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82B1 -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 Google Patents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782B1
KR102330782B1 KR1020210074264A KR20210074264A KR102330782B1 KR 102330782 B1 KR102330782 B1 KR 102330782B1 KR 1020210074264 A KR1020210074264 A KR 1020210074264A KR 20210074264 A KR20210074264 A KR 20210074264A KR 102330782 B1 KR102330782 B1 KR 10233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yclone
main body
malodorous gas
win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학윤
Original Assignee
고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학윤 filed Critical 고학윤
Priority to KR102021007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4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8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jection or suction of gas or liquid into the cycl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일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환상 원통형의 사이클론 룸;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 룸으로 외부의 악취 가스를 송출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과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향 진행되도록 하며,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를 상기 일 개방단으로 밀어 넣어 상기 타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기 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악취 가스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사이클론 룸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 가스와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며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을 흡수하여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CYCLONE TYPE SCRUBBER FOR LIVESTOCK SHED}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돈사와 같은 축산 시설 주변에서 악취 관련 민원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민원은 악취로 인한 단순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축산 시설 사업자와 주변 주민들 간의 심각한 갈등으로 번져 축산 시설의 폐쇄까지 바라는 경우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도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분주한 상황이다. 이에 축산 시설 등에 대해서는 악취에 대한 허용기준을 마련하는 등 악취 방지 관련 규제를 점점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민원 및 규제에 따라 축사 등에 악취 가스 제거 설비를 구비하는 사업장 또는 농가도 점점 늘고 있다. 이러한 악취 가스 제거 설비로는 습식 세정탑과 같은 스크러버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축사용 스크러버는 사이즈가 클 뿐만 아니라 악취 가스 제거 효율도 떨어져 악취 가스의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스크러버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악취 관련 민원은 크게 줄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 가스의 제거 효율이 우수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일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환상 원통형의 사이클론 룸;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 룸으로 외부의 악취 가스를 송출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과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향 진행되도록 하며,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를 상기 일 개방단으로 밀어 넣어 상기 타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기 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악취 가스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사이클론 룸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 가스와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며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을 흡수하여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충전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는 상기 본체의 아래에 연결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아래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액을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 상태의 세척액을 상기 노즐로 압송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 유닛은,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 덕트; 및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 덕트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서 상기 흡기 덕트 내의 풍속보다 빠른 풍속의 악취 가스를 상기 사이클론 룸에 송출되도록 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충전재층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직접 송출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수의 나선 회전 운동을 하도록 상기 흡기 덕트보다 납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제1 덕트와 제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보다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고 상기 악취 가스를 송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의 내면 중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내면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관의 개방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 가이드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 유닛은, 상기 중간 덕트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는 보조 토출구;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개폐 도어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 상기 토출 덕트를 통해 송출되는 악취 가스의 풍속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풍속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풍속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풍속이 하한치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층은, 상기 배출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면까지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절두 원추형의 외형을 갖는 받침망; 및 상기 받침망 위에 얹혀져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는 상기 본체의 외면 중 상기 충전재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투시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 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고정되는 외측 창틀; 상기 외측 창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창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외측 창틀에 대해 하단이 벌어지게 구성되는 내측 창틀; 및 상기 내측 창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창틀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 창틀에 대해 상단이 벌어지게 구성되는 내측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에 의하면, 습식의 스크러버의 구성에 집진 장치의 구성이 하나의 유기체 형태로 조합된 일체형의 스크러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집진 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비용 효율적이며 설치 면적 또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련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에 의하면, 사이클론 룸의 구성에 의해 악취 가스의 입자들이 나선형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중에 노즐을 통해 세척액 액적이 분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악취 가스의 입자들이 나선형 궤적을 따르는 먼 경로를 이동하게 되어 세척액 액적과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의 스크러버보다 상당히 우수한 악취 물질 포집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토출 덕트(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치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통상의 스크러버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정화가 필요한 장소의 면적 및 오염도에 따라 더욱 크게 또는 더욱 작게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2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악취 가스 제거 구조로 인해 상당히 우수한 세정 효율을 가진다. 이로 인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구성하여도 상당량의 악취 가스를 정화할 수 있고, 이러한 작은 사이즈로 인해 돈사 내에서 직접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본체(110), 흡기 유닛(120), 배출관(150), 충전재층(160), 호퍼(170), 저장조(171), 순환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체(110)는 그 내부에 사이클론 룸(111)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 룸(111)은 본체(110)의 내주면과 배출관(150)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환상 원통형(annular cylinder)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기 유닛(120)은 블로워(121), 연결 덕트(123) 및 흡기 덕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121)는 돈사 내의 악취 가스를 흡입하여 사이클론 룸(111)으로 강제 압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연결 덕트(123)는 블로워(121)와 흡기 덕트(125)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흡기 덕트(125)는 본체(110)의 상측에 그의 중심(X)과 편심되게 연결된다(도 5 참조). 아울러, 흡기 덕트(125)에는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관(150)은 본체(110) 내에 위치하고 본체(110)의 중심선(X)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배출관(150)은 그의 양단에 내측 개방단(151)과 외측 개방단(153)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개방단(151)은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측 개방단(153)은 본체(1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충전재층(160)은 사이클론 룸(111)의 하단 영역에 설치된다. 충전재층(160)은 받침망(161) 및 폴링(163)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망(161)은 폴링(163)을 담기 위한 구성이다. 받침망(161)은 본체(110)의 내면과 배출관(150)의 외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받침망(161)은 중심 영역이 비어있는 원판의 외형을 가지게 된다. 폴링(pall ring,163)은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구성으로, 받침망(161) 위에 얹혀진다.
호퍼(170)는 세척액(C)을 모으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깔대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장조(171)는 호퍼(170)로부터 모여진 세척액(C)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순환 유닛(180)은 세척액(C)의 운송 및 분무를 위한 구성이다. 순환 유닛(180)은 연결관(181), 순환 펌프(183) 및 노즐(18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81)은 세척액(C)을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저장조(171), 순환 펌프(183) 및 노즐(185)과 각각 연결된다. 순환 펌프(183)는 저장조(171)에 담겨진 액체 상태의 세척액(C)을 노즐(185)로 압송한다. 노즐(185)은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한 연결관(181)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룸(111)에 세척액(C)을 분사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도 2의 블로워(121)를 통해 외부의 악취 가스를 흡입하면서 세정 과정을 시작한다. 여기서, 흡기 덕트(125)에는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필터는 블로워(12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로부터 악취 가스의 입자들을 걸러내는 최초의 세정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를 통과한 외부의 악취 가스는 흡기 덕트(125)를 통해 본체(110)의 상측 영역에서 사이클론 룸(111)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흡기 덕트(125)는 전술한 것과 같이 본체(110)의 중심(X)과 편심되게 연결되므로(도 5 참조), 유입된 악취 가스(G1)는 배출관(150)을 중심으로 원형을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사이클론 룸(111)의 상측 영역은 블로워(121)를 통해 외부의 악취 가스가 계속하여 유입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압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먼저 유입된 악취 가스(G1)는 새로 유입된 악취 가스에 밀려 상대적으로 저압인 사이클론 룸(111)의 하부 영역을 향해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된 악취 가스(G1)는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회전하면서 아래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노즐(185)은 이와 같이 나선형으로 하향 진행하는 악취 가스(G1)를 향해 액적 상태의 세척액(C)을 분사한다. 이 경우, 악취 가스의 입자들(G1)은 세척액의 액적(C)에 충돌하여 그와 함께 응집하게 되고, 이에 의해 악취 가스의 입자들(G1)은 상대적으로 무거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무거워진 악취 가스 입자들(G1)은 나선형 운동시 무게로 인한 원심력의 증가로 인해 본체(110)의 내벽을 향해 튕겨나가게 된다. 튕겨나간 입자들은 본체(110)의 내벽과 관성 충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벽에 물방울 형태로 맺혀져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에 의하면, 악취 가스(G1)가 충전재층(160)에 도달하기 전에도 일차적으로 악취 가스(G1)의 세정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에 의하면, 블로워(121)의 송풍 압력이 변하지 않는 한 악취 가스(G1)의 진행 방향이 하나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정해지게 된다. 이러한 나선을 따르는 진행 경로는 흡기 덕트(125)로부터 내측 개방단(151)까지의 직선 거리보다 상당히 긴 거리이다. 이에 따라, 악취 가스(G1)는 내측 개방단(151)까지 진행하는 동안 세척액 액적(C)과 상당히 많은 횟수로 충돌하게 되며, 결국 악취 가스 입자들(G1)의 포집률도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블로워(121)의 송풍 압력이 변하지 않아 악취 가스(G1)가 하나의 나선 경로 만을 따라 일정하게 흐르는 경우, 이러한 악취 가스(G1)의 흐름은 그를 이루는 입자들이 서로 간에 큰 흐름 특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정상류 상태(steady flow)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정상류 상태의 악취 가스(G1)는 그를 이루는 입자들이 비교적 균일한 상태를 이루고 있어 세척액 액적(C)과도 고르게 혼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에 의하면, 악취 가스(G1)의 긴 진행 경로와 정상류 상태의 흐름 특성으로 인해 상당히 우수한 세정 효율을 가지게 된다.
이는 악취 가스가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정해진 경로 없이 단순 압력 차이로 진행하게 되는 종래의 스크러버와는 상당히 다른 특성이다. 종래의 스크러버는 악취 가스의 진행 경로가 특정되어 있지 않아 악취 가스의 흐름이 스크러버 내의 특정 영역에서 와류(turbulence)를 일으키는 부정류 상태(unsteady flow)의 특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액과의 혼합도도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입구와 출구 간 악취 가스의 진행 경로도 비교적 짧아 악취 가스 입자들과 세척액 액적 간의 흡착률도 상당히 낮다.
한편, 상술한 세정 과정을 마친 악취 가스(G1)는 사이클론 룸(111)의 하단에서 충전재층(160)과 마주한다. 충전재층(160)은 폴링(163)을 가지는데, 폴링(163)은 공극률과 비표면적이 큰 액상 촉매의 일종으로 세척액(C)을 흡수한 상태에서 악취 가스의 입자(G1)를 포집하는 기능을 한다. 악취 가스(G1)는 이러한 폴링(163)과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악취 가스(G1)는 사이클론형 진행 특성으로 인해 그의 입자들이 서로 균일한 특성을 가진 상태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풍향 특성에 의하면 악취 가스의 입자들(G1)은 폴링(163)과 골고루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입자들의 흡착률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악취 가스(G1)가 다단계의 세정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어 통상의 스크러버보다 상당히 우수한 세정 효율을 가진다.
충전재층(160)을 거쳐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G2)는 배출관(150)의 내측 개방단(151)을 향해 밀려들어 간다. 상술한 것과 같이, 블로워(121)는 흡기 덕트(125)를 통해 외부의 악취 가스를 계속 유입시키므로, 정화된 가스(G2)는 압력차에 의해 자연스레 내측 개방단(151)을 향하게 된다. 이후, 정화된 가스(G2)는 배출관(150)을 거쳐 외측 개방단(1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노즐(185)을 통해 분사된 세척액(C)은 본체(110)의 내벽 및 충전재층(160)으로부터 흘러내려 호퍼(170)를 통해 저장조(171)에 모이게 된다. 저장조(171)에 모인 액체 상태의 세척액(C)은 순환 펌프(183)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관(181)을 통해 다시 노즐(185)로 압송되고, 이후 노즐(185)을 통해 사이클론 룸(111)에 액적 상태로 분사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전술한 본체(110), 배출관(150), 호퍼(170), 저장조(171) 및 순환 유닛(180) 이외에 투시창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다른 형태를 갖는 흡기 유닛(120') 및 충전재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 유닛(190)은 본체(110)의 외면 중 충전재층(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투시창 유닛(190)은 외측 창틀(191), 내측 창틀(193) 및 내측창(195)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창틀(191)은 본체(110)의 외면에 고정된다.
내측 창틀(193)은 외측 창틀(19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외측 창틀(191)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다. 내측 창틀(193)은 그의 상단이 제1 힌지(197)를 통해 외측 창틀(191)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측창(195)은 내측 창틀(19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내측 창틀(193)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다. 내측창(195)은 그의 하단이 제2 힌지(199)를 통해 내측 창틀(193)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흡기 유닛(120')은 전술한 흡기 덕트(125) 이외에, 중간 덕트(127), 정류 격자(129), 토출 덕트(131), 보조 토출구(133), 개폐 도어(135), 구동 모터(137), 센서(139) 및 제어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덕트(127)는 흡기 덕트(125)와 연결되고 흡기 덕트(125)로부터 토출 덕트(131)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정류 격자(129)는 악취 가스의 흐름 특성을 정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정류 격자(129)의 격자는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토출 덕트(131)는 정류 격자(129)와 연결되며, 흡기 덕트(125)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보조 토출구(133)는 중간 덕트(127)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도어(135)는 보조 토출구(133)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동 모터(137)는 개폐 도어(135)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41)로부터 전달받는 신호에 따라 개폐 도어(135)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센서(139)는 토출 덕트(131) 측에 위치하여서 토출 덕트(131)를 통해 송출되는 악취 가스의 풍속을 측정한다.
제어부(141)는 센서(139) 및 구동 모터(1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39)로부터 전달받은 풍속 정보에 따라 구동 모터(137)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충전재층(160')은 전술한 폴링(163) 이외에, 다른 형태를 갖는 받침망(161')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망(161')은 배출관(150)의 외면으로부터 본체(110)의 내면까지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절두 원추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흡기 유닛(12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토출 덕트(131)는 제1 덕트(143a), 제2 덕트(143b), 제3 덕트(143c) 및 제4 덕트(14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143a)는 배출관(150)과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며, 제4 덕트(143d)는 배출관(150)과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한다. 아울러, 제1 덕트(143a)는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제4 덕트(143d)는 가장 긴 길이를 가진다.
가스의 흐름 특성은 밀폐된 관 내에서 흐르는 경우와 개방된 공간에서 흐르는 경우 각각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흐름 특성의 변화는 특히 가스가 관 내에서 개방 공간으로 토출되는 순간에 크게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악취 가스(G1)가 정류 격자(129)를 지나 정상류 특성을 갖도록 정류된 상태로 제1 덕트(143a)를 통해 사이클론 룸(111)으로 토출되는 순간 악취 가스(G1)는 공간적 변화로 인해 작은 와류 또는 난류(turbulent flow)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난류는 주변의 흐름에도 영향을 주어 전체적으로 정상류(steady flow)적인 흐름 특성을 갖는 악취 가스(G1)의 흐름 특성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토출 덕트(13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덕트(143a) 내지 제4 덕트(143d)의 길이가 달라 악취 가스(G1)의 토출 시작점이 각각 다르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덕트(143a) 내지 제4 덕트(143d)의 개방단에서 각각 작은 사이즈의 난류 만이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작게 발생할 뿐 하나의 커다란 난류는 발생하지는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토출 덕트(131)로부터 토출된 악취 가스(G1)는 사이클론 룸(111)에서 흐르고 있는 악취 가스(G1)의 흐름 특성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그와 함께 잘 섞여 흐르게 된다.
본 도면에서 토출 덕트(131)로부터 송출되는 악취 가스(G1)의 진행 방향은 토출 덕트(131)의 길이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토출 덕트(131)의 구성들 중 제1 덕트(143a)를 예시로 하여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토출 덕트(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제1 덕트(143a)를 그의 개방단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6(b)는 제1 덕트(143a)를 도 6(a)의 X1의 점선을 따라 절개하여 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c)는 제1 덕트(143a)를 도 6(a)의 X2의 점선을 따라 절개하여 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제1 덕트(143a)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토출 덕트(131)는 토출관(145) 및 가이드 반사체(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143a)의 토출관(145)은 사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반사체(147)는 악취 가스(G1)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한 구성으로, 측면 가이드 반사체(148) 및 상측 가이드 반사체(149)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반사체(148)는 토출관(145)의 내면 중 본체(110)의 중심(X)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내면에 위치한다(도 5 참조). 측면 가이드 반사체(148)는 토출관(145)의 개방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삼각기둥 형상을 가진다.
상측 가이드 반사체(149)는 토출관(145)의 상측 내면에 위치한다. 상측 가이드 반사체(149)는 토출관(145)의 개방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삼각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악취 가스(G1)는 가이드 반사체(147)의 경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그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토출관(145)을 통해 흘러오는 악취 가스(G1)의 일부는 먼저 측면 가이드 반사체(148)에 의해 반사되어 초기의 진행 방향과 제1 예각(θ1)을 이루는 각도 만큼 본체(110)의 중심(X)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아울러, 악취 가스(G1)의 흐름 중 일부는 상측 가이드 반사체(149)에 의해 반사되어 초기의 진행 방향과 제2 예각(θ2)을 이루는 각도 만큼 본체(110)의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반사체(147)에 의해 반사되는 악취 가스(G1)의 흐름은 토출관(145)을 통해 흘러오는 악취 가스(G1)의 흐름 중 일부에 해당하므로, 이들 일부의 흐름은 토출관(145)의 개방단에서 토출관(1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토출되는 나머지 악취 가스(G1)의 흐름과 섞이게 되고, 이에 따라 토출관(145)으로부터 토출되는 시점에서의 악취 가스(G1)의 전체적인 진행 방향은 제1 예각(θ1) 및 제2 예각(θ2)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토출관(145)으로부터 토출되는 악취 가스(G1)의 진행 방향은 본체(110)의 중심 및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제1 예각(θ1) 및 제2 예각(θ2)보다 더 작은 각도를 갖는 방향이 된다.
가이드 반사체(147)는 이러한 악취 가스(G1)의 최종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그의 형상이 정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반사체(147)의 형상은 토출관(145)으로부터 토출되는 악취 가스(G1)가 사이클론 룸(111)에서 이미 나선형으로 회전하고 있는 기존의 악취 가스(G1)와 동일한 진행 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토출관(145)으로부터 토출되는 악취 가스(G1)가 기존의 악취 가스(G1)의 흐름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 사이클론 룸(111)에서의 전체적인 악취 가스(G1)의 흐름 특성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전체적인 작동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흡기 덕트(125)보다 단면적이 작은 토출 덕트(13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토출 덕트(131)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덕트(143a), 제2 덕트(143b), 제3 덕트(143c) 및 제4 덕트(143d)를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의 단면적을 합하여도 흡기 덕트(125)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아울러 제1 덕트(143a) 내지 제4 덕트(143d)는 서로 수평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서 전체적으로 흡기 덕트(125)보다 납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토출 덕트(131)로부터 토출되는 악취 가스(G1)는 작은 단면적으로 인해 흡기 덕트(125)에서보다 빠른 풍속으로 사이클론 룸(111)으로 진입하게 된다. 아울러, 전체적으로 납작한 토출 덕트(131)의 형상으로 인해, 악취 가스(G1)는 결과적으로 흡기 덕트(125)에서보다 빠른 풍속을 가진 납작한 형상의 바람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이클론 룸(111)에 진입한 악취 가스(G1)는 흡기 덕트(125)가 본체(11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보다 충전재층(160')에 도달할 때까지 더 많은 수의 나선 회전 운동을 하면서 보다 빠른 속도로 하향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 룸(111)에서 악취 가스(G1)의 진행 경로는 나선형을 가지게 되는데, 납작한 형상을 갖는 악취 가스(G1)의 바람 형태로 인해 이들 나선 사이의 간격(D)이 줄어들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악취 가스(G1)는 더 먼 경로를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악취 가스의 입자들(G1)은 노즐(185)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 액적(C)과 더 많은 충돌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 흡착 효율 또한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토출 덕트(131) 이외에 보조 토출구(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토출구(133)는 토출 덕트(131)의 작은 단면적으로 인해 블로워(121)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더 많은 악취 가스(G1)의 세정이 요구되는 경우에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덕트(131)의 전방에 위치한 센서(139)는 토출 덕트(131)로부터 송출되는 악취 가스(G1)의 풍속을 측정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41)로 전송한다. 제어부(141)는 이러한 토출 덕트(131)의 풍속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풍속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구동 모터(137)를 제어하여 개폐 도어(135)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는 블로워(121)의 과부하를 해소하거나 또는 사이클론 룸(111)으로 더 많은 양의 악취 가스(G1)가 유입되도록 하여 악취 가스(G1)의 세정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141)는 센서(139)로부터 전달받은 풍속 정보가 하한치 미만이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동 모터(137)를 제어하여 개폐 도어(135)를 폐쇄함으로써 전술한 것과 같은 우수한 세정 효율을 갖는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악취 가스(G1)의 세정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폴링(163)의 오염도 또한 증가하게 되고, 폴링(163)의 오염도가 임계치를 넘어서면 이의 교체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100')의 충전재층(160')은 배출관(150)의 외면으로부터 본체(110)의 내면까지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절두 원추형의 외형을 갖는 받침망(161')을 가지며, 아울러 충전재층(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개폐될 수 있게 설치되는 투시창 유닛(190)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염된 폴링(163)을 제거하고 새로운 폴링(163)으로 채우는 과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염된 폴링(163)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투시창 유닛(190)의 내측 창틀(193)을 개방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내측 창틀(193)은 내측창(195)과 함께 일체로 제1 방향(R1)을 따라 하단이 벌어지며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경사진 받침망(161') 위에 얹혀져 있던 오염된 폴링(163)은 제1 방향(R1)을 따라 벌려진 내측 창틀(193)의 개구를 통해 자연스레 투시창 유닛(190)의 바깥으로 쏟아지며 손쉽게 제거된다.
오염된 폴링(163)이 제거된 후 새로운 폴링(163)을 채우는 경우, 사용자는 투시창 유닛(190)의 내측창(195)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창(195)은 제2 방향(R2)을 따라 상단이 벌어지며 열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새로운 폴링(163)을 내측창(195)을 받침 역할로 하여 그의 벌어진 상단 쪽으로 쏟아부음으로써 흘림량을 줄이면서 폴링(163)을 채워넣을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100':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110: 본체 111: 사이클론 룸
120,120': 흡기 유닛 121: 블로워
123: 연결 덕트 125: 흡기 덕트
127: 중간 덕트 129: 정류 격자
131: 토출 덕트 133: 보조 토출구
135: 개폐 도어 137: 구동 모터
139: 센서 141: 제어부
143a: 제1 덕트 143b: 제2 덕트
143c: 제3 덕트 143d: 제4 덕트
145: 토출관 147: 가이드 반사체
148: 측면 가이드 반사체 148: 상측 가이드 반사체
150: 배출관 151: 내측 개방단
153: 외측 개방단 160,160': 충전재층
161,161': 받침망 163: 폴링
170: 호퍼 171: 저장조
180: 순환 유닛 181: 연결관
183: 순환 펌프 185: 노즐
190: 투시창 유닛 191: 외측 창틀
193: 내측 창틀 195: 내측창
197: 제1 힌지 199: 제2 힌지

Claims (9)

  1.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일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환상 원통형의 사이클론 룸;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 룸으로 외부의 악취 가스를 송출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과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향 진행되도록 하며,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를 상기 일 개방단으로 밀어 넣어 상기 타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기 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악취 가스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사이클론 룸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 가스와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며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을 흡수하여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닛은,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 덕트; 및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 덕트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서 상기 흡기 덕트 내의 풍속보다 빠른 풍속의 악취 가스를 상기 사이클론 룸에 송출되도록 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충전재층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흡기 덕트로부터 직접 송출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수의 나선 회전 운동을 하도록 상기 흡기 덕트보다 납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2.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일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환상 원통형의 사이클론 룸;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 룸으로 외부의 악취 가스를 송출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과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향 진행되도록 하며,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를 상기 일 개방단으로 밀어 넣어 상기 타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기 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악취 가스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사이클론 룸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 가스와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며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을 흡수하여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닛은,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 덕트; 및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 덕트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서 상기 흡기 덕트 내의 풍속보다 빠른 풍속의 악취 가스를 상기 사이클론 룸에 송출되도록 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제1 덕트와 제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덕트보다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1 덕트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3. 원통형의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일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환상 원통형의 사이클론 룸;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 룸으로 외부의 악취 가스를 송출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과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향 진행되도록 하며,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를 상기 일 개방단으로 밀어 넣어 상기 타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기 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악취 가스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사이클론 룸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 가스와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며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을 흡수하여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닛은,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 덕트; 및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 덕트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서 상기 흡기 덕트 내의 풍속보다 빠른 풍속의 악취 가스를 상기 사이클론 룸에 송출되도록 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고 상기 악취 가스를 송출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의 내면 중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내면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관의 개방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 가이드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4.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일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환상 원통형의 사이클론 룸;
    상기 본체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클론 룸으로 외부의 악취 가스를 송출하고, 상기 본체의 중심과 편심되게 연결되어 상기 악취 가스가 상기 사이클론 룸에서 상기 배출관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향 진행되도록 하며, 정화가 완료된 악취 가스를 상기 일 개방단으로 밀어 넣어 상기 타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기 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악취 가스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사이클론 룸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악취 가스와 상기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며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을 흡수하여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충전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닛은,
    흡기 덕트;
    상기 흡기 덕트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단면적을 갖는 중간 덕트; 및
    상기 중간 덕트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 덕트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서 상기 흡기 덕트 내의 풍속보다 빠른 풍속의 악취 가스를 상기 사이클론 룸에 송출되도록 하는 토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유닛은,
    상기 중간 덕트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는 보조 토출구;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개폐 도어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
    상기 토출 덕트를 통해 송출되는 악취 가스의 풍속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풍속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풍속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풍속이 하한치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닛은,
    상기 중간 덕트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는 보조 토출구;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개폐 도어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
    상기 토출 덕트를 통해 송출되는 악취 가스의 풍속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풍속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풍속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풍속이 하한치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닛은,
    상기 중간 덕트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는 보조 토출구;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개폐 도어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
    상기 토출 덕트를 통해 송출되는 악취 가스의 풍속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풍속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풍속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풍속이 하한치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유닛은,
    상기 중간 덕트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룸에 위치하는 보조 토출구;
    상기 보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
    상기 개폐 도어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
    상기 토출 덕트를 통해 송출되는 악취 가스의 풍속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풍속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풍속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풍속이 하한치 미만이면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층은,
    상기 배출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면까지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절두 원추형의 외형을 갖는 받침망; 및
    상기 받침망 위에 얹혀져 상기 악취 가스의 입자를 포집하는 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 중 상기 충전재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투시창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 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고정되는 외측 창틀;
    상기 외측 창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창틀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외측 창틀에 대해 하단이 벌어지게 구성되는 내측 창틀; 및
    상기 내측 창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창틀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 창틀에 대해 상단이 벌어지게 구성되는 내측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KR1020210074264A 2021-06-08 2021-06-08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KR10233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64A KR102330782B1 (ko) 2021-06-08 2021-06-08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64A KR102330782B1 (ko) 2021-06-08 2021-06-08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782B1 true KR102330782B1 (ko) 2021-11-24

Family

ID=7874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64A KR102330782B1 (ko) 2021-06-08 2021-06-08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78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801A (ja) * 1999-12-06 2001-06-19 Nomura Denshi Kogyo Kk オゾン脱臭装置
KR200263111Y1 (ko) * 2001-10-31 2002-01-31 곽경운 냉,온수배관 세척 및 정수장치
JP2002349918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JP3157400U (ja) * 2009-11-11 2010-02-18 有限会社シーエス技術研究所 固気分離回収機構
KR101753542B1 (ko) * 2016-12-09 2017-07-04 정충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KR101864756B1 (ko) * 2017-11-06 2018-06-07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배기가스 내 PM 및 SOx 동시 처리 장치
KR102129824B1 (ko) * 2020-03-06 2020-07-03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분무노즐을 이용한 선회류 2단 약액세정탑
KR102220442B1 (ko) * 2020-12-29 2021-02-25 주식회사 지이테크 텐터 후단의 배기가스용 습식 스크러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801A (ja) * 1999-12-06 2001-06-19 Nomura Denshi Kogyo Kk オゾン脱臭装置
JP2002349918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200263111Y1 (ko) * 2001-10-31 2002-01-31 곽경운 냉,온수배관 세척 및 정수장치
JP3157400U (ja) * 2009-11-11 2010-02-18 有限会社シーエス技術研究所 固気分離回収機構
KR101753542B1 (ko) * 2016-12-09 2017-07-04 정충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KR101864756B1 (ko) * 2017-11-06 2018-06-07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배기가스 내 PM 및 SOx 동시 처리 장치
KR102129824B1 (ko) * 2020-03-06 2020-07-03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분무노즐을 이용한 선회류 2단 약액세정탑
KR102220442B1 (ko) * 2020-12-29 2021-02-25 주식회사 지이테크 텐터 후단의 배기가스용 습식 스크러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7140B (zh) 旋汇耦合超净脱硫除尘一体化系统及其脱硫除尘方法
KR20120052692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H01262233A (ja) 汚物バキューム装置及びその廃棄物タンク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移送車輌
SE432360B (sv) Sett och anordning for avlegsnande av fasta och flytande fororeningar fran gaser, serskilt for fergsprutboxar
CN104606966B (zh) 主动螺旋旋风除尘装置
CN105727701A (zh) 一种一体化超超洁净脱硫除尘装置
CN208541953U (zh) 湿式喷淋除尘器
TWI665001B (zh) 除塵除霧裝置及吸收塔
TWI665002B (zh) 除塵除霧裝置及吸收塔
KR102330782B1 (ko) 축사용 사이클론형 스크러버
CN104474815B (zh) 湿式除尘器
CN108635968A (zh) 湿式除尘器
CN107670441A (zh) 螺旋喷淋湿式除尘器
CN205182373U (zh) 一种脱硫除尘塔
US20050172583A1 (en) Demisting chamber with elbow strainer
CN208553539U (zh) 湿式喷淋除尘器
CN204447559U (zh) 主动螺旋旋风除尘装置
CN109248528B (zh) 水网离心净化装置
CN215534087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分离模块及清洁机
CN201969487U (zh) 循环雾化装置
CN208465403U (zh) 湿式除尘器
JP2589634Y2 (ja) 塗料ミスト除去装置
CN209530406U (zh) 一种喷淋式环保除尘装置
CN108579278A (zh) 湿式喷淋除尘器
CN102728147A (zh) 卧式离心消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