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06B1 -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606B1
KR102330606B1 KR1020210009653A KR20210009653A KR102330606B1 KR 102330606 B1 KR102330606 B1 KR 102330606B1 KR 1020210009653 A KR1020210009653 A KR 1020210009653A KR 20210009653 A KR20210009653 A KR 20210009653A KR 102330606 B1 KR102330606 B1 KR 102330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ndensate
air conditioner
condensate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일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21000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606B1/ko
Priority to KR1020210159612A priority patent/KR102481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4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in a window-type room air condit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 증발기 팬 및 응축기 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 상기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응축기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제1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수 컨테이너; 상기 펌프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연통하는 위치에 제2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부 안쪽을 통해 하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응축기를 냉각하면서 스스로는 증발하여 응축기의 냉각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호스 없이도 응축수를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본 발명은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발생하여 응축수 받이에 수용된 응축수를 기계적으로 응축기에 공급하여 응축수의 건조와 응축기의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창문형 에어컨은 실내기(증발기)와 실외기(응축기)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내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창문에 설치되는 창틀 설치 프레임을 별도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 기사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실외를 향하는 에어컨의 배면이 외벽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중창틀에 설치될 경우 미사용시 외측 창문을 폐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창문형 에어컨은 창틀이나 창문에 직접 설치되기 때문에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별도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경우 호스와 창문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의부로 방출되기 위해 호스가 실외로 튀어나와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0818호(2000.04.1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서 발생하여 낙하된 응축수를 펌프를 통해 흡상하여 응축기의 표면에 흘려줌으로써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응축기를 냉각시켜서 냉각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 증발기 팬 및 응축기 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 상기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응축기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제1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수 컨테이너; 상기 펌프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연통하는 위치에 제2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은 응축기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으로 세워지는 제1 측면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을 세워지는 제2 측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재에는 상기 제2 유출 구멍과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가 통과하는 배관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와 제1 측면부재가 연결되는 절곡면에는 응축수를 응축기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부재에는 길이방향의 일부분을 파단한 개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측면부재와 제2 측면부재에는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와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암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는 상기 응축기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임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임시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상기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의 곡면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로부터 바닥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배출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바닥면은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둘레 하단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 면밀착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과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수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상기 호스의 유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받이에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기의 상부에 제1 유출 구멍과 제2 유출 구멍을 각각 형성하는 응축수 컨테이너와 응축기 브라켓을 구성함으로써,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부 안쪽을 통해 하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응축기를 냉각하면서 스스로는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의 냉각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호스 없이도 응축수를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에는 응축수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응축기에 대한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수 컨테이너와 응축기 브라켓은 상호 착탈결합되는 수 착탈부 및 암 착탈부를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가 응축기 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리브를 배치함으로써, 응축수가 충격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출 구멍을 가로지르지 않고 제1 유출 구멍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에는 배출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로부터 자연스럽게 바닥면의 타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운동에너지를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주요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응축수 컨테이너 및 응축기 브라켓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1000)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2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300)와, 응축기 팬(800) 및 증발기 팬(900)을 포함한다.
특히,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10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에서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120)와,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 설치되는 펌프(130)와.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제1 유출 구멍(410)이 형성되는 응축수 컨테이너(400)와, 상기 펌프(130)와 응축수 컨테이너(400)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500)와, 상기 응축기(300)와 응축수 컨테이너(400) 사이에 설치되며 제2 유출 구멍(610)이 형성되는 응축기 브라켓(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펌프(130)에 의해 응축수 받이(120) 내에 수용된 응축수가 호스(500)를 통해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을 통해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으로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제2 유출 구멍(610)을 통해 응축기(300)로 유동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 내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제1 유출 구멍(410)을 통해 아래로 낙하한 후 그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의 제2 유출 구멍(610)과 응축수 배출구(630)를 통해 응축기의 두께방향 내,외부 양쪽으로 응축수가 흘러서 응축기(300)를 한층 효과적으로 냉각하게 된다.
상기 제1 유출 구멍(410)과 제2 유출 구멍(610)은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 및 응축수 브라켓(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축수가 다수 개의 제1 유출 구멍(410) 및 제2 유출 구멍(61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응축기(300)의 안쪽에 대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낙하하는 응축수는 고온의 응축기(300)을 냉각하면서 스스로는 증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내부에는, 상기 호스(500)의 유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20)가 배치되어 있어 응축수가 충격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을 가로지르지 않고 다수의 제1 유출 구멍(4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브(420)는 하나만 형성되어도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응축수의 유동 안정화 및 배출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다수 개의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리브(420)는 응축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룰 수도 있으나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 유출 구멍(410)으로 안내하는 최적의 배출 효율성을 갖도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는 상기 응축기(3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구(43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리브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4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구(430)는 상기 호스(500)와 결합되어 응축수를 유입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임시 수용홈부(401)는 응축수를 임시로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임시 수용홈부(401)를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 유출 구멍(410)과 상기 응축기(300)의 배관 파이프의 곡면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유입구(430)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401)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430)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로부터 자연스럽게 바닥면의 타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배출가이드(440)가 형성된다.
정단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배출가이드(440)는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출가이드(440)의 상면에는 상기 유입구(430)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두께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 가이드홈(4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바닥면은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둘레 하단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의 상면에 면밀착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과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수 착탈부(450a,450b)가 형성된다.
상기 수 착탈부(450a,450b)는 응축수 컨테이너(400)와 응축기 브라켓(600) 간의 상호 착탈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내부 청소 등 유지보수를 한층 수월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입구(430)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의 수압에 의해 응축수 컨테이너(400)가 응축기 브라켓(6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상기 응축기(300)와 응축수 컨테이너(4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출 구멍(410)과 연통하는 위치에 제2 유출 구멍(6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유출 구멍(610)은 응축기(300)의 안쪽 공간으로 응축수를 배출시켜 응축기(300)에 대한 냉각효과는 물론 응축수의 증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00)로 인해 발생한 응축수는 펌프(130)에 의해 응축기(300) 상단부의 응축수 컨테이너(400)로 이동이 되고 응축수 컨테이너(400) 내의 응축수는 제1 유출 구멍(410)을 통해 응축기 브라켓(600)으로 흘러 가고 이때 응축수는 응축기 브라켓(600)의 평면에 위치한 제2 유출 구멍(610)들을 통해 응축기(300)의 알루미늄 판(냉각핀)으로 이동한다. 이때 차가운 응축수가 뜨거워진 알루미늄 판 평면에 고르게 퍼지면서 자연 증발 및 냉각이 되어 방열 효율을 좋게 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판 평면에 고르게 펼처진 응축수 중 자연 증발이 안된 응축수는 알루미늄 판의 슬로팅 부분을 통해 아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알루미늄 판을 냉각 시키며 응축수를 자연 증발시키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응축기(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닥부재(601)와, 상기 바닥부재(601)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으로 세워지는 제1 측면부재(602)와, 상기 바닥부재(601)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을 세워지는 제2 측면부재(603)로 이루어진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 구조이다.
상기 바닥부재(601)에는 상기 제2 유출 구멍(610)과 응축기(300)의 배관 파이프가 통과하는 배관공(6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응축기(300)의 배관 파이프가 배관공(620)을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응축기(300)의 상단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닥부재(601)와 제1 측면부재(602)가 연결되는 절곡면에는 응축수를 응축기(300)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63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부재(603)에는 길이방향의 일부분을 파단하여 상기 수 착탈부와 후술할 암 착탈부 간의 체결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방공간(64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응축기 브라켓(600)은 응축수를 제2 유출 구멍(610)으로 배출시키는 것 외에도 외측면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구(6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응축기(300)의 내,외부 양쪽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어 응축기(300)에 대한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구(630)는 절곡면으로부터 바닥부재(601)와 제1 측면부재(602)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측면부재(602)로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구(630)의 공간 길이보다 상기 바닥부재(601)로 연장되는 응축수 배출구(630)의 공간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재(602)와 제2 측면부재(603)에는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400)와 상보적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암 착탈부(650a,650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 팬(800)과 증발기 팬(900)은 구조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응축기 팬(800)의 가동과 함께 실외의 공기가 제2 흡입부(160)을 통해 제2 토출부(170)로 배출되면서 응축기(300)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증발기 팬(900)의 가동과 함께 실내의 공기는 제1 흡입부(140)를 통해 제1 토출부(150)로 나오면서 케이스(100)의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기계적인 압력의 작용을 발생시키는 펌프(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7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수위센서(700)는 응축수 받이(120)에 모여진 응축수가 외부로 범람하지 않도록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130)가 구동하여 상기 응축기(300)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응축수가 응축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흘러내려 응축기(300)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응축기 팬(800)은 응축수 받이(120) 영역에 있으므로 상기 응축수 받이(120)에 수용된 응축수에 의한 응축기 팬(800)의 간접 냉각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 팬(800)이 배치된 응축수 받이(12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1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케이스
120... 응축수 받이
130... 펌프
200... 증발기
300... 응축기
400... 응축수 컨테이너
401... 임시 수용홈부
410... 제1 유출 구멍
420... 리브
430... 유입구
440... 배출가이드
500... 호스
600... 응축기 브라켓
610... 제2 유출 구멍
700... 수위센서
800... 응축기 팬
900... 증발기 팬
1000... 창문형 에어컨

Claims (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내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응축기, 증발기 팬 및 응축기 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받이;
    상기 응축수 받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응축기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에는 제1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수 컨테이너;
    상기 펌프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수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연통하는 위치에 제2 유출 구멍이 형성되는 응축기 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 브라켓은 응축기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으로 세워지는 제1 측면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윗쪽을 세워지는 제2 측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에는 상기 제2 유출 구멍과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가 통과하는 배관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와 제1 측면부재가 연결되는 절곡면에는 응축수를 응축기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부재에는 길이방향의 일부분을 파단한 개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재와 제2 측면부재에는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와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암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는 상기 응축기의 폭방향을 따라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임시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임시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 유출 구멍과 상기 응축기의 배관 파이프의 곡면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임시 수용홈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높낮이 낙차로부터 바닥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배출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바닥면은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둘레 하단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의 상면에 면밀착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두께방향 양측면에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과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수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컨테이너의 내부에는 상기 호스의 유출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9. 삭제
KR1020210009653A 2021-01-22 2021-01-22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33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53A KR102330606B1 (ko) 2021-01-22 2021-01-22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0210159612A KR102481303B1 (ko) 2021-01-22 2021-11-18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53A KR102330606B1 (ko) 2021-01-22 2021-01-22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612A Division KR102481303B1 (ko) 2021-01-22 2021-11-18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606B1 true KR102330606B1 (ko) 2021-11-24

Family

ID=787481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53A KR102330606B1 (ko) 2021-01-22 2021-01-22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0210159612A KR102481303B1 (ko) 2021-01-22 2021-11-18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612A KR102481303B1 (ko) 2021-01-22 2021-11-18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06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18A (ko) 1998-09-24 2000-04-15 구자홍 창문형 슬림 에어컨
KR20080041066A (ko)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16B1 (ko) * 2009-05-29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SG11201406902RA (en) * 2012-04-27 2014-11-27 Grg Llc Louver device for removing moisture and du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18A (ko) 1998-09-24 2000-04-15 구자홍 창문형 슬림 에어컨
KR20080041066A (ko)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303B1 (ko) 2022-12-26
KR20220106674A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618642U (zh) 一种厨房空气调节系统
KR20210049317A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330606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CN214949408U (zh) 吊顶空调器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KR100900283B1 (ko)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KR20070073164A (ko) 공기조화기
CN219846486U (zh) 一种清洗机
KR10085093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4110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CN217763678U (zh) 一种方便维护和维修的空调
KR102252569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20040085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KR200312184Y1 (ko) 팬코일 유닛
KR10087423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응축수 집수구조
KR100362468B1 (ko) 차량용 열교환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KR20100007019U (ko) 천장형 에어컨
KR200282107Y1 (ko) 룸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방열구조
KR200379131Y1 (ko) 에어콘 실외기 배기 가이드
CN116712015A (zh) 一种清洗机
KR100484932B1 (ko) 공기조화기
KR101122667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유로구조
CN111397042A (zh) 半导体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