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899B1 - 호흡 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호흡 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899B1
KR102003899B1 KR1020170184136A KR20170184136A KR102003899B1 KR 102003899 B1 KR102003899 B1 KR 102003899B1 KR 1020170184136 A KR1020170184136 A KR 1020170184136A KR 20170184136 A KR20170184136 A KR 20170184136A KR 102003899 B1 KR102003899 B1 KR 102003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ibration
flow path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530A (ko
Inventor
이치승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18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9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700 priority patent/WO2019132530A1/ko
Publication of KR2019008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사용자의 호기 호흡시 발생되는 반발부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호기 호흡에 의한 공기가 일단부를 통해 타단부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되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를 발생시키는 진동볼부가 테두리에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유로개폐부; 및 상기 유로개폐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부에 형성된 배출유로의 내부에 상기 진동볼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개폐유로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로에 유동되도록 호기배출부가 형성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진동가이더부를 포함하는 부하조절부를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흡 재활 장치{apparatus for respiration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호흡 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호기 호흡시 발생되는 반발부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호흡 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많은 공해 물질이 배출되고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나 미세 먼지 등으로 인해 폐질환이나 기관지 질환과 같은 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의 수가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흉부 물리 치료, 심리 치료 등과 같은 포괄적인 호흡 재활 치료도 함께 받게 된다. 여기서, 호흡 재활 치료로는 체위 배액 요법, 호기 호흡 및 이완 운동 등이 있다.
이때, 상기 호기 호흡 및 이완 운동을 통해 기관지 내의 분비물 제거, 기관지 경직의 완화 및 폐조직의 확장 내지 폐활량 증가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호흡 형태의 개선 및 호흡 조절법을 습득하여 운동 능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일상생활의 수행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호기 호흡 및 이완 운동은 호기 호흡을 통해 호흡 양상의 교정과 호흡근을 강화시켜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고, 기도내의 분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기침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치료 중의 하나이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특별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도 심신의 안정을 위하여 자신의 체질과 환경에 맞는 호흡법을 규칙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호기 호흡 및 이완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호흡 훈련장치를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호흡 훈련장치에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내지 폐활량 등에 따라 호기 호흡시 작용하는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이용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3132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기 호흡시 발생되는 반발부하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기 호흡에 의한 공기가 일단부를 통해 타단부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되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를 발생시키는 진동볼부가 테두리에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유로개폐부; 및 상기 유로개폐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부에 형성된 배출유로의 내부에 상기 진동볼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개폐유로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로에 유동되도록 호기배출부가 형성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진동가이더부를 포함하는 부하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기배출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면에 관통 형성된 진동유도홀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분산연통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진동가이더부의 개구된 일단부 테두리에 외곽부가 밀착되며, 일면에 상기 진동볼부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진동접촉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진동가이더부는 일단부의 테두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형성된 연통공간 및 상기 배출유로가 상호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타측을 커버하는 타단부에 구비된 체결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유로 및 상기 다이어프램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진동가이더부의 선택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체결홀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핸들부를 포함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호기 호흡에 의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와 연통되는 개폐유로가 진동볼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가 발생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극복함으로써 호흡기관의 근육이 강하게 긴장되어 호흡기 질환에 의해 약화된 호흡기관의 근육이 강화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진동볼부는 상기 개폐유로와, 상기 진동볼부와 대향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사이를 왕복 운동하여 상기 개폐유로를 반복 개폐하므로 상기 진동볼부에 이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도 반발부하가 발생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진동가이더부는 조절핸들부의 회전 조작에 대응하여 다이어프램 및 개폐유로 사이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이동되어 개폐유로의 반복 개폐 주기가 설정되므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폐활량 등을 고려한 반발부하의 가변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진동볼부의 반동에 의한 반발부하를 극복하는 방법 이외에도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작용하는 반발부하를 극복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호흡기 재활 훈련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훈련 방법을 통해 호흡기 재활 훈련에 대한 사용자의 재미가 배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에서 흡기 호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에서 호기 호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에서 진동가이더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에서 흡기 호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에서 호기 호흡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에서 진동가이더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100)는 바디부(10), 유로개폐부(20) 그리고 부하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양단부가 개구된 공기유로(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11)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호기 호흡에 의한 공기가 일단부를 통해 타단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10a)에는 사용자가 입에 물기 용이하도록 마우스피스(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40)는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10a)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10a)로부터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마우스피스(40)를 입에 물고 있는 상태에서도 연속적으로 흡기 내지 호기 호흡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우스피스(40)를 통해 상기 공기유로(11)의 내부를 향해 공기 유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는 일단부(10a)로부터 절곡되어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진동볼부(23)가 평상시 자중에 의해 후술되는 안착실링부(22)를 폐쇄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일측 외면에는 상기 공기유로(11)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흡입홀(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흡입홀(12)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공기유로(11)의 내면에 장착되는 배출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방지부는 사용자의 흡기 호흡시 상기 흡입홀(12)이 개방되도록 작동되며 호기 호흡시 상기 흡입홀(12)이 폐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40)를 문 상태에서도 흡기 내지 호기 호흡 과정의 연속적인 반복 수행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 및 호흡 재활 치료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개폐부(20)는 상기 공기유로(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10a)로부터 유동된 공기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개폐부(20)는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유로개폐부(20)는 장착부(21), 안착실링부(22), 진동볼부(23) 및 유로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21)는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설정되어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착부(21)의 내부 및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측 외주에 나사산 및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나사 체결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상기 유로개폐부(20)가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실링부(22)는 상기 장착부(21)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 개구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착실링부(22)는 일단부가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 개구측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착부(21)의 내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실링부(22)의 테두리에는 상기 진동볼부(23)가 안착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공기유로(11)와 대향되도록 개폐유로(22b)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유로(22b)의 내주면에는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협소화되도록 구배진 안착걸림면(2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실링부(22)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로 갈수록 상기 개폐유로(22b)의 개구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로(22b)의 타측 개구면적은 상기 진동볼부(23)의 최대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설정되되 일측 개구면적은 상기 진동볼부(23)의 최대 단면적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볼부(23)는 상기 개폐유로(22b)의 타측을 통해 삽입되되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공기유로(11)측으로 이탈됨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10b) 개구측에 상기 안착실링부(22)의 일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기유로(11)와 상기 개폐유로(22b)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되면 상기 개폐유로(22b)의 일측이 밀폐되어 상기 공기유로(11)가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40)를 통해 흡기 호흡을 하는 경우 상기 배출방지부에 의해 개방된 상기 흡입홀(12)을 통해 유입된 공기(H)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흡기 압력에 의해 상기 진동볼부(23)에는 상기 공기유로(11)측을 향해 흡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개폐유로(22b)가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후술되는 연결유로(24a)로부터 상기 공기유로(11)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볼부(23)는 후술되는 다이어프램(35)에 반동시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고 어느 방향으로 호기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인 반동이 가능하도록 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개폐유로(22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볼부(23)는 반동에 의한 충격 발생시 파손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 내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연장부(24)는 상기 장착부(21)의 타단부로부터 타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로연장부(24)는 상기 개폐유로(22b) 및 후술되는 배출유로(31a)가 상호 연통되도록 내부에 상기 연결유로(24a)가 개구되어 형성된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연장부(24)는 상기 장착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유로(24a)의 일측이 상기 개폐유로(22b)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유로(31a)와 연통되도록 개구된다. 즉, 상기 연결유로(24a)는 상기 안착실링부(22)의 테두리에 안착된 상기 진동볼부(23)에 의해 상기 공기유로(11)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볼부(23)는 상기 개폐유로(22b)가 밀폐되도록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되면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반발부하라 함은 사용자의 호기 호흡시 평상시보다 더 높은 호기 압력이 요구되도록 걸리는 압력 부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반발부하가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마우스 피스(40)를 통해 숨을 내쉴 때 평소보다 더 세게 숨을 내쉬게 된다.
한편, 상기 부하조절부(30)는 케이스부(31), 진동가이더부(34) 및 다이어프램(35)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31)는 내부에 양단부가 개구된 배출유로(31a)가 형성된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단부가 상기 유로개폐부(20)의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31a)의 직경은 상기 유로연장부(24)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일단부가 상기 유로연장부(24)의 외주를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출유로(31a)의 내주 및 상기 유로개폐부(20)의 외주에 나사산 및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나사 체결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상기 케이스부(31)가 상기 유로개폐부(2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24a)는 상기 케이스부(31)가 상기 유로연장부(24)에 결함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배출유로(3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31)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유로연장부(24)의 길이를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31a)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진동가이더부(34)가 상기 케이스부(31)의 일단부 및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일단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이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상기 배출유로(31a)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연결유로(24a)의 개구측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다이어프램(35)이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내부에 연통공간(34a)이 형성되도록 일단부의 테두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배출유로(31a) 및 상기 연통공간(34a)이 상호 연통되도록 배출홀(34b)이 관통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35)을 통해 상기 연통공간(34a)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홀(34b)을 통해 상기 배출유로(31a)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35)은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부에 상기 안착실링부(22)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개방된 일단부 테두리에 외곽부가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일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합결합부(34c)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은 상기 형합결합부(34c)와 상호 형합되도록 배치된 후 일면에 관통 형성된 결합홀(35c)에 삽입되는 결합부재(34d)의 헤드부에 의해 클램핑 고정되어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일단부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가이더부(34)가 상기 체결부재(33)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상기 다이어프램(35)이 상기 진동볼부(23)와 대향 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35)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실리콘 내지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35)에 상기 진동볼부(23)가 접촉되어 반동시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이 방지되면서도 호기 압력에 대한 진동이 유도될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 소독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5)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 내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볼부(23)는 호기 압력 및 반동에 의해 상기 안착실링부(22) 및 상기 다이어프램(35) 사이를 왕복 운동하며 상기 공기유로(11) 및 상기 연결유로(24a)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개폐유로(22b)를 반복 개폐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안착실링부(22)와 대향 배치되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일면에는 상기 진동볼부(23)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진동접촉면(35a)이 형성된다.
여기서, 호기 호흡에 의해 상기 공기유로(11)로부터 상기 개폐유로(22b)를 향해 공기(E)가 유동되면 상기 개폐유로(22b)를 밀폐하도록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된 진동볼부(23)가 호기 압력에 의해 상기 안착걸림면(22a)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35)측을 향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안착실링부(22)는 상기 개폐유로(22b)가 개방되도록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걸림면(22a)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진동볼부(23)는 상기 개폐유로(22b)를 통해 지속적으로 호기 압력이 작용됨에 따라 상기 진동접촉면(35a)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진동접촉면(35a)에 접촉되어 반동되면 호기 압력에 의한 이동력에 대향하는 반동력이 작용되어 이동 방향이 상기 안착실링부(22)측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직경은 상기 연결유로(24a)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진동접촉면(35a)의 어느 일측에 접촉되어 반동되더라도 상기 안착실링부(22)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복귀되어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될 수 있어 반발부하가 안정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면 및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외주 사이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합결합부(34c)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므로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측벽부 외경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유로(24a)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반동력에 의해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실링부(22)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개폐유로(22b)가 밀폐되도록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실링부(22)는 상기 진동볼부(23)에 의해 폐쇄 상태가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호기 호흡을 지속하는 경우 상기 진동볼부(23)는 상기 개폐유로(22b)가 밀폐되도록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된 후 즉각적으로 호기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35)측을 향하도록 이동되며, 반동에 의해 상기 안착실링부(22)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볼부(23)는 사용자의 호기 호흡에 의한 호기 압력과 상기 다이어프램(35)에 반동되며 작용하는 반동력에 의해 상기 안착실링부(22) 및 상기 다이어프램(35)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볼부(23)의 왕복 운동시 상기 안착실링부(22)에는 상기 진동볼부(23)에 의해 상기 개폐유로(22b)의 개방 및 폐쇄가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호기 압력에 대향하는 반발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호기 호흡시 상기 진동볼부(23)에 의한 반발부하를 극복함으로써 호흡기관의 근육이 강하게 긴장되어 호흡기 질환에 의해 약화된 호흡기관의 근육을 강화하는 호흡기 재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반발부하가 주기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기관지의 내벽에 부착된 객담 등의 이물질 배출이 유도되는 등 호흡기 재활 훈련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발부하가 발생되도록 상기 진동볼부(23)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도 호기 압력에 의한 이동력 및 반동에 의한 상기 진동볼부(23)의 왕복 운동만으로도 반발부하가 발생되는 컴팩트한 구조로 장치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개폐부(20) 및 상기 부하조절부(30)는 상기 바디부(10)로부터 손쉽게 분리 및 조립되는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각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세척하기에 용이하므로 위생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이어프램(35)에는 상기 개폐유로(22b)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로(31a)에 유동되도록 호기배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호기배출부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일면에 관통 형성된 진동유도홀(35b)과,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분산연통홈(35d)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진동유도홀(35b)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착실링부(22)와 대향되는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일면, 즉 상기 진동접촉면(35a)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유도홀(35b)은 호기 호흡시 상기 안착실링부(22)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24a)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통공간(34a)으로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진동유도홀(35b)은 수직방향으로 대향되는 상기 진동볼부(23)의 최대 단면적에 대응되는 대향면적(S)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로(22b)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24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진동유도홀(35b)의 위치에 따라 흐름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유도홀(35b)이 상기 대향면적(S) 내에 배치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개폐유로(22b)의 일측 개구측에 수직하게 대향될 수 있으며, 호기 압력에 의한 공기가 상기 진동볼부(23)의 외주를 감싸도록 유동되어 상기 다이어프램(35)을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기 호흡이 지속되는 동안 호기 압력에 의한 공기가 상기 진동유도홀(35b)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볼부(23)는 호기 압력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5)측을 향해 일정하게 이동된 후 반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볼부(23)가 와류 등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원활하게 왕복 운동되지 않아 발생하는 반발부하의 발생이 저하됨이 최소화되므로 호흡 재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여 제품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유도홀(35b)의 직경은 상기 진동볼부(23)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유도홀(35b)을 통해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실링부(22) 및 상기 다이어프램(35) 사이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유도홀(35b)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대향면적(S)의 테두리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기 압력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진동볼부(23)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작용하여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개폐유로(22b)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35) 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산연통홈(35d)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이어프램(35)에는 상기 안착실링부(22)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측벽부 외측으로 분산되도록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합결합부(34c)에는 상기 복수개의 분산연통홈(35d)에 대응되도록 배출연통홈(34f)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로(22b)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24a)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진동유도홀(35b) 및 상기 분산연통홈(35d)을 통해 분산되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산연통홈(35d)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연통홈(34f) 및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측벽부 외측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유로(31a)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연통홈(35d)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24a)에 유입된 공기가 분산 배출됨에 따라 호기 호흡시 상기 다이어프램(35)에 반동되어 상기 안착실링부(22)측으로 복귀되는 진동볼부(23)에 작용하는 호기 압력이 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유로(22b)를 통해 호기 압력이 상기 진동볼부(23)에 집중적으로 작용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실링부(22)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유로(22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진동유도홀(35b) 및 상기 분산연통홈(35d)을 통해 분산되므로 상기 진동볼부(23)의 반동력에 대향 작용하는 호기 압력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볼부(23)에는 반동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35)로부터 상기 안착실링부(22)측을 향해 이동시 대향하여 작용하는 호기 압력이 상기 안착실링부(22)의 개방시 작용되는 호기 압력보다 더 낮게 작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호기 호흡이 지속되더라도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착되도록 이동되어 순간적으로 상기 개폐유로(22b)를 밀폐하여 안정적으로 반발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5)으로부터 상기 진동볼부(23)의 반동 이동시 대향되도록 작용하는 호기 압력이 분산됨에 따라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안착걸림면(22a)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복귀되어 상기 안착실링부(22)의 반복 개폐를 통한 반발부하가 발생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볼부(23)의 반동에 의한 반발부하를 극복하는 훈련 방법 이외에도 사용자의 호흡량 조절을 통해서 다양한 훈련 방법을 적용한 호흡기 재활 훈련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강하게 호기 호흡을 하는 경우 상기 진동볼부(23)는 상기 개폐유로(22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상기 진동접촉면(35a)에 접촉시 발생되는 반동력을 초과하여 상기 진동접촉면(35a)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에 의해 상기 개폐유로(22b)에 유입된 공기의 유동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가 발생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다이어프램(35)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부하를 극복하기 위해 강도를 조절하여 호기 호흡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35)은 상기 진동볼부(23)가 상기 진동접촉면(35a)에 밀착된 상태로 호기 호흡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은 사용자의 호기 호흡의 강약에 대응하여 일측 내지 타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탄발 변형되어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35)에 발생된 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기관의 근육이 강하게 긴장될 수 있으며 기관지의 내벽에 부착된 객담 등의 이물질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볼부(23)의 반동에 의한 반발부하를 극복하는 방법 이외에도 상기 다이어프램(35)에 의해 작용하는 반발부하를 극복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호흡기 재활 훈련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훈련 방법을 통해 호흡기 재활 훈련에 대한 사용자의 재미가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호흡 재활 장치(100)는 상기 개폐유로(22b) 및 상기 다이어프램(35)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선택적인 이동을 위해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조절핸들부(32), 체결부재(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조절핸들부(32)는 내부에 장착연통공간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3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절핸들부(32)의 일단부측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후크돌기(32b)가 돌설되고, 상기 케이스부(31)의 타단부측 내주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걸림단턱(31b)이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절핸들부(32)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부(31)의 타단부측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돌기(32b)가 상기 걸림단턱(31b)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절핸들부(32)는 상기 후크돌기(32b) 및 상기 걸림단턱(31b)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31)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부(31)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핸들부(32)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장착연통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공기배출홀(32c)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홀(32c)의 단면적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상기 배출유로(31a)에 유입된 공기의 유량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기 호흡시 상기 배출유로(31a)에 유동된 공기가 상기 장착연통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배출홀(32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33)는 상기 배출유로(31a)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부(33a) 및 연장나사부(33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33a)는 '+' 형상 등과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연통공간의 내면에는 각 걸림돌기가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결합단차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단차부(32a)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재(33)가 상기 조절핸들부(32)의 회전에 대응하여 연동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31a)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각 걸림돌기 사이를 통해 상기 장착연통공간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나사부(33b)는 상기 헤드부(33a)로부터 상기 연결유로(24a)에 인접하도록 일측을 향해 연장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진동가이더부(34)가 나사 체결된다.
한편,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측벽부 타측을 커버하는 타단부에 체결홀부(34e)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부(34e)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나사부(33b)가 상기 체결홀부(34e)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산이 상기 나사홈을 따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부(34e)는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타단부 중앙으로부터 상기 연통공간(34a) 내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사홈이 형성되는 내주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나사 체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하조절부(30)는 반발부하가 가변되도록 상기 안착실링부(22) 및 상기 다이어프램(35) 사이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조절핸들부(32)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실링부(22)에 인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외주 및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면에는 상호 형합되는 돌기삽입홈(35e) 및 회전방지돌기(24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돌기삽입홈(35e)은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합결합부(34c)에는 상기 돌기삽입홈(35e)에 대응되도록 돌기형합홈(34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돌기(24b)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삽입홈(35e)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면에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돌기(24b)는 상기 유로연장부(24)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상기 회전방지돌기(24b)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3)는 상기 조절핸들부(3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진동가이더부(34)는 상기 돌기삽입홈(35e)에 상기 회전방지돌기(24b)가 형합되어 걸림됨에 따라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33)가 상기 조절핸들부(32)의 회전 조작에 대응하여 연동 회전되면, 회전되는 연장나사부(33b)의 나사산이 상기 체결홀부(34e)의 나사홈을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조절핸들부(32)의 회전력이 상기 진동가이더부(34)의 이동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가이더부(34)가 상기 연장나사부(33b)의 외면을 따라 상기 개폐유로(22b)에 인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가이더부(34)가 상기 개폐유로(22b)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이어프램(35) 및 상기 개폐유로(22b) 사이 간격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진동볼부(23)의 왕복 운동 주기가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진동볼부(23)에 의해 상기 개폐유로(22b)가 폐쇄되는 횟수가 증가하여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가 더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가이더부(34)가 상기 개폐유로(22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이어프램(35) 및 상기 개폐유로(22b) 사이 간격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진동볼부(23)의 왕복 운동 주기가 길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볼부(23)에 의해 상기 개폐유로(22b)가 폐쇄되는 횟수가 감소하여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가 더 작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35)과 상기 개폐유로(22b)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볼부(23)가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개폐유로(22b)의 반복 개폐 주기가 설정됨에 따라 반발부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핸들부(32)의 회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다이어프램(35) 및 상기 개폐유로(22b) 사이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체격, 연령, 건강 상태 및 폐활량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반발부하의 가변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35)의 외주에 회전방지돌기가 돌설되고 상기 연결유로(24a)의 내면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흡 재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유량조절부(136)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하조절부(130)는 진동가이더부(134)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유량조절부(13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량조절부(136)는 케이스부(131)의 배출유로(131a)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진동가이더부(134)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에 상기 진동가이더부(13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부(136)는 상기 진동가이더부(134)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134b)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진동가이더부(134)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부(136)에는 상기 배출홀(134b)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유량조절홀(136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조절홀(136a)의 테두리측 단부에는 차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가 상기 배출홀(134b)을 커버하는 단면적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진동가이더부(134) 내부의 연통공간(134a)으로부터 상기 배출유로(131a)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량조절부(136)가 상기 유량조절홀(136a) 및 상기 배출홀(134b)이 상호 대향되도록 회전되면 상기 배출홀(134b)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최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부(136)가 상기 차폐부에 의해 상기 배출홀(134b)이 커버되도록 회전되면 상기 배출홀(134b)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부가 상기 배출홀(134b)을 커버하는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진동가이더부(134) 내부의 연통공간(134a)으로부터 상기 배출유로(131a)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조절부(136)에 의해 상기 배출홀(134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면 사용자의 호기 호흡시 공기의 유입량보다 배출량이 감소되어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136)에는 상기 케이스부(131)를 관통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지연장부(136b)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연장부(136b)는 상기 유량조절부(136)의 외면을 따라 기설절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131)에는 각 지지연장부(136b)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걸림조절홀(13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연장부(136b)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조절홀(131c)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연장조절부(136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조절부(136c)는 상기 걸림조절홀(131c)의 내측으로 삽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림조절홀(131c)의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연장부(136b)의 단부가 상기 걸림조절홀(131c)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연장조절부(136c)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유량조절부(136)가 회전되도록 상기 연장조절부(136c)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조절홀(131c)은 상기 케이스부(131)의 외면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량조절부(13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연장부(136b)가 상기 걸림조절홀(131c)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 상기 유량조절부(136)는 상기 진동가이더부(13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연장부(136b)가 일방향 회전되어 상기 걸림조절홀(131c)의 일측 테두리에 걸림되면 상기 유량조절홀(136a) 및 상기 배출홀(134b)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출홀(134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최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연장부(136b)가 타방향 회전되어 상기 걸림조절홀(131c)의 타측 테두리에 걸림되면 상기 배출홀(134b)이 상기 차폐부에 의해 커버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조절홀(131c)의 길이는 상기 지지연장부(136b)가 양측 테두리에 각각 걸림되면 상기 배출홀(134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최대유량 및 최소유량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절핸들부(도 1의 32)를 조작하여 진동볼부(도 1의 23)의 반동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1차적인 반발부하를 조절하면서도 상기 유량조절부(136)를 조작하여 2차적인 반발부하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반발부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바디부 11: 공기유로
20: 유로개폐부 22: 안착실링부
23: 진동볼부 24a: 연결유로
30: 부하조절부 31: 케이스부
32: 조절핸들부 33: 체결부재
34: 진동가이더부 35: 다이어프램
35b: 진동유도홀 35d: 분산연통홈
100: 호흡 재활 장치

Claims (5)

  1. 호기 호흡에 의한 공기가 일단부를 통해 타단부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되 호기 호흡시 호기 압력에 대한 반발부하를 발생시키는 진동볼부가 테두리에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유로개폐부; 및
    상기 유로개폐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케이스부에 형성된 배출유로의 내부에 상기 진동볼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개폐유로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로에 유동되도록 호기배출부가 형성되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진동가이더부를 포함하는 부하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호기배출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일면에 관통 형성된 진동유도홀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분산연통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진동가이더부의 개구된 일단부 테두리에 외곽부가 밀착되며, 일면에 상기 진동볼부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진동접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가이더부는
    일단부의 테두리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형성된 연통공간 및 상기 배출유로가 상호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타측을 커버하는 타단부에 구비된 체결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로 및 상기 다이어프램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진동가이더부의 선택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체결홀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연동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핸들부를 포함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
KR1020170184136A 2017-12-29 2017-12-29 호흡 재활 장치 KR10200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36A KR102003899B1 (ko) 2017-12-29 2017-12-29 호흡 재활 장치
PCT/KR2018/016700 WO2019132530A1 (ko) 2017-12-29 2018-12-27 호흡 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36A KR102003899B1 (ko) 2017-12-29 2017-12-29 호흡 재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30A KR20190081530A (ko) 2019-07-09
KR102003899B1 true KR102003899B1 (ko) 2019-07-25

Family

ID=6706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36A KR102003899B1 (ko) 2017-12-29 2017-12-29 호흡 재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3899B1 (ko)
WO (1) WO2019132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99U (ko) 2019-11-13 2021-05-24 김승중 수동식 흉벽 진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921A (zh) * 2019-10-18 2019-12-27 黄学朋 一种呼吸内科用便捷型肺活量训练装置
CN110755255B (zh) * 2019-10-31 2021-09-14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方便进行气压调节的被动式心肺功能康复训练器
KR102416723B1 (ko) * 2020-10-20 2022-07-06 (주)지에이치이노텍 호흡근 강화기기
KR102515255B1 (ko) * 2021-01-07 2023-03-29 브레싱스 주식회사 호흡 조절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호흡측정용 마우스피스 조립체
CN116570802B (zh) * 2023-05-31 2023-10-13 苏州邦伊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鼻通治疗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834Y1 (ko) * 1999-08-06 2000-07-15 정진구 폐활량 증진 운동구
US20120272956A1 (en) * 2011-04-28 2012-11-01 Rusher Michael J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ko) 1997-06-17 1999-11-15 문재호 폐질환 환자의 호흡 훈련기 및 이를 이용한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
JP2000237343A (ja) * 1999-02-18 2000-09-05 Shuji Kishi 息吹込み鍛練具
US8177689B2 (en) * 2010-03-01 2012-05-15 Bas Rutten Oxygen trainer device
GB201209962D0 (en) * 2012-06-06 2012-07-18 Smiths Medical Int Ltd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834Y1 (ko) * 1999-08-06 2000-07-15 정진구 폐활량 증진 운동구
US20120272956A1 (en) * 2011-04-28 2012-11-01 Rusher Michael J Airway pressure control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99U (ko) 2019-11-13 2021-05-24 김승중 수동식 흉벽 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30A (ko) 2019-07-09
WO2019132530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899B1 (ko) 호흡 재활 장치
US10668238B2 (en)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JP6510005B2 (ja) 振動呼気陽圧装置
JP7229290B2 (ja) 呼吸治療装置
US11247098B2 (en) 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US6726598B1 (en) Pulmonary exercise device
US9327092B2 (en) Ventilation mask with integrated piloted exhalation valve
CA2212642C (en) A portable, personal breathing apparatus
EP1464357B1 (en)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US201600302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breathing modulation
US20180214649A1 (en) Respiratory therapy device
WO2014138125A1 (en) Ventilation mask with integrated piloted exhalation valve
CN105641793B (zh) 用于呼吸面罩的通气控制装置和呼吸面罩设备
CN109011414B (zh) 一种磁循环振动呼吸康复训练器
US20190262662A1 (en) Head and neck exercise methods
CN211158243U (zh) 一种阻力可变运动面罩
WO2022181459A1 (ja) 呼吸装置
CN110787426B (zh) 呼吸训练装置
CN216366534U (zh) 呼吸训练排痰器
US202103538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ypoxia
RU21648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ыхательных упражн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