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596B1 - 호흡 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호흡 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596B1
KR101924596B1 KR1020180116087A KR20180116087A KR101924596B1 KR 101924596 B1 KR101924596 B1 KR 101924596B1 KR 1020180116087 A KR1020180116087 A KR 1020180116087A KR 20180116087 A KR20180116087 A KR 20180116087A KR 101924596 B1 KR101924596 B1 KR 10192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housing part
portions
ro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유홍
Original Assignee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이치이노텍 filed Critical (주)지에이치이노텍
Priority to KR102018011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96B1/ko
Priority to US16/605,270 priority patent/US11247098B2/en
Priority to CN201890000558.1U priority patent/CN211097355U/zh
Priority to PCT/KR2018/012464 priority patent/WO202006760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with springs acting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중공형으로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유로가 연통된 하우징결합부와,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로드몸체부를 포함하는 조정로드부; 상기 로드몸체부의 외주에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호흡 압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스토퍼부; 중앙부에 돌설부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돌설부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호흡유로가 형성되며, 호흡시 호흡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개별 가압 이동되는 한 쌍의 가압이동부; 상기 가압이동부 및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로드몸체부의 외곽을 감싸며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돌설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각 상기 가압이동부의 길이방향 외측에 밀착 배치되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를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흡 재활 장치{apparatus for respiration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호흡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호흡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많은 공해 물질이 배출되고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나 미세 먼지 등으로 인해 폐질환이나 기관지 질환과 같은 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의 수가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흉부 물리 치료, 심리 치료 등과 같은 포괄적인 호흡 재활 치료도 함께 받게 된다. 여기서, 호흡 재활 치료로는 체위 배액 요법, 호흡 운동 등이 있다.
이때, 상기 호흡 운동을 통해 기관지 내의 분비물 제거, 기관지 경직의 완화 및 폐조직의 확장 내지 폐활량 증가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호흡 형태의 개선 및 호흡 조절법을 습득하여 운동 능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일상생활의 수행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호흡 운동은 호기 및 흡기를 통해 양방향의 호흡 양상 교정과 호흡근을 강화시켜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고, 기도내의 분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기침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치료 중의 하나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특별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도 심신의 안정을 위하여 자신의 체질과 환경에 맞는 호흡법을 규칙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호흡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호흡 훈련장치를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호흡 훈련장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내지 폐활량 등에 따른 양방향 호흡 운동 시 호기 및 흡기별 훈련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3132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중공형으로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유로가 연통된 하우징결합부와,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로드몸체부를 포함하는 조정로드부; 상기 로드몸체부의 외주에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호흡 압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스토퍼부; 중앙부에 돌설부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돌설부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호흡유로가 형성되며, 호흡시 호흡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개별 가압 이동되는 한 쌍의 가압이동부; 상기 가압이동부 및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로드몸체부의 외곽을 감싸며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돌설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각 상기 가압이동부의 길이방향 외측에 밀착 배치되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호기식 및 흡기식 호흡근 강화운동이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두가지 기능의 호흡 재활 장치가 일체로 구비되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생산단가 절감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호기식 및 흡기식 호흡기기가 개별 구비되던 종래와 달리, 호흡근 강화운동시 마우스피스부의 착탈위치 변경 없이도 호기식 및 흡기식 호흡근 강화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제1하우징부 및 제2하우징부가 개별 회전되면 스토퍼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각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의 세기가 조절됨에 따라 호기 및 흡기 압력 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각 상기 스토퍼부는 외주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로드몸체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개별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폐활량 등을 고려한 호기 및 흡기 압력을 각각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1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2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500)는 하우징부(510), 조정로드부(570), 스토퍼부(543,553), 가압이동부(530,560), 탄성부재(544,554), 다이어프램(533,563)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부(5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중공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부에 양단부가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돌기(511)는 후술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543,553)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함몰부(543a,553a)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의 외주에 형성된 함몰부(543a,553a)에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주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가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511)에 의해 지지되어 원주방향 회전이 방지되며 이동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함몰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한 쌍의 스토퍼부(543,553)에는 상기 함몰홈의 배치 간격 및 형상에 대응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510)의 양단부측에는 단부로 갈수록 단턱지게 반경이 감소되어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단턱부(513a,513b)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510)의 양단부 외경이 상기 하우징부(510)의 중앙측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510)의 양단부측 내부에 상기 단턱부(513a,513b)가 형성되므로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각 상기 가압이동부(530,560)가 상기 하우징부(5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510)는 제1하우징부(510a) 및 제2하우징부(510b)로 분할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제1하우징부(510a) 및 제2하우징부(510b)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는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를 통해 압력 부하가 가변 조절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개별 회전가능하게 하우징결합부(57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 중 어느 하나가 원주방향으로 개별 회전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내주에 배치된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 중 어느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흡 재활 장치(500)는 상기 하우징부(510)의 양단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부(52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는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 중 어느 하나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510) 및 마우스피스부(520) 사이에 상호간 결합을 매개하도록 실리콘부재 등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부(520)가 상기 하우징부(510)와 개별로 구비되어 조립 및 분해 가능하므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세척이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부(520)는 상기 하우징부(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부(520)는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호흡에 의한 공기 유동을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일단부는 사용자가 입에 물기 용이하도록 표준화된 구강의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우스피스부(520)는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며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을 크게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입으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를 물수 있도록 설계 및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로드부(570)는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와, 한 쌍의 로드몸체부(540,55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정로드부(570)는 상기 하우징결합부(571) 및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외경은 양단부에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가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부(51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외주에는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설된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를 잡고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 중 어느 하나를 개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결합부(571)는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간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결합부(571)는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를 구획하며 원주방향 외측으로 테두리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반경방향 외곽부에는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결합부(574a,574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574a,574b)에 대응되어 반경방향 외곽부를 따라 끼움부(512a,51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512a,512b)는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의 반경방향 외곽부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574a,574b)의 반경방향 폭만큼 단차지게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574a,574b)의 내주 또는 외주에 상기 끼움부(512a,512b)가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 및 상기 하우징부(510)가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574a,574b) 및 끼움부(512a,512b)에는 상호간 대향되는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설된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 간의 결합시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착탈되어 상호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와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 사이에는 실리콘부재가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574a,574b) 및 끼움부(512a,512b) 사이에 실리콘부재가 충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와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가 회전 가능하게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와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의 상호간 접촉되는 부분에 실리콘부재가 충진되어 상기 하우징부(510)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외부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결합부(571)와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에 상기 결합부(574a,574b) 및 끼움부(512a,512b)가 형성되지 않고 실리콘부재를 통해 상호간 결합이 매개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가 상호간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결합부(571)가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주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가 상기 하우징부(510)의 길이방향 중앙부측 내주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510) 내주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결합부(571)는 상기 하우징부(51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유로(572)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관통유로(572)를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의 개별 회전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단면이 절곡지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통된 로드고정부(5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내부에 고정홈(573a,573b)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되거나 고정홀(미도시)가 연통되는 로드고정부(57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유로(572)는 상기 로드고정부(573) 및 상기 하우징결합부(571) 내주 사이에 상기 로드고정부(573)를 감싸며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고정부(573) 및 상기 하우징결합부(571) 내주 사이를 매개하도록 상기 로드고정부(573)의 외곽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연결매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테두리에 인접한 반경방향 내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외곽유로(572a)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로드부(570)는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상기 로드몸체부(540,5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의 길이방향 내측에는 상기 고정홈(573a,573b) 또는 고정홀(미도시)에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삽입돌기(541a,54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541a,541b)는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의 개별 회전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홈(573a,573b)의 형상에 대응되어 단면이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삽입돌기(541a,541b)가 상기 고정홈(573a,573b)에 삽입됨에 따라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가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가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의 개별 회전시에도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의 길이방향 내측단에는 각 상기 탄성부재(544,554)가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소 돌설 연장된 연장걸림부(542,552)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연장걸림부(542,552)의 반경 길이는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반경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몸체부(540,550)의 외곽을 감싸며 배치된 각 상기 탄성부재(544,554)가 상기 연장걸림부(542,552)에 걸림되어 길이방향 내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각 상기 연장걸림부(542,552)가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내주 반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반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걸림부(542,552)의 각 단부가 상기 결합부(574a,574b)의 내주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상기 로드몸체부(540,55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원주바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소 연장 돌설된 로드몸체(541,55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로드몸체(541,551)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드몸체(541,551)는 호기 호흡시 발생되는 압력 부하를 변화시키도록 외주에 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로드몸체(5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드몸체(541,551)는 흡기 호흡시 발생되는 압력 부하를 변화시키도록 외주에 상기 제1로드몸체(541)의 나사산 형성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로드몸체(55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몸체(541,551)의 외주 및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주 사이에 배치된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가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가 개별 회전됨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몸체(541,551) 및 상기 연장걸림부(542,552)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각 상기 로드몸체(541,551) 및 각 상기 연장걸림부(542,552)의 사이 공간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부(543,553)는 상기 로드몸체부(540,550)의 외주에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호흡 압력이 선택적으로 개별 조절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543,553)는 링형으로 구비되되 내부 중공측 테두리부가 상기 탄성부재(544,554)의 스프링 내주에 걸림되도록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토퍼부(543,553)의 내주에는 상기 로드몸체(541,551) 외주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상기 제1로드몸체(541) 및 상기 제2로드몸체(551)의 외주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스토퍼부(543)는 상기 제1로드몸체(541)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부(553)는 상기 제2로드몸체(551)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의 외주에는 상기 가이드돌기(511)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551)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543a,55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의 각 상기 함몰(543a,553a)에 각 상기 가이드돌기(511)가 삽입 및 걸림 되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를 개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스토퍼부(543) 및 상기 제2스토퍼부(553)가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부(5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510b)가 개별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부(543,553)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각 상기 탄성부재(544,554)의 탄성복원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흡 재활 장치(500)는 호기 및 흡기 압력 강도를 개별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스토퍼부(543,553)는 외주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로드몸체부(541,55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별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흡 재활 장치(500)는 사용자의 폐활량 등을 고려하여 호기 및 흡기 압력을 각각 조절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543,553)에는 반경방향 외곽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통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543,553)는 링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경방향 내측이 원형 단면으로 함몰된 반원 형상의 'C'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543,553)는 상기 탄성부재(544,554)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44,554)의 스프링 어느 일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부재(544,554)의 외주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543,553)의 반경방향 면적이 최소화되어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시간당 유동량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이동부(530,560)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돌설부(531,561)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돌설부(531,561)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호흡유로(532,56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이동부(530,560)는 링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에는 상기 가압이동부(530,560) 및 상기 돌설부(531,561) 사이를 매개하는 매개연결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설부(531,561)는 중앙부에 관통홀(533a,563a)이 형성된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이 삽입되도록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설부(531,561)는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개별 구비되어 상호간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호흡유로(532,562)는 상기 가압이동부(530,560) 및 상기 돌설부(531,561) 사이에 상기 돌설부(531,561)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소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길이방향 외측에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이 밀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시 공기가 상기 호흡유로(532,562)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이동부(530,560)는 호흡시 호흡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개별 가압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테두리부(534a,564a) 외경은 상기 하우징부(510)의 단부측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테두리부(534a,564a)에는 상기 단턱부(513a,513b)에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걸림고정부(534,564)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각 상기 가압이동부(530,560)가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압시 상기 하우징부(510) 내주 및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테두리부(534a,564a)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세히, 호기 호흡시 제1다이어프램(533)에 의해 흡기유로(532)가 밀폐된 제1가압이동부(530)가 제1탄성부재(54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면 공기가 상기 제1가압이동부(530)의 제1테두리부(534a) 외곽으로 유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534a) 외곽으로 유동된 공기는 호기유로(562)를 통과하여 제2다이어프램(56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흡기 호흡시 상기 제2다이어프램(563)에 의해 상기 호기유로(562)가 밀폐된 제2가압이동부(560)가 제2탄성부재(55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면 공기가 제2테두리부(564) 외곽으로 유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2테두리부(564) 외곽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흡기유로(532)를 통과하여 상기 제1다이어프램(53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사용자의 구내로 흡입된다.
따라서, 호기식 및 흡기식 호흡근 강화운동이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호기 및 흡기의 두가지 기능의 호흡 재활 장치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컴팩트한 구성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생산단가 절감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호흡근 강화운동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착탈위치 변경 없이도 사용자가 호기식 및 흡기식 호흡근 강화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44,554)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압이동부(530,560) 및 상기 스토퍼부(543,553)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로드몸체부(540,550)의 외곽을 감싸며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44,554)는 상기 하우징부(5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543,553)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 탄성복원력의 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시 상기 스토퍼부(543,553)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44,554)의 탄성복원력이 조절되므로 상기 가압이동부(530,560)를 길이방향 내측으로 밀어내는데 요구되는 호흡 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제1자석(미도시)이 상기 스토퍼부의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미도시)과 척력 작용되어 밀어내는 제2자석(미도시)이 상기 가압이동부의 길이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자석(미도시) 및 상기 제2자석(미도시)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부의 가압시 반발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반발복원력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은 상기 돌설부(531,561)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533a,563a)이 형성되며, 각 상기 가압이동부의 길이방향 외측에 각각 밀착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은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의 밀착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의 외경은 상기 호흡유로(532,562)의 길이방향 외측이 커버되도록 상기 가압이동부(530,560)의 테두리부(534a,564a)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의 외경이 상기 테두리부(534a,564a) 외경을 초과하면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에 의해 호흡시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될 우려가 있다. 반면,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의 외경이 상기 테두리부(534a,564a) 외경 미만으로 형성되면 호흡시 발생된 공기가 상기 호흡유로(532,562)를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가압이동부(530,560)가 가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각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의 외경이 상기 테두리부(534a,564a)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에 따라 호흡시 발생된 공기의 유동 경로가 최적화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된다 함은 호기 호흡시 공기가 상기 제1테두리부(534a) 외곽으로 유동 후 상기 호기유로(562)로 통과되며, 흡기 호흡시 공기가 상기 제2테두리부(564) 외곽으로 유동 후 상기 흡기유로(532)로 통과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510)의 양단부 내측에는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이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부(514a,51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514a,514b)는 내주에 상기 돌설부(531,561)가 삽입되도록 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이탈방지부(514a,514b)는 각 상기 다이어프램(533,563)과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호기 호흡시 공기가 상기 호기유로(562)를 통과하여 상기 제2다이어프램(56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외부로 배출시 상기 제2다이어프램(563)이 제2이탈방지부(514b)에 걸림되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흡기 호흡시 공기가 상기 호기유로(532)를 통과하여 상기 제1다이어프램(53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구내로 유입시 상기 제1다이어프램(563)이 제1이탈방지부(514a)에 걸림되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호흡시 공기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이 상기 이탈방지부(514a,514b)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이 상기 단턱부(513a,513b)에 걸림됨에 따라 이탈이 방지되기 위해 상기 다이어프램(533,563)의 외경이 상기 하우징부(510)의 단부측 내경을 미세하게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호흡 재활 장치(500)는 흡기유입부(미도시)와 진동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흡기유입부(미도시) 및 상기 진동볼부(미도시)는 각 상기 가압이동부(530,5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가압이동부(530)가 상기 호흡 재활 장치(500)에서 제거되고, 상기 흡기유입부(미도시) 및 상기 진동볼부(미도시)가 상기 제1가압이동부(530)의 배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흡기유입부(미도시)는 상기 하우징부(510)의 내주에 밀착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유입부(미도시)는 링형으로 구비되어 반경방향 중앙부에 관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유입부(미도시)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되 흡기 호흡에 따른 공기가 유동되도록 제3다이어프램(미도시)에 의해 밀폐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폐유로(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미도시)에 일측이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되,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를 발생시키는 볼(미도시)이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안착테두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진동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테두리부(미도시)는 상기 관통공(미도시)으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경사지게 확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테두리부(미도시)의 경사면 내주에 상기 볼(미도시)이 안착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미도시)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미도시)은 호기 호흡시 공기에 의해 상기 제1탄성부재(544) 및 상기 안착테두리부(미도시)의 경사면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기 호흡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으로부터 상기 관통공(미도시)로 상기 볼(미도시)이 진동되며 공기가 유동되며, 상기 개폐유로(미도시)는 상기 제3다이어프램(미도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흡기 호흡시 상기 볼(미도시)에 의해 상기 관통공(미도시)가 밀폐되며,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제3다이어프램(미도시)이 개방되며 공기가 상기 개폐유로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1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500A)는 피스결합부(621)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500A)는 상술된 일실시예에서 흡기식 호흡근 강화운동(Inspiratory Muscle Train, IMT)을 제공하는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500A)는 길이방향 내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일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부(574a)에 결합되는 피스결합부(62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흡 재활 장치(500A)는 상기 피스결합부(621)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부(52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스결합부(621)는 반경방향 중앙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스결합부(621)는 일측이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길이방향 내측단부에 끼움 결합되되, 타측이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피스결합부(621)의 일측 외경은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길이방향 내측단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결합부(621)의 타측 외경은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스결합부(621)의 일측이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길이방향 내측단의 내주 또는 외주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피스결합부(621)의 타측이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내주 또는 외주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 및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외경이 상이한 경우, 상기 피스결합부(62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결합부(621)는 일측이 상기 마우스피스부(520)의 길이방향 내측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의 제1결합부(574a)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술된 일실시예의 제1하우징부(도 1의 510a) 및 상기 하우징결합부(571)를 상호간 분리하고 상기 마우스피스부(520) 및 상기 피스결합부(621)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기 호흡시 상기 마우스피스부(520), 상기 피스결합부(621) 및 제2하우징부(510b) 내부로 유동된 공기는 호기유로(562)를 통과하여 제2다이어프램(56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흡기 호흡시 상기 제2다이어프램(563)에 의해 상기 호기유로(562)가 밀폐된 제2가압이동부(560)가 제2탄성부재(55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면 공기가 제2테두리부(564) 외곽으로 유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2테두리부(564) 외곽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흡기유로(532)를 통과하여 상기 제1다이어프램(53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사용자의 구내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부(520) 및 상기 피스결합부(621)를 상기 하우징결합부(571)에 결합되기만 하면 흡기식 호흡근 강화운동을 제공하는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2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500B)는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500B)는 상술된 일실시예에서 호기식 호흡근 강화운동(Positive Expiratory Pressure, PEP)을 제공하는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술된 일실시예의 제2하우징부(도 1의 510b) 및 상기 하우징결합부(571)를 상호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기 호흡시 제1다이어프램(533)에 의해 흡기유로(532)가 밀폐된 제1가압이동부(530)가 제1탄성부재(544)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며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면 공기가 상기 제1가압이동부(530)의 제1테두리부(534a) 외곽으로 유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534a) 외곽으로 유동된 공기는 제1하우징부(510a)의 내부를 거쳐 관통유로(572) 및 외곽유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흡기 호흡시 상기 관통유로(572) 및 외곽유로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부(510a)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기유로(532)를 통과하여 상기 제1다이어프램(533)을 길이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사용자의 구내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호기식 호흡근 강화운동을 제공하는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압이동부(230,260) 및 조정로드부(25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200)는 하우징부(210), 마우스피스부(220), 가압이동부(230,260), 조정로드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210)는 제1하우징부(도 1의 510a) 및 제2하우징부(도 1의 510b)로 분할 구비되는 구성과 달리 일체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이동부(230,260)는 제1가압이동부(230)와, 제2제2가압이동부(26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는 상기 하우징부(210) 내부에 배치되되, 내주에 제1관통홀(231)이 형성되는 흡기몸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는 상기 흡기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되 제1다이어프램(233)에 의해 밀폐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흡기유로(2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에는 상기 조정로드부(250)의 로드연장부(252a)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관통홀(2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231)에 상기 로드연장부(252a)가 삽입되되, 상기 제1관통홀(231)의 내경은 상기 로드연장부(252a)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관통홀(231) 및 상기 로드연장부(252a) 사이를 밀폐하되 회전지지하는 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흡기유로(232)는 상기 제1관통홀(231)이 형성된 테두리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소 배치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관통홀(231)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배열되어 길이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흡기 호흡시 상기 하우징부(210)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흡기유로(232)를 거쳐 상기 마우스피스부(22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은 흡기 호흡시 흡기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흡기유로(232)를 개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은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210)에 형성된 단턱에 걸림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단부측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의 외경은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의 테두리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된 단면측에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와 밀착 배치 및 고정되어, 상기 흡기유로(232)가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은 실리콘, 고무 등의 외력 또는 가압 작용시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기 호흡시 흡기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흡기유로(232)가 개방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즉, 호기 호흡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에 상기 흡기유로(232)를 밀폐하여 공기가 유동되지 않는다. 반면, 흡기 호흡이 발생되는 경우 흡기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이 상기 하우징부(210)의 일측방향으로 팽창됨에 따라 공기가 유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다이어프램(233)은 상기 흡기유로(232)를 밀폐하여 호기 호흡시에만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어 공기 유동 흐름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로드부(250)는 로드몸체(251)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기 로드연장부(252a) 및 회전조절부(25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드연장부(252a)는 마우스피스부(220)의 원주방향 회전시 선택적으로 제1스토퍼부(253a)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탄성부재(254a)의 압력 부하가 변화되도록 제1로드몸체(251a)로부터 일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드연장부(252a)는 상기 마우스피스부(22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정로드부(250)는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호흡시 발생되는 압력 부하를 변화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흡 재활 장치(200)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기 로드몸체(251)에 적어도 어느 일측이 삽입되는 스토퍼부(25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흡 재활 장치(200)는 각 상기 스토퍼부(253)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2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정로드부(25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의 나사산 권취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된 상기 로드몸체(25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드몸체(251)는 호기 호흡시 발생되는 압력 부하를 변화시키도록 일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기 제1로드몸체(251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몸체(251)는 상기 제1로드몸체(251a)와 일체로 형성되되 흡기 호흡시 발생되는 압력 부하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로드몸체(251a)의 나사산 형성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로드몸체(251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정로드부(250)는 상기 로드몸체(251)로부터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으로 끝단부가 노출된 상기 회전조절부(25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연장부(252a)는 상기 제1로드몸체(251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마우스피스부(22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부(220)의 길이방향 회전시 선택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부(253a)가 길이방향 이동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254a)의 압력 부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흡 재활 장치(200)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몸체(251)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상기 스토퍼부(25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스토퍼부(253)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상기 제1로드몸체(251a) 및 상기 제2로드몸체(251b)의 외주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부(253a)는 상기 제1로드몸체(251a)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부(253b)는 상기 제2로드몸체(251b)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스토퍼부(253)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상기 함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주에는 각 상기 함몰부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스토퍼부(253)의 각 상기 함몰부가 각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입 및 걸림 되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로드연장부(252a) 및 상기 회전조절부(252b)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로드부(25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253)가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스토퍼부(253)는 상기 조정로드부(250 외주의 나사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드연장부(252a) 상기 회전조절부(252b) 중 어느 하나를 일방향 회전시, 상기 스토퍼부(253)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연장부(252a) 상기 회전조절부(252b) 중 어느 하나를 타방향 회전시, 상기 스토퍼부(253)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호흡 재활 장치(200)는 한 쌍의 상기 탄성부재(2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스토퍼부(253)에는 각 상기 탄성부재(254)를 대면하는 방향으로 각 상기 탄성부재(254)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는 연장돌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탄성부재(254)는 각 상기 스토퍼부(253)에 각각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254a)는 상기 제1스토퍼부(253a)에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제1로드몸체(251a)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254b)는 상기 제2스토퍼부(253b)에 삽입 및 고정되며, 상기 제2로드몸체(251b)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연장부(252a) 및 상기 회전조절부(252b)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253)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254)의 압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탄성 복원력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마우스피스부(220)로부터 호기 호흡이 발생시 발생된 공기가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를 길이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연장부(252a) 및 상기 회전조절부(252b)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에 따라 각 상기 스토퍼부(253)의 위치가 조절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부재(254)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가압이동부(230)를 가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호기 압력의 강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압이동부(260)에는 상기 조정로드부(250)가 관통 삽입되도록 호기몸체의 중앙부에 제2관통홀(26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관통홀(261)에 상기 조정로드부(250)가 삽입되되, 상기 제2관통홀(261)의 내경은 상기 조정로드부(250)의 삽입부분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2관통홀(261) 및 상기 조정로드부(250)의 삽입부분 사이를 밀폐하되 회전지지하는 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호기유로(262)는 상기 제2관통홀(261)이 형성된 테두리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소 배치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관통홀(261)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배열되어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호기 호흡시 상기 하우징부(210)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호기유로(262)를 거쳐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기유로(262)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호기 호흡시 공기가 유동되도록 원호형, 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다이어프램(263)은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호기유로(262)를 개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은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가압이동부(260) 및 상기 단턱부(210a)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의 외경은 상기 테두리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은 상기 호기몸체의 상기 하우징부(210)의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된 단면측에 밀착 배치 및 고정되어, 상기 호기유로(262)가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은 실리콘, 고무 등의 외력 또는 가압 작용시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210)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호기유로(262)가 개방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즉, 흡기 호흡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에 상기 호기유로(262)를 밀폐하여 공기가 유동되지 않으나, 호기 호흡이 발생되는 경우 호기 압력에 의해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이 길이방향 외측으로 팽창됨에 따라 공기가 유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다이어프램(263)은 상기 호기유로(262)를 밀폐하여 호기 호흡시에만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어 공기 유동 흐름이 용이하게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흡 재활 장치(200)는 호기 및 흡기에 관련된 호흡근 강화운동이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호기식 및 흡기식 근육 강화기기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컴팩트한 구성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생산단가 절감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변형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하우징부(310), 제1로드몸체(351a), 제2로드몸체(351b) 및 하우징결합부(37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로드몸체(351a) 및 제2로드몸체(351b)는 상호 분리되어 개별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스토퍼부(353a,353b)는 호기 및 흡기시 발생되는 각각의 압력 부하가 독립적으로 가변되도록 개별적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로드몸체(351a) 및 상기 제2로드몸체(351b)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개별 배치되어 로드연장부(352a)가 회전되면 상기 제1로드몸체(351a)만 회전되어 제1스토퍼부(353a)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회전조절부(352b)가 회전되면 상기 제2로드몸체(351b)만 회전되어 제2스토퍼부(353b)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기 내지 흡기 호흡시 발생되는 각각의 압력 부하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압력 부하로 독립적인 가변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310)는 상기 제1로드몸체(351a) 및 상기 제2로드몸체(351b)가 내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부(310a) 및 제2하우징부(310b)로 분할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부(3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310b)의 상호 대향되는 단부가 양측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3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370)와 상기 제1하우징부(3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310b) 사이의 상호간 결합을 매개하도록 실리콘부재가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부(370)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1하우징부(3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310b)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내부에 각 구성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0,300,500: 호흡 재활 장치 210,310,510: 하우징부
220,520: 마우스피스부 230,260,530,560: 가압이동부
250,570: 조정로드부 370,571: 하우징결합부
540,550: 로드몸체부 533,563: 다이어프램
543,553: 스토퍼부 544,554: 탄성부재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며, 중공형으로 구비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유로가 연통된 하우징결합부와,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로드몸체부를 포함하는 조정로드부;
    상기 로드몸체부의 외주에 결합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호흡 압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스토퍼부;
    중앙부에 돌설부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돌설부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호흡유로가 형성되며, 호흡시 호흡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개별 가압 이동되는 한 쌍의 가압이동부;
    상기 가압이동부 및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상기 로드몸체부의 외곽을 감싸며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돌설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각 상기 가압이동부의 길이방향 외측에 밀착 배치되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에는 각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제1하우징부 및 제2하우징부로 분할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는 각 상기 스토퍼부를 통해 호흡 압력 부하가 가변 조절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개별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결합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단면이 절곡지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로드고정부가 형성되며,
    각 상기 로드몸체부의 길이방향 내측에는 상기 로드고정부에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착탈되되, 상기 제1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개별 회전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로드고정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단면이 절곡지게 형성된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원주바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소 연장 돌설되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몸체와,
    각 상기 로드몸체부의 길이방향 내측단에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돌설 연장된 연장걸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양단부측에는 단부로 갈수록 단턱지게 반경이 감소되도록 단턱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압이동부의 테두리부 외경은 상기 가압이동부의 가압시 상기 하우징부 내주 및 상기 가압이동부의 테두리부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단부측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가압이동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단턱부에 걸림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경은 상기 호흡유로의 길이방향 외측이 커버되도록 상기 가압이동부의 테두리부 외경에 대응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양단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내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일단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피스결합부와,
    상기 피스결합부의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KR1020180116087A 2018-09-28 2018-09-28 호흡 재활 장치 KR10192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87A KR101924596B1 (ko) 2018-09-28 2018-09-28 호흡 재활 장치
US16/605,270 US11247098B2 (en) 2018-09-28 2018-10-22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CN201890000558.1U CN211097355U (zh) 2018-09-28 2018-10-22 呼吸复苏器
PCT/KR2018/012464 WO2020067600A1 (ko) 2018-09-28 2018-10-22 호흡 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87A KR101924596B1 (ko) 2018-09-28 2018-09-28 호흡 재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96B1 true KR101924596B1 (ko) 2018-12-03

Family

ID=6474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87A KR101924596B1 (ko) 2018-09-28 2018-09-28 호흡 재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47098B2 (ko)
KR (1) KR101924596B1 (ko)
CN (1) CN211097355U (ko)
WO (1) WO20200676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215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KR20210073214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용 마우스피스
CN114210030A (zh) * 2021-12-31 2022-03-22 周口市中医院 一种肺病康复用呼吸训练装置
WO2022149718A1 (ko) * 2021-01-07 2022-07-14 브레싱스 주식회사 호흡 조절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9578B1 (en) * 2017-09-19 2019-03-28 Milton Medical Fidgeting device
CN114191790A (zh) * 2022-01-10 2022-03-18 何文举 一种用于中医呼吸内科肺功能康复理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2956A1 (en) 2011-04-28 2012-11-01 Rusher Michael J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KR101884360B1 (ko) 2016-12-23 2018-08-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2700A (en) * 1920-09-21 1921-10-04 Henry M Oyen Lung-exercising device
US4054134A (en) * 1975-09-15 1977-10-18 Kritzer Richard W Respirators
US4226233A (en) * 1978-10-10 1980-10-07 Longevity Products, Inc. Respirators
JPS5984727A (ja) * 1982-10-29 1984-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ラベル巻付装置
US4770413A (en) * 1987-04-27 1988-09-13 Mba Healthcare Products, Inc. Breathing exercise device
US4854574A (en) * 1988-03-15 1989-08-08 501 Healthscan, Inc. Inspirator muscle trainer
GB9502996D0 (en) * 1995-02-16 1995-04-05 Clement Clarke Int Ventilatory capacity meters
JP3068129U (ja) * 1999-03-08 2000-04-28 俊衛 酒井 腹筋運動器具
US6726598B1 (en) * 1999-06-18 2004-04-27 Powerlung, Inc. Pulmonary exercise device
US6369725B1 (en) * 2000-09-26 2002-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binary to decimal conversion
US6786216B2 (en) * 1999-12-23 2004-09-07 O'rourke Sam Sealed back pressure breathing device
US6510846B1 (en) * 1999-12-23 2003-01-28 O'rourke Sam Sealed back pressure breathing device
US6539939B2 (en) * 2000-12-18 2003-04-01 Darren Rubin Multi-function oral breathing support system
US20170136205A1 (en) * 2011-04-28 2017-05-18 Rusher Medical LLC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s with flutter valve
US20140150801A1 (en) * 2011-04-28 2014-06-05 MichaelJ. Rusher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with flutter valve
US10335635B2 (en) * 2013-07-31 2019-07-02 Berendo Scientific, LLC Head and neck exercise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2956A1 (en) 2011-04-28 2012-11-01 Rusher Michael J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KR101884360B1 (ko) 2016-12-23 2018-08-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215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 보조기구
KR20210073214A (ko) 2019-12-10 2021-06-18 김관현 발성호흡훈련용 마우스피스
WO2022149718A1 (ko) * 2021-01-07 2022-07-14 브레싱스 주식회사 호흡 조절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 조립체
CN114210030A (zh) * 2021-12-31 2022-03-22 周口市中医院 一种肺病康复用呼吸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7600A1 (ko) 2020-04-02
CN211097355U (zh) 2020-07-28
US11247098B2 (en) 2022-02-15
US20210331035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96B1 (ko) 호흡 재활 장치
US11865254B2 (en)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US11376387B2 (en) Nasal interface apparatus and systems for use with a respiratory assist device
JP2022093725A (ja) 振動呼気陽圧装置
US9649460B2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10314991B2 (en) Breat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200205837A1 (en) Passive nasal peep devices
US8678005B2 (en) Adjustable tracheostomy valve
US20130184602A1 (en) Ventilation Mask with Integrated Piloted Exhalation Valve
US201600302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breathing modulation
US20150231443A1 (en) Pulmonary system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5937857A (en) Backpressure-modulating cartridge for breathing mask
KR102003899B1 (ko) 호흡 재활 장치
ZA200808724B (en) Respiratory device and methods of use
US10828459B2 (en) Breath powered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WO2014138125A1 (en) Ventilation mask with integrated piloted exhalation valve
CN113474031A (zh) 用于呼吸辅助装置的鼻接口装置和系统
TWI577403B (zh) 口呼吸器
WO2023130746A1 (zh) 具有呼气气道正压阀件的鼻扩张器
CN110787426B (zh) 呼吸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