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801B1 -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801B1
KR102619801B1 KR1020210100576A KR20210100576A KR102619801B1 KR 102619801 B1 KR102619801 B1 KR 102619801B1 KR 1020210100576 A KR1020210100576 A KR 1020210100576A KR 20210100576 A KR20210100576 A KR 20210100576A KR 102619801 B1 KR102619801 B1 KR 102619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onchial
exhaled air
internal space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714A (ko
Inventor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5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carried by the fluid stream, e.g. free floa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6Measuring breath flow using means deflected by the fluid stream, e.g.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using shock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61M2016/0042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in the expiratory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5Bronch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는, 개구를 통해 구강으로부터 호기가 유입되는 제1 관로; 상기 제1 관로와 접선방향으로 연통되는 원판형의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유입된 호기를 상기 내부공간을 통해 선회시키는 하우징; 상기 제1 관로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접선방향으로 연통되되, 호기의 선회방향과 일치되지 않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선회중인 호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관로;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관로로 유입된 호기에 의해 회전하고, 2개 이상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부; 및 상기 날개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이동하며 상기 제2 관로를 통한 일부 호기의 배출을 반복적으로 차단 및 차단해제하는 과정에서의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된 미세충격파를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기관지에 전달하는 작동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DEVICE THAT STIMULATES BRONCHI BY GENERATING MICROSHOCK WAVES}
본 발명은,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호흡작용에 대응하여 생성된 미세충격파가 기관지에 전달되도록 작동하는 기관지 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으로 산업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흡연의 증가, 대기 중 오염물질과 미세먼지의 증가, 지구 환경의 급격한 변화, 누적되는 고령화 문제 등으로 인해 폐질환의 발병률과 사망률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서에 따르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세계 사망 원인의 주요한 질환이고, 지출되는 연간 의료비용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회복될 수 없는 기도 폐색으로 인해 폐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며 호흡이 어려워지는 가장 흔한 폐질환으로, 병증의 진행에 따라 기관지가 점점 좁아져 특히, 호기(呼氣,날숨)시 폐속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방해함으로써 호흡 곤란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호흡 곤란을 수술적 치료에 앞서 호흡과정에서 해소나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호흡 훈련법과 훈련장치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 마스크나 특별한 압력시스템을 이용한 양압호흡법(positive pressure breathing)은, 호흡시 강제로 호흡기 내에 양압을 가하여 폐쇄된 기도와 축소된 폐포를 열어 혈중의 산소분압을 상승시키는 호흡법 내지 치료법으로, PEEP(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breathing 호기종말양압호흡)이나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breathing 지속양압호흡)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양압호흡법은,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일정한 공간에 설치된 압력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장소적 제한으로 인해 상시적인 훈련이나 치료용도로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다만, 근래에는,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호흡 훈련장치 또는 개선장치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07093호(공고일: 2018년 10월11일)의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와 같은 다양한 상용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호기시 진동을 조절하며 체내에 전달하여 기관지 등의 체내에 부착된 객담을 효율적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구조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정확한 사용법의 숙지가 어려워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지고, 사용에 따른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단순 구조에 비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07093호(공고일: 2018년 10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유지관리는 물론, 사용상 편의성이 있고, 사용자의 호흡작용에 대응하여 발생한 미세충격파를 기관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개구를 통해 구강으로부터 호기가 유입되는 제1 관로; 상기 제1 관로와 접선방향으로 연통되는 원판형의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유입된 호기를 상기 내부공간을 통해 선회시키는 하우징; 상기 제1 관로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접선방향으로 연통되되, 호기의 선회방향과 일치되지 않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선회중인 호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관로;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관로로 유입된 호기에 의해 회전하고, 2개 이상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부; 및 상기 날개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이동하며 상기 제2 관로를 통한 일부 호기의 배출을 반복적으로 차단 및 차단해제하는 과정에서의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된 미세충격파를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기관지에 전달하는 작동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2 관로 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갈수록 상기 제2 관로의 직경을 축소하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2 관로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유로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유입된 호기에 대하여 저항하며 회전을 유도하는 2개 이상의 상기 날개; 상기 날개가 방사형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대하여 가변적인 접촉저항이 작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저항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볼은, 원심력의 증대와 관성에 의한 회전 유지를 위해, 세라믹, 금속 또는 고윤활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제작되는 구체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제2항에 따른 어느 하나의 기관지 자극장치에 구비된 상기 제1 관로와, 다른 하나의 기관지 자극장치에 구비된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동시에 호기가 유입되도록, 2개의 상기 기관지 자극장치를 서로 나란하게 병렬배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전달량으로 미세충격파를 기관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합형 기관지 자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으로부터 방출된 호기가 제1 관로와 내부공간을 통해 선회하며 회전부와 회전부 사이의 작동볼을 동시에 회전 및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고, 이어서 내부공간을 회전하는 작동볼이 일부 호기의 배출을 반복적으로 차단 및 차단해제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미세충격파를 제1 관로를 통해 기관지에 일관성 있게 전달하는 작동을 수행함에 따라,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기본적으로 기관지에 대한 자극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객담과 같은 점액질의 배출이 촉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체를 통해 날개와 작동볼의 개수를 증감하거나, 유로조절부나 저항노브 등의 단순 조작을 통해 발생되는 미세충격파의 주기 및 강도, 미세충격파 발생에 요구되는 호기나 흡기량의 정도를 사용자의 증상이나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이 제1,2 관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손쉽게 탈착되는 회전부와 작동볼의 최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고, 사용에 따른 유지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인해 필요한 다양한 센서 등의 부착이나 추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와 격벽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및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도시된 작동볼에 의해 미세충격파가 발생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병합형 기관지 자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와 격벽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및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도시된 작동볼에 의해 미세충격파가 발생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병합형 기관지 자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100)는,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무동력으로 기관지를 충분히 자극하여 객담과 같은 점액질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은 물론, 발생되는 미세충격파(SW)의 주기 및 강도 등을 사용자의 증상이나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조절하고, 유지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을 저비용의 최소화된 구조로 구현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10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로(110), 하우징(120), 제2 관로(130), 회전부(140) 및 작동볼(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관로(110)는, 사용자의 구강으로부터 전달된 호기(呼氣,날숨)에 대한 유입(EXin)이 이루어지는 관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구강이 밀착되는 개구(112) 주변에는 입모양에 대응되는 납작한 형상의 마우스피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로(110)는, 유입(EXin)된 호기가 후술할 하우징(120)의 내측에 구비된 원판형의 내부공간(S)을 따라 자연스럽게 선회할 수 있도록, 원판형의 내부공간(S)과 접선방향(TD1)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사용자의 호기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 대한 선회, 압축, 압축해제 등이 이루어지고, 후술할 회전부(140) 및 작동볼(150)이 내측에 구비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S)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은, 제1 관로(110)와 연통되는 부분과 후술할 제2 관로(130)와 연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된 내부공간(S)은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작동볼(15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원판형의 내부공간(S)은, 제1 관로(110)와 접선방향(TD1)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술한 제1 관로(110)를 통해 유입(EXin)된 호기가 내부공간(S)에서 원활히 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우징(120)의 내부공간(S)에서는, 제1 관로(110)로부터 제공된 호기의 선회, 후술할 회전부(140)의 회전과 작동볼(150)의 이동, 작동볼(150)의 일부 호기에 대한 배출차단 및 차단해제, 이에 따른 미세충격파(SW)의 생성작용 등이 발생하게 된다.
제2 관로(130)는, 상술한 제1 관로(110)를 통해 유입(EXin)되어 하우징(120)의 내부공간(S)을 선회하는 호기가 일정압력 이상으로 압축된 후 외부로 배출(EXout)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관체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 관로(130)는, 내부공간(S)과 연통되어 호기의 배출(EXout)이 가능한 형상이면 충분하므로,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관로(130)는, 제1 관로(110)의 반대편에서 내부공간(S)과 접선방향(TD2)으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되, 적어도 호기가 외부로 배출(EXout)되는 개구(132)의 방향이 호기의 선회방향(EXD)과 일치되지 않는 범위에서 개구(132)를 형성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도 4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의 선회방향(EXD)에 대하여 개구(132)의 방향이 과도하게 꺾여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호기의 선회방향(EXD)에 대하여 제2 관로(130)의 개구방향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거나 일치되지 않은 꺾인 형태로 형성되면, 내부공간(S)을 선회하는 호기는, 제2 관로(130)를 통해 즉각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공간(S)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되며 내부공간(S)과 외기 간에 압력 구배를 형성하게 되어, 제2 관로(130) 주변의 일부 호기를 일정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더 나아가 위와 같은 제2 관로(130)의 작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2 관로(130)의 내측에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S)으로 갈수록 제2 관로(130)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격벽(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관로(130)를 통한 호기의 외부 배출(EXout)은 더욱 억제되어 내부공간(S)의 압력은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되고, 후술할 미세충격파(SW)의 강도가 보다 커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134)에는, 제2 관로(130)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유로조절부(1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조절부(136)는, 사용자의 호기시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는 위와 같은 내부공간(S)의 압력을 호흡량이 다른 사용자에 따라 일정범위에서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격벽(134)의 일측을 상하로 관통한 상태로 제2 관로(130)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축(136a)과, 하우징(120)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된 결합축(136a)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조절노브(136b)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유로조절부(136)로 인해 사용자의 호기시 저항이 일정범위에서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호흡량에 따라 맞춤형으로 단계별 호흡 훈련 내지 호흡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140)는, 상술한 내부공간(S)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관로(110)로 유입(EXin)된 호기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관로(110)를 따라 유입(EXin)된 호기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라면, 전체적 형상, 날개(142)의 형태, 날개(142)의 배치 등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4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4)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형태의 부채꼴 날개(142)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프로펠러 형태의 부재 또는 회전축(144)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축(144)과 나란한 판상의 날개(142)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 임펠러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프로펠러 또는 임펠러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부(140)는, 날개(142), 회전축(144) 및 저항노브(14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날개(142)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1 관로(110)를 통해 유입(EXin)된 호기에 대하여 저항하며 회전을 유도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유동하는 호기에 대하여 각각의 날개(142) 표면이 저항하는 반력을 회전 구동력으로 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때, 날개(142)의 개수는, 요구되는 회전력에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
회전축(144)은, 상술한 날개(142)가 방사형으로 고정되는 중심축을 이루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접촉마찰을 최소화하는 베어링을 매개로 내부공간(S)의 중앙에서 하우징(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저항노브(146)는,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술한 회전축(144)의 일단부에 대하여 가변적인 접촉저항이 작용하도록 작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저항노브(1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과의 나사결합에 의한 상하 승강에 따라 회전축(144)의 일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내측의 저항돌기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44)의 회전 저항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140)의 회전과 이에 따른 작동볼(150)의 회전이 조절됨으로써, 후술할 미세충격파(SW)의 주기 또는 미세충격파(SW) 발생에 요구되는 호기나 흡기량의 정도가 사용자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작동볼(150)은, 날개(142) 사이에 배치되어 상술한 회전부(140)와 함께 내부공간(S)을 회전하며 제2 관로(130)를 통한 일부 호기의 배출(EXout)을 반복적으로 차단하고, 차단해제하는 구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작동볼(150)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 내지 작용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볼(150)은, 도 4a와 같이 사용자의 구강을 통해 호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공간(S)의 날개(142)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볼(15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구강을 통해 제1 관로(110)로 호기가 일정하게 유입(EXin)되면, 호기에 저항하여 회전하는 회전부(140)의 안내에 따라 서서히 회전하며 원심력에 의해 내부공간(S)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로(110)로 유입(EXin)되어 내부공간(S)을 선회하는 호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관로(130)의 구조로 인해 내부공간(S)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되어 제2 관로(130) 주변의 일부 호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볼(150)은, 도 4b에서처럼 회전부(140)의 안내에 의해 내부공간(S)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로(130)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 순간, 이미 일정한 압력 상태의 내부공간(S)을 순간적으로 승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작동볼(150)은, 도 4c의 상태에서 내부공간(S)의 내주면을 따라 연이어 이동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로(130)의 유로를 차단해제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2 관로(130)의 유로에 대한 작동볼(150)의 순간적인 차단에 따라 내부공간(S)에서 고압으로 승압되며 압축된 호기는, 위와 같은 유로의 차단해제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제1 관로(110)를 향해 미세충격파(SW) 형태로 역방출되는 한편, 동시 또는 연이어서 제2 관로(130)를 통해도 호기를 배출(EXout)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작동볼(150)의 일련의 차단 및 차단해제 작동이,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복수의 작동볼(150)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는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호기만으로 일정한 주기의 미세충격파(SW)를 연속적으로 구강, 기관, 기관지 순으로 전달받아 호흡 기관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게 되고, 객담과 같은 점액질의 외부 배출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볼(150)의 개수는, 회전부(140)의 1회 회전시 발생되는 미세충격파(SW)의 회수 내지 생성되는 미세충격파(SW)의 주기에 대응하게 되는데, 날개(142)와 동수로 구비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날개(142)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볼(150)은, 목재 또는 경량의 플라스틱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2 관로(130)에 대한 차단 및 차단해제 작용이 보다 명확히 이루어지고, 원심력의 증대와 관성에 의한 회전 유지를 위해, 경량의 소재가 아닌 세라믹, 금속 또는 고윤활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윤활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내충격성, 내열내한성, 고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POLYCABONATE(폴리카보네이트), 내구성이 금속의 7배에 달하고, 내식성, 절연성, 충격흡수성 및 자기윤활성이 우수한 M/C NYLON(엠씨 나일론), 내수성, 내약품성, 내열성 및 자기 윤활성이 우수한 TEFLON(테프론)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지 자극장치(100)는, 제1 관로(110)를 통해 사용자의 호기(呼氣,날숨)가 유입(EXin)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구강으로부터 발생된 흡기(吸氣,들숨)에 의해 내부공간(S)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는 경우에도 호기와는 반대되는 일련의 작용을 통해 소정의 미세충격파(SW)를 기관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지 자극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병렬배치한 기관지 자극장치(200)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병합형 기관지 자극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기관지 자극장치(100)에 구비된 제1 관로(110)와, 다른 하나의 기관지 자극장치(100)에 구비된 제2 관로(130)를 통해 호기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도록, 2개의 기관지 자극장치(100)를 서로 나란하게 병렬배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구강이 밀착되는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30)의 개구(112,132) 주변에는 입모양에 대응되는 납작한 형상의 마우스피스(210)가 부가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호기 또는 흡기시 각각 서로 다른 전달량으로 기관지 등에 미세충격파(SW)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EXin: 호기의 유입
SW: 미세충격파
EXout: 호기의 배출
TD1: 제1 관로의 접선방향
TD2: 제2 관로의 접선방향
EXD: 호기의 선회방향
100: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110: 제1 관로
112,132: 개구
120: 하우징
S: 내부공간
130: 제2 관로
134: 격벽
136: 유로조절부
136a: 결합축
136b: 조절노브
140: 회전부
142: 날개
144: 회전축
146: 저항노브
150: 작동볼
200: 병합형 기관지 자극장치
210: 마우스피스

Claims (6)

  1. 개구를 통해 구강으로부터 호기가 유입되는 제1 관로; 상기 제1 관로와 접선방향으로 연통되는 원판형의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유입된 호기를 상기 내부공간을 통해 선회시키는 하우징; 상기 제1 관로의 반대편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접선방향으로 연통되되, 호기의 선회방향과 일치되지 않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선회중인 호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관로; 상기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관로로 유입된 호기에 의해 회전하고, 2개 이상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부; 및 상기 날개 사이에서 상기 회전부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이동하며 상기 제2 관로를 통한 일부 호기의 배출을 반복적으로 차단 및 차단해제하는 과정에서의 압력변화에 따라 발생된 미세충격파를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기관지에 전달하는 작동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유입된 호기에 대하여 저항하며 회전을 유도하는 2개 이상의 상기 날개; 상기 날개가 방사형으로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대하여 가변적인 접촉저항이 작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저항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저항노브는,
    상기 하우징과의 나사결합에 의한 상하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내측의 저항돌기를 포함하여,
    교체에 의한 상기 날개 및 상기 작동볼의 개수 증감과, 상기 저항노브의 조작을 통해 미세충격파의 주기 및 강도, 미세충격파 발생에 요구되는 호기나 흡기량의 정도를 사용자의 증상이나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로 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갈수록 상기 제2 관로의 직경을 축소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2 관로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유로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볼은,
    원심력의 증대와 관성에 의한 회전 유지를 위해, 세라믹, 금속 또는 고윤활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제작되는 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6. 제1항에 따른 어느 하나의 기관지 자극장치에 구비된 상기 제1 관로와, 다른 하나의 기관지 자극장치에 구비된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동시에 호기가 유입되도록,
    2개의 상기 기관지 자극장치를 서로 나란하게 병렬배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전달량으로 미세충격파를 기관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합형 기관지 자극장치.
KR1020210100576A 2021-07-30 2021-07-30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KR10261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76A KR102619801B1 (ko) 2021-07-30 2021-07-30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76A KR102619801B1 (ko) 2021-07-30 2021-07-30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14A KR20230018714A (ko) 2023-02-07
KR102619801B1 true KR102619801B1 (ko) 2023-12-29

Family

ID=852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76A KR102619801B1 (ko) 2021-07-30 2021-07-30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8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093B1 (ko) 2018-05-18 2018-10-11 (주)쓰리에스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102000660B1 (ko) 2019-05-21 2019-07-16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 재활 운동기기
KR102021096B1 (ko) * 2019-07-30 2019-09-11 (주)지에이치이노텍 호흡 재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1172A1 (en) * 2015-12-18 2017-06-21 University of Limerick A positive exhalation pressure device
KR102259347B1 (ko) * 2019-05-14 2021-06-01 권범중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093B1 (ko) 2018-05-18 2018-10-11 (주)쓰리에스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102000660B1 (ko) 2019-05-21 2019-07-16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 재활 운동기기
KR102021096B1 (ko) * 2019-07-30 2019-09-11 (주)지에이치이노텍 호흡 재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14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080B2 (en) Oscillating positive respiratory pressure device
US11951253B2 (en) Positive exhalation pressure device
CN102762250B (zh) 用于包括具有夹带端口和/或压力特征的非密封通气界面的无创通气的方法、系统和装置
US6718969B1 (en) Medication dosage inhaler system
JP6153725B2 (ja) 取込みポートおよび/または圧力フィーチャを備える非密封式換気インターフェイスを含む、換気補助システムおよび換気装置
CN101932354B (zh) 高频振荡呼吸治疗装置
EP2666501A1 (en) Inhaler having an inner body with air channel
GB2441584A (en) Breathing device
EP2349422A1 (en) Protocol and methods for pulsating drug delivery
US6739332B1 (en) Inhalers
KR102619801B1 (ko)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IL256761A (en) Device for tracheobronchial-air stimulation
EP1478421B1 (en) Breathing device
KR102212353B1 (ko)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재활운동기기를 이용한 호흡 재활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666517B1 (ko) 충격파 발생형 회전체가 구비된 호흡기 자극장치
CN217661009U (zh) 一种雾化与呼气振动正压结合的排痰装置
KR20230086862A (ko) 호흡기의 상피조직 자극장치
JP2838057B2 (ja) 薬剤吸入器
Matthys Nebulize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CN115920331A (zh) 一种慢阻肺呼吸锻炼辅助装置
PL182867B1 (pl) Urządzenie do kontrolowanego podawania leków, zwłaszcza w postaci aerozolu
PL225116B1 (pl) Zestaw do podawania leku w postaci aerozolu dozowanego z pojemnika pod ciśnieni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