합커버(24) 사이에 축 연결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부(30)가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부에서 호흡 운동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30a)으로부터 복수개소 방사상으로 일체로 돌설되되,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로서 구비된다. 이때, 각 회전날개가 상호간 상이한 중량으로 구비되어 무게중심이 편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사상이라 함은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이나 바큇살처럼 뻗어 나간 모양을 의미하되, 뻗어 나간 부분 간의 간격이 균일한 경우와 균일하지 않은 경우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정지라 함은 사용자의 호흡재활운동시 작용하는 호기 압력 발생이 정지될때마다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이 정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회귀라 함은 사용자에 의한 호기압력 작용이 정지됨에 따라 무게중심이 편중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부(30)가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각 회전날개는 호흡 운동에 의한 공기 유동시 전달받는 회전력이 증가되도록 호기 운동시의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30a)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기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최대 직경은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호흡 운동시 발생되는 공기 흐름이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며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30)는 회전됨에 따라 회전날개의 각 단부가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의 제1관통공(22a)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제2관통공(23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즉, 사용자의 호기 압력에 의해 상기 블래이드부(30)가 회전시 회전날개의 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관통공(22a,23a)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하여 진동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진동은 기설정된 주파수로 발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각 단부에는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진동발생부(35)가 일체로 절곡지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동발생부(35)는 각 회전날개의 단부마다 상기 블레이드부(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복수개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35)는 후술되는 고중량날개(32a,32b,32c) 및 중중량날개(33a,33b,33c,33d)에 각각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35)의 외면과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면 사이가 회전을 위해 미세한 소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진동발생부(35)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제1관통공(22a) 전체의 원주방향 길이(n1)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상기 제2관통공(23a) 전체의 원주방향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관통공(22a) 전체 원주방향 길이와 상기 제2관통공(23a) 전체 원주방향 길이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서 도시 및 설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부(30)의 각 회전날개가 회전됨에 따라 각 상기 진동발생부(3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관통공(22a) 또는 상기 제2관통공(23a)에 대향되는 순간 호흡 운동에 의한 공기 유동이 일시적으로 차단된다. 이어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각 회전날개가 관성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공기 유동이 개방된다. 즉, 각 상기 진동발생부(35)가 상기 제1관통공(22a) 또는 상기 제2관통공(23a)에 대향되지 않을 때에는 호흡 운동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부(30)의 각 회전날개에 회전력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시 상기 진동발생부(35)가 상기 제1관통공(22a) 및 상기 제2관통공(23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시적으로 밀폐시킴에 따라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각 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연통유로부(22)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가 호흡기관의 흉벽진동에 의한 호기식 근육 강화운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컴팩트한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편의성 및 휴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호흡기관의 흉벽진동에 의한 호기식 근육 강화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이 상기 제1연통유로부(22)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와 상기 진동발생부(35) 간의 주기적인 개폐에 의한 회전 비접촉식 구조를 통해 발생된다. 따라서, 진동 발생을 위해 접촉되어 마모되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수용챔버부의 내면에 진동발생돌기(미도시)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어 블레이드부의 회전시 각 회전날개의 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회전 접촉식으로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30)의 각 회전날개는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는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 및 보조회전날개(34a,34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회전날개 중 다른 나머지보다 큰 중량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나머지라 함은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 및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 및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는 상호간의 두께 차이를 상이함에 따라 상호간 상이한 무게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중량날개 하나의 무게가 중중량날개 하나의 무게를 초과하여 구비되며, 중중량날개 하나의 무게가 보조회전날개 하나의 무게를 초과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되는 구조라면 상술 및 후술되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고중량날개(32a) 및 제2고중량날개(3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는 상기 회전축(30a)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및 상기 제2고중량날개(32b)의 사이(k)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고중량날개(3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및 상기 제2고중량날개(32b)의 합산 무게가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30)가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될 수 있다.
즉, 회전정지시의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및 상기 제2고중량날개(32b)는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의 하부로 배치되며,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는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의 상부로 배치된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및 상기 제2고중량날개(32b)의 사이(k)가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최하부로 배치되며,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가 최상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 및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는 상기 블레이드부(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무게 중심이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30)는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및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의 사이와, 상기 제2고중량날개(32b) 및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의 사이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는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및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의 사이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중중량날개(33a)와 제3중중량날개(3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중중량날개(33a)가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는 상기 제2고중량날개(32b) 및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의 사이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중중량날개(33b)와 제4중중량날개(3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중중량날개(33b)가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 및 각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의 각 단부에는 상기 진동발생부(35)가 절곡지게 일체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 및 각 상기 중중량날개(33a,33b,33c,33d) 간의 사이 간격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는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상기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제1연통유로부(22)가 자동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는 회전정지시의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다른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제2연통유로부(23)가 자동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 간격(m1)은 상기 제1연통유로부(22)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22a)의 원주방향 길이(n1)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다른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 간격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23a)의 원주방향 길이(n1)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22a) 및 상기 제2관통공(23a)의 원주방향 길이에서 상기 원주방향은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원주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 간격(m1)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이, 상기 제1관통공(22a)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단부 및 상기 제3중중량날개(33c) 단부 사이 간격(m1)은 상기 제1관통공(22a)의 원주방향 길이(n1)를 초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정지시의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22a)이 상기 제1고중량날개(32a) 단부 및 상기 제3중중량날개(33c) 단부 사이에 항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정지시의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제2관통공(23a)이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 단부 및 제2보조회전날개(34b) 단부 사이에 항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는 상기 블레이드부(30)의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회전날개 단부 사이에 상기 제1관통공(22a)이 자동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공기 통로의 막힘이 미연에 방지되어 원활한 공기 유동이 확보되므로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부(30)의 무게중심이 편중됨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운동이 정지될때마다 중력에 의해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자동 복원되어 공기 연통흐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므로 호흡재활훈련의 만족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이때,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는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회전날개 단부 사이에 제1연통유로부(22)에 관통된 제1관통공(22a)이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진동발생부(35)가 상기 제1관통공(22a)을 밀폐한 상태에서 회전정지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10)를 통해 호기 압력을 주입시켜도 상기 블레이드부(30)가 회전되지 않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30)는 회전시 호흡 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 및 각 중중량날개(33a,33b)의 사이에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회전날개 하나의 무게는 상기 고중량날개 하나의 무게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는 상기 제1중중량날개(33a) 및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 사이에 배치되는 제1보조회전날개(3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는 상기 제2중중량날개(33b) 및 상기 제3고중량날개(32c)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보조회전날개(3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회전날개(34a,34b)의 단부는 상기 진동발생부(35)와 수직, 즉 원주방향이 아닌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중량날개(32a,32b,32c)에 의해 무게중심이 편중된 상기 블레이드부(30)에 중력에 의해 상기 수용챔버부(21)의 상부측으로 회귀되는 위치에 상기 보조회전날개(34a,3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부(30)의 회전시 사용자에 의한 호기 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사용감이 개선되며 연속적이며 부드러운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캡부(40), 그리고 회전조절부(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캡부(40)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공기유동홀(4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부(4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40)의 직경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직경을 초과하되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캡부(40)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4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이 상기 캡부(4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홀(41)은 상기 캡부(4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a), 상기 제1관통공(22a) 및 상기 제2관통공(23a)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홀(41)은 상기 캡부(40)의 타측 반경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부(50)는 상기 캡부(40)의 타측, 즉 상기 캡부(40)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공기유동홀(4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유동조절홀(5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절부(5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캡부(40)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조절부(50)의 직경은 상기 캡부(40)의 직경을 초과하되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절부(50)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캡부(4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조절부(5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캡부(40)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캡부(40)의 외측단이 상기 회전조절부(5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조절홀(51)은 상기 회전조절부(5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a), 상기 제1관통공(22a), 상기 제2관통공(23a) 및 상기 공기유동홀(41)과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동조절홀(51)은 상기 공기유동홀(4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부(50)는 호흡 운동시 공기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회전조절부(50)를 회전시켜 상기 공기유동홀(41)과 상기 유동조절홀(51) 간의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호흡 압력 및 호흡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외부와의 공기 연통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통해 호흡 압력 및 호흡량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조절부(50)가 상기 캡부(40)를 커버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 외측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캡부(40) 및 상기 회전조절부(50) 사이에 스토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부(330) 및 공기유동조절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400)는 마우스피스(10), 바디부(20), 블레이드부(330), 그리고 공기유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부(33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된 제2중중량날개(33b)가 제2실시예의 편중날개(333b)로 대체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각 회전날개는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회전날개는 고중량날개(32a,32b,32c), 중중량날개(33a,33c,33d), 보조회전날개(34a,34b), 및 편중날개(333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각 고중량날개와 각 중중량날개가 상호간 동일한 두께 및 무게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편중날개(333b)는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회전축(30a)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편중날개(333b)는 회귀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보조회전날개(34b) 및 제4중중량날개(33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중날개(333b)의 반경은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다른 나머지 회전날개들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편중날개(333b)는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다른 나머지 회전날개들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중날개(333b)의 단부는 진동발생부(35)와 수직, 즉 원주방향이 아닌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중날개(333b)의 단부와 제2관통유로부(23)의 제2관통공(23a)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무게중심에 의한 회귀시 상기 편중날개(333b)의 단부가 상기 제2관통공(23a)를 밀폐한 상태로 정지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편중날개(333b)가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부(330)의 전체 무게중심에 의해 회전정지시 기설정된 배치상태인 항상 동일한 위치로 회귀되어 각 회전날개에 의한 제1관통공(22a) 및 제2관통공(23a)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캡부(340), 회전조절부(350), 경사조절부(360), 그리고 조절베이스부(3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캡부(340)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공기유동홀(34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부(34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340)의 직경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34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이 상기 캡부(34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홀(341)은 상기 캡부(34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a), 상기 제1관통공(22a) 및 상기 제2관통공(23a)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홀(341)은 상기 캡부(340)의 타측 반경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부(350)는 상기 캡부(340)의 타측, 즉 상기 캡부(340)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공기유동홀(34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유동조절홀(35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절부(35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캡부(340)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조절부(350)의 직경은 상기 캡부(340)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부(350)의 내측단 테두리는 끼움 결합시 상기 캡부(340)의 외주에 단턱지게 형성된 단턱부(34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조절부(35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캡부(340)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캡부(340)의 외측단이 상기 회전조절부(35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조절홀(351)은 상기 회전조절부(35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a), 상기 제1관통공(22a), 상기 제2관통공(23a) 및 상기 공기유동홀(341)과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동조절홀(351)은 상기 공기유동홀(341)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부(350)는 호흡 운동시 공기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회전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회전조절부(350)를 회전시켜 상기 공기유동홀(341)과 상기 유동조절홀(351) 간의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호흡 압력 및 호흡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내측단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조절부(160)가 배치되는 상기 조절베이스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베이스부(370)는 중앙부 및 외측단측 직경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베이스부(150)는 내측단측 직경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340)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및 상기 조절베이스부(370)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절베이스부(370)는 상기 캡부(340)의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340) 및 상기 회전조절부(350)에 의해 상기 조절베이스부(370) 및 상기 경사조절부(360)의 이탈이 방지되며 외관상 노출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베이스부(370)의 내주에는 일측에 개구홀(373)이 관통 형성된 구획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내주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371)에 의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구획되되 상기 개구홀(373)을 통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베이스부(370)에는 후술되는 조절중심축(361)이 삽입되도록 상기 구획부(371)의 위치보다 상측에 축연결부(37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371) 및 상기 축연결부(372)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연결부(372)는 상기 조절중심축(361)을 회동식으로 고정하도록 홈, 홀, 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베이스부(370)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매개하는 상기 경사조절부(3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경사조절부(360)가 상기 조절베이스부(37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상기 조절베이스부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경사조절부가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조절부(360)는 상기 구획부(371)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구홀(37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호흡 운동시 공기 압력이 조절되도록 레버로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조절부(360)에는 상기 축연결부(372)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폭방향 양측에 조절중심축(361)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373)에 대향되는 단부측에 개폐돌기(362)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조절부(360)는 상기 캡부(340) 및 상기 회전조절부(35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관상 노출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제2관통공(23a)이 각 상기 진동발생부(35)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돌기(362) 및 상기 개구홀(373) 간의 개폐 반복에 의해 공기 압력 및 진동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때, 호흡근 운동을 위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블레이드부(330)에 의해 1차로 발생됨과 더불어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를 통해 2차로 이중으로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돌기(362)가 상기 개구홀(373)을 주기적으로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함에 따라 진동이 2차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외부와의 공기 연통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통해 호흡 압력 및 호흡량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공기유동조절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200)는 마우스피스(10), 바디부(20), 블레이드부(30), 그리고 공기유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캡부(140), 조절베이스부(150), 그리고 경사조절부(1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캡부(140)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공기유동홀(14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부(140)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140)의 직경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직경을 초과하되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캡부(140)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140)의 개구된 일측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이 상기 캡부(140)의 타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홀(141)은 상기 캡부(14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a), 상기 제1관통공(22a) 및 상기 제2관통공(23a)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홀(141)은 상기 캡부(140)의 타측 반경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경사조절부(160)와 후술되는 회전그립부(162)가 축 연결되도록 관통홀(1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내측단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경사조절부(160)가 배치되는 상기 조절베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베이스부(150)는 중앙부 및 외측단측 직경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베이스부(150)는 내측단측 직경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직경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안착되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및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외면 프로파일이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140)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및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절베이스부(150)는 상기 캡부(140)의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캡부(140)에 의해 상기 조절베이스부(150) 및 상기 경사조절부(160)의 이탈이 방지되며 외관상 노출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내면 일측에는 후술되는 경사스토퍼(161b)와 선택적으로 면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접촉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경사접촉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내면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조절중심축(161a)이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홀(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축연결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연결부(152)는 상기 조절중심축(161a)을 회동식으로 연결하도록 홈, 홀, 축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챔버부(21)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매개하는 상기 경사조절부(1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경사조절부(160)가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상기 조절베이스부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경사조절부가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조절부(160)는 조절밸브(161), 그리고 상기 회전그립부(1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절밸브(161)는 상기 축연결부(152)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조절중심축(16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밸브(161)는 일단에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또는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경사접촉부(151)에 선택적으로 면접촉되어 걸림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스토퍼(161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조절밸브(161)가 상기 회전그립부(162)에 의해 일체로 회전시 상기 경사스토퍼(161b) 및 상기 경사접촉부(151)가 상호 면접촉되면 상기 조절밸브(161)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호흡 운동에 의한 공기 연통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밸브(161)는 타단은 호흡 운동에 의한 공기 연통이 개폐되도록 상기 제2연통유로부(23) 또는 상기 조절베이스부(150)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그립부(162)는 상기 조절밸브(161)의 경사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중심축(161a)에 연결되되 외부에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그립부(162)는 상기 캡부(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42)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그립부(162)에 축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회전그립부(162)를 회전시켜 상기 조절밸브(161)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호흡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조절밸브(161)가 진동될 수 있다. 즉, 호흡근 운동을 위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블레이드부(30)에 의해 1차로 발생됨과 더불어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를 통해 2차로 이중으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외부와의 공기 연통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통해 호흡 압력 및 호흡량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공기유동조절부가 제외되는 구성과, 연결고정부의 구성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300)는 마우스피스(10), 바디부(20), 블레이드부(30), 그리고 연결고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정부(270)는 일측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량 및 호흡압력을 측정하는 호흡 모니터링 장치(1)와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고정부(270)는 연결몸체(271), 밀폐커버(272), 사류팬(274), 그리고 편심날개(275)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몸체(27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밀폐커버(272)가 착탈식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271)의 외측에는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와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결합가이더(27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271)에는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연통홀부(271a)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호흡 재활 장치(300)의 내부와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272)는 상기 연결몸체(271)에 타측을 선택적으로 밀폐 커버하도록 착탈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272)가 상기 연결몸체(271)의 타측을 밀폐 커버하면 사용자의 호기 운동에 의한 공기가 상기 연통홀부(271a)를 통해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호기 운동시 공기가 상기 마우스피스(10)의 내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a)과 상기 연결몸체(271)의 내부를 거쳐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 내부의 호흡 압력 및 호흡량 측정센서(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몸체(271)의 일측 내부에는 공기 유동시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사류팬(27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류팬(274)의 회전중심에 축 연결되어 상기 연통홀부(271a)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편심날개(27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편심날개(275)는 상기 사류팬(274)의 회전중심에 연결축(275a)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류팬(274)이 회전됨에 따라 연동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호기 운동시 상기 사류팬(274)이 연동 회전됨에 따라 상기 편심날개(275)가 회전되어 상기 연통홀부(271a)로 유동되는 공기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271)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밀폐커버(272)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 커버되는 토출유로부(27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23)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량 및 호흡압력을 측정하는 상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1)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기 연결고정부(270)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호흡 재활 운동, 검사 등의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호흡 재활 장치(300)의 호환범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300,400: 호흡 재활 장치 10: 마우스피스
20: 바디부 21: 수용챔버부
22: 제1연통유로부 23: 제2연통유로부
30,330: 블레이드부 35: 진동발생부
40,140,340: 캡부 50,350: 회전조절부
150,370: 조절베이스부 160,360: 경사조절부
270: 연결고정부

Claims (5)

  1.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챔버부와, 상기 수용챔버부의 일측부에 관통되는 제1연통유로부와, 상기 수용챔버부의 상부에 관통되어 외부와 연통되되 상기 수용챔버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통유로부와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제2연통유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회전됨에 따라 각 단부가 상기 제1연통유로부 및 상기 제2연통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호흡근 강화운동을 위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수용챔버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으로부터 복수개소 방사상으로 돌설되되,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회귀되도록 무게중심이 편중된 복수개의 회전날개로서 구비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회전날개 단부 사이에 상기 제1연통유로부에 관통된 제1관통공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날개 중 상호 인접한 어느 한쌍의 단부 사이 간격은 상기 제1관통공의 원주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날개 중 다른 나머지보다 큰 중량으로 구비되어 회전정지시 중력에 의해 회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중량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고중량날개는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하부로 배치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고중량날개 및 제2고중량날개와,
    상기 기설정된 배치상태에서 상부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중량날개 및 상기 제2고중량날개의 사이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고중량날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의 압력 및 유동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수용챔버부와 외부 사이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매개하는 공기유동조절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조절부는, 상기 제2연통유로부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공기유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측단을 커버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되 타측에 상기 공기유동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유동조절홀이 관통 형성되며, 공기유동량의 조절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조절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KR1020190092251A 2019-07-30 2019-07-30 호흡 재활 장치 KR10202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51A KR102021096B1 (ko) 2019-07-30 2019-07-30 호흡 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51A KR102021096B1 (ko) 2019-07-30 2019-07-30 호흡 재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096B1 true KR102021096B1 (ko) 2019-09-11

Family

ID=6794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251A KR102021096B1 (ko) 2019-07-30 2019-07-30 호흡 재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09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5341A (zh) * 2020-07-31 2020-11-10 金华职业技术学院 呼吸训练装置和使用方法
CN112206482A (zh) * 2020-10-12 2021-01-12 四川大学华西第四医院 尘肺病人康复锻炼设备
CN112704854A (zh) * 2020-12-22 2021-04-2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便携式呼吸功能锻炼装置
KR20210057585A (ko) * 2019-11-12 2021-05-21 한국기계연구원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
KR20210073214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용 마우스피스
KR20210073215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CN113599643A (zh) * 2021-08-05 2021-11-05 宁波蓝柏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呼吸双用振动排痰器
RU213240U1 (ru) * 2022-03-24 2022-08-31 Тимофей Сергеевич Чехоев Тренажер для дыхательной гимнастики
CN115040842A (zh) * 2022-06-07 2022-09-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京中医疗区 一种儿科呼吸内科肺功能康复理疗器
CN115089935A (zh) * 2022-08-09 2022-09-23 沈娜 一种呼吸内科肺功能康复训练仪
CN115253207A (zh) * 2022-07-30 2022-11-01 徐雄 一种呼吸状态可切换的肺康复护理辅助设备
KR20230018714A (ko) * 2021-07-30 2023-02-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KR20230111826A (ko) * 2022-01-19 2023-07-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파 발생형 회전체가 구비된 호흡기 자극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844B2 (ja) * 1990-11-29 2002-06-04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吸入装置
JP2004275708A (ja) * 2002-10-01 2004-10-07 Yukio Asakura 肺活量増大器具および増大方法
US20120272956A1 (en) * 2011-04-28 2012-11-01 Rusher Michael J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WO2015066562A2 (en) * 2013-10-31 2015-05-07 Knox Medical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spiratory function
US20150265185A1 (en) * 2011-10-17 2015-09-24 Cosmed S.R.L. Antibacterial Filter and Turbine Flowmeter for Tests on Respiratory Functionality
KR101884360B1 (ko) 2016-12-23 2018-08-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844B2 (ja) * 1990-11-29 2002-06-04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吸入装置
JP2004275708A (ja) * 2002-10-01 2004-10-07 Yukio Asakura 肺活量増大器具および増大方法
US20120272956A1 (en) * 2011-04-28 2012-11-01 Rusher Michael J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US20150265185A1 (en) * 2011-10-17 2015-09-24 Cosmed S.R.L. Antibacterial Filter and Turbine Flowmeter for Tests on Respiratory Functionality
WO2015066562A2 (en) * 2013-10-31 2015-05-07 Knox Medical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spiratory function
KR101884360B1 (ko) 2016-12-23 2018-08-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600B1 (ko) * 2019-11-12 2021-11-19 한국기계연구원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
KR20210057585A (ko) * 2019-11-12 2021-05-21 한국기계연구원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
KR20210073214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용 마우스피스
KR20210073215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CN111905341A (zh) * 2020-07-31 2020-11-10 金华职业技术学院 呼吸训练装置和使用方法
CN112206482A (zh) * 2020-10-12 2021-01-12 四川大学华西第四医院 尘肺病人康复锻炼设备
CN112704854A (zh) * 2020-12-22 2021-04-2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便携式呼吸功能锻炼装置
KR20230018714A (ko) * 2021-07-30 2023-02-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KR102619801B1 (ko) * 2021-07-30 2023-12-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CN113599643A (zh) * 2021-08-05 2021-11-05 宁波蓝柏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呼吸双用振动排痰器
CN113599643B (zh) * 2021-08-05 2024-01-02 宁波蓝柏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呼吸双用振动排痰器
KR20230111826A (ko) * 2022-01-19 2023-07-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파 발생형 회전체가 구비된 호흡기 자극장치
KR102666517B1 (ko) * 2022-01-19 2024-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파 발생형 회전체가 구비된 호흡기 자극장치
RU213240U1 (ru) * 2022-03-24 2022-08-31 Тимофей Сергеевич Чехоев Тренажер для дыхательной гимнастики
CN115040842A (zh) * 2022-06-07 2022-09-1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京中医疗区 一种儿科呼吸内科肺功能康复理疗器
CN115253207A (zh) * 2022-07-30 2022-11-01 徐雄 一种呼吸状态可切换的肺康复护理辅助设备
CN115253207B (zh) * 2022-07-30 2024-04-19 徐雄 一种呼吸状态可切换的肺康复护理辅助设备
CN115089935A (zh) * 2022-08-09 2022-09-23 沈娜 一种呼吸内科肺功能康复训练仪
CN115089935B (zh) * 2022-08-09 2023-12-08 沈娜 一种呼吸内科肺功能康复训练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096B1 (ko) 호흡 재활 장치
JP6784797B2 (ja) 呼吸治療装置
JP7411768B2 (ja) 呼吸治療装置
JP7102458B2 (ja) 振動呼気陽圧装置
US20240108832A1 (en) Pressure indicator for an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CN101622036A (zh) 呼吸治疗装置和方法
WO2012058208A1 (en) Adjustable tracheostomy valve
US11247098B2 (en)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212353B1 (ko)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재활운동기기를 이용한 호흡 재활 운동 관리 시스템
GB2448212A (en) PEP device with visual indicator
KR20190087067A (ko) 호흡근 강화 훈련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79913A1 (en) Rotary variable orifice valve
US20230330484A1 (en) Device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AU766388B2 (en) Breathing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the vital capacity
KR101925454B1 (ko) 고빈도 기도압력 발생기
CN220309147U (zh) 一种可自主控制流量的呼吸采样手柄
TW202327533A (zh) 具呼氣氣道正壓閥件之鼻擴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