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347B1 -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347B1
KR102259347B1 KR1020190056370A KR20190056370A KR102259347B1 KR 102259347 B1 KR102259347 B1 KR 102259347B1 KR 1020190056370 A KR1020190056370 A KR 1020190056370A KR 20190056370 A KR20190056370 A KR 20190056370A KR 102259347 B1 KR102259347 B1 KR 10225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mask
kit
breath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575A (ko
Inventor
권범중
Original Assignee
권범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범중 filed Critical 권범중
Priority to KR102019005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3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의 일부를 절단하여 생성한 호흡구에 호흡 키트를 장착함으로써, 호기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는, 하나 이상의 커터날(111)이 구비되며, 커터날(111)을 통해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여 마스크(1)의 일부에 호흡구(2)를 생성하는 커터 키트(100); 및 호흡구(2)에 장착되며, 흡기일 때 호흡구(2)를 폐쇄하여 외부공기(3)의 유입을 차단하되, 호기일 때 호흡구(2)의 일부를 개방하여 내부공기(4)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필름(221)이 구비되는 호흡 키트(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Breathing kit for mask with detachable type}
본 발명은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의 일부를 절단하여 생성한 호흡구에 호흡 키트를 장착함으로써, 호기(Expiration)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사는 몽골이나 중국 북부의 황토 지대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고공으로 올라간 미세한 모래 먼지가 상층의 편서풍을 만나 한반도 부근까지 운반되어 서서히 하강하는 현상을 말한다. 미세먼지는 아주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람의 폐포 깊숙이 쌓여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위해 물질이다. 먼지의 입자 지름이 10㎛ 이하면 미세먼지, 25㎛ 이하이면 초미세먼지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에서 매년 황사, 미세먼지 발생일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통계 자료를 보면 그 수치는 3년 만에 약 5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처럼 대기 등 환경 오염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폐질환, 천식, 두통, 아토피, 인슐린 저항성 등 인체에 위해를 끼치며, 특히 노인과 임산부, 태아에게 더욱 위험하다. 미세먼지 농도가 10μg/m3 올라가면, 저체중아 출산 위험이 52 %에서 74 %까지 높아지며, 임신 4~9 개월 사이의 사산 위험도도 80~138 %까지 올라가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외출시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도록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미세먼지 마스크를 착용한다. 미세먼지 마스크는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유입을 막기 위해서 마스크와 안면부를 밀착시키는 소극적인 차단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미세먼지 마스크는 호흡(특히, 호기)에 의해서 콧물, 침 등 수분(습기)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여 마스크가 눅눅해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미세먼지 마스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3120호에는 마스크에 별도의 호흡구가 결합되어, 숨쉬기가 용이하고 쾌적한 호흡구가 형성되는 마스크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마스크는 헬멧과 함께 착용하는 헬멧용 마스크에 적용 분야가 제한되며, 김서림 방지를 위한 호흡구를 이루는 부재의 부피가 커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5676호에는 마스크에 호흡장치인 한 쌍의 흡입팬이 결합되는 방진 마스크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방진 마스크는 호흡장치인 한 쌍의 흡입팬이 상기 선행기술의 방진 마스크에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적을 뿐 아니라, 재사용이 어려워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마스크를 개시하였으나, 선행기술들은 특수한 마스크에만 적용 분야가 제한됨에 따라 저렴한 값으로 가장 많이 시판 및 사용되는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에 적용하기 어려웠으며, 호흡구(호흡장치)의 재사용이 어려움에 따라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3120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56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의 일부를 절단하여 생성한 호흡구에 호흡 키트를 장착함으로써, 호기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호흡 키트가 권장 사용기간이 지난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고, 새로운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호흡 키트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값으로 가장 많이 시판 및 사용 중인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에 적용하며, 재사용이 용이하여 편의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는, 하나 이상의 커터날(111)이 구비되며, 커터날(111)을 통해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여 마스크(1)의 일부에 호흡구(2)를 생성하는 커터 키트(100); 및 호흡구(2)에 장착되며, 흡기일 때 호흡구(2)를 폐쇄하여 외부공기(3)의 유입을 차단하되, 호기일 때 호흡구(2)의 일부를 개방하여 내부공기(4)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필름(221)이 구비되는 호흡 키트(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터 키트(100)는, 커터날(111)이 선단부(112)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중심부(114)에 회전축(113)이 구비되고, 선단부(112)와 중심부(114)를 연결하는 연결부(116)에 의해 고정돌기 인입홈(115)이 복수로 형성되는 커터부(110); 및 커터날(111)이 인입되는 제1 커터날 인입홈(121)이 선단부(122)에 형성되며, 회전축(113)이 인입되는 회전축 인입홈(123)이 선단부(122)와 연결되는 중심부(124)에 형성되고, 고정돌기 인입홈(115)에 인입되는 고정돌기(125)가 중심부(124)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커터 받침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터 키트(100)는, 마스크(1)가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커터날(111)과 회전축(113)이 마스크(1)를 가압하며, 고정돌기(125)가 지지면(5)을 지지할 때, 커터날(111)과 회전축(113)이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제1 커터날 인입홈(121)과 회전축 인입홈(123)에 각각 인입되고, 커터부(110)가 외압에 의해 회전축(113)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커터날(111)이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면서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여 마스크(1)의 일부에 호흡구(2)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터 키트(100)는, 고정돌기(125)가 커터날(111)과 회전축(113)을 향하여 배치된 후에 고정돌기(125)가 고정돌기 인입홈(115)에 인입될 때,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되며, 결합을 통해 커터날(111)과 회전축(113)이 내부에 보관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터 키트(100)는, 고정돌기(125)의 단턱(125a)이 연결부(116)에 걸리게 될 때,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호흡 키트(200)는, 호흡구(2)에 장착되며, 필름(221)의 일부를 지지하여 필름(221)이 외부공기(3)에 의해 호흡구(2)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흡기 차단 지지대(211)가 구비되는 제1 프레임(210); 및 제1 프레임(210)에 장착되며, 필름(221)이 내부에 구비되고, 필름(221)이 내부공기(4)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필름(221)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필름 고정대(223)가 구비되는 제2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210)은, 필름(221)이 외부공기(3)에 의해 호흡구(2)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흡기 차단 지지대(211)가 복수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220)은, 필름(221)이 내부공기(4)에 의해 선단부만 유동되면서 호흡구(2)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필름 고정대(223)가 필름(221)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렴한 값으로 가장 많이 시판 및 사용 중인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에 적용하며, 재사용이 용이하여 편의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마스크의 필터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마스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내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의 내부공기가 전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터부의 내부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터부와 커터 받침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흡기일 때의 호흡 키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호기일 때의 호흡 키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커터 키트를 이용하여 마스크의 일부에 호흡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는 마스크의 일부에 호흡구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호흡구에 도 1에 도시된 제1 프레임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프레임에 도 1에 도시된 제2 프레임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10)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터부의 내부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터부와 커터 받침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흡기일 때의 호흡 키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호기일 때의 호흡 키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10)는 1회용 미세먼지 마스크(1)(이하에서는 '마스크'라 한다.)에 적용되는 키트로서, 커터 키트(100) 및 호흡 키트(200)가 구비된다.
먼저, 커터 키트(100)는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마스크(1)의 일부에 호흡구(2)를 생성하는 커터부(110) 및 커터 받침부(120)가 구비된다.
커터부(110)는 커터날(111), 회전축(113), 고정돌기 인입홈(115), 커터날 수납홈(117) 및 손잡이(119)가 구비된다.
커터날(111)은 선단부(112)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커터날 수납홈(117)의 내부에 수납되며, 마스크(1)의 일부를 가압할 때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하며, 회전축(11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한다. 이러한 커터날(111)은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해 선단부(112)로부터 외부에 노출될 정도로 연장형성되며, 커터날 수납홈(117)이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동일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회전축(113)은 중심부(114)에 구비되되, 커터날(111)이 선단부(112)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113)은 마스크(1)를 가압할 때 커터날(111)과 함께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한다. 그리고 회전축(113)은 커터부(110)에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외압이 가해질 때 커터부(110)가 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축(113)은 상기 회전에 의해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한 커터날(111)이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되도록 하여 마스크(1)의 일부가 커터날(111)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다.
고정돌기 인입홈(115)은 선단부(112)와 중심부(114)를 연결하는 연결부(116)에 의해 복수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 인입홈(115)에는 후술될 커터 받침부(120)의 고정돌기(125)가 인입되며, 상기 인입을 통해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커터날 수납홈(117)은 내부 공간에 커터날(111)이 수납되며, 선단부(112)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터날 수납홈(117)은 커터날(111)이 내부에 수납되되, 커터날(111)의 선단이 선단부(112)로부터 노출될 정도의 깊이를 가진다.
손잡이(119)는 사용자가 파지를 통해 커터부(110)에 외압을 가할 수 있는 파지부를 마련하기 위해 선단부(112)로부터 연장형성된다. 다만, 손잡이(119)는 구성이 생략 가능하며, 사용자는 손잡이(119) 대신 선단부(112)를 파지하여 커터부(110)에 외압을 가할 수도 있다.
커터 받침부(120)는 제1 커터날 인입홈(121), 회전축 인입홈(123), 고정돌기(125) 및 제2 커터날 인입홈(127)이 구비된다.
제1 커터날 인입홈(121)은 선단부(122)의 일측에 형성되며, 커터날(111)이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할 때, 상기 커터날(111)이 내부에 인입된다.
회전축 인입홈(123)은 중심부(124)에 형성되며, 회전축(113)이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하거나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될 때, 상기 회전축(113)이 내부에 인입된다.
고정돌기(125)는 중심부(124)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고정돌기 인입홈(115)이 고정돌기(125)를 향하도록 커터부(110)가 배치될 때, 고정돌기 인입홈(115)에 인입된다. 그리고 고정돌기(125)는 선단부에 단턱(125a)이 구비된다. 이러한 단턱(125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25)가 고정돌기 인입홈(115)에 인입될 때, 연결부(116)에 걸리게 되어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제2 커터날 인입홈(127)은 선단부(122)의 타측에 형성되며,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될 때, 커터날(111)이 내부에 인입된다.
호흡 키트(200)는 상술한 커터 키트(100)가 생성한 호흡구(2)에 장착되는 키트로서,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이 구비된다.
제1 프레임(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구(2)에 장착되며, 흡기 차단 지지대(221)가 구비된다.
흡기 차단 지지대(211)는 제2 프레임(220)에 구비되는 후술될 필름(221)이 외부공기(3)에 의해 호흡구(2)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흡기 차단 지지대(211)는 외부공기(3)로부터 필름(221)을 지지하여 외부공기(3)가 호흡구(2)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더 나아가, 흡기 차단 지지대(211)는 필름(221)이 호흡구(2)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필름(221) 의해 차단되는 외부공기(3)를 제외한 외부공기(3a)는 마스크(1)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제2 프레임(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10)에 장착되며, 필름(221) 및 필름 고정대(223)가 구비된다.
필름(221)은 제2 프레임(220)의 내부에 구비되며, 흡기일 때 호흡구(2)를 폐쇄하여 외부공기(3)가 호흡구(2)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호기일 때 호흡구(2)의 일부를 개방하여 내부공기(4)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필름 고정대(223)는 필름(221)이 내부공기(4)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필름(221)을 지지하여 고정한다. 더 나아가, 필름 고정대(223)는 필름(221)이 내부공기(4)에 의해 선단부만 유동되며, 상기 필름(221) 선단부의 유동에 의해 호흡구(2)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필름(221)의 중심부를 지지할 수 있다.
<사용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10)의 사용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도 1에 커터 키트를 이용하여 마스크의 일부에 호흡구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는 마스크의 일부에 호흡구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호흡구에 도 1에 도시된 제1 프레임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 프레임에 도 1에 도시된 제2 프레임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를 분리하고,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의 사이에 마스크(1)를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터날(111)과 회전축(113)은 마스크(1)를 향하게 배치하며, 고정돌기(125)는 지지면(5)을 지지한다.
그 후, 커터부(11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외압이 가해진다. 이때, 커터날(111)은 마스크의 일부(1a)를 관통하면서 제1 커터날 인입홈(121)에 인입되며, 회전축(113)은 마스크의 일부(1a)를 관통하면서 회전축 인입홈(123)에 인입된다.
그 후, 커터부(110)는 회전축(113)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외압이 가해진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날(111)은 회전축(113)의 회전에 의해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면서 마스크의 일부(1a)를 절단한다. 이때, 마스크의 일부(1a)가 절단된 형상으로 호흡구(2)가 생성된다.
그 후, 커터부(110)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외압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커터날(111)은 제1 커터날 인입홈(121)으로부터 인출되며, 회전축(113)은 회전축 인입홈(123)으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마스크의 일부(1a)는 회전축(113)에 관통된 상태로 마스크(1)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받침부(120)를 마스크(1)와 분리한 후에 제1 프레임(210)을 호흡구(2)에 장착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터부(110)와 커터 받침부(120)는 결합되어 보관될 수 있다.
그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10)에 제2 프레임(220)을 장착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마스크,
1a: 마스크의 일부,
2: 호흡구,
3: 외부공기,
3a: 여과되는 외부공기,
4: 내부공기,
5: 지지면,
10: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100: 커터 키트,
110: 커터부,
111: 커터날,
112: 커터부의 선단부,
113: 회전축,
114: 커터부의 중심부,
115: 고정돌기 인입홈,
116: 커터부의 연결부,
117: 커터날 수납홈,
119: 손잡이,
120: 커터 받침부,
121: 제1 커터날 인입홈,
122: 커터 받침부의 선단부,
123: 회전축 인입홈,
124: 커터 받침부의 중심부,
125: 고정돌기,
125a: 단턱,
127: 제2 커터날 인입홈,
200: 호흡 키트,
210: 제1 프레임,
211: 흡기 차단 지지대,
220: 제2 프레임,
221: 필름,
223: 필름 고정대.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커터날(111)이 구비되며, 상기 커터날(111)을 통해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마스크(1)의 일부에 호흡구(2)를 생성하는 커터 키트(100); 및
    상기 호흡구(2)에 장착되며, 흡기일 때 상기 호흡구(2)를 폐쇄하여 외부공기(3)의 유입을 차단하되, 호기일 때 상기 호흡구(2)의 일부를 개방하여 내부공기(4)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필름(221)이 구비되는 호흡 키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 키트(100)는,
    상기 커터날(111)이 선단부(112)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중심부(114)에 회전축(113)이 구비되고, 상기 선단부(112)와 상기 중심부(114)를 연결하는 연결부(116)에 의해 고정돌기 인입홈(115)이 복수로 형성되는 커터부(110); 및
    상기 커터날(111)이 인입되는 제1 커터날 인입홈(121)이 선단부(122)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13)이 인입되는 회전축 인입홈(123)이 상기 선단부(122)와 연결되는 중심부(124)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 인입홈(115)에 인입되는 고정돌기(125)가 상기 중심부(124)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커터 받침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키트(100)는,
    상기 마스크(1)가 상기 커터부(110)와 상기 커터 받침부(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터날(111)과 상기 회전축(113)이 상기 마스크(1)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돌기(125)가 지지면(5)을 지지할 때, 상기 커터날(111)과 회전축(113)이 상기 마스크(1)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커터날 인입홈(121)과 상기 회전축 인입홈(123)에 각각 인입되고,
    상기 커터부(110)가 외압에 의해 상기 회전축(113)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커터날(111)이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마스크(1)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마스크(1)의 일부에 상기 호흡구(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키트(100)는,
    상기 고정돌기(125)가 상기 커터날(111)과 상기 회전축(113)을 향하여 배치된 후에 상기 고정돌기(125)가 상기 고정돌기 인입홈(115)에 인입될 때, 상기 커터부(110)와 상기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을 통해 상기 커터날(111)과 상기 회전축(113)이 내부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키트(100)는,
    상기 고정돌기(125)의 단턱(125a)이 상기 연결부(116)에 걸리게 될 때, 상기 커터부(110)와 상기 커터 받침부(1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키트(200)는,
    상기 호흡구(2)에 장착되며, 상기 필름(221)의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필름(221)이 상기 외부공기(3)에 의해 상기 호흡구(2)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흡기 차단 지지대(211)가 구비되는 제1 프레임(210); 및
    상기 제1 프레임(210)에 장착되며, 상기 필름(221)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름(221)이 상기 내부공기(4)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필름(221)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필름 고정대(223)가 구비되는 제2 프레임(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상기 필름(221)이 상기 외부공기(3)에 의해 상기 호흡구(2)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흡기 차단 지지대(211)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220)은,
    상기 필름(221)이 상기 내부공기(4)에 의해 선단부만 유동되면서 상기 호흡구(2)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필름 고정대(223)가 상기 필름(221)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KR1020190056370A 2019-05-14 2019-05-14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KR10225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70A KR102259347B1 (ko) 2019-05-14 2019-05-14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70A KR102259347B1 (ko) 2019-05-14 2019-05-14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75A KR20200131575A (ko) 2020-11-24
KR102259347B1 true KR102259347B1 (ko) 2021-06-01

Family

ID=7367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370A KR102259347B1 (ko) 2019-05-14 2019-05-14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01B1 (ko) * 2021-07-30 2023-12-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충격파를 이용한 기관지 자극장치
KR102666517B1 (ko) * 2022-01-19 2024-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파 발생형 회전체가 구비된 호흡기 자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787B1 (ko) 2008-08-20 2011-04-04 (주)파인텍 일체형 날숨막에 의한 배기밸브가 형성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159A (ko) * 2015-06-11 2016-12-21 김경중 흡입 공기 정화용 코 부착체
KR20170114826A (ko) * 2016-04-04 2017-10-16 김영철 필터교체형 방진마스크
KR101873120B1 (ko) 2016-11-24 2018-07-02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호흡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KR200485676Y1 (ko) 2017-06-08 2018-02-07 정진호 방진 마스크
KR20180064337A (ko) * 2018-05-25 2018-06-14 강용미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밀착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787B1 (ko) 2008-08-20 2011-04-04 (주)파인텍 일체형 날숨막에 의한 배기밸브가 형성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75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108B1 (ko) 스마트 마스크
US6584975B1 (en) Respirator mask for filtering breathed air
KR102259347B1 (ko)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KR101720674B1 (ko) 마스크
US20060081249A1 (en) Personal respirator
KR101698933B1 (ko) 팬모터를 구비한 마스크
WO1997030754A1 (en) Exercise filter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CN107115603A (zh) 一种呼气‑吸气隔开的雾霾净化口罩
KR102028050B1 (ko)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WO2021179656A1 (zh) 一种口鼻腔分离式口罩
KR10217702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JP2002345985A (ja) 鼻呼吸マスク
KR20120136235A (ko) 기능성 마스크
KR200492269Y1 (ko)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KR20120102255A (ko) 김서림 방지 테라피 마스크
KR20070083037A (ko) 비강용 여과기
KR20190002556U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20070109460A (ko) 코 필터
KR102248632B1 (ko) 코 호흡기
CN207519667U (zh) 一种呼吸内科门诊用面罩式双层口罩
CN207400374U (zh) 一种兽医防护面罩
KR102448200B1 (ko)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KR200490897Y1 (ko) 미세먼지 제거용 코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